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본초학 교재에 수록된 식물 약재 학명의 명명자 연구

        민준홍 東新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식물의 명칭은 방언(dialect), 보통명(common name), 그리고 학명(scientific name)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식물에 대한 명칭을 부여하는 명명의 역사는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식용식물, 약용식물, 기호식물 등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식물들에 대한 명명은 자연의 개척으로 인해 명명해야할 식물 양의 증가로 인해 유사한 식물간의 명확한 구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결과 명명의 보편적 체계인 학명이 만들어졌다. 학명은 屬名, 種名, 그리고 命名者로 이루어진다. 학명을 규정할 경우에는, 보통명과는 달리 명명에 충족되어야 하는 제반 필요사항들이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의 절차에 따라야 한다.2) 학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먼저 특정 식물이 식물 채집가에 의해 발견되고, 이 식물을 압착해 건조하는 식물 표본의 형태로 과학적 기록을 남긴다. 이 과학적 기록을 토대로, 식물을 관찰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계통적 분류를 한 후, 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게 명명을 한다.3) 이것이 곧 명명자의 역할이며, 이 작업이 마무리되면 비로소 식물 목록에 등재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명명자를 파악한다는 것은 곧 해당 식물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동양을 중심으로 수천 년동안 이루어진 약용식물에 대한 사용 및 연구에 대한 기록에서 본초학이 시작되었다. 오늘날 본초학에서 다루는 한약재들은 각각의 학명을 중심으로 한약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본초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초학의 학문적 발달을 위해서는 본초학 속 약용식물의 학명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약용식물의 학명에 대한 조사 연구는《本草學》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屬名에 관한 어원 연구4),《本草學》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種名에 관한 어원 연구5)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아직 命名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屬名, 種名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命名者에 대한 연구를 통해 命名者의 생애를 파악함으로써 학명이 명명되어지던 시대의 역사적 배경을 알고, 약용 식물의 명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살펴보는 것 또한 명명에 담긴 의미나 식물의 효능 파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저자는 한의과대학 교재인 <本草學>6)과 <臨床本草學>7)에 수록되어있는 식물성 한약재 학명의 命名者를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식물성 한약재에 대한 특성 파악과 교육 및 연구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의 개발 및 확률론적 최적설계로의 적용

        민준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finds the optimal design taking input uncertainty in the system into account. Uncertainty assessment that quantifies output uncertainty caused by uncertain inputs is essential to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an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have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n this study, an efficient and accurate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named adaptive dimensional decomposition (ADD), is proposed to evaluate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such as statistical moments of system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a constraint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such as reliability based design optimization (RBDO) and robust design optimization (RDO). Then, a unified framework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ncluding the proposed ADD method is developed and applied to RBDO, RDO and tolerance optimization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ADD method. The ADD method is based on the high dimensional model representation (HDMR) which represents a multivariate function using component functions. The ADD method modifies the second-order cut-HDMR to enhance efficiency without deteriorating accuracy. The ADD method does not include all the second-order effects (also referred to as interaction effects) in the HDMR, but includes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rom the viewpoint of the uncertainty assessment. This notable feature of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sults for the so-called high dimensional, expensive, and black-box problems with lots of interactions between input random variables. In this study, “random effect” (RE) that measures the relative effect of each random variable on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of a performance function is devised, and a RE based combination rule which makes a reduced set of index pairs is proposed to identif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lso, a one-point checking scheme is presented to make sure tha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actually exists in the performance function, and mathematically proven in this paper. Additionally, a variable sampling method and a fixed sampling method are proposed for meta-modeling of the one- and two-dimensional component functions in HDMR, respectively. In the proposed method, once the meta-model based second-order cut-HDMR with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s defined,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are evaluat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using Latin hypercube sampling.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five uncertainty assessment problems including mathematical, engineering and structural problem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mpeting methods including UDR, BDR, FFMM, PCE, FORM and SORM in the literature. The comparison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the UD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s. In this study, a unified framework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s developed. It includes: (a) an uncertainty assessment module using the proposed ADD method; (b) a probabilistic design sensitivity analysis module using the score function (SF) method; and (c) a gradient-based optimization module. The unified framework developed is applied to four RBDO problems, two RDO problems and one tolerance optimization problem, and optimization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a variety of other probabilistic optimization methods. For all seven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problems, the unified framework employing ADD method yields more accurate and/or efficient optimum solutions than those obtained by other probabilistic optimization methods. This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DD method to other competing methods. 확률론적 최적설계는 시스템의 입력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주어진 설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설계안을 도출하는 방법론이다. 그리고 불확실성 평가 기법은 입력의 불확실성에 기인한 출력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따라서 불확실성 평가 기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은 확률론적 최적설계 기법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관심응답에 대한 통계적인 모멘트와 설계 구속조건의 신뢰도를 포함하는 확률론적인 특성치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불확실성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고,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이 신뢰도기반 최적설계 및 강건 최적설계와 같은 확률론적 최적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서,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통합 프레임웍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은 원래의 다변량 함수를 요소 함수들을 이용해 분해하는 고차원 모델 표현법을 이론적 근거로 한다. 제안된 기법은 2차 고차원 모델 표현법에 의해 분해된 모든 1차 효과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모든 2차 효과들 즉, 모든 교호작용들 중에서, 불확실성 평가 관점에서 중요한 일부 교호작용들만을 선별하여 포함시킨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제안된 기법은 해석 비용이 크고, 문제의 차원이 높으며, 블랙박스 형태이고, 확률변수간 교호작용이 많은 문제들에 대해서 특히, 효율적이고 정확한 불확실성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중요한 교호작용 선별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각 확률변수들이 확률론적 특성치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의 평가기준인 랜덤효과를 제안하였고, 이 랜덤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중요한 교호작용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인덱스 조합을 결정할 수 있는 조합규칙을 제안하였다.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된 교호작용이 실제 성능함수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추가적으로, 고차원 모델 표현법을 이용해 분해된 1차와 2차 요소함수들을 효과적으로 근사화하기 위해서 각각 가변 샘플링과 고정 샘플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근사화된 모든 1차 요소함수와 근사화된 일부 중요한 2차 요소함수들을 이용해 원래의 성능함수가 명시적으로 표현되면,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과 같은 추출법을 이용하여 확률론적인 특성치들을 평가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학적인 문제와 공학적인 문제를 포함하는 5개의 문제를 문헌을 통해 선정하였고,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를 역시 같은 문제에 대해서 일변량 차원 감소법, 이변량 차원 감소법, 전조합 모멘트법, PCE, FORM 그리고 SORM과 같은 불확실성 평가 기법을 적용한 문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제안된 기법은 특히, 일변량 차원 감소법보다 정확하고 다른 방법들에 비해 유사한 정확성을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통합 프레임웍은 3가지로 구성된다. 첫째는 제안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을 이용한 불확실성 평가 이고, 둘째는 스코어 함수 기법을 적용한 확률 민감도 해석이며, 셋째는 기존의 민감도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개발된 통합 프레임웍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4개의 신뢰도기반 최적설계 문제, 2개의 강건 최적설계 문제 그리고 1개의 공차 최적설계 문제를 문헌을 통해 선정하고, 통합 프레임웍을 이용해 해결하였다. 또한 문헌에서 제시된 각종 확률론적 최적설계 기법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통합 프레임웍은 모든 문제들에 대해서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해를 얻었으나, 함께 비교된 다른 기법들은 일부 문제에서 구속조건을 위배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제안된 불확실성 평가 기법인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과 이를 이용한 통합 프레임웍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한국산 진달래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민준홍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달래과(Ericaceae, 杜鵑花科)식물은 교목, 관목 착생으로 엽록소가 소실된 균기생성 초본이다. 털은 단순하고 흔히 다세포성 또는 단세포성이며 다지형으로 두상선모, 또는 순형 인모로 별보양은 없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특히 열대의 산악지대, 남아프리카, 북미의 동부, 동아시아 그리고 호주에 흔하다. 흔히 산성토양의 양지에 나는 관목이다. 산앵도속(Vaccinium)의 열매는 식용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1). 진달래과에 관한 연구는 중국 장백산의 진달래과 식물 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2), 중국 장백산 습지대의 진달래과 식물 분포와 생태적 특성3), 수목원 소장표본을 중심으로한 국내 진달래과 목본식물의 분포지와 식별4) 등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의학에서는 진달래과 식물 중 월귤엽(越橘葉, Vitis ldaeae Folium, Vaccinium vitisidaea L.)은 中華本草에서 "味苦, 寒, 小毒. 解毒, 利濕. 主治淋證, 痛風"이라 하였으며5), 생약학에서는 요로방부작용과 이뇨작용으로 요로결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6). 진달래과 식물 중 효능에 관한 연구는 들쭉나무 과실의 성분 및 생리활성 연구7), 진달래꽃으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8), 만병초 잎의 플라보노이드9) 등으로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와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진달래과에 관한 性味나 效能에 관한 한의학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우선은 문헌적으로나마 한국에서 자생되고 있거나 재배되고 있는 진달래과 식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 파악하여 체계화시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논문으로는 한국산 薔薇科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10), 한국산 柳葉菜科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11) 등 다수의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진달래과에 대한 조사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진달래과에 체계적인 분류 및 정리는 본초학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진달래과에 대하여 우선 문헌적으로 조사하여 총목록을 만들고, 이용가능한 약재와 분포현황을 조사한 다음, 약용부위에 따라서 한약명, 학명 및 식물명 등과 더불어 각 약물의 성미, 귀경, 효능 및 주치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독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 방송환경에서 인터넷 채널 서비스 구현

        민준홍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방송의 도입으로 고화질의 방송과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디지털 방송은 새로운 컨텐츠에 목말라 하고 있다. 반면 인테넷은 참여 공유 개방의 웹2.0 페러다임과 더불어 다양한 컨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장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영상 컨텐츠들을 방송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방법을 제안하고 그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상의 영상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웹2.0 환경의 콘텐츠 배급기술인 RSS를 이용한다. 또한 RSS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XML형식의 문서라는 점을 이용하여 PC에 익숙하지 않은 TV시청자들도 리모컨만으로 인터넷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실현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모델이 적용 되었을 때의 효과를 예측, 분석해본다.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levision, various services and high-definition programs can be now conveyed through this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new Killer contents are still demanded. On the other side, internet becomes active with web2.0 paradigm and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diverse contents. Bringing the Web2.0 to TV may represent an attractive opportunity to inject new fuel into the TV world, thus creating a wider and accessible container of digital services for entertainment.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and methods are proposed to offering on a TV the video contents that exist on the internet and about realization for the technology. The model which can be navigated the internet contents with remote control by users who unfamiliar with PC was suggested using RSS is XML documents has hierarchical structure. Our system is based on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 (DVB-MHP) standard. We also developed a client application which permits to browse internet channel contents on a TV set via the remote control.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realized application was tested and the affects were predicted and analyzed when the model was applied

      • 단위전시공간 분석을 위한 시지각 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역사계)를 중심으로

        민준홍 弘益大學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asic functionality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is to mediate between the actual exhibits and the audience. Therefore, the most optimal exhibition space is one which satisfies both the exhibition and the audience. That is from the exhibitions’ perspectives, the both ‘preservation’ and ‘exhibition’ part of the exhibits must be considered. And from the audiences’ perspective, pleasant environments that can communicate an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exhibits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museum exhibition is not about exhibits’ real image but how those restored or copied objects can be conveyed - the facts about the exhibits must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viewers’ perception. Likewise, under the view that the exhibition spa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design of museum space plan in order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museum’s true objective, there had been active studies being carried out from the 90’s about analyzing and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hibition space structur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studies about diverse exhibition space structures of museums built in 21st century are still lacking. Considering 21st century’s reality of cultural competition and the growth of related.facilities in Korea, there are definite needs to carry out in-depth study about the architectural planning to support such changes. So in this study, the aims are to first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theories of exhibition space analysis, and validate that the EE model (exposure index for exhibition components) which reflects the visual content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is more effective in the context of the exhibition space, thereby distinguishing from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Also, because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could not quantify the analysis methods of exhibition space, they could not adequately make good speculation and make convincing explanations. Therefore, this study also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visual perception related to human’s actions in order to suggest the basis that can help to anticipate the actual exhibition space and also by which to make good evaluations. The scope of this study is - by studying the previous studies on museum exhibition space in Korea, review the meanings of human environmental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and space analysis theories and their trends, and also review what methods of analysis are used for each topics of study and fo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pace structure, and what kind of results are obtained correspondingly. And through such comparisons and analysis, think clearly about the actual scope on which the new index can be applied, thereby indentify the future improvements, directions and what areas to supplement. Through the above objectives and scope, the characteristics of EE index that will be newly suggest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on the basis of physical contents (new facilities, number of exhibits), size of exhibits, and locations of entrance and exits. The theory which states that rectangular space has more practical use of space for exhibition and can draw more focused attention than the square space (that which had been shown in many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quantitatively. Also, when the exhibits were categorized from one tothree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it was ver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one exhibit has different utilization characteristics than the space for the 3 exhibit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deduct the line of flow according to the EE index distribution. It was also observe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made based on the conditions that could affect the life of flow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hat the line of flow can change by adding the exhibits, and also that the effect is greater with the increase in size of the exhibits. Also it was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that the line of flow and the viewers’ choice of line of flow can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t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Based on the above, the unit exhibition space which the actual exhibition is taking place was selected and put under analysis. When the exhibition space that is actually undergoing exhibition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viewers’ trace investigation, it was seen that the actual line of flow by which the viewers are flowing through and the exposure index distribution are more or less in synch. It was also verified that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by successive review of the exposure index using the line of flow deduced from the viewer trace investigation - through which to suggest improvement in the current viewing line of flow. It wa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of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future exhibition space research and approach, and it was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was a step where useful thoughts were made through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ies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analysis methods are still quantitative and may have certain shortcomings, it is expected that such EE (exposure index) can be utilized as an excellent tool by which to analyze the exhibition space by adding yet more variables to the index. 박물관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기능은 전시물과 관람자 사이에서 공간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는데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전시공간의 조건은 전시물과 관람자의 양측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전시물의 입장에서 보면 전시물의 '전시'와 '보존'의 양면을 고려해야 하며, 관람자의 입장에서 보면 쾌적하고 이해도를 재고시킬 수 있는 환경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는 실물 지향이 아닌 복원·복제된 사물이 어떠한 방식으로 전시되어야 하는가가 중요하며 전시될 자료 그 자체가 관객에게 마음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박물관 공간계획에 있어 전시공간은 박물관의 목표실현에 가장 중요한 디자인 인자라는 인식하에 국내에서는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연구가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1세기 이후에 건립된 현대의 다양화 된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조를 논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21세기 문화경쟁의 시대적 현실, 국내 관련시설들의 성장 현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그 건립에 수반 되는 건축계획분야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공간분석이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후 전시 공간내에서의 시지각적 속성이 반영된 전시구성요소의 노출지표(EE) 모델이 전시공간내에서는 더욱 효과적임을 검증해 기존의 방법론들과는 차별화를 두려 한다. 또한 기존의 방법론들로는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방법이 정량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충분한 예측력과 설득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따라서 실제로 전시공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평가를 내리기위한 용도로서의 분석이 행해지기위한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정량화된 시각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박물관 전시공간구조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인간의 환경지각과 시환경, 공간분석이론들의 의미해석과 함께 그 경향을 살펴보는 한편, 연구의 주제별로, 공간 구조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분석방법들이 사용되었고, 그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도출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표의 적용가능성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고찰하고, 향후 개선 내지 보완사항과 함께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목적과 범위를 통하여 통하여 새로이 제시하고자 하는 EE 지표의 특성을 전시공간내에서 갖는 물리적 속성(세장비, 전시물의 갯수)과 동선특성(전시물의 크기, 출입구의 위치)를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전시공간의 물리적속성과 EE지표를 분석하여 기존의 정성적인 연구들에서 보여지는 전시공간이 정방형의 공간보다 장방형의 공간이 전시공간으로써 활용도 및 관람 집중도가 높다는 이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전시물의 개수를 하나에서 셋까지 나누어 비교한 결과 전시물이 하나일 경우 전시공간이 갖게 되는 특성과 셋의 경우 갖게 되는 공간의 활용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E지표의 분포에 따라 동선의 추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시공간내에서 동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건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전시물이 추가됨으로써 동선이 변화할 수 있고, 이는 추가되는 전시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영향은 더욱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출입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동선의 변화와 관람객의 선택동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단위전시공간을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실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전시공간을 분석하여 이를 관람객 추적조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제 관람객이 움직이는 동선과 노출지표의 분포가 어느 정도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람객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론되어진 동선을 활용하여 노출지표의 순차적 검토에 의해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현재 관람동선의 개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전시공간의 연구와 접근방법에 있어 유용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고, 이에 따른 방법론적 활용과 특성분석을 통한 고찰을 하는 단계로써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아직은 분석방법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지만, 향후 이 노출지표(EE)가 좀 더 많은 변수들이 추가되어 전시공간을 분석하는데 훌륭한 분석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오픈플랜 뮤지엄의 동선 특성과 계획에 관한 연구

        민준홍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modern museums, compared to traditional museums, the form and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s are actively transforming to reflect the changing needs of the time and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museum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s have also evolved into various new forms. Modern museums concentrate on finding ways for visitors to interact with the articles on display. Consequently, modern museums attempt to reflect visitor circulation, which is explained by the actions and movements of visitors, within the space. This is also in order to reflect the concept of the modern museum in architecture. Thes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hanges in museums likely contribute to the of the exhibition space to achieve the museum’s purpose and intention. In this context, recently, the diverse spatial structures that are organised in museums are constructed as open-plan exhibition spaces. Through the various arrangements of display items and scenarios, an unconstrained style of viewing that corresponds to visitors’ viewing aims is sought. In this process, visitors are supplied with a path which is predicted solely according to the intuitive knowledge of the person who organizes the space. In other words, there are no clear criteria for setting the path along which visitors might circulate. In open-plan exhibition spaces, arranged without considering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visitors, visitor circulation is very likely to fail to deliver the exhibited information, which is the museum’s raison-d’être. The principal function of an exhibition space is to act as an intermediary between exhibited articles and visitor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visitor-centered exhibition plans and structure setting are both crucial. In general, science museums are constructed to allow visitors to 'move' freely among 'arranged' articles in a static space and to offer them a direct experience via continuative visual contact. In the exhibition spaces of science museums, which contain these visual and heuristic visitors are encouraged to gain educational messages from exhibitions more than in other museums. Most of the visitors expect a three-dimensional exhibition which reflects their educational curiosity. Accordingly, the exhibition spaces of science museums commonly display articles which inspire curiosity or stimulate various senses in order to efficiently fulfill visitors’ strong expectations of experienc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The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 spaces and visitors directly influences the circulation and actions of visitors, encouraging a style of viewing that is unique to science museums. Thus, studies on exhibition spaces in science museums use research in visitor behaviour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physical structures used to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to visitors. Simultaneously, they analyze the influence of these structures on visitors’ viewing experience and suggest that the purpose and function of science museums can be clearly demonstrated through a systematic and complementary approach.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purpose of science museums, this study adopts a theoretical approach to museum exhibition spac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planning elements that constitute these spaces. By considering various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regarding such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imarily seeks a research method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open-plan exhibition spaces. Next, concrete and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into visitor behavior is attempted. Acomprehensiveanalysisofthedataobtainedbysuchmeansisconductedtoachievethepurposeofthisstudy,namely,toofferspecificguidance for designing open-plan exhibition spaces and planned direction which can be applied in practice. To meet the aims of the study, th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can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the facilities defined as science museums usually have open-plan exhibition spaces, unlike other general museums. This space is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articles reflecting heuristic and educational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space are unique and managed independently. Thu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viewpoint of visitors who encounter heuristic, educational exhibitions. Accordingly, in studies on visitor circulation in open-plan exhibition spaces, and similarly to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t is crucial to set the range of visitors and spatio-structural components specif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and moreover to establish verifiable analysis indexes based on these factors.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as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es which uses the established indexes as a criterion, it is also deemed significant to compare this correlation to visitor movement in order to maintain a complementary approach. However, this research method is limited to the visitor aspect and a future effort would be needed in order to consider the social role of museums and the opinions of museum experts with regard to the planning of exhibition spaces. This would achieve a mutual balance between the perspectives of visitors and museum experts. Second, the physical information in the exhibition space that reflects the behavior of visitors suggests the available criteria in planning exhibition spa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viewing behavior (research regarding circulation paths) and space syntax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results are as follows.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isitors’ choice in circulation path according to spatial construction in open-plan exhibition spaces In terms of the exploration of visitors (the direction of their movement regardless of whether they view the articles), the overall exhibition space is perceived primarily via visual components. The spatial information used for visitor explor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indexes representing the physical construction; the visual center and global integration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direction setting of the overall space; and the direct choice of the circulation path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partial indexes. Thus, active visitors exploring the exhibition space move according to the local integration and the properties of the exhibited articles. The movement of passive visitors can be explained by global integration and control. On the other hand, visitor observation is interrupted or abandoned most frequently in spaces where the circulation path with a minimum distance can be chosen (namely, spaces with a visual center or a high global integration); the possibility of this increases with the horizontal depth. Moreover, if the circulation path is composed with an exit separate from the entrance, with visitors able to pass through in one direction, the perception of the overall space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viewers' behavior. • The circulation path choice of visit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alyzing visitors’ tendencies towards choosing certain circulation path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the visitors can be divided into active or passive visitors, either when the position of entrance is the same or different. Considering the premise of this study, namely that these viewers’ experience can have an influence on viewer behaviour towards factors in the viewing experience such as their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ir ‘approach to the exhibited articles’, the visitors seem to tend to choose whether to view the exhibition space or not based on their overall perception of it. Thus, it suggest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overall exhibition space and behavior of the visitors. In other words,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viewing experience by organizing and composing exhibition spaces that reflect the construction based on viewers’ behavior. As an example, when the facilities investigated had one passage serving as both entrance and exit, the visitors viewed the articles in various orders and ways. This implies that various choices of circulation path are made possible by the exhibition construction. In contrast, when there is an exit separate to the entrance, the circulation path is set in one way, and the possibility of a limited choice of circulation is higher. Moreover, when the entrance and the exit are the same, the visitors have the information on the path to the exit, and they may show an active viewing speed. When the entrance and the exit are different, the choice on the viewing path towards to the exit can accelerate the viewing speed. This may be a result of quantitatively prov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ircular and linear movement. Finally, when the exhibition space is relatively large, the visitors might view the articles at a distance or by scanning. In such cases, it is necessary to structure the environment so as to present various possible paths for visitors.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analysis indexe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exes which seek to explain the physical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s and visitor behavior, it is clear that the major indexes applied to visitor behavior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visitor is active or passive. In particular, with active visitors, the top-down attention factor is considered and may arguably be influenced by partial indexes (local integration and connectivity). Passive visitors, meanwhile, may be said to be influenced by indexes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s of bottom-up attention (control and global integration). Among such behaviors, visitors’ viewing of and approach to the articles are influenced by the exhibition space or movement between the articles, rather than the perception of the overall space and this can explain repetitive behavior during the viewing. Finally, it is proven first that visitors' movement differs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the overall space, and second that a physical index can explain why information about the path to the exit can affect visitors’ viewing spe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s and viewing behavior, the study undertakes a practical and objective explo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sition of major exhibition arrangements in an exhibition space and viewing behavior, and the following planning guidance is derived. When one passage serves as both entrance and exit, an open view of the overall exhibition space should be provided to the visitors for effective perception of the overall space, in which visitors are able to correlate the information on the path towards to the exit with their subsequent view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exhib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nclude integration or visual centers such as island type layouts of large exhibits to discourage visitors from choosing the path towards to the exit. When there is a separate exit to the entrance or when the horizontal depth of the exhibition space is low, it should be possible to see the exit, and from the entry point to the intermediate space there should be an attractive exhibit which is visually identifiable. Integration and the visual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path zones in order to attract the visitors towards to the center, with clearly identifiable exhibition articles which can provoke visitors’ curiosity and hold their attention. Hence, this mean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nd viewing behavio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viewing and certain aspects of visitors’ chosen paths of circulation. Thus,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viewing experience, providing a visual exhibition environment for efficient circulation path choice can lead to a more effective overall viewing experience. These basic principles can be expected to be a more valid method or planning guidance in science museums compared to general museums.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considering existing research on visitor behavior together with this study, whose premise is that in science museum exhibition spaces which are composed mainly of educational and heuristic exhibition articles, visitor circulation tends to be induced mainly through exhibition articles. According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hree-dimensional articles which compose the science museum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 multilateral approach and effort are needed to provide an appropriate and efficient viewing experience to the visitors. This includes additional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xhibition themes, the proper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mediating the circulation path of the visitors. As above, in this study, significant factors include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open-plan exhibition spaces with regard to visitors;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ructural information and the circulation path choice of visitors; proposing the visitor-centered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s; and, based on this model, introducing guidance for exhibition planning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planning of exhibition spaces. However, as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nning of exhibitions within the overall exhibition space and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e approach to individual articles on display may be weak. Consequently,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futur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behavior and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articles. Moreover, because this study is restricted to science museums in South Korea, there is a limit to the extent to which the results can be generalized. Therefore, it would be advisable to carry out another study with a larger sample size and which involves a comprehensive and multilateral investigation in order to offer effective guidance on the planning of practical open-plan exhibition spaces.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propose more effective and specific guidance and measure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planning of open-plan exhibition spaces, which are prevalent in modern museums. This could be achieved by investigating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science museums, extending the range of target institutions to improve the of the research, and taking a multilateral approach that considers, for example, expert advice and assessments of exhibition environments. 현대 뮤지엄 전시공간의 형태와 구조는 전통적인 박물관들과는 대조적으로 시대적 또는 사회적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며 능동적인 변화과정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전시공간의 구조적 특성 또한 과거 전통적 뮤지엄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해 왔다. 이러한 현대의 뮤지엄들은 관람객과 전시물이 상호 관계하는 방식을 주목하고 있다. 이는 관람객의 행동과 움직임으로 설명되는 동선을 공간에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현대 뮤지엄의 개념을 건축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형태적․구조적 변화는 뮤지엄의 공간형태가, 해당 뮤지엄이 추구하는 목적과 의도에 도달하기 위한 전시공간의 연출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최근 뮤지엄에서 계획되어지는 다양한 공간형태는 오픈플랜 전시공간으로 구성되어지고, 이러한 공간을 다양한 전시물의 배치와 시나리오 구성으로 관람객의 관람목적에 부합하는 자유로운 관람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곧 자유로운 동선의 설정과 구성으로 전시공간구조가 계획되어지게 되고, 관람객의 동선은 계획가의 선험적 지식만으로 예측되어져 관람객에게 제공되어지고 있다. 즉, 관람객의 동선을 유도하고자 할 때, 그것을 설정하는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픈플랜 전시공간의 관람객 동선계획은 전시시나리오의 구성에 따른 관람객의 실제적 경험을 배제한 채, 계획적 의도에 따라 구성되어져, 뮤지엄의 존재 목적인 전시정보의 전달이 완수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따라서 뮤지엄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기능인 전시물과 관람객 사이의 공간적 매개역할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람객 중심의 전시계획과 구조설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언스뮤지엄(Science Museum)에서 관람객의 일반적인 경험은 정적인 전시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시물들을 관람객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직접적으로 체험하게 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관람객의 시각적․체험적 경험이 담기는 사이언스뮤지엄 전시공간의 경우 타 뮤지엄에 비해 전시물이 내포하는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받고자 하는 목적이 강하게 반영 되는 공간으로, 방문한 관람객 대부분은 교육적 호기심이 반영된 입체적인 전시물을 접하게 된다는 기대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이언스뮤지엄의 전시공간은 입체적인 전시물에 대한 관람객의 강한 기대 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호기심을 유발시키거나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는 전시물을 활용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시공간과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은 직접적으로 관람객의 이동과 행동에 영향을 주어 타 뮤지엄과 다른 고유한 관람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이언스뮤지엄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의 경우, 관람객의 행동조사를 통해 전시물이 제공하는 정보를 관람객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특정 전시공간의 물리적 구조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 같은 물리적 구조가 관람객의 관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는 체계적이고도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이루질 때, 그 목적과 당위성이 진정으로 발휘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사이언스뮤지엄에 대한 배경인식과 당위성을 바탕으로, 우선 뮤지엄 전시공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계획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및 연구방법을 고찰하여, 오픈플랜 전시공간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연구방법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관람객의 행동을 실제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조사․분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리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오픈플랜 전시공간계획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계획적 방향과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연구의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고자 진행된 조사․분석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통상적으로 사이언스뮤지엄으로 정의되는 시설은 일반적인 타 뮤지엄에비해 상대적으로 오픈플랜 전시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체험적․교육적인 요소가 반영된 입체적인 전시물로 구성되어, 전시공간의 성격과 기능이 차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적․교육적 전시를 제공받는 관람객의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함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픈플랜 전시공간의 동선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활용된 바와 같이 다양한 관점과 인식을 바탕으로 관람객과 공간구조요소에 대한 범위를 구체적이고도 입체적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해 검증가능한 분석지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정된 분석지표를 기준으로하는 지표간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관람객의 움직임과 비교 분석하여 상호보완적인 접근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방법은 관람객의 입장에서만 고려될 것이 아니라, 뮤지엄의 사회적인 역할과 더불어 뮤지엄 전문가들의 견해와 함께 고려되어 전시공간의 계획이 관람객과 전문가의 입장에서 상호 균형을 이루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관람객의 행동이 반영된 전시공간의 물리적 정보는 전시공간계획에 있어서 활용가능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관람객을 대상으로 관람행동(관람동선추적조사)과 전시공간구조(Space Syntax)를 상호 비교․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 오픈플랜 전시공간에서 공간구조에 따른 관람객 동선선택 요인 분석결과 관람객은 전시공간의 탐색(관람의 여부, 동선의 방향선택)에 있어 우선적으로 시각적 요인을 활용하여 전반적인 전시공간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탐색에 활용되는 공간의 정보는 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지표에의해 설명될 수 있으며, 시각적 중심과 전체통합도는 전체공간에 대한 방향설정, 직접적인 동선선택은 부분적인 지표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시공간을 탐색하는 적극적 관람객은 부분통합도와 전시물의 속성에 의해 이동하며. 소극적 관람객은 전체통합도와 통제성으로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반면, 관람포기와 같은 경우는, 전시공간의 최단거리 동선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시각적 중심이거나 전체통합도가 높은 영역)에서 일어나게 되며, 전시공간의 깊이가 깊을수록 이러한 관람포기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입구와 출구가 다르게 배치되어 통과형 동선을 구성하는 경우, 전체 공간에대한 인지가 관람객의 행동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 출입구의 위치에 따른 관람객의 동선선택 출입구의 위치에 따른 관람객의 동선선택에 관련한 경향을 파악한 결과, 출입구가 같거나 다를 경우 관람객은 적극적 또는 소극적인 관람객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 같은 실제 관람객의 관람 경향은「전시공간 인지」와「전시물로의 접근」과 같은 관람경험 요소에 대한 관람객의 행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는 연구의 전제를 감안할 때, 관람객 스스로 전시공간의 전반적인 인지를 토대로 전시공간에 대한 관람여부를 선택하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즉, 전반적인 전시공간의 인지와 관람객의 행동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결과로 관람객의 행동을 기반으로 한 구조를 반영한 전시공간 연출과 구성을 통해 관람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함을 설명이 가능하다. 일례로, 조사대상관의 전시공간의 출입구가 같은 경우에 관람객은 다양한 방식과 순서로 관람을 진행하고 있어, 전시구조가 다양한 동선의 선택을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출입구가 다를 경우, 한 방향으로의 관람동선이 형성되어 동선의 선택이 자유롭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설명이 가능하다. 또한, 출입구가 같을 경우 관람객이 출구로의 동선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비교적 적극적 관람의 관람속도를 보일 수 있고, 출입구가 다를 경우 관람객은 출구로의 방향선택이 작용하여 관람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는 원형동선과 선형동선의 기본적인 특성을 정량적으로 증명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시공간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을 경우에, 관람객은 원거리관람 또는 훑어보기식 관람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관람객이 동선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주요 분석지표간 상관분석 결과 한편 전시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관람객 행동을 설명하고자하는 주요 분석지표간 상관분석결과, 관람에 적용되는 주요 분석지표들이 적극적 또는 소극적 관람객의 행동에 따라 활용이 다르게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즉, 적극적 관람객은 관람 중 하향주의 성격의 인지가 고려되어 부분적인 지표들(부분통합도와 연결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할 수 있고, 반대로 소극적 관람객의 상향주의 성격의 전체공간에 대한 지표들(통제성, 전체통합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람행동 중 관람객의 전시물로의 접근과 관람은 전체공간의 인지내용보다 전시영역 또는 전시물간의 이동에 우선하여 움직이게 되고, 이는 관람 중 끊임없이 반복되게 되는 것을 설명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관람객의 인지를 토대로 관람객은 움직임을 달리하여, 출구에 대한 정보수집을 통해 관람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물리적 지표로써 설명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이 같은 전시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관람행동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전시공간의 주요 전시 구성에 대한 전시배치와 관람행동 간 상관관계를 실제적이고도 객관적으로 규명하여 다음과 같이 유효한 전시공간 계획지침을 도출하였다. 출입구가 같을 경우 관람객에게 시각적 개방을 통해 전체 전시공간에 대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추후 진행될 관람과 출구로의 정보를 상호 비교하며 관람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전시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관람후반부에 발생가능한 출구로의 동선선택을 지양하도록 하기 위해서 후반부에 대형전시물의 아일랜드전시와 같은 배치를 통해 통합도 또는 시각적 중심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출입구가 다른 경우는 입구 또는 공간의 깊이가 낮은 곳에서 출구에 대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야하며, 중주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지점에서 유인력이 큰 전시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통합도와 시각적 중심은 통로공간에서 높게 구성하여 공간의 중심으로의 이동을 유도하여야하며, 이때 전시 유지력이 높은 전시물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하여 관람객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곧 관람객의 전시공간에 대한 시각적 인지와 관람행동 간에는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관람객의 관람과 동선선택을 일정부분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선의 방향선택에 보다 효율적일 수 있는 시지각적 전시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람 경험의 질적 향상을 제고하는 것은 관람객의 전반적인 관람경험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같은 기본원칙은 교육적 체험전시물 위주로 구성된 사이언스뮤지엄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의 동선이 대부분 전시물을 통해 유도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본 연구의 전제와 기존의 관람객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을 때, 일반적인 뮤지엄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효한 계획적 지침 및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사이언스 뮤지엄을 구성하는 입체적인 전시물과 전시공간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전시공간의 주제구성과 편의시설 등의 적절한 배치 등의 추가적 조치를 통해, 관람객의 동선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관람객의 관람경험을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접근과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관람객 관점에서 오픈플랜 전시공간의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관람객의 동선선택과 상관성을 분석하여, 관람객 중심의 전시공간구성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전시공간계획에 유효하게 적용이 가능한 전시계획적 지침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오픈플랜 전시공간을 분석함에 있어 전체공간의 전시물의 배치와 출입구의 위치에 대한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져, 개별 전시물에 대한 접근이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전시물의 속성에 따른 관람객행동은 후속 연구를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의 국립 사이언스 뮤지엄만을 조사대상관으로 설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조사대상관의 범위를 늘려 이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다각적인 검증을 통해 보다 세부적이고 실제 오픈플랜 전시공간계획에 유효한 동선계획 지침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이언스뮤지엄의 조사와 더불어 분석대상 전시규모의 범위를 확대하여, 계획모형의 설명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문가의 자문, 전시환경평가와 같은 다각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을 확보하여, 현대적 뮤지엄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는 오픈플랜 전시공간의 계획에 반영이 가능한 보다 유효하고 구체적인 지침과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 Effect of potassium iodide on in vitro and in vivo wound healing models

        민준홍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Potassium iodide has been used for various skin problems such as erythema nodosum, chronic vasculitis and deep fungal infections.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of potassium iodide action for those diseases were unclear. In a recent study, we found the effect of potassium iodide on wound healing in vivo using laser-induced wound and excision wound murine model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imulatory and protective effect of potassium iodide in human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the wound healing effect of potassium iodide in murine model. METHODS: We studied the effect of potassium iodide (10, 100, and 1,000 μM) o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apoptosis using a human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cell lines. Animal murine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tassium iodide on the excision wound. RESULTS: Potassium iodide showed stimulating effects 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keratinocytes. Also, potassium iodide reduced apoptotic cell death and increased cell survival in hydrogen peroxide tre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keratinocytes. Furthermore, the topical application of potassium iodide accelerates the healing of epidermal and dermal wounds in murine model. CONCLUSION: In our results, potassium iodide showed cell stimulation and protection effects, which induced fast wound recove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tassium iodide is a promising treatment for skin wound.

      • 수집과 풍자를 통한 주변관찰과 그의 비판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민준홍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나는 매일 반복되는 삶 속에 숨어있는 사실들에 흥미를 느낀다. 현재는 아무 일도 없는 듯이 흘러가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사건과 현상을 만들어낸 원인이 존재한다.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의식적으로 일상을 관찰하고 그 과정에서 의문점이 생기면 그것의 발생연유와 진행과정을 유추하고는 한다.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알게 되는 불합리한 상황들은 그에 대한 입장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개인적 사유의 결과물을 다른 사람과 공유함으로써 세상에 대한 나의 견해를 알리고 싶게 만든다. 나의 작품들은 일관되지 않은 형식을 띠고 있는데 소재에 대한 관심이 생겼을 당시, 그것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방식을 이용하며 만들어진 자연스러운 결과다. 살아오며 접해왔던 여러 예술적 표현에 대한 흥미가 지속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왔고, 현대미술의 다양한 양상과 전방위적 시도가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나는 사회의 문제를 다룬다. 그중에서도 나와 직접 연결된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과 공간 즉, ‘주변’에 주목한다. 나에게 주변은 획일적인 기준을 강요하고, 사람들의 정서에 문제를 발생시키며, 대중매체가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현재의 실제 모습이다. 전공분야에서 목격하는 미술계의 일부 사례 또한 이러한 모습에 해당한다. 이들을 소재로 이용해 후기 자본주의 체제 하의 현대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나 나름의 비판을 가하고자 한다. 주변에서 발견되는 소재를 이용해 작업한 작품들 중, <淑海主乙>에서는 한자 가훈 형식을 빌려와 스스로 세운 규칙을 지키려 애쓰는 나의 모습을 희화화함으로써 같은 또래의 젊은 세대들이 느끼는 삶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하고자 했다. <MONOLOGUE>는 가족구성원 중 형에 대한 감정을 영상으로 풀어냄으로써 가족 내에서의 불화와 소통의 부재를 이야기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미술관에서의 작품 감상행위에 빗대어 현재의 미술작품을 각기 다르게 이해하고 규정하는 대중과 미술제도의 괴리 상황을 드러낸 음향 설치 작품 <오늘날의 미술>,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특성을 이용해 대중매체에서 그려지는 미술가에 대한 관념에 의구심을 표현한 <THE DOCUMENTARY>, 미술작업이라는 행위에 대해 본인이 경험한 인식변화와 사회 문제점에 대한 시각을 작품으로 나타내고자 한 <작업조건>은 현재의 미술 현상에 대한 개인적 고찰과 이에 대한 나의 인상을 표현한 작품들이다. 주관적으로 세운 기준에 의해 대상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나의 입장을 드러내는 작업 방식은, 관련 자료의 충분한 축적을 이용해 나에게 의미 있는 부분을 가려내어 주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증거로 제시하고자 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작품을 보는 이들은 내가 수집하고 가공한 대상들을 관찰함으로써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내용의 묘사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작품에서 발견되는 ‘풍자’는 현실 속 부정적 측면을 폭로하기 위해 웃음을 섞어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작품을 감상하는 이들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고안된 표현방식이다. 수집과 풍자를 거친 조형적 결과물을 내놓음으로써 현실에 대한 견해를 드러내는 것이 내 작품의 주된 성격이다. 이를 통해 내가 느끼고 있는 세상에 대한 비판의식과 개선 의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