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소 생산 정보 모델과 Supply Chain Planning Matrix 기반의 조선 생산계획 프로세스 설계 및 시스템 개발

        남승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조선 산업의 침체로 한국의 많은 조선소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상선의 발주 감소 및 선가 하락과 새로운 시장으로 기대되던 해양 플랜트의 발주까지 감소하면서 일부 조선소들은 경영 위협까지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에서도 조선소들은 경쟁력을 확보하여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려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은 기술, 가격, 품질에서 나오는데, 조선 산업의 경우 특성상 생산성, 수요 상황, 보조 산업, 산업 조직 구조, 정부 역할의 5가지를 경쟁력 요소로 본다. 이들 중 외부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부적 요소는 생산성 하나인데, 이는 생산성이 선주로부터 선박을 수주할 수 있는데 우위를 갖는 확실한 요소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술, 설비, 관리 능력, 작업 조직, 업무 관행, 근로자의 능력과 동기 부여 수준 등에 영향을 받는 조선소의 생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조선 산업은 대표적인 ETO(Engineer To Order) 산업으로 선주로부터 주문이 결정되면 이에 맞춰 설계를 수행하고 생산을 진행한다. 주문부터 설계, 자재 구매, 조달, 생산 등의 다양한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프로젝트성 산업으로 프로세스를 계획하고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프로젝트 기간에서 가장 긴 비중을 차지하는 생산은 계획 및 체계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대형 조선소에서는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 등을 구축하여 생산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 조선 생산관리 시스템은 상용 솔루션을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하는 타 산업 분야와 다르게, 주로 조선소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표준화된 생산관리 체계 혹은 시스템이 없고, 조선소마다 서로 다른 프로세스와 체계로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력과 고급 인력이 부족한 중소형 조선소나 신생 조선소의 경우 체계화된 생산 및 생산 지원 시스템을 보유하지 못해 생산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조선 생산계획은 회사의 비전 및 전략부터 생산에 필요한 인력과 설비를 정하는 중요한 정보로써,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조선 생산계획은 대형 조선소 사례를 중심으로 계획 프로세스가 정의되어 학문적 이론을 기반으로 정립화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소마다 서로 다른 용어와 방식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타 산업 대비 생산관리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의 도입 및 적용이 뒤처지는 영향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산관리의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에서 가장 핵심인 Plan에 초점을 맞추어 선박 건조에 필요한 생산 정보를 중심으로 표준화된 조선 생산계획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현재의 조선 생산계획과 시스템을 분석하고, 실제 조선소를 대상으로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방법론을 적용하여 생산계획 현황 및 개선 방안을 위한 모델을 정의하였다. 다음 개선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제품, 공정, 설비, 공간, 인력, 계획으로 구성된 조선소 생산 정보 모델을 정의하고, 조선소 SCP-Matrix(Supply Chain Planning Matrix)를 도출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계획의 기간별 상세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조선 생산계획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수행하는 시스템을 객체 지향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object-oriente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ooCBD)을 활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실제 조선소의 생산계획 정보를 바탕으로 개발한 시스템에서 장기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시스템에 대한 검증(Verification and Valid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선소 기존 시스템 대비 생산계획에 대한 리드 타임이 절감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련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조선 생산계획 프로세스와 개발된 시스템이 조선소의 체계적인 생산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조선소 생산 정보 모델을 바탕으로 생산계획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면 계획과 시뮬레이션이 함께 연동되는 고도화된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학령전기 아동의 스몰토크 사용 특성

        남승훈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스몰토크 사용 특성을 밝히고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고려하는 언어재활 전문가에게 스몰토크 어휘 목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에 다니는 학령전기 3-5세 일반 아동 총 30명이었다. 연령과 성별 요인을 고려하기 위해 연령 집단별로 10명씩, 남녀 성별 비율을 5:5로 통제하였다. 실험은 두 달 간 연구 대상이 다니는 유치원 교실에서 이뤄졌으며, 자유놀이시간에 산출된 아동의 발화를 녹음하여 전사한 후 분류 기준(Ball, Marvin, Beukelman, Lasker, & Rupp, 1999)에 따라 스몰토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령전기 아동의 전체 발화 수는 3773개였고, 그중에서 1085개(29%)의 발화가 스몰토크로 분석되었다. 이는 전체 대화 중 대략 1/3에 해당하는 것이다. 연령에 따른 학령전기 아동의 스몰토크 사용을 살펴본 결과, 3세 집단은 총 1324발화 중 363 발화(27%)가 스몰토크로 나타났으며, 4세 집단은 총 1019발화 중 257발화(25%)가 스몰토크로, 5세 집단은 총 1430발화 중 464발화(32%)가 스몰토크로 나타났다. 연령 집단 간 스몰토크 범주별 빈도에서는 3세 집단의 경우 승인/거절 범주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4세와 5세 집단에서는 비속어/감탄사 범주 빈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에 3세와 5세 집단에서는 정보 공유 범주 빈도가 가장 낮았지만 4세 집단에서는 에티켓 범주 빈도가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학령전기 아동의 스몰토크 사용을 살펴본 결과, 남아 집단은 총 1796발화 중 493발화(27%)가 스몰토크로 나타났으며, 여아 집단의 경우 총 1977발화 중 591발화(30%)가 스몰토크로 나타났다. 성별 집단 간 스몰토크 범주별 빈도에서는 두 집단 모두 비속어/감탄사 범주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나 반면에 정보 공유 범주에서는 두 집단 모두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른 스몰토크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Kruskal-Wallis Htest를 실시한 결과, 연령 집단 간 스몰토크 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χ2=1.466, p>.05), 스몰토크 범주별 빈도에서는 환경 통제(χ2=10.658, p<.01) 및 대화 개시와 종료(χ2=8.071,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스몰토크 차이를 확인해 보기 위해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한 결과, 남녀 집단 간 스몰토크 빈도(Z=0.374, p>.05) 및 스몰토크 범주별 빈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스몰토크는 연령에 따라 사용 특성이 달랐으나 성별 요인과는 관련이 없었다. 어린 아동의 스몰토크 사용은 전체 발화의 대략 1/3을 차지할 정도로 일상 대화에서 많은 양을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과정에서 스몰토크 특성과 구체적인 어휘 사용 패턴을 고려하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mall talk usag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and provide small talk vocabulary list to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 who considers apply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tudy subjects were 30 normal preschool children of age 3-5 who attend kindergarten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o consider the age and gender factors, the age group was restricted to 10 children each, and gender to 5:5 male and femal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kindergarten class the study subjects attended for two months; their utterance produced during their free play time was recorded, transferred and sorted by Ball, Marvin, Beukelman, Lasker, & Rupp, 1999 sorting standard to analyze small tal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preschool children’s utterance was 3,773; out of that 1,085 (29%) utterance was analyzed as small talk. This takes up about 1/3 of the total convers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school children’s small talk usage by age, 363 (27%) out of a total of 1,324 utterances of the group of age 3 were shown as small talk; 257 (25%) out of a total of 1,019 utterances of the group of age 4 were shown as small talk; 464 (32%) out of a total of 1,430 utterances of the group of age 5 were shown as small talk. In the small talk frequency by category among age groups, the confirmation/negation category frequency in the group of age 3 marked the highest, while expletives/exclamations category frequency in the group of age 4 and 5 marked the highest. The information sharing category frequency in the group of age 3 and 5 marked the lowest, with social etiquette category frequency in the group of age 4 marked the lowe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school children’s small talk usage by gender, 493 (27%) out of a total of 1,796 utterances of the group of boys were shown as small talk; 591 (30%) out of a total of 1,977 utterances of the group of girls were shown as small talk. In the small talk frequency by category between gender groups, expletives/exclamations category marked the highest in both groups, while information sharing category in both groups marked the lowe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Kruskal-Wallis H test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mall talk difference by age,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mall talk by age(χ2=1.466, p>.05); in the frequency of small talk by category, the environmental controls (χ2=10.658, p<.01) and conversational openers and closings (χ2=8.071, p<.05)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n, as a result of conducting Mann-Whitney U test to verify the small talk difference by gender, neither the small talk frequency between the groups of boys and girls (Z=0.374, p>.05) nor the small talk frequency by categor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preschool children’s small talk had different usage characteristics by age, but not by gender. The small talk usage of young children took up a lot of portions in everyday conversation, roughly as much as 1/3 of the total utterance. The consideration of small talk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vocabulary usage patterns in the speech and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cess is prospected to be beneficial.

      • Carbon-Based SnO2 Electrodes for High-Rate and Stable Li-Ion Batteries : 카본계열 물질을 통한 고출력, 고안정성 이차전지용 주석산화물 활물질 개발

        남승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의 리튬이차전지는 물리, 화학, 그리고 재료 분야에서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미래의 에너지원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이러한 방식이 효율과 비용의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논문 심사에서는 리튬 이온전지에서 사용되는 전극개발에 관한 연구에 대해 언급할 예정이다. 1장에서는 리튬 이온전지에서 쓰이는 대표음극물질인 주석산화물 (SnO2)전극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주석산화물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구조를 변화시키거나, 카본계열의 물질로 코팅하는 기법들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결과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기존의 주석산화물에 카본을 코팅하였을 때의 향상되는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보고와 코팅이 산화물계열의 음극활물질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비정질 카본 코팅이 주석산화물의 부피팽창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며, 나노크키의 입자들이 충방전도중 응집된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비정질 카본의 주된 역할임을 알게 되었다. 3장에서는 그래핀으로 주석산화물 입자를 감싸는 것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단순히 주석산화물 나노입자를 그래핀으로 싸는것에서 더 나아가 그래핀의 표면을 개질하여 리튬이온이 코팅레이어를 통과하는데 관련된 이온확산에 이로운 다공성 그래핀에 대한 언급이 있을 예정이다. 이러한 다공성 그래핀은 주석산 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록에서는 효과적으로 그래핀을 리튬타이타네이트 (Li4Ti5O12)에 코팅하는 방식과 그의 전기화학적 특성, 그리고 올리빈계 물질인 리튬철인산화물 (LiFePO4)을 합성하는데 생기는 불순물과 그것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결과들을 실었다. Even though energy sources are crucial to support our modern way of life, much of the demand for current energy is dependent on nuclear and fossil-fuel power. This accelerates global warming, and will eventually cause serious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Consequently, there is a great incentive to develop more efficient, pollution-free, and safe power sources, examples of which include fuel cells and solar cells. Additionally, some pioneers found that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could provide an attractive solution, and therefore, there is now a great deal of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better batteries. Since the performance of batteries is usually determined by electrode materials, people have been seeking for breakthrough challeng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nown materials. Among the various methods to improve the battery’s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clus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was proven effective in that they normally have reasonable electronic and ionic conductivity which are crucial for Li-ion batteries to operate. The advantage of carbonaceous materials also includes that the known materials can boost its performance by making synergy between them. Therefore, in my thesis, I chose SnO2 as a host material, and focused on the physical/chemical origins of the improved properties when the carbonaceous materials are incorporated to SnO2. In Chapter 1, the issu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nO2 for practical application are briefly introduced, mainly dealing with the development of nanostructures of SnO2. In Chapter 2, disordered-carbon-coated SnO2 nanoparticle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exact role of carbon in the SnO2 anode. It was accepted that the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y of disordered-carbon-coated SnO2 is mainly attributed to the improved electronic conductivity. However, since carbothermal reduction of SnO2 occurs above 600°C, people normally do the experiments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500°C) when synthesizing C-coated SnO2 nanoparticles from various organic compounds. Therefore, it is unlikely that the carbon synthesized at those temperatures much enhances the conductivity of SnO2 anodes, because polymer precursors would have undergone insufficient carbonization. Therefore, I tried to investigate the exact role of carbon that is incorporated in SnO2 anodes, varying systematically the amount of carbon. I found out that carbon coating h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sustaining the domain of each Sn nanoparticle to prevent their aggregation, rather than of boosting electronic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From the finding that the inevitable pulverization of SnO2 particles can be resolved by carbon-based materials even with disordered carbon that does not assume enough electronic conductivity, I decided to adopt reduced graphene oxide that has higher conductivity than the disordered carbon below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carbothermal reduction of SnO2 occurs. However, merely encapsulating SnO2 with sufficient amount of carbon cannot ensure the high-rate capability, since the motion of Li+ through the coating layers can be prohibited. Thus, in Chapter 3, graphene was used as a wrapping agent, and it was modified to have a large porosity in order to make graphene sheets favorable for Li-ion diffusion. Consequently, the porous-graphene-wrapped SnO2 exhibits a high rate capability superior to the SnO2 with either less-porous graphene or disordered carbon, while maintaining a stable cycle-life performance for 100 cycles. In Appendix 1, an effective way of synthesizing graphene-wrapped Li4Ti5O12 particles was introduced by solid-state reaction between graphene-oxide-wrapped P25 (TiO2) and Li2CO3. It is my explicit intent to find a cost-effective way of synthesizing graphene-wrapped LTO which involves the use of commercial TiO2 (P25) as the LTO precursor. I expected that a group of TiO2 nanoparticles confined in graphene oxide would change to a single-crystal LTO tightly bound by the graphene networks by considering the volume expansion from TiO2 to LTO (by ~32%). As a result, the graphene-wrapped LTO shows the best rate capability (147 mAh g-1 at 10 C) ever reported, and is also beneficial for the tap density taking advantage of the relatively-large size of the particles (~150 nm). Finally, in Appendix 2, carbon-coated LiFePO4 nanoparticles were demonstrated which were obtained from a polymer-coated hydrous FePO4 via the in-situ polymerization of aniline. Difficulties which arise in synthesizing a pure LiFePO4 phase come from achieving the exact stoichiometry between the added Li source and hydrous polyaniline-coated FePO4.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mount of residual H2O and polyaniline in FePO4 to achieve the exact stoichiometry of Li vs. Fe. The phase impurities induced by inappropriate amount of Li severely deteriorat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coated LiFePO4. On the other hand, the carbon-encapsulated LiFePO4 nanoparticles with the exact amount of Li show a capacity of ~145 mAh g-1 at 5 C, and exhibit a capacity of 170 mAh g-1 for 250 cycles at 0.1 C which is close to the theoretical value.

      • 리모델링에 따른 대학 공연장의 음향성능 변화 및 개선

        남승훈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립된 대학 공연장들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가능한 음향적 요구 조건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만 기존에 건립된 대학 공연장들은 최적화된 음향성능의 확보라는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시점에 건립되어 많은 음향적 결함을 안고 있다. 이러한 음향적 결함들로 인해 대학 공연장에서 공연 시 음이 너무 건조하거나 딱딱하게 들리게 되어 관객들로부터 불만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을 실시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시설의 노후화를 개선하는 수준에만 그쳐 음향성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W대학 공연장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 음향성능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대학 공연장의 음향성능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을 통해 물리적 음향성능 개선에 따른 주관적 음향성능의 만족도와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1. 리모델링 전 대학 공연장의 음향성능은 SPL(A)는 66.9dB(A), SPL500Hz는 62.7dB, RT500Hz는 0.88초, D50,500Hz는 62.8%, C80,500Hz는 5.8dB, RASTI는 69.2%였다. 리모델링 후 음향성능은 SPL(A)는 65dB(A), SPL500Hz는 57.8dB, RT500Hz는 0.87초, D50,500Hz는 59.8%, C80,500Hz는 5.6dB, RASTI는 69.2%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모델링 전·후 음향성능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강연과 집회 이외에는 활용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제안된 개선 후 대학 공연장의 음향성능은 SPL(A)는 66.4dB(A), SPL500Hz는 61.3dB, RT500Hz는 1.36초, D50,500Hz는 44%, C80,500Hz는 0.6dB, RASTI는 53.2%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향성능 개선 후 대학 공연장은 강연 및 집회 이외에도 다양한 행사 및 공연이 가능한 다목적 공간으로 개선되었다. 3. 리모델링 전·후 마감재료의 변경을 통한 흡음요소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정수(R)는 325㎡, 흡음력(A)은 145㎡, 평균흡음률()은 0.04만큼 증가되어 물리적 음향성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정수(R)는 1,021㎡, 흡음력(A)은 517㎡, 평균흡음률()은 0.13 만큼 감소시킨 결과 “다목적 홀”에 적합한 음향성능을 확보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음향성능이 개선된 대학 공연장에서는 강연과 집회 뿐만 아니라 콘서트와 음악회등과 같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4. 가청화 기법을 이용하여 개선 전·후 주관적 음향성능에 대한 변화를 파악해 보면 “명료성”, “선명함”은 개선 전에 비해 낮게 평가 되었으나 “울림”, “친밀감”, “크기”, “포근함”, “균형”, “확산감”은 높게 평가 되었다. 각 평가어휘별 반응의 개선량을 살펴보면 “명료성” 22.9%, “선명함” 24.3% 감소하였으며, “울림” 27.1%, “친밀감”과 “크기” 21.4%, “포근함”과 “균형” 18.6%, “확산감” 30% 증가하였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을 개선하면 주관적 음향성능에 대한 만족도도 개선됨을 알 수 있다. While the recently built performing arts halls in universities have fully reflected acoustic requirements that enable diverse genres of performance, the existing ones have lots of acoustic defects because they were built with no definite concept of securing optimized acoustic performance. These acoustic defects lead to too dry or tough a sound in a performing arts hall, consequently causing continuous dissatisfaction among audiences. Remodeling, which just involves improvement of aged facilities for a financial reason, fails to improve acoustic performance significantly.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measured acoustic performance of the performing arts hall in W University; on this basis, acoustic simulation was used to suggest optimized acoustic performance for a performing arts hall of a university. Psycho-acoustic experiment using auraliz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and changes in,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based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1. As for pre-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of the performing arts hall in the university, SPL(A) was 66.9 dB(A), SPL500Hz 62.7 dB, RT500Hz 0.88 sec, D50,500Hz 62.8%, C80,500Hz 5.8 dB, and RASTI 69.2%. As for post-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SPL(A) was 65 dB(A), SPL500Hz 57.8 dB, RT500Hz 0.87 sec, D50,500Hz 59.8%, C80,500Hz 5.6 dB, and RASTI 69.2%.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oustic performance after remodeling and it is hardly useful for any other purpose than lectures and gather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2. As for acoustic performance of the performing arts hall in the university after improvement using acoustic simulation, as suggested, SPL(A) was 66.4 dB(A), SPL500Hz 61.3 dB, RT500Hz 1.36 sec, D50,500Hz 44%, C80,500Hz 0.6 dB, and RASTI 53.2%. After the improvement in acoustic performance, therefore, the performing arts hall in the university was remodeled into a multipurpose space, which enables diverse events and performances in addition to lectures and gatherings. 3. As for the changes in the absorption elements by the changes in the finishing materials after remodeling,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the room constant (R) increased by 325 ㎡, absorbing power (A) by 145 ㎡, and the mean absorption coefficient () by 0.04. However, acoustic simulation was used to reduce the room constant (R) by 1,021 ㎡, absorbing power (A) by 517 ㎡, and the mean absorption coefficient () by 0.13 and secure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a "multipurpose hall." So the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changed the performing arts hall in the university to hold various genres of performance, such as concerts, as well as lectures and gatherings. 4. As for the changes in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after improvement using auralization, definition and clarity were at lower levels and reverberant, intimacy, loudness, warmth, balance, and diffusion were at higher levels. As for the improvement of responses to each vocabulary, definition and clarity decreased by 22.9% and 24.3%, respectively, and reverberant, intimacy and loudness, warmth and balance, and diffusion increased by 27.1%, 21.4%, 18.6%, and 30%,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mprovement in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can improve satisfaction with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 아마 인피섬유 발생과정의 형태학적 연구

        남승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인피섬유는 오늘날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천연섬유의 하나이다. 약 7000년 전 줄기로부터 섬유를 채취하여 주로 의류섬유로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단열재와 기름흡착제의 원자재로서도 이용성이 검토되고 있다. 아마는 성장할수록 줄기 피층부의 인피섬유의 세포벽이 비후되는데, 1차벽의 안쪽에 2차 세포벽으로 점차 차게 된다. 본 연구는 아마 줄기의 발달과정 특히 인피섬유 2차 세포벽의 비후과정을 생장단계별로 관찰함으로써 용도에 적합한 섬유세포의 수확시기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장단계별 인피섬유의 식물학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아마섬유의 산업용 섬유소재 개발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아마줄기의 두 개의 주요부분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다. (1) 표피(epidermis), pectin과 hemicellulose가 풍부한 세포벽을 가지는 피층(cortex) 유세포에 둘러싸인 20∼50개의 인피섬유 다발이 있는 인피섬유층과 , (2) central lumen을 포함하는 중앙목질화 부분으로 구분되어있다. 목질화 부분은 목질 섬유와 도관으로 되어있다. 전체 아마 줄기에서 인피섬유세포는 15∼20%를 차지한다. 아마 줄기에서 중앙 목질화 부분은 더욱 크게 확장되어진다. 인피섬유가 발달하는 동안 1차 세포벽의 두께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2차 세포벽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두꺼워졌다. 아마 줄기의 처음 생장단계에서는 줄기 대부분이 1차 세포벽으로만 이루어져 있었으며 섬유세포는 나타나지 않고 수(pith)로 차 있었다. 이후 점차 생장하는 동안 수 조직이 붕괴되었으며 표피로부터 5번째 아래의 피층 세포층에서 처음 적은 수량의 인피섬유 세포층이 관찰되었다. 60일 생장시료에서는 줄기의 두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인피섬유층이 점차 두꺼워졌으며 내강의 넓이가 작아졌고. 중앙 목질화 부분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80 일 생장 시료에서는 인피 섬유층이 2∼3 개로 늘어났고, 중앙 목질화 부분이 더욱 확장되었고, 피층(cortex) 조직이 점차 소실되기 시작하였다. 100일 생장시료에서는 중앙 목질화 부분이 급격히 확대되었고, 줄기의 두께도 더욱 증가하여 총 인피섬유수가 크게 늘어났으나 인피섬유의 두께와 넓이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피층의 완전소실로 인한 표피층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150일 생장시료에서는 인피섬유세포의 두께는 증가하였지만 인피섬유수가 100일 생장시료보다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줄기의 위치에 따라서도 수강(pith cavity)의 상태, 인피섬유 세포의 크기와 섬유다발의 수가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Bast fibers in flax (Linum usitatissimum L.)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for over 7,000 years in many countries as the sources for clothes, rope, tent. Recently, they are used as the materials of the oil adsorbent and the heat insulator. During the development of bast fiber in flax, secondary cell wall is additionally formed in fiber cell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cell wall.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howed that flax stems consisted of two main regions: (1) bast fibers were arranged in bundles and were separated by cortical parenchyma cells with pectin and hemicellulose rich cell wall (2) Woody core has lignified xylems, woody fibers and vessels. During the morphogenesis, the structure and ultrastructure of bast fibers in flax (Linum usitatissimum L.) were investigated under light (LM)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y(SEM). Six basic stages such as 30-day-old, 40-day-old, 60-day-old, 80-day-old, 100-day-old, and 150-day-old of developing bast fiber cells were revealed, which reflects the sequence of thickening of secondary cell wall. Bast fibers approximately occupied 15∼20 percent of a whole plant stem. The woody core was expanded into larger portion of a flax stem. During the development of bast fiber, the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ell wall was not changed,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secondary cell wall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sowing from 40 day-old to 150 day-old. The fiber number increased plentifully at 60 day-old and 100 day-old during the development of bast fiber in flax. However, the fiber number decreased at 150 day-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