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MDCT 검사에 의한 관상동맥협착 영향 및 경동맥내중막 두께와의 유의성

        노동원 가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허혈성 심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심장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상동맥조영CT(Computed Tomography)는 기존 혈관 조영술에 비해 비 침습적이기 때문에 관상동맥 협착 등의 질병을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임상적 이용도가 높은 관상동맥조영CT을 시행한 성인 남녀들의 신체특성과 생활습관을 조사하여 심장 관상동맥 협착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1월2일부터 2016년 12월31일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인천지부에 내원하여 128-Slice MDCT(Multi Detector Computed Tomography)로 관상동맥조영CT(Computed Tomography)를 시행한 601명을 대상으로 수검자의 결과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관상동맥 협착의 조기발견, 조기치료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협착률이 아닌 협착의 유무와 신체특성, 생활습관사이의 관련성을 검정하였다. 통계를 SPSS 22.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 USA, Chicag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신체 측성 인자로는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경동맥 내중막두께(IMT) 측정하였으며, 생활습관은 음주, 흡연을 측정 및 조사하여 주요 인자들과 관상동맥 협착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601명 중 관상동맥에서 협착이 발견된 대상자는 173명(28.78%) 이었으며 평균 협착률은 25.77±12.75% 협착으로 관찰되었다. 회귀 분석(regression)에서 확인한 관상동맥 사이의 유의성은 주요 인자 중에서 나이, 성별, 당화혈색소, 과거흡연기간, 현재흡연기간, 음주 잔 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p<0.05 ) 나머지 인자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관상동맥 협착의 유무로 나눈 대상군의 신체특성 사이를 교차분석 한 결과 대상군의 신체 특성은 관상동맥 협착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방법으로 확인한 관상동맥 협착의 유무와 생활 습관사이의 관계는 주간 음주일수, 1회 음주량, 흡연기간이 관상동맥 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생활 관상동맥조영CT 를 통해 확인한 협착 소견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남성이 여성보다 협착 소견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습관에서는 음주량과 흡연량이 신체 특성에서는 당화혈색소의 증가가 유의 한 결과로 나타났다. 경동맥 내중막두께(IMT)와 심장 협착 사이에서는 높은 유의성이 발견되었으며 내중막두께(IMT)에 비례하게 관상동맥의 협착이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BMI) 사이에서는 연관성을 찾지 못하였다.

      • 流動化觸媒分解工程의 事故被害豫測을 통한 安全距離의 算定과 影響評價.

        노동원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유화학시설의 피해예측 프로그램인 PHAST Professional을 이용하여 유동화 촉매 분해공정(FCC)의 핵심공정 6개에 대한 화재, 폭발 및 독성가스 누출사고를 가정하였고, 각각에 대하여 화재의 복사열, 폭발의 과압 및 독성 혼합물질의 확산농도에 대한 안전거리 산정과 인체와 설비에 미치는 피해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HDS공정과 AR탱크의 Jet화재와 Pool화재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화지점을 기준으로 복사열에 대한 근로자의 안전거리(안전장구 미 착용)는 4kw/㎡이하의 복사열이 미치는 100m 와87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인접장치에 대한 영향은 각 공정별 최고치인13.8 kw/㎡ 와 20kw/㎡ 의 복사열이 미치는 피해거리는 각 13m와 45m로 나타났다. 2) HP공정과 Alkylation공정의 증기운 폭발로 인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발지점 기준으로 과압에 대한 근로자의 안전거리는 0.02 bar 이하의 과압이 미치는 920m와 73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인접 장치에 대한 영향에서 폭발과압의 최고치는 각각1bar로 동일하며 피 해거리는 148m 와 42m로 나타났다. 3) RFCC공정과 ARU공정의 혼합된 독성가스와 H2S 혼합가스의 확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출허용 농도인 10ppm 이하가 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누출지점에서 각각 400m와 830m 이상으로 나타났다. 4) 유동화 촉매분해공장의 사고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대응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위험설비와 취급하는 위험물에 대하여 피해예측을 통한 영향평가가 필요하므로 계속적인 추가연구를 통하여 사고발생시 비상대응에 필요한 주요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비상대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ccident consequence analysis of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Plant has been studied for designing petrochemical plants and protecting structures. Also, the result of the analysis will be useful for safety management of similar plants. This paper has been studied using PHAST for specified pseudo fire, explosion and release accident scenarios that could be helpful in development and completion of emergency plans for various risks and hazards. 1) Separation distances from human body for radiation effect of Jet fire and Pool fire in RHDS process and AR tank area have shown 100m and 87m. Also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equipment for radiation effect of Jet fire and Pool fire in RHDS process and AR tank area have shown 13m and 45m respectively. 2)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human body for effect of vapor cloud explosion in HP and Alkylation process have shown 920m and 73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equipment for overpressure effect of vapor cloud explosion in HP process and Alkylation process have shown 148m and 42m respectively. 3) The separation distances from human body for effect of toxic gas dispersion in RFCC and ARU process have shown 400m and 830m respectively. 4) The results we have obtained are a few parts of estimation, Therefore, the consequence analysis for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plant should be studied further more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and respond to possible accidents emergency action plan.

      •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와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노동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와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조직 내 코칭리더십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적으로는 코칭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건설적 발언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이르는 성과창출 매커니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질적으로는 구성원의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형성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건설적 발언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 내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 수행을 위해, 먼저 양적연구 단계에서는 인적자원개발과 코칭 관련 박사급 전문가의 설문 문항 검토를 거쳐 국내 대기업 조직구성원 1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본 조사에서는 634명의 응답 자료를 확보하여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 등을 제외한 최종 520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코칭리더십 관련 변수 간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양적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건설적 발언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리더십은 심리적 안전감, 건설적 발언행동,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안전감은 건설적 발언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코칭리더십과 건설적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심리적 안전감은 조직유효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설적 발언행동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안전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건설적 발언행동의 매개효과는 유효하게 나타났다. 또한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심리적 안전감은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질적연구 단계에서는 대기업 조직구성원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이 제시하는 분석 절차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개념-하위범주-상위범주를 도출하고 범주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축코딩의 분석 모형인 패러다임 모형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범주들의 구조를 도출하고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을 분석하여 건설적 발언행동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연구의 중심 주제인 핵심범주와 이야기의 윤곽을 기반으로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형성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중심현상은 연구자들마다 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방어적 긴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어적 긴장’의 모습은 상사의 영향력, 조직문화, 개인이 처한 상황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만들어 낸 결과였다. 셋째, 건설적 발언행동의 유형은 ‘적극적 의견 개진형’, ‘적극적 기다림형’, ‘소극적 기다림형’, ‘잠정적 타협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 형성 과정의 이론적 모형은 문제인식 단계→환경과 상호작용 단계→안전감 확인 단계→발언 전략 수립 단계→발언 전략 실행 단계→발언 유형 형성 단계의 6단계 과정과 발언 전략 실행의 하위단계로서 환경과 상호작용 재평가 단계→안전감 재확인 단계→발언 전략 수정 단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양적·질적 혼합연구에 대한 통합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코칭리더십 발휘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선행 요소였으며, 리더의 영향력이 부정적으로 발현하였을 경우 강도에 있어 차이는 있으나 ‘방어적 긴장’의 모습이 중심현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의 인식 수준은 건설적 발언행동의 선행 요인이었으며, 안전감 수준에 따라 건설적 발언행동의 상호작용 전략과 유형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리더십은 건설적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선행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건설적 발언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코칭리더십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이르는 새로운 성과창출 매커니즘을 도출하고 심리적 안전감과 건설적 발언행동의 형성 과정을 밝힘으로써 기업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코칭리더십 활용을 위한 실질적인 적용 가이드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리더의 코칭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mediation effects and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coaching leadership influe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 Quantitatively, the study elicits the coaching leadership’s performance mechanism which lead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Qualitatively, it aimed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depth,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 is as below.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psychological safety,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at is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on coaching leadership influe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astly, what is the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in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members recogniz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it first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by HRD and coaching experts with doctoral degrees and preliminary research on 100 conglomerate employees in South Korea. Afterward, the study collected responses from 634 employees and used the final 520 responses after eliminating the outliers and dishonest responses. The response verified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he major result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is as below: First, most of the factors—coaching leadership, psychological safety,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sychological safety influences constructive voice behavior positively, and 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safety did not influe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positive direction and medi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ly, the mediation effect of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had a sequential double intermediary effect in the path of coaching leadership leading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psychological safet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uring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9 employees of conglomerate-level corporate employees.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grounded theory, starting wit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then selective coding. In the open coding stage, the study pulled out the concept, lower category, and upper category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the categories in depth. Afterward, the research suggested the types of constructive voice behavior by analyzing the traits and dimensions of each category and derived the structure of the overall category, by using the paradigm model—a type of axial coding model. Finally,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based on the main category and the outline of the story, the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model for the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he result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s below: First, ‘defensive tension’ was the major phenomenon in all interviewee’s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ith differences in its grade. Secondly, the appearance of ‘defensive tension’ was the result of a complex mixture of his/her superior’s influe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situation. Thirdly, the types of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ere classified as ‘active expression type’, ‘active waiting type’, ‘passive waiting type’ and ‘provisional compromise type’. Lastly, the theoretical model on the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as deduced as a six-stag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followed by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checking for psychological safety, setting strategy for voice behavior, execution of strategy for voice behavior, and creating a type of voice behavior. Execution of strategy for voice behavior was then sub-categorized into stages of re-evaluation of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re-checking for psychological safety, and modification of strategy for voice behavior. The overall result of the mixed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practice of coaching leadership was an important precedent for the organizational member’s psychological safety. If the leader’s influence was revealed negatively, ‘defensive tension’ was apparent as the major phenomenon—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its grade. Secondly, the amount of the member’s awareness of psychological safety was the antecedent of his/her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nd the strategy and type of the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ere various. Thirdly, coaching leadership was a major precedent influencing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Lastly, psychological safety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he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expands the research area in coaching leadership by verifying the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in coaching leadership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xt, it provides a practical guide for utilizing coaching leadership in the HRD field by devising a new performance mechanism for coaching leadership to set for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iscovered the form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 Lastly,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developing a systematic and effective training program to strengthen coaching leadership competency in organizations.

      • 인체노출 보호기준을 고려한 가정용 전기기기류의 자기장 분석

        노동원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대해 가정용 전기기기류의 EMF 규격으로 측정값을 기준치와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가정용 전기기기류에 대한 적용 규격은 IEC 62233(Ed.1.0: 2005.10)및 K 62233의 시간영역평가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측정 제품의 경우 IEC 62233에서 제시하는 제품이외의 제품과 이외의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제품의 측정거리는 0 cm, 30 cm, 100 c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시간영역평가의 Wn 값이며 이 값에 각 제품별 ICNIRP의 결합계수를 적용하여 가중결과치(결합계수를 적용한 단일 측정에서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결과 모든 제품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규격에서 제시하는 거리 이외의 측정치 중 밀착거리(0 cm)에서 IH 밥솥과 전기오븐기기의 Wn 값이 16배와 1.3배가 측정되었다. 이 측정값을 거리별 결합지수를 통해 산출하면 두 제품의 경우 기준치를 크게 상회함을 알 수 있었다. EMF 규격을 통해 측정 및 분석 결과 모든 제품이 기준치에 미달하였으나 규격에서 제시하는 제품 이외의 거리인 밀착거리에서 IH 밥솥과 전기오븐 기기의 경우 기준치를 상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결과를 통해 IH 밭솥은 쾌속 취사시, 전기오븐 기기는 가열 동작할 경우 밀착거리에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measurement values are analyzed and based on the standard values of EMF standards for household appliances.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measurement data were measured by the IEC 62233 and K 62233 of Time domain evaluation. Other than that provided in the standard of the household appliances was measured at a distance outside. Measurement distances of all household appliances are 0 cm and 30 cm and 100 cm. Wnc(Wighted result) is the measured by applying Wn that is came on the Coupling factor of ICNIRP. As a result, all household appliances were suitable. But other than that household appliances in the standard close distance of 16 times and 1.3 times was measured in the IH electric rice cooker and electric oven. This measurement goes beyond the criteria in the coupling factor multiply. EMF standard were suitable for all household appliances through the reviewed results. But other than that household appliances in the EMF standard exceeded the criteria in close distance. In conclusion, A high speed cooking of IH electric rice cooker and heating action of electric oven operation may need to be care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