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원시 3개 통합 지역 내 단독주택지 밀도분석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도영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도시전체의 도시밀도 관리 측면에서 창원시가 통합되면서 일부 창원, 마산, 진해 지역 단독주택지를 입지나 주거환경 등에 따라 구분한 후 도시밀도를 고려한 개선방안들을 고려하여 유형별로 제시하고, 창원시 행정구역중 창원 반지동, 마산 산호동, 진해 이동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단독주택지를 도시밀도 및 개발밀도 측면에서 단독주택지 개발 및 주거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택지개발에 의해 조성된 창원시의 특성상 현재의 단독주택필지의 크기와 형태, 단독주택지의 도시기반시설, 주택의 연령 등은 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정이다. 마산지역은 실제 조사 결과 많이 열악한 부분이 많거나 재개발 및 재건축이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었다. 진해 지역 또한 마산과 유사한 경우가 많았지만, 대체적으로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들 단독주택지는 아파트 위주의 가격 폭등과 격자형 필지구획에 의한 단독주택지로서의 쾌적성 결여, 다가구화로 인한 과밀, 차량증가로 인한 소음과 위험 증가, 근린생활시설 같은 반주거형 시설들이 침투하고 있어 단독주택지 주거환경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이러한 단독주택지의 현황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허용하기보다는 단독주택지의 주차나 통행문제, 소음문제 등 주거환경 개선에 치중화되어, 법령의 범위 내에서 지역주민 생활관, 소공원 등의 복지 및 편익시설의 확대를 계획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장기적 방향으로는 기본적으로 조사대상 단독주택의 유형분석에서도 나타나듯이 창원시의 필지나 다가구, 원룸화로 인한 주거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재개발, 재건축 여건 형성 시 지역에 따라 세부적인 도시관리계획에 의거한 허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는 창원시의 기존 도시계획 틀을 견지하고, 아울러 당면하고 있는 단독주택지의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의 모색을 위해 꼭 필요한 연구이기 때문에 추후 밀도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에서 성공한 한국영화의 흥행요인 분석 : 리얼리즘 요소를 중심으로

        도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Korean films have been widely praised in China, and they have not only been well received by Chinese audiences, but also won praises from many Chinese film critics. The Korean film's reflection on history, its concern for reality, and its criticism of society have made Korean films not only achieved huge success both at the box office and in public appraisal in Korea, but also aroused widespread repercussions among Chinese audiences. Chinese audiences said that Korean films are are closer to real life, and Korean films have played an alternative role in compensating Chinese audiences. The success of Korean films in China can be found in terms of realism to find its success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Korean films in China and find out the reasons for success based on realism. To this end, we must first understand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alism and considers how film directors who advocate realism approach reality in the film and how to implement realism in fiction stories. Then, through the films that have been widely praised in China, such as “Ode to my father", "The Attorney" and "HOPE", they consider the features of realism and analyzed the reasons for success based on realism. Therefor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with history as a content, history as a common experience of the audience can easily bring the audience a real feeling. South Korea and China have many similarities in the history of modern times. Therefore, many Korean films with modern history can also bring a sense of common to the Chinese audience. Second, the heroization of the ordinary citizens, Korean movies are often close to reality through the daily display of ordinary people's life, through the personalization of writing to reproduce historical reality. And in order to cater to the public's expectations of genre films, Korean films have made a hero of a small social character. The hero mentioned here are different from the hero in Hollywood film, the hero in korean film is a hero created by history and society. Third, the combination of reality and genreic narrative. A successful film should be both artistic and commercial at the same time. Korean films are between record and fiction, represented as popular genres, recording the truth between records and life and social issues. The success of Korean films in China can not only bring some enlightenment to the Chinese film facing difficulties, but also help the Korean film to open the Chinese market with more enlighte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As a popular culture, the film is inevitably important to cater to the masses, but the film as an art should be free and individual. Compared with blind reproduction, it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movies to show the true realism attitude to the audience through various factors.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영화는 중국 관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고, 중국의 영화평론가들에게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한국영화의 역사에 대한 반성, 현실에 대한 주목 그리고 사회에 대한 비판은 본토에서만 흥행의 성과와 거대한 사회적 명성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관객중에서도 광범위한 반향을 일으켰다. 중국 관객들은 중국영화보다 한국영화가 생활과 더 가깝게 느껴진다며 중국관객에게 한국영화는 대체적인 보상 역할을 했다. 한국영화가 중국에서 흥행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리얼리즘의 성격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중국에서 성공한 한국영화가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분석하고 흥행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리얼리즘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현실에 접근하고자 하는 리얼리스트들의 시도를 살펴보았으며, 허구된 이야기에서 리얼리즘이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인정받은 한국영화 <국제시장>, <변호인>, <소원>을 통해 리얼리즘 특징을 살펴보고 리얼리즘에 기반한 흥행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역사를 소재로 하는 콘텐츠이다. 이것은 관객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경험을 기초로 하여 리얼리티를 쉽게 드러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의 현대사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가 관객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두 번째는 소시만의 영웅화이다. 소시민은 실제 삶의 전형적인 인물로서, 그들의 평범한 일상을 통해 삶의 진실을 보여주며, 개인적인 서사로 역사를 재현한다. 동시에 한국영화는 대중들이 장르영화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성이 있는 작은 인물을 영웅으로 부각하였다. 여기서 말한 '영웅'은 할리우드 영화 속 자유롭고 전능한 영웅과 달리, 한국영화 속의 영웅은 역사와 사회가 만들어낸 영웅이다. 세 번째는 현실과 장르적 서사의 결합이다. 성공한 영화는 예술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지닌다. 한국영화는 기록과 허구 사이를 오가며 현실과 삶의 진실을 기록하고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대중성 있는 장르로 표현하고 있다. 한국영화가 중국에서 성공한 것은 곤경에 직면한 중국영화에게 발전방향에서의 어떤 계시를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도 한국영화가 중국시장을 개척하는데 있어서 더욱 많은 계시를 얻을 수 있다. 영화는 대중문화로서 물론 대중의 기호에 맞추는게 중요하다. 그러나 영화는 예술로서 개성과 자유,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흥행공식을 답습한 거보다 리얼리즘 요소를 활용하면서 현실을 드러내기 위한 리얼리즘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은 한국영화가 중국에서 인정받는 이유이다.

      •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따른 중국 청소년의 문화 정체성 변화 : 재한 중국 유학생의 슈퍼주니어 팬덤 분석을 중심으로

        도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대중문화를 즐기고 나아가 한국유학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선택을 통해 한국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중국인 유학생 숫자가 많아지고 있다. 한류가 그들에게 단순히 하나의 문화 현상이 아니라 자신의 인생 발전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려준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 그 가운데서도 슈퍼주니어 팬덤이라는 특정 수용자 집단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근접성과 초국가적인 성격, 그리고 팬덤 문화가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 이주팬덤(팬덤을 이유로 한국유학을 경험하는 중국인 이주 유학생)이 실제로 한국 대중문화를 접하는 방법이 무엇이고 그들이 한국 대중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그들의 한국대중문화 수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한류가 그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며, 한국 대중문화가 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문화적 근접성이라는 맥락에서 다른 문화와 차별화되어 중국 청소년에게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국만의 문화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슈퍼주니어로 대표되는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의 현대화 과정 속에서 이주를 경험한 중국인 이주팬덤의 문화적 정체성의 재구성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질적인 분석 방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이주팬덤에게 심층 인터뷰와 온라인 인터뷰 두 가지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인 이주팬덤이 그들의 모국인 중국과 이주국인 한국에서 경험하는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정과 인식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다. 이 과정을 통해서 지역적 차이에 따른 수용 과정과 인식의 차이를 논의한다. 둘째, 기존의 문화적 근접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유교문화의 공유라는 한계를 극복하여 중국인 이주팬덤이 한국 대중문화를 동경하며 모방하는 ‘욕망의 공시성’의 구체적 사례를 살펴본다. 셋째, 한류가 중국인 이주팬덤의 문화적 정체성 재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그들이 이주국인 한국사회에서 팬 활동이나 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구체적인 감정들과 자신의 존재감, 정체성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인 이주팬덤의 문화적 정체성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이주팬덤이 경험하는 한국 대중문화 수용 형태는 중국보다 한국으로 이주한 후에 훨씬 능동적이고 접촉하는 범위도 많아진다. 중국에서 한국에 대한 맹목적인 환상을 가지고 있었다면 한국에 온 후에는 한국에 대한 맹목적인 환상에서 탈피하여 현실적인 인식을 하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수용과정이 달라지면서 한국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게 되었고 이들은 이러한 자신들의 변화를 한국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과거의 연구들이 한류의 주요원인으로 한국과 중국이 공유하는 유교문화의 뿌리라는 좁은 의미의 문화적 근접성이론을 제시하는데 그친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중국인 이주팬덤이 한국대중문화를 선호하는 이유가 한국의 대중문화가 지닌 화려하면서도 친숙한 이미지인 것으로 드러나 자신이 위치한 지리적 공간에 상관없이 유사한 것을 욕망하고 소비하기 원하는 이른바 ‘욕망의 공시성’이 이들의 팬덤을 설명하는 중요한 배경으로 지목되었다. 중국인 이주팬덤은 슈퍼주니어라는 하나의 그룹을 넘어 이들이 입는 옷, 스타일, 사는 공간, 이들이 각종 예능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세련되고 유쾌한 대화와 연애 에피소드 등 이들이 소비하는 자본주의의 화려한 이미지를 함께 욕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시간과 돈의 투자를 아끼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와 동시에 같은 자본주의의 화려함이라도 동양적인 도덕적 규범에 의해 자기검열을 해야 하는 서구의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며 가족지향적인 동양, 즉 한국의 이미지를 더욱 친숙하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들은 자신들의 편의에 따라 동양적 가치의 친근함과 서구적 세련됨을 오가며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비하고 있으며 협의와 광의의 문화적 근접성이 타협과 경합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통해 한국으로의 이주를 경험하는 중국인 이주팬덤은 중국의 주류대중문화와 서구문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타적이고 저항적인 태도를 보이며 이러한 이들의 구별짓기가 중국 주류사회에서 하위문화의 수용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은 중국과 크고 작은 정치, 문화적 갈등관계인 한국사회로의 이주경험을 통해 오히려 자신의 국적, 즉 중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하게 하는 결과를 보인다. 이는 이들이 팬덤 활동 외에 학업과 일등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편견,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남성중심의 가부장문화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들은 한국의 대중문화 수용을 통해 동시대의 20대가 욕망하는 소비의 화려함을 공유하지만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중국인으로 마주하는 크고 작은 차별을 통해 중국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을 확인하는 이중적 경험을 하는 것이다.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ctively accept Korean pop culture by not only enjoying Korean pop culture but also choosing to study in Korea. This means that Korean wave is not just a cultural phenomenon to them, but that it greatly affects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cultural proximity and transnational character of Korean wave and how fandom culture affects their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by looking at the fandom experiences of The Super Junior’s fans who a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following are detailed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the research is meant to find out how Chinese youth emigration fandom meet Korean pop culture, how they recognize Korean pop culture, and the social factors that affect how they accept Korean pop culture. Second, the study tries to the factors that entertain them, what Korean pop culture means to them, and the Korean culture’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hinese youth greater than other cultures do. Third, the 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how Korean pop culture represented as the Super Junior impacts the re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of Chinese emigration fandom who experienced emigration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of China using qualitative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ose questions, during the study, Chines emigration fandom were asked to have in-depth interview and online interview, and the following three ways were done. First, the study looks at how they differently recognize and accept Korean pop culture in their native country, China, and in their emigration country, Korea. During this process, how they accept and recognize the culture is different for different regions. Second, outside of cultural proximity theory in the past that shares the Confucian culture, the study takes a look at certain examples of synchronism of desire that Chinese emigration fandom admire and imitate Korean pop culture. Third, in order to see how Korean wave affects the reformation of Chinese emigration fandom, the research finds out how Chinese emigration fandom feel and develop their sense of identity. To sum up, the research tries to shed a light on how Korean wave affects identity of Chinese emigration fandom,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after Chinese emigration fandom move into Korea from China, they experience Korean pop culture more actively and broadly. While they have blind admiration for Korea, they gain the realistic view of Korea after the emigration to Korea. As a result, the change in how they accept Korean pop culture changed how they perceive Korea. Also, they said that these changes positively helped them to understand Korea better. Second, the past researches only pointed the Confucian culture that Korea and China share based on cultural proximity theory. On contrary,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Chinese emigration fandom love Korean pop culture mainly because it is cool and familiar. As a result, the research saw the synchronism of desire that people want to desire and consume similar things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living for the main cause of fandom. Chinese emigration fandom desire cool image of consumerism and capitalism represented by every thing about the Super Junior, such as their clothing, style, where they live, their humor, and their romance shown in TV, and they want to imitate those by willingly spending their time and money. Also, it was shown that Chinese emigration fandom feel Korean image that is more conservative and family-oriented than Western culture and that prefer moral values and self-censorship more familiar although they love capitalism. In other words, they consume Korean pop culture because they love the familiarity of Eastern values and refined image of Western culture. It can be understood that negotiated and broad meaning of cultural proximity repeats negotiation and competition. Finally, it seems like that Chine emigration fandom who actively accept Korean pop culture and move into Korea shows unfriendly and repulsive attitude toward Chinese pop culture and Western culture. This distinguishing attitude seems to contribute to that they form their identity as receivers of sub-culture. In addition, their emigration to Korea which sometimes has political and cultural conflicts with China make them have stronger self-identity as Chinese. It seems to be that not only fandom activities but als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y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fe and men-centered patriarchal culture contribute to that. To sum up, while they accept Korean pop culture, they share the experience of consuming the cool things that the 20s desire and they realize their national identity as Chinese again due to the discrimination they experience in Korean society.

      •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경찰인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도영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청소년의 경찰에 대한 인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 중·고등학교(특수학교 제외) 중 동구 소재 6개 중·고등학교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5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문제행동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문제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경우 규범적, 법률적 문제행동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문제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문제행동의 경우 규범적 문제행동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법률적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접촉횟수에 따른 문제행동의 경우 규범적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다소 차이가 있었고 법률적 문제행동 또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통제, 경찰인식,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와 경찰인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성이 있고, 자기통제와 문제행동, 경찰인식과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의 경향이 낮고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문제행동이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통제와 경찰인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통제와 경찰인식이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행동의 하위변인인 규범적 문제행동과 법률적 문제행동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훈육, 학교에서의 자기통제 프로그램 실시 의무화, 경찰기관의 다양한 청소년 참여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이 문제행동에 대해 인식하고 문제행동에 대한 욕구와 충동을 억제함으로써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Control and recognition for police on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middle, high-school students(excepted a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of Daegu-East area, used a total of 352 questionnaire as analysis data. Analysis methods are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he test of reliability,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groups among for problem behavior i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blem behavior was th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grade. In case of problem behavior th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prescriptive and legal problem behavior which boy students were problem behavior doing more than girl students. In case of problem behavior the according to the grade, prescriptive problem behavior which middle-school students were problem behavior doing more than high-school students, legal problem behavior which a insignificant difference. Prescriptive problem behavior and legal problem behavior weren’t significant in police contact number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Second, searching for the relation of Self-Control, police recognition, problem behavior, it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Self-control was positive correlated to police recognition. In contrast, problem behavior was negative correlated to self-control, police 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self- control showed the lower problem behavior had.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police activity showed the lower problem behavior had. Third, searching for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police recognition on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control and police recognition had effect on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that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ach subordinate factor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to prevent adolescents from problem behavior we have to make an effort in various ways. Adolescents will be healthy adult by controlling of the need and impulse through the discipline in the home, self control-program of obligation, and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m at police agency.

      • Quality by Design(QbD) :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of Tamsulosin Hydrochloride by Fluid-Bed Coating

        도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탐스로신 염산염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유동층 코팅 기술과 QbD 원리를 적용시켜 최적의 tamsulosin hydrochloride sustained-release pellets (TSP) 제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사전 지식과 예비 위험 분석을 기반으로 품질 특성 (QA)을 설정하였으며, 주요 품질 특성 (CQAs)는 위해 분석을 통해 정의되었다. Failure Mode effect critical analysis (FMEA)의 분석 결과로 위험도가 큰 변수들이 결정되었다. 그 결과, 방출 2 시간, 2.5 시간, 3 시간, 6 시간의 변수가 탐스로신 염산염 서방화 제형의 주요 품질 특성으로 정해졌다. 또한, 주요 물질 특성 (Ethylcellulose, Eudragit S100, Bead size)과 주요 공정 특성 (Atomizing air pressure)으로 총 4가지 주요 변수가 정해졌다. 반응 표면 분석법을 통한 박스-벤켄법을 사용하여 주요 변수들을 최적화하였고, 설계 공간을 확정하였다. 그 결과, CQA에 대한 최적 모델은 각각 R2이 80 이상, lack of fit도 p > 0.05으로 적합하였다. 최적화된 모델을 통해 예측된 다항식과 설계 공간으로 밸리데이션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제 값과 예측 값 사이에 90% 이상의 정확도를 얻었으며 매우 좋은 상관 관계가 확립되었다. 설계 공간 내에서 선택된 조건에 의해 제조된 탐스로신 염산염 서방화 제형은 시판 제제인 Harunal®-D의 방출 프로파일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탐스로신 염산염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다른 저용량 약물에도 QbD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material and process of tamsulosin hydrochloride sustained-release pellets (TSP) to control release and decrease side effects by applying QbD principles and fluid-bed coating. Quality attributes (QAs) were set based on prior knowledge and by preliminary risk analysis, and critical quality attributes (CQAs) were selected by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based on preliminary experiment. Summary of these results, release at 2.0 hours, 2.5 hours, 3.0 hours and 6.0 hours were chosen as CQAs of TSP. The resultant critical material attributes (Ethylcellulose, Eudragit S100, Bead size) and process parameter (Atomizing air pressure) were selected. Box-behnken design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performed to optimize key variables and design space was determined. As a result, the optimal model on CQAs respectively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fit (R2>80) and has no significant lack of fit (p > 0.05). The prediction equations and design spaces were established from the selected optimal models, it was confirmed by validation that the very good correlation with accuracy over 90% was obtained between the actual and predicted values. The optimal models exhibited similarly release profiles with Harunal®-D tablets. In conclusion, the methodologies based on QbD principles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other low dose drugs with similar properties to tamsulosin hydrochloride.

      • Dimension calculations of GM-Fractals : GM-FRACTAL의 HAUSDORFF 次元의 計算

        도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15

        自然에 있어서 아주 복잡한 形態를 이루고 있는 集合을 表現하고 이 集合의 數學적인 構造를 硏究하는 프랙탈 幾何學은 특히 混沌 理論을 說明할수 있는 數學적인 言語로써 퍼지理論 등과 더불어 20世紀 最尖端 學文分野로써 大頭 되었다. 프랙탈 集合을 表現하는 方法으로는 Iterated Function System, Directed graph construction 등이 있다. 이런 表現方法과 컴퓨터 技術의 結合으로 그래픽이 可能하게 되었고 이런 그래픽의 도움으로 物理, 化學, 生物, 醫學, 經濟 등 거의 모든 分野에 걸쳐 획기적인 發展을 가져오게 했다. 그러나, 旣存의 프랙탈 集合을 表現하는 方法이 여러가지 있지만 아직까지 表現되지 못하는 프랙탈 集合이 매우 많다. 本 論文에서는 旣存의 方法으로 表現되지 않는 프랙탈 集合을 構成하는 方法을 紹介하였고 그 方法에 의해서 만들어진 프랙탈을 GM-fractal이라고 부른다. 프랙탈 集合의 數學적인 構造를 硏究하는데 Hausdorff 次元의 計算이 아주 중요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다. Felix Hausdorff가 Hausdorff 次元을 定義한 지 거의 1世紀가 되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Hausdorff 次元의 計算이 正確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本 論文에서는 GM-Fractal의 Hausdorff 次元의 上限값과 下限값을 計算하였다. 이 結果를 利用하여 Iterated Function System으로 構成된 Fractal 集合의 Hausdorff 次元을 計算 하였다. 이것은 J. E. Hutchinson의 結果를 再 證明 한 것이다. 이 외에도 特別한 GM-Fractal의 Hausdorff 次元을 計算 하였다.

      • 개발원조에 있어서 NGO의 역할과 한국 개발 NGO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도영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often criticized the way in whic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s provided to developing countries by advanced countries. The amount of ODA offered for last 50 years was hunge and that brought a remarkable success itself. Hans Morgenthau,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 said “ODA is the renovation introduced to the diplomatic polic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t had never been the case in the past years that different countries provide the physical aid to encourage another countries’development in continuous and normalized ways. But yet the fact is that development assistance is a constant controversial matter over its purpose, motive, dimension and effect. That’s why both of them, its donors and beneficiaries didn’t see the satisfactory outcome resulting from development assistance. In a country which is rather categorized as a beneficiary country, an increasing number of population are still exposed to recession, absolute poverty and disease despite of long-term history of aid. It is also a known fact that the negative aspect development aid addiction and aid fatigue has been on the rise. On top of that, it seems to appear that critical issues on the aid program has been rising: failure cases, environmental disruptions, corruptions and failed government assistances. In this development aid crisis era, it is necessary to be critical and reorganize international aid system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regime. At the same time, the rise of new international relation agents, INGOs or NGOs, help concretize international development’s standard and connect n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a, Mi-kyoung, 2001) The scope of growth and contribution of NGOs in the early days, focused on the idea of humanitarianism, the object and motive of development aid which contribute to develop and promote the welfare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mean time, they gave the direct support on the communities through the association of NGOs in view of getting over the limits of the development assistance. Being more expanded and specialized, the NGOs’ activities started to position themselves as a main subject in the development project sphere which was a simply lean-to-government-side. And then, on the 1990s, after collapse of the Cold War regime, NGOs and the government made associations to cope in collaboration with global issues o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Further more, they got a role as an advocacy that perform research, consulting, audit and lobby on the aid policies and development projects organized by governments and UNs. The development assistance history of Korea is very particular in that Korea had changed its status from a beneficiary to a donor country. In fact, Korea had been receiving an enormous amount of aid from the U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import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ut even in 40 years, it achieved drastic economic development and transformed itself to be a newly emerged assistance donor country. This means that Korea having both experiences as a donor and a beneficiary country, can be considered among advanced donor countries as a companion who can share the assistance allocation, and can also be considered as a partner and a role model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both donor and beneficiary countries holds high expectations over Korea’s role. The role of development NGOs in the advanced countries are growing in the field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by the use of its long history, rich experiences and specialties in various fields. Also they are equipped with highly organized and amply funded experts. However, as the history of ODA in Korea is short and small in scale, the development NGOs of Korea are very poor in various aspects: its budget and its organization, its experience in overseas business, its capability for carrying out the business, its specialties. However Korea’s development NGOs have been put at a position where they receive grants . They also have some unique experiences in the field of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gender equal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which other advanced countries haven’t experienced. So if Korea’s development NGOs use those specialties and unprecedented experiences and know-hows when conducting development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could be used in the future as a role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based on the role of NGO in the field of ODA, I’d like to discuss about the flow of ODA and the way development NGOs of Korea has developed as below. First, Korea’s experience as a recipient country, strengthen the capacity of develop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local situation. NGO is more efficient in civil matters. NGOs can find and successfully develop business which needs a quick support, using its professional experience and know-how. It should reflect the demand and the situation of the local countries, and also it should achieve higher goals, MDGs. Not doing a one-way-business as the position of the country grants, NGOs should develop business which reflects well the local condition; the demand of the local place and the opinions of the local people, should have enough discussions with the local people with understanding the beneficiary. Second, transferring the specialized competitive advantageous technology of Korean NGOs Korea has dramatically evolved over 40 years an emerging donor country from a recipient country and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democratization, the development of wome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which were not shown in any other countries. Especially, developing countries need the above mentioning fields and if Korean NGOs teach their experiences and technology to developing counties in their specialized experiences and know-hows, the project will be conducting efficiently. Moreover, in the process of economical development, Korea’s country-led NGOs have successfully accomplished family planning, eradication of parasite and Saemaul Movement. Saemaul Movement which is the most competitive advantageous field of Korean NGO and in developing countries, those experiences and technology transfer related to Basic Human Needs(BHN) should be conducted soon. Third, consultation with other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after gaining expertises in the specialized fields. NGOs have know-hows for reducing cost and delivering effective aid due to its long experience and capability in the specialized fields. NGOs execute more efficiently than government in terms of emergency relief and food aid.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consult NGOs about the experiences and technology in NGOs’ specialized fields and NGOs representatives serve as advisors and dialogue partners. Therefore, a lot of Korea’s development NGOs gain expertise in Korea’s competitive advantageous fields and apply them when conducting project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hile following the mid- and long term strategy plan. Fourth, extending the recognition of development cooperation Development NGOs should contribute to raising public awareness of the world commonly shared subject to the public and students and let them join the efforts for poverty reduc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romoting human rights as responsible world citizens The International presence of Korea is strengthen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Korea contribut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o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means of ODA. To increase public interest in line with international expectation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o conduct the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public participation, Development NGOs should increase development cooperation awareness activities . Fifth, strengthen the advocacy activities of consultation, watch, and lobby to ODA Policy and development project of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set a target goal for its accession to DAC to increase Korea’s ODA/GNI ratio to 0.19% by 2010 and to 0.25%(USD$320 million) by 2015 respectively. Therefore, as ODA volume increases, the public,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NGOs should monitor Korean ODA Policy, its direction an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Development NGOs research ODA Policy and development project of each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exercise an influence on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rough consultation, watch and lobby activity. In line with the above mentioned remark, we’ll discuss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s development NGOs, its role and its experiences in ODA. We suggest that the various development plans of government and NGOs’ own development plans relate to each other. But, in this thesis, there might be limitation in terms of researching the development plan of its role and unique characteristics. Henceforth, Korea’s development NGO’s development plan of more diversified and macroscopic faces will be supplementary. 국제개발협력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한 수단은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는 개발원조이며 지난 50년간 제공된 원조는 막대했고 그 자체가 큰 성과였다. 국제정치학자인 모겐소(Hans Morgenthau)는 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라는 것이 현대사회가 외교정책에 도입한 혁신이라고 하였다. 지금과 같이 지속적이고 정형화된 형태로 여러 국가들이 다른 국가들의 발전을 위해 물적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는 과거에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원조는 그 목적과 동기, 규모, 효과 등을 둘러싸고 끊임없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 이유는 개발 원조를 공여하는 측과 수혜하는 측 모두 그 결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원국에서는 여전히 장기적인 개발원조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제와 절대빈곤과 질병에 노출된 인구는 크게 늘어가고 있다. 또한 개발원조의 중독 및 원조피로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됨에 따라 대규모 원조 프로그램의 실패사례와 환경파괴 등 개발 재난(Development Disaster) 문제의 제기, 부패하고 실패한 정부 지원 등 개발원조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개발원조의 위기 상황에서 국제원조 체제 혹은 국제개발 레짐에 대한 비판과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국제개발의 규범을 현실화 하고 국가 또는 국제기구간 매개할 수 있는 새로운 국제관계 행위자가 등장하는데 그것이 바로 INGO (International Non Government Organization) 또는 개발 NGO(Non Government Organization)들이다 (나미경, 2001). 개발원조에 있어서 NGO의 역할은 초기에는 개발원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NGO와의 결연을 통해 커뮤니티를 직접 지원하는 역할을 하면서 성장하였고 차즘 NGO 활동이 전문화 및 확대되면서 정부 일변도였던 개발사업 영역에 중요한 주체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동서냉전 체제가 붕괴되면서 환경보존과 경제, 사회개발 등 범지구적 문제에 정부와 NGO가 연계하여 공동으로 문제해결에 대처하고, 후에 NGO는 정부 및 국제기구들의 원조정책 및 개발사업에 대해 연구조사를 실시하여 자문, 감시 및 로비 등의 에드보커시 활동을 하게 된다. 한국의 개발원조 및 개발 NGO의 역사는 수원의 역사에서 공여의 역사로 전환하여 성공한 독특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폐허위에서 UN이나 미국 등 주요 국제기구와 원조공여국으로부터 막대한 개발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불과 40여년만에 경제발전을 이루어 신흥원조공여국으로 탈바꿈한 개발원조를 통해 성공한 국가이다. 따라서 한국의 개발원조는 선진공여국에게는 개발원조의 부담을 나눌 수 있는 분담자로서 개발도상국에게는 가장 최근에 개발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개발의 파트너로서 선진국과 개도국의 중간 매개체로서 모두에게 큰 기대와 관심이 되고 있다. 선진국의 개발 NGO는 그 역사가 길고 다방면에 전문성과 경험이 풍부하며 탄탄한 조직력과 풍부한 자금력,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 개발원조 사업 및 국제사회에서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개발 NGO는 한국의 개발원조의 역사가 짧고 규모가 작은 것처럼 예산 및 조직, 해외사업 수행경험, 사업수행능력, 전문성 등 여러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하지만 한국 개발 NGO들은 수혜자의 입장에서 공여자의 입장으로 전환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짧은 기간 안에 이루었던 경제발전과 민주화, 여성개발, 환경보존 등에 대한 여타 선진국들이 가지지 못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 개발 NGO 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에서 유일하고 유례없는 경험과 노하우를 개도국 개발사업 현장에 잘 접목시킨다면 한국형 NGO의 모델을 만들어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발원조에 있어서 NGO의 역할을 토대로 한국의 개발원조 흐름과 그 속에서 성장한 한국 개발 NGO 들의 발전방안을 아래와 같이 논하고자 한다. 첫째, 수원국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현지사정을 고려한 사업발굴 기능 강화 NGO는 민간차원의 사업이 더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지원이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여 전문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현지의 수요 및 여건을 반영함을 물론 상위 목표인 천년개발목표(MDG) 달성에도 기여하여야 한다. 공여국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주는 사업이 아닌 수혜자의 입장을 이해하면서 현지지역 주민들과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현지의 수요와 주민들의 의견 등 현지 여건이 반영되고 상위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는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NGO 비교우위분야 기술을 전문화하여 이전 개발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불과 40여년만에 경제발전을 이루어 신흥원조공여국으로 탈바꿈하면서 한국의 시민사회가 이룬 민주화, 여성개발, 환경보호 등은 세계 어느나라도 가지지 못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런분야들은 특별히 개도국에서 필요한 분야로 한국의 시민단체들이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전문화 하여 한국의 NGO 들이 개도국에 그 경험과 기술을 전수한다면 효율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다. 또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한국의 국가주도형 NGO들이 수행하여 성공한 가족계획, 기생충퇴치, 새마을운동 등은 특별히 한국 NGO의 비교우위분야이며 개도국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욕구(BHN)와 관련이 있는 분야로 그 경험과 기술이전이 시급히 필요한 분야이다. 셋째, 전문분야를 확보하여 타 정부와 국제기구에 자문 NGO는 전문분야에 대한 오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비용절감 및 효과적인 원조를 위한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NGO가 긴급구호나 식량원조의 경우는 정부보다 더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나 국제기구는 전문분야 NGO들의 경험과 기술 인정하고 협력 및 대화 파트너로 관계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키고 있으며 자문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 많은 개발 NGO들도 한국 NGO 비교우위 분야에 전문성을 확보하고 NGO의 특성에 맞는 전문분야를 특화하여 중.장기적으로 국제사회에 진출하기를 기대해 본다. 넷째, 개발협력 인지활동 확대 개발 NGO들은 일반시민과 학생들에게 개발원조가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인류 공동의 문제임에 관심을 갖도록 하고 책임 있는 세계시민으로서 빈곤해소와 환경보호 및 인권신장 등을 위한 노력에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따라, 국제사회에의 기여와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양적 ?질적 개선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러한 요청에 발맞추어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국제사회의 요청과 개발협력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 부합하고 국민과 함께 하는 개발협력사업 시행을 위하여 개발 NGO들의 개발협력 인지활동 확대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부와 국제기구들의 원조정책 및 개발사업에 대한 자문, 감시, 로비 등의 에드보커시 활동 강화 한국은 2010년 DAC가입을 목표로 원조규모가 GNI 대비 0.109%, 2015년에는 GNI 대비 0.25% 약 32억불로 확대 될 예정이다. 따라서 원조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개발원조의 개발정책 및 방향, 개발원조의 효율적인 집행 등에 대한 국민과 시민사회, 개발 NGO들의 에드보커시 활동이 필요하다. 개발 NGO중에는 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 NGO들의 원조정책과 개발사업에 대한 연구조사를 하여 정부나 NGO에 대한 자문, 감시 및 로비 활동을 통해서 개발정책과 방향에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한국 개발 NGO의 발전방안을 개발원조에 있어서 NGO의 역할과 한국의 개발 NGO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의해 보았다. 한국의 개발 NGO의 발전방안에 대해서는 정부의 역할, NGO 자체의 발전 방안 등 여러 가지 각도와 측면에서 제안할 수 있다. 하지만 금번 논문에서는 개발원조에 있어서 NGO의 역할과 한국의 개발 NGO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을 토대로 개발원조를 집행하는 기관에 근무하는 입장에서 발전방안을 연구하였음에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다각적이고 거시적 측면에서의 한국 개발 NGO의 발전방안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온라인 게임 세계 속에서 경험하는 자기 인식과 자기 변화 : 마비노기 사용자의 발달적 경험을 중심으로

        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인식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모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게임 세계 속에서 게임 사용자들이 자기를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게임 마비노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82개의 게임 행동 문항을 선정하여 자신의 주된 행동 양식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게임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6가지 모습으로 자기를 바라보고 있었다. 이를 각각, ‘자기성장형’, ‘유행표현형’, ‘관계지향형’, ‘고립일탈형’ ‘사회공헌형’, ‘자기이득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구체적인 행동 특징과 행동 양식을 비교함으로써 게임 행동과 게임 세계를 인식하는 심리적인 의미와 가치에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온라인 게임 세계에서 게임 사용자가 경험하는 자신의 모습은 현실 세계 속에서의 자기 모습의 반영이거나, 게임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자기 모습을 창조한 것이다.한편, 온라인 게임 세계 속에서 게임 사용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모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57개의 게임 행동 문항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게임 사용자들은 게임을 시작하는 초기에는 ‘게임 세계는 현실 세계와 다르다’는 생각을 가지고 게임 세계의 경험과 현실 세계의 경험을 분리하여 인식한다. 그러나 게임 세계 속에서 생활하며 시간이 흐름이 따라 게임 세계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는 세상이며, 사회적인 규칙과 질서, 신뢰와 예의를 지키면서 살아가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즉, ‘게임 세계의 경험은 현실 세계의 경험과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는 인식의 전환을 경험한다.자기 변화 인식의 하위 유형들은 ‘성취형 변화’, ‘통제형 변화’, ‘관계형 변화’로 구분되었고,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모습에서 변화를 경험하였다. 성취형 변화의 경우 처음에는 주변 친구들이나 유행에 따라 온라인 게임을 시작하고 사회적 규칙 준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게임 세계 속에서도 사회적 규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고, 자신의 개인적인 성장과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를 집중하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통제형 변화의 경우 게임 시작 초기에는 온라인 게임을 다양한 활동을 자유롭게 체험하는 놀이 공간으로 받아들이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게임하는 이유가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통제력을 확장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관계형 변화의 경우 처음 시작할 때는 온라인 게임을 게임 자체에 몰입하며 자기를 성장시키는 혼자만의 공간으로 생각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게임하는 이유가 새로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변화한다.본 연구는 디지털 생태 환경인 온라인 게임 세계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 양식을 실험하고 이해하며, 자기 변화와 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행동 장면이나 발달의 맥락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또한, 게임 사용자들이 자신의 게임 세계 경험을 주관적으로 받아들이고 심리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understand self-recognitions and self-changes in on-line game world. Q method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player's subjectivity of self-recognition and self-change in Mabinogi, which is an on-line game(MMORPG). Using 82 behavior statements, players were distribut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ir behavior patterns in Mabinogi. As a result, 6 types of self-recognition emerged : Self-Achiever, Trend-Expressionist, Relation-Oriented, Isolation-Antisocial, Social Contributor, Self-Interest. The behavior patterns of 6 types are compared to identify sameness and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meanings and values in the on-line game life. The self-recognitions in on-line game world reflects the game player's identities in the real life and/or creation of new identity that the players desire to possess.Based on 57 behavior statements, the players distributed their changing experiences from when they were novices in on-line game world to the current state. In early start phase, they recognized that on-line game world was different from the reality. And they perceived their experiences in on-line game as separated from the real ones. However, as they spend more time in on-line game world, they began to realized that on-line game world is as real as the world because they function as an individual living in a society in both the game and the real world. They felt and learned that in on-line game life, they also need to follow the rules and order. In addition, trust and politeness were essential in order to live with other players. As time passed, the players realized that on-line game experiences have the same meanings and values as the real life ones.3 types of self-changing patterns were found : Evolvement in Achievement, Evolvement in Control, and Evolvement in Relations. The behavior patterns of the 3 types were then compare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st them in psychological meanings and values in the on-line game life.In the case of the Achievement group, they first start to play the game in order to follow the trend or peer group and do not consider the social rules. But when the time passes,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 social rules in on-line game world and play the game for self-achievement and self-growth. The Control group perceives the game world as a place to gain diverse experiences freely as novices but such notion of the game world as a playground evolves as the players spend more time in the game world, seeking to solve their problems and extend their self-control. For the Relations group, the players initially use the game world to self-develop and see it as a private space where one can just concentrate in the game itself. However, the purpose of playing the game evolves to experiencing new interacti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This result illustrates that on-line game world can be defined as new behavioral setting or developmental context established by digital technology. In this new setting, people can experiment and understand their behavior patterns and also experience changes and growths of the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