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영미 문화 내용 분석

        박민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extbook contents of the Western culture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suggest about the need that cultur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hould be based on specific instructional goals. Especially, this study employed Seelye's framework for teaching culture to analyze the textbooks. Learning the culture of a second language community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second language research. Thus, it is presumed that teaching the target language culture should go beyond teaching it at knowledge level and lead students to successfully communicate with foreigners in English. However, review of literature showed that there exist no specific teaching goals for teaching culture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ome of literary works in the textbooks did not have any information whether they were authentic materials or not. Secondly, in all of the textbooks examined, reflections on a diversity of social variables within the Western culture such as age, gender, ethnicity, the place of residence were not sufficient. Third, visual information such as ads, photos containing cultural features of the target culture could be found in the textbooks, however, some of the vidual images were not relevant to the contexts in which they were presented. Fourth, although dialogues making use of role -plays were found in each chapter of the textbooks, only two dialogue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dialogues in terms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y to explore the Western culture at deeper levels. Fifth, most chapters were limited with regard to meeting physical,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s by failing to include various cultual materials. Sixth, there were few task-based activities through which students would be given opportunity to deal with the Western culture. Overall, most contents and activities in English textbooks were either inadequate or poorly designed, requiring more efforts on the part of textbook writers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the Western culture.

      • 백금계 촉매를 이용한 Olefin과 삼염화실란의 수소규소화 반응

        박민경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흔히 쓰이는 삼염화 실란과 올레핀의 수소규소화 반응에서 위치 선택성이 우수한 백금계 촉매 제조 및 이들의 반응 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다양한 치환기(Me, i-Pr, t-Bu, c-Hx)를 가진 5각고리와 , i-Pr과 c-Hx이 치환된 6각 고리의 N-heterocyclic carbene (NHC) 리간드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NHC 리간드를 Karstedt 촉매 Pt[(CH₂=CH-SiMe₂)₂O]₂와 반응시켜 새로운 카빈 형태의 NHC-Pt(DVTMS)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여기서 합성한 NHC 촉매를 사용하여 삼염화 실란과 para-위치에 치환된 (R=Me, Cl, OMe, CN) 스티렌계 화합물의 반응 특성을 연구하여 말단에 실릴기가 선택적으로 부가된 생성물을 얻었다. 이 반응에서 스티렌의 para-위치에 치환기 효과를 조사하였고, 지방족 올레핀과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peier's catalyst, Karstedt's catalyst 그리고 NHC-Pt와의 반응활성 및 위치 선택성을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NHC-Pt 촉매 사용시에 반응 활성은 Speier's catalyst와 Karstedt's catalyst에 비하여 떨어지나 위치 선택성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스티렌과 삼염화 실란과의 반응에서 이중결합 이동과 같은 부반응은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CN이 치환된 스티렌의 경우 NHC 5각고리 촉매 화합물보다 NHC 6각고리 촉매 화합물의 반응 활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para-위치에 치환기가 전자 주는 능력이 증가할수록 반응성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Trichlorosilane containing Si-H bond has been regarded as an useful material applicable to synthesis of organosilicon compounds. Introduction of the trichlorosilane to unsaturated hydrocarbons by hydrosilyation is the major synthetic method. Conventional hydrosilyation catalysts, Speier's or Karstedt's catalyst, have been used for long time but they suffer from side reactions in particular reactions. Therefore five-member ring with various substituent (R=Me, i-Pr, t-Bu, c-Hx) and six-member ring with (R=i-Pr, c-Hx) N-heterocyclic carbene (NHC) ligands have been prepared. New NHC-Pt(DVTMS) complexe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s of NHC ligands with karstedt catalyst Pt[(CH₂=CH-SiMe₂)₂O]₂. Catalytic activities of the NHC-Pt(DVTMS) have been compared with common catalyst (speier, karstedt) for the hydrosilylation of para-substituted styrene [R=H (1a), R=Me (1b), R=Cl (1c), R=OMe (1d), R=CN (1e)] with trichlorosilane. NHC-Pt catalysts show exquisite selectivity. In particular, side reaction such as double bond migration wasn't observed in the hydrosilylation of styrene with trichlorosilane. Interestingly, the hydrosilylation of CN substituted styrene with trichlorosilane under NHC_(6)-Pt(DVTMS) is much more active than NHC_(5)-Pt(DVTMS). Consequently, reactivity of para-CH₂=CH-Ph-R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R.

      • 부모 성찰기능 척도와 청소년 성찰기능 척도의 타당화 및 적용 연구 :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박민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 성찰기능과 청소년 자녀의 성찰기능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Luyten 등(2017)이 개발한 ‘부모 성찰기능 척도’와 Duval 등(2018)이 타당화한 ‘청소년 성찰기능 척도’를 타당화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타당화한 두 척도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성찰기능과 청소년 자녀의 성찰기능의 관계를 탐색해 보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부모 성찰기능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만 12-18세 자녀를 가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판 부모 성찰기능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2문항이 제외된 총 16문항이 원척도와 동일한 3개의 요인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되었으며, 한국판 부모 성찰기능 척도가 국내에 적용 가능한 신뢰로운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청소년 성찰기능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만 13-21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청소년 성찰기능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5문항이 제외된 총 20문항이 원척도와 동일한 3개의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하위 요인 가운데 관심/호기심 척도의 경우 타인에 초점을 둔 문항들로 구성됨에 따라 원척도와 다르게 ‘타인의 마음상태에 대한 관심/호기심’으로 명명하였는데, 문화에 따른 차이가 한국 청소년의 성찰기능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신뢰도를 비롯하여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을 통해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 2에서 타당화한 두 척도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성찰기능과 청소년 자녀의 성찰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어머니의 성찰기능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자녀의 성찰기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성찰기능 가운데 부정적 특성을 나타내는 비정신화는 자녀의 성찰기능 및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긍정적 양육태도와 관련되었던 확실성과 관심/호기심 척도는 다소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어머니 확실성이 주로 자녀의 적응과 긍정적인 성찰기능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관심/호기심은 자녀의 관심/호기심에 영향을 미쳤으나, 불확실성/혼란과 심리사회적 부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찰기능척도의 가장 최근 버전인 부모 성찰기능 척도와 청소년 성찰기능 척도를 타당화하여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관계를 성찰기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relations between the reflective functioning of parents and their teenaged children. For the purpose, validation was sought regarding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Luyten et al., 2017)’ and ‘The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for Youth(Duval et al., 2018)’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Based on these two validated questionnaires, an additional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s of mothers and those of their juvenile children. For study 1,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regarding mothers of children aged 12-18. According to the study, a total of 16 questions, excluding two questions, were confirmed through three factors that were the same as the original questionnaire and the reliability was secure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nnection with related variables. Accordingly, the Korean-version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was confirmed as a reliable scale applicable to Korean people. For study 2, The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for Youth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for youth about adolescent aged 13-21. According to the study, three factor structures that were the same as the original questionnaire were confirmed in a total of 20 questions, excluding five questions. In the case of the questionnaire about interest and curiosity,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with questions focused on other persons and it was named ‘interest/curiosity about the mental states of other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This apparently was because differences related to culture were reflected in the Korean adolescent reflective function.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nnection with related variables, including reliability. For study 3,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s of mothers and those of their juvenile children based on the two questionnaires validated in studies 1 and 2. Particularly, mediated effects of children were studi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mothers’ reflective functions on the reflective functions of their teenaged children. According to the study, pre-mentalizing in mothers’ reflective functions that reveal adverse features had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reflective functions and adjustment. Certainty and the interest/curiosity related to positive fostering attitudes show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and, in this case, maternal certainty mostly was connected with adolescent’s adjustment and positive reflective functions. In comparison, mother’s interest/curiosity affected adolescent’s interest/curiosity but affected their uncertainty/ confus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as well. This study focused on validating the latest versions of the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and the reflective functioning questionnaire for youth and sought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to Korean people. This is meaningful in that 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juvenile children were studied in terms of reflective functions. Finally, discussions were conducted about the limitations of those studi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오픈마켓)의 매장환경이 소비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민경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ternet is widely used, the e-commerce using the Internet has been steadily grow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evolved and developed further, and the online market place(the open market) where so many sellers of so many industries can freely trade with consumers have emerged as a new model of the online shopping mall. Since competition between open markets gets fierce and dishonest trading takes places in some small markets, they are now facing a crisis, with their credibility substantially damaged. It is therefore high time to make a differentiated market environment in order to maintain the loyalty of existing customers and overcome the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Consumers' behavior and factors satisfying them are researched. The research, which looks into the virtu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open market and the purchasing psychology of consumers, is now in its nascent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class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arket place, which affects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open market, according to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n to analyze whether those characteristics indeed have direct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t also aims to make a theoretical suggestion on how to run the open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open market, seen from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a lot to the subjective and personal fun of shopping, such as aesthetic elements, virtual reality and differentiated awarenes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emo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een from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elements of discrete and efficient purchase such as care for consumers, convenience in searching for goods and build-up of goods' valu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uch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have an impact on the purchasing decision of consumers. To verify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be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ntion for purchase and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being independent variab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of the emotional elements, the awareness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followed by virtual real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emotional elements, virtual re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followed by the awareness and aesthetic appreciation. Upon analysis of the study findings, the reason why aesthetic appreciation failed to exert a great influence on consumers' intention for purchase lied in the similarity between the open market designs. The hypothesis th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will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refore, held. Second, of the functional elements, the product qu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followed by care for customers, product prices and convenience in searching for gods. The speed of moving from one screen to another or the product portfolio were found almost not to be of any influence, which means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open markets in terms of the speed of moving from one screen to another or the product portfolio. Of the functional elements, product quality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followed by care for customers. The hypothesis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 market environment will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refore, held only partially. Upon analyzing the study findings,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elements, product quality and care for customers were found to be of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for purchase and the intention for sustained use. It therefore proved that consumers expect quality goods and quality services when they shop online. Additional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look at how the gender difference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the open market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Up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while women's purchase intention can be influenced by aesthetic elements such as the design, men's purchase intention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aesthetic elements. Up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while women's purchase intention can be influenced greatly by the value of products, men's purchase intention is influenced by the function to search for goods. This study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market places that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decision in the open market according to emo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n it analyzed whether such elements have indeed direct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It aims to suggest how to run the open market by utiliz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에서는 인터넷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꾸준한 증가를 보였다. 인터넷 쇼핑몰은 더욱 진화, 발전하면서 수많은 업종의 판매자들이 소비자와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이하 오픈마켓)가 새로운 온라인 쇼핑몰 모델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오픈마켓 간의 경쟁이 격화되고 일부 소규모 판매상들의 정직하지 못한 거래 행태가 나타나는 등 신뢰를 상실하면서 위기에 당면해 있다. 따라서 오픈마켓은 기존 고객의 충성도를 유지시키고 경쟁적 시장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차별적 매장 환경의 구축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인터넷 쇼핑 소비자의 태도 및 만족 요인을 연구함에 있어 오픈마켓의 가상 매장 환경 요인과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고려하여 접근하는 연구는 아직도 시작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마켓에서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장의 환경적 요인들을 감성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적용하여 오픈마켓의 운영에 관한 이론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성적 특성에 기반을 둔 오픈마켓의 매장 환경 요인들은 서비스 환경에서의 심미적 요소, 원격실재감, 차별화된 인지도 등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쇼핑의 즐거움과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감성적 특성의 수준이 인터넷 쇼핑에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감성적 특성이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기능적 특성에 기반을 둔 오픈마켓의 매장 환경 요인들은 고객 배려, 상품 검색의 편리성, 상품 가치의 구축 등 신중하고 효율적인 상품 구매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적 특성의 수준이 인터넷 쇼핑에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기능적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오픈마켓의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오픈마켓의 감성적, 기능적 특성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구매의도와 지속이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변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의도에 대한 감성적 요인의 영향력은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원격실재감, 심미성 순으로 나타났고,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감성적 요인의 영향력은 원격실재감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인지도, 심미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심미성 요인이 가장 적은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오픈마켓들의 디자인이 서로 유사한 경향을 띄게 되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감성적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구매의도에 대한 기능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품품질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고객배려, 상품가격, 상품검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면전환속도와 구색다양성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오픈마켓들의 화면전환속도와 상품의 구색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기능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상품품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고객배려로 나타났다. 따라서 “오픈마켓 매장 환경의 기능적 특성의 수준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분석 결과, 기능적 요인의 경우, 구매의도와 지속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품품질과 고객배려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거래에서의 상품과 서비스의 품질에 기대한다는 사실을 역설한다. 추가 연구로 성별에 따라 오픈마켓의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가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감성적 특성과 소비자 구매의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오픈마켓에서의 구매의사에 디자인 등 심미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남성은 구매의사에 있어 심미성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적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의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오픈마켓에서의 구매의도에 상품가치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나타낼 수 있지만, 남성은 구매의도에 있어 상품검색 기능의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오픈마켓에서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매장의 환경적 요인들을 감성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적용하여 오픈마켓의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담배 가격 인상이 성인 남성의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 : 흡연 강도에 따른 이질성을 중심으로

        박민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국민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시행된 2015년 담배 가격 인상 정책이 성인 남성의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였으며, 흡연 강도에 따른 이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책 이전의 흡연 강도를 기준으로 처치집단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담배 가격 상승 이후 하루 평균 흡연량이 한 갑 이상인 무거운 흡연자 집단의 음주량 및 위험 음주가 비흡연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2015년 담배 가격 인상 이후 무거운 흡연자의 월 평균 음주량은 비흡연자에 비해 8.6% 더 감소하였으며, 고위험 음주 확률과 월간 폭음 확률은 비흡연자에 비해 각각 3%p, 4.2%p 더 감소하였다. 현재 음주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추정된 계수의 크기와 유의성은 감소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하위 표본을 구성하여 분석하였을 때에도 일관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가벼운 흡연자와 보통 흡연자의 경우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인구통계학적 집단에 따라 그 방향 또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담배와 주류가 무거운 흡연자 집단에서는 보완 관계를 가지며, 가벼운 흡연자 또는 보통 흡연자 집단에서는 일정한 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담배 소비량에 따라 담배 가격이 상승이 음주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2015 cigarette price increase policy on the drinking behavior of adult males. I us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for the analysis and the treatment group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moking intensity before the policy, to show the heterogeneity by smoking intensity. As a result, I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alcohol consumption and risky drinking caused by the cigarette price increase, in the heavy smoker group. After the cigarette price increase in 2015, the average monthly alcohol consumption of the heavy smokers decreased 8.6%p more than the nonsmokers. The likelihood of high-risk drinking decreased 3%p more than the nonsmokers and the likelihood of monthly binge drinking decreased 4.2%p more than the nonsmokers. Similar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sis with only current drinkers, although the magnitud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decreased. Also, I obtain consistent results from subgroup analysis. There is little significant an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light smoker and average smoker groups. From this, I document that cigarettes and alcohol are complement in the heavy smokers, while there is no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oods in light and average smok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cigarette price on drinking behavior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igarette consumption level before the increase.

      •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의 관계

        박민경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불임클리닉 외래를 방문하는 불임 여성 150명이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7년 3월 26일부터 5월 1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는 불임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김선행 등(1995)이 개발한 도구를 오미나(2001)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고 배우자 지지 측정 도구는 남가실(1987)의 배우자지지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 Duncan의 사후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체 불임 스트레스는 2.12점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 위영역 중 자녀의 의미 영역이 2.94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 배우자 지지 수준은 3.92점으로 배우자의 정서적, 신체적지지 행위 수준 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위 문항 중 ‘나는 배우자를 믿고 의지할 수 있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모두 평균 3점을 넘고 있어 배 우자 지지 수준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전체 스트레스에는 어떤 특성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집착적 사고 영역이 월수입에 따 라, 가족 적응영역이 결혼기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불임관련 특성에 따른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스트레 스가 치료기간, 비용부담, 중절경험, 부담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 수준이 중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 였다. 6. 전체 불임 스트레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우자 지지(R2=.154), 치료비용 부담감(R2=.211)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총 36.5%의 설명력을 갖는 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배우자 지지가 불임 여성의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배우자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tile women's stress and their husbands'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50 infertile women who had visited an infertile clinic as outpati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6 through May 1, 2007.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infertile stress, the researcher used a scale developed by Kim Sun-haeng, et al., (1995)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Oh Mi-na (2001). And in order to measure their husbands' support, the researcher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Husband Support Scale' developed by Nam Ga-sil (1987).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frequencies,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Duncan ex post facto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bjects' overall infertile stress scored a little lower (2.12). The sub-variable of the stress scoring highest (2.94) was 'significance of having a child'. 2. Husbands' support scored 3.92, and particularly,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were higher. The sub-variable which scored highest was 'I trust my wife, relying on her'. Every sub-variable scored more than 3.0 point, which suggests that husbands' overall support was relatively high. 3.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overall demographic variables. Mere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obsession with a baby' were found depending on such variables as family income levels, while family's adaptation to 'no bab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length of marriage life. 4.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infertile women's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ir infertile characteristics, it was disclosed that the difference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length of treatment, financial burden, experience of interruption of pregnancy and those paying for the medical cost. 5. Infertile women's stress was more or les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ir husbands' support. 6. The factors affecting infertile women's stress were husbands' support (R2=.154) and financial burden for medical cost (R2=.211); these two factors' explanatory power was 36.5%. Summing up, since husbands' support was correlated with infertile women's stress, it is deemed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enhance husbands' support for their infertile wives.

      • 한국 국립공원 생태계 자원 보전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

        박민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생태계자원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 가운데서도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생물종의 68% 이상이 서식하는 핵심지역으로 국가적인 보호와 감시, 법적인 보호아래 관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보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외국의 국립공원과 장·단점을 비교하고, 우리나라 공원관리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을 도입한 미국, 우리와 공원관련 법제도가 가장 유사한 일본, 공원 내 사유지 비율이 높은 영국, 해양자원을 경관단위로 보존·관리하고 있는 호주를 비교·분석하였다. 국립공원관리공단, 환경부 등 각종 정부발행 통계자료 및 외국 국립공원 벤치마킹보고서, 각국의 홈페이지 자료들을 토대로 각국의 국립공원 수, 공원면적, 관리인력, 조직체계 등 공원현황, 자원보전을 위한 법·제도, 조사·모니터링 현황, 조사·모니터링 결과의 활용, 통합적 공원관리 분야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국립공원 생태계 자원의 보전 극대화를 위하여 크게 4가지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효과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육상과 해상·해안형 공원의 차별화된 용도지구 설정 및 구체적인 행위 제한 명시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육상과 해상·해안형 공원자원의 특성과 관계없이 공원자연보존지구 등 5개 용도지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일본의 국립공원은 해중공원지구를 포함 크게 특별보호지구(1, 2, 3종)와 보통지구로 나누며 해중공원지구에서의 규제행위는 특별보호지구와 동일하게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호주는 2003년 대산호초해양공원을 과학적 연구지구 등 8개 용도지구로 세분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둘째, 조사·모니터링 측면에서 본 자원관리는 크게 (1) 다양한 조사·모니터링 연구 분야 확충, (2) 유관기관, 지역대학과의 네트워킹을 통한 공동 연구 분야 확충, (3) 모니터링 지침서 개발과 정보 공유·공개 활성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조사결과를 환경정책과 대중의 이해·교육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 미국 공원관리청(NPS)에서 제시한 정보피라미드를 살펴보면 현장조사자와 과학자가 수집한 광범위한 처리 전 데이터를 정책결정자와 공원관리자, 일반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분석과 해석, 집약하는 중간단계를 거친다. 우리나라는 이 중간단계를 현장관리자와 연구자가 병행하고 있지만 이 기능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 넷째, 미국의 통합적인 공원관리를 예로 들었다. 우리나라 공원관리에도 ‘IT·무인센서기술을 이용한 자원유출감시와 자원조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미국 국립공원에서는 보호지역에서의 동·식물 채취, 유조선의 기름유출 위험성, 개발로 인한 해양오염, 국제적 쓰레기 투기 등 각종 위협요인에 대비하기 위하여 무인센서감시체계 구축과 자원조사를 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GPS를 이용한 자연자원의 지도화, 자동우량경보계와 산불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재난대응,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한 자원조사를 하고 있다. 향후 이런 광역적인 모니터링 센서들과 계획적인 시스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 툴, 그리고 종합된 정보를 이용한 더 발전적이고, 효율적인 공원자원 조사와 불법감시체계가 우리나라 공원관리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National park, which is one of the protected areas for conserving ecological resources, is the core area that 68% of domestic species are living in. It also has been managed by national-scale conservation, supervision and legal protection. This thesis Aims for presenting the proper methods for Korean National Park to preserve and manage ecological system efficiently through comparing with overseas national parks. This research is based on cases of four countries; United States which established the national park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Japan which has most similar legislative system to protect national park, United Kingdom which has a high portion of private properties within park region, and Australia which conserve marine resources in the units of scenery. From the government-published statistics data, benchmarking reports, and websites of overseas national parks, those are extracted as follow; present status (e.g. numbers of park, size, custodianship, organization), legislative system, investigation, monitoring, public education and unmanned management between four countries. As a result, there are four methods to maximize conservation of ecological resources for Korea national parks.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discriminative service areas and to limit specific actions in order to preserve and manage effectively. In Korea, there are 5 zoning systems regardless properties of resources within land and marine parks. However in Japan, these are divided into special protected areas(class Ⅰ, Ⅱ, Ⅲ), and normal area including underwater park region. Limitations in the underwater park are strictly managed likewise. Similarly in Australia, The Great Barrier Reef has been divided into 8 zoning systems, since 2003. Second, in the point of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management of resources must be applied through various investigations, monitoring programs, joint research with the network of regional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publishing monitoring guide book, and sharing information properly. Thir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must be used in the decis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public education. For example, US National Park Service adopted the concept of information pyramid. Scientists create information which would be delivered to politicians, park managers and general public. There is an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m. The purpose of this process is to transfer information properly; from wide range scientific data to analyze, explaine and summarize outputs easy to understand. Although field researcher and manager perform this process at the same time, currently in Korea, additional human resources and budgets are recommended to extend this function. Forth,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U.S.A. National Park Servic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by using information and remote sensor technology. They constructed unmanned surveillance system to protect from various threat factors such as extraction animals and plants, sea pollution including leaking oil from tanker, and global-scale waste dumping. Similarly in Korea those are being progressed as follow; natural resource map using by GPS, automatic precipitation warning system, forest fire surveillance system and unmanned investigation system. Nevertheless, effective investig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must be applied for the management the Korea national parks through combining these remote sensors to the large scale system, improving information process tool, and using these synthesized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