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노미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치료전공 노미화 본 연구는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를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이란 무엇인가? 둘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 과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비혼 여성의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이론적으로 적합한 대상자를 표집하기 위해 눈덩이 표집(snowballing sampling)을 사용하여 35-50세의 고학력. 전문직 비혼 여성 15명을 참여시켰다. 자료의 수집은 2009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접, 연구노트, 녹음파일, 전사본 등을 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근거이론의 분석방법에 따라 3단계의 코딩절차를 사용하였다. 1단계는 개방코딩을 사용하여 개념-하위범주-범주화하였다. 2단계 축코딩은 자료를 더 추상적인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단계로 패러다임과 범주들을 연결시킨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는 분석과정과 패러다임모형에 근거한 과정분석으로 이루어졌다. 3단계의 선택코딩을 통해 범주들을 통합한 이야기 윤곽을 적고,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모든 내용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총 196개의 개념, 47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절차에 따라 범주를 패러다임에 연관시키면서 범주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패러다임요소에 따라 인과적 조건은 ‘삶은 혼자’라는 느낌, ‘결혼을 선택하지 않음’이다. 중심현상은 ‘나를 찾아감’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결혼에 대한 간접적인 부정적 경험’, ‘전통적 어머니상과 다른 삶을 살고 싶음’, ‘아버지를 통한 가족제도의 경험’, ‘가족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중재적 조건은 ‘물리적 토대’, ‘정서적 지지체계 구축’, ‘비혼 삶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이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자기성장을 위한 노력’, ‘원가족에 대한 사고의 변화’, ‘가족 개념의 확대’ 이며 그에 따른 결과는 ‘혼자 살아감’, ‘원가족과 새로운 관계 형성’, ‘희망하는 가족형태를 찾음’으로 도출되었다. 선택코딩 과정에서 이야기 윤곽을 적고,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라는 중심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원가족 체계 내의 나’, ‘원가족에서 분화 시도’, ‘자기성장’, ‘자기 안에 가족을 둠’,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로 총 5단계의 연속적 과정이었다. 또한 비혼 삶의 유형을 ‘가족거부형’, ‘자아찾기형’, ‘현실수용형’, ‘불안정형’, ‘결혼희망형’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 경험을 개인차원, 원가족과 관계차원, 환경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삶의 패턴은 가족치료 임상 모델에서 적용되는 Bowen의 자기분화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원가족 체계 내에서 분화하여 자기성장을 통해 보다 성숙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모습이었다. 둘째,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인 ‘원가족에서 분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가족 만들기’는 자기분화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원가족에서 분화는 자기성장의 과정을 거쳐 자기 안에 원가족과의 새로운 관계를 맺고 자신이 원하는 가족 형태와 기능을 갖는 새로운 가족을 만듦으로서 완성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비혼 삶의 유형은 비혼에 대한 개인적인 인식과 원가족을 포함한 정서적 지지체계, 사회환경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비혼 삶의 유형은 어떠한가를 탐색하기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 과정과 비혼 삶이라는 현재 상황을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비혼 여성과 그들의 가족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비혼과 비혼 여성에 대한 연구 부족의 상황에서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비혼, 가족경험, 가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진시키고 학문적 논의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족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 연구 : -근거이론접근을 중심으로-

        노미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what the professional identify is, w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s like, and what factors influence such a process, in family counselo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professional identity in family counselors?,’ ‘What i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family counselors?,’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family counsel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fifteen (15) family counselors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grounded theory approa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76 concepts were drawn through open coding, again classified into 47 categories and finally into 18 subcategories. Paradigm model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categories, using axial cod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of ‘I desire to grow as a professional family counselor’ was discovered due to the causal condition of ‘continued concern about family counseling.’ Research participants performe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hich were ‘immersion in family counseling’, ‘holding external qualifications’, ‘attempting to have a mature relationship’, ‘self- caring’, ‘self-reflection’, and ‘continuing to study’ in the contex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iginal family experience’, ‘presence of counseling community culture’, and ‘social expectation and dem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either promote or subdue the action/interaction with central phenomenon include ‘having a motive for family counselor’ from individual and family area, ‘being reassured by strong support system’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and ‘experiencing competence as family counselor’ and ‘evaluating family counseling occupation’ from vocational area. Ensued subsequent consequences appeared as ‘equipping professionalism in family counseling’, ‘growing in personal and vocational area’, and ‘forming a new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selective coding, ‘growing as an expert in family counseling through constant exertions for growth’ appeared as core category. Through this process, the typ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family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job pursuit type, self achievement type, self understanding type, and volunteering type. Such difference in types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the motive for family counselor and the area of interest. Through process analysis, family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eps with the course of time: immersion step, self-understanding and acceptance step, and integration step. Based on this, the hypothetical relations in four areas: personal area, family area, interpersonal area, and vocational area were summarized in statemen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research participants’ region, family counseling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level of working condition are rather biased, the study was conducted in rather short-term viewpoin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family counselor and did not consider counseling environment and legal and institutional situations.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y to explain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factors shown in family counselors. It also provides those who hope to grow as expert in family counseling with long-term visions and implications for family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In this study, the suggestions on the tasks to check and solve the factors to improve and support for establishing family counselors’ professional identity by highlighting the family counselor’s own identify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family counseling in the future. keyword: family counseling, family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development, grounded theory 국 문 요 약 가족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 연구 -근거이론접근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이란 무엇이며, 전문직 발달은 어떠한가,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발달이란 어떠한가?,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grounded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여, 15명의 가족상담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open coding)을 통해 1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는 다시 47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어 18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축 코딩(axial coding)을 통해서 범주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완성하였다. 범주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가족상담에 대한 고민이 계속됨’이라는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s)으로 인해 ‘가족상담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음’이라는 중심현상(phenomenon)이 발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특성 및 원가족 경험’, ‘상담 커뮤니티 문화가 있음’, ‘사회적 기대와 요구’ 등의 맥락(context)에 따라 ‘가족상담에 몰입하기’, ‘외적인 자격을 갖추기’, ‘성숙한 관계 맺기를 시도함’, ‘자기돌봄을 함’, ‘자기성찰을 함’, ‘지속적인 학습’이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ies)을 수행하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s)은 개인과 가족영역에서 ‘가족상담사가 된 동기가 있음’, 대인관계 영역에서 ‘지지체계가 있어 든든함’, 직업영역에서 ‘가족상담사로서의 유능감을 경험함’, ‘가족상담직에 대한 평가를 함’이다. 이러한 결과(consequences)는 ‘가족상담 전문성을 갖춤’, ‘개인과 직업영역에서 성장함’, ‘새로운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함’으로 나타났다. 선택 코딩(selective coding)을 통해 ‘성장을 향한 부단한 노력을 통해서 가족상담 전문가로 거듭나기’가 핵심범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 유형은 직업추구형, 자기성취형, 자기이해형, 사회봉사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차이는 가족상담사가 된 동기와 관심영역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과정분석을 통해 이들의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몰입 단계, 자기이해 및 수용 단계, 그리고 통합 단계의 3단계로 정리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 영역, 가족 영역, 대인관계 영역, 직업 영역에 대한 가설적 관계를 진술문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 참여자들의 지역, 가족상담 경험, 학력, 근무조건 수준이 다소 편향되어 있고, 가족상담사 발달을 이해하는데 단기적 관점이라는 점, 상담환경과 법적·제도적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 및 발달과 그 영향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시도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가족상담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가족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상담사들과는 다른 가족상담사만의 정체성을 조명함으로써 가족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개선 및 지원해야 할 요소 등을 확인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본 연구의 제언은 향후 가족상담 관련 법률과 제도 마련을 위한 1차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가족상담, 가족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발달, 근거이론

      • 자연물의 모태에 관한 도자조형 연구 : 열매형태의 作品 中心으로

        노미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생활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늙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일부분이며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크고 작은 감동은 줄곧 예술의 출발점이 되어왔다. 예술은 자연을 단순하게 모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자연의 재구성으로서 자연을 통한 자연의 심상과 감동의 표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예술가는 자기 자신의 미의식을 가지고 사물을 통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자기 나름의 특정한 재료를 선택하여 작업하게 되며 또한 자유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한다. 자연은 인간에게 있어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특히 예술가들은 자연의 여러 형상들을 작가의 창조적 활동을 통해 재구성하여 자연 형상들에 내재한 본질적인 생명력과 질서를 표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을 대상으로 생명체를 담고 있는 모태의 형상으로부터 열매가 갖는 조형적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가장 일상적이고 대중적이며 실용적인 용기의 모태를 가지고 우리의 생활주변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연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열매의 형태를 응용하여 제작하였다. 열매를 분류하고 열매가 지니는 형태의 조형성에 고찰하였고 작품표현에 관한 근거 제시로 열매를 소재로 다룬 다른 작가들의 조형사례를 수집하여 표현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흙이라는 매체(媒體)는 생명력있는 구체적 대상물(對象物)인 열매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고 하나의 소재로도 연구자의 감성과 심성에 따라 작품이 갖는 의미는 모두 다르다는 것과 자연물에서의 열매를 조형화시킨 작품을 통하여 자연물은 외적인 모방이 아니라 자연물이 갖는 미를 표현하는 조형의지에 의해 또 자연물을 보는 예리한 관찰과 끊임없는 노력만이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제작의 완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자연물에 더욱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게 된다면 다양하고 창조적인 표현을 위한 작업에 발전 가능성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 VON NEUMANN REGULAR RINGS AND P-INJECTIVE RINGS : 폰 노이만 정규환과 P-입사적인 가군

        노미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폰 노이만 정규(von Neumann regular)환이 P-입사적인 가군이 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폰 노이만 정규환과 그에 관계되는 여러 환들의 성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폰 노이만 정규환과 동치가 되는 여러 조건들을 찾아 기존의 동치조건들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美術表現에 있어서 종이造形技法의 活用에 관한 硏究

        노미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Paper has become a medium to promote human culture and a requisite of civilized society for recording, delivery of message and expression. The advent of paper opened new arts world in the East as well as in the West, and it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of Arts. Artists apply various materials for the infinite change of Art. Recently, they relate with human's spiritual culture, aiming at creative activities and creation of a new ego. They als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paper work that makes modern arts develop furth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paper moulding techniques for artistic presentation.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paper in terms of history and art history, and recognize a new expressional aspect of paper by studying paper work. Secon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paper which is accepted in modern art as a representational material,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origin of paper, representational techniques of paper work and its usage in works of modern art.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on general contemplation of paper which appears as a new moulding media in modern art, originality and diverse representational techniques of modern paper moulding work. Then I'd like to expand paper work's aesthetic possibility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paper.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birth of paper, its developmental proces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paper mouldi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aper is not considered just as a recording media or expressional base, but as a representational material in a new point of view. Futhermore, this study wants to help others grope for the infinite possibility of expression using paper and to understand artistry of modern paperworks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