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낙관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투지와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덕우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낙관성이란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갖는 특성을 말한다. 그러나 학업적 지연행동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주어진 학업 및 과제를 미루는 태도이다. 학업적 지연행동은 현실적이지 못한 목표와 반복적인 실패 따른 비합리적 신념에 의해 나타날 수 있고, 역경 및 실패공포에 따른 학업 의무의 부정 혹은 회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낙관성에 의한 심리적 여유에 따라, 현실을 객관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판단력과 문제 상황에 지속적인 직면 혹은 극복의지가 향상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업적 지연행동이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투지는 목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며, 진로태도성숙은 과제 및 시험 준비 등 학생의 현재 직면과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두 변인은 목표에 대한 뚜렷한 의식 제고와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필요성을 피드백해주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에 학업적 지연행동을 예방하는 주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두 변인은 낙관성과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경로를 매개하는 주요 변인으로 유력하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낙관성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투지와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휴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90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및 Scheffé의 사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투지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전공 성적이 높다고 판단한 집단이 낮다고 판단한 집단에 비해 낙관성, 투지, 진로태도성숙도 및 학업지연행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낙관성과 투지, 진로태도성숙도는 학업적 지연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낙관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를 통한 매개효과와 진로태도성숙도를 통한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낙관성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진로태도성숙도를 통한 이중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낙관성을 통해 삶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현재의 과제인 학업 행위에 대한 지연행동을 감소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투지가 진로태도를 성숙시키고 더 나아가 현재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대학생들의 주요 과제인 학업 행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의 투지의 증진과 이를 통한 진로태도의 성숙은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삶의 목표 성취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 禮拜音樂에 있어서 聖歌隊의 重要性과 問題點 硏究

        南德佑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a worship music is very high in the church. The location of the choir which can represent a worship music among them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worship music to develope it much better than before as mature church, I present the problem in a worship music with the standing of the choir, and try to look into the right role and function facilities of the choir. For this, We investigate the history and the true nature of the worship and worship music. And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grasped the importance with the facilities of the choir in the service. Through a making up question investigation also, I tried to take a rather objective view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choir. The result and the conten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history of the choir was investigated, by being divided into bible and historical background. Second, This research is to be examined by the importance of the choir in the worship music recognizing the nature of the worship, the differences between congregation and choir prases to God, and the function and roles of it. Third, To find the problem of the choir and have a solution of it, it is investigated to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aspects which ismusicality and religious beliefs. The aim at a choir praise of a worship music is at the role of mediator between God and the faithful with the heart to thank for the favors of God. General believers think the choir to be important in the worship. The survey shows the sense of satisfaction, which they are felt from their choir, to be very high estimated. Especially, they are felt to be emphasize not so much the musical level as the faith which the choir members have. Consequently, Because the chorus of the choir represent not a common music but a worship music. We should be in the pursuit of praising God and emphasizing the musicality at the same time. That's because the Saints do not take the favors absolutely from God if they heard the praise to ignore the musicality. Therefore, the praise of the choir can not be emphasized either, the musicality or the faith in God, and we should keep a maintain to develope the musicality and the faith in God equally.

      •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개선된 RC-SC벽체구조 연결부

        남덕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SC structure is partially applied to a nuclear power plant building, the SC wall should be connected to the RC foundation or RC wall. The connection between existing RC structures in nuclear power plants uses the lap splices method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below No.11 bar,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coupler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larger than No.11 bar. In the KEPIC SNG, a ductile non-contact lap splice and a baseplate type connection method are described for RC-SC wall structure connection. Although it does not distinguish th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bar size, it is expected that the baseplate type method, which is a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will be applied for connecting No.14 reinforcing bar when the ACI 349 technical standard is followed. The baseplate type connection method was first applied to Westinghouse’s AP1000. However, since there is no application experience in Korea, it should be verifi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hape and design variables for applicability. So far, tensile and bending performance test were performed on the baseplate type connection method using No.14 reinforcing bar. Since experimental test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detailed structural behavior of RC-SC wall structure connection,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totype model was needed to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RC-SC wall structure connection in detail. To figure out structural behavior for RC-SC wall connecti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s such as strain, load-displacement curve, and crack shape in this research. Also, the analysis method and procedure were proposed for developing RC-SC connection analysis model based on verified analysis model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structural behavior was performed and the needs of design improvement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evious design problems such as discontinuity of curvature, over design. Also, the improved design methods, such as the bending stiffness relaxation design, the baseplate design using linear analysis method, and the baseplate design applying bonding condition between surface plate and baseplate for loading distribution, were proposed. In order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design method, the structural integrity was confirmed by using the developed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The economic effects of improved design methods were verified through economic evaluation.

      • 생물정보 온톨로지에 기초한 단백질 구조정보 해석

        남덕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물정보학 분야에서의 온톨로지는 다양한 생물학적 의미들을 표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생물학 데이터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생물정보 온톨로지는 생물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에 대한 탐색과 추론 등 의미 전달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구조 예측을 지원하는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인 APSS내에서 각 구성원 에이전트들간에 온톨로지에 기초한 보다 정확한 의미의 구조 정보 전달을 통해 효과적인 단백질 구조 예측 작업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단백질 구조 관련 생물정보 온톨로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APSS 시스템 내에서 동작이 가능한 온톨로지의 설계 부분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설계된 온톨로지를 단백질 구조 예측 지원 시스템 내에서 적용하고, 이의 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Bio ontology constitute of structural concepts that represent various biological meanings in bioinformatics domain, which concerned of important technique that analysis biological concepts efficiently. In this paper, it support effectiv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throughout transfer structural information based on bio ontology and more exact structural information of meaning in the APSS that is a multi agent system which support a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with agent based system. Particularly, bio ont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of central data transfer process, exploit the information and infer the meaning from biological database. First of all, it explains bio ontology which is related on biological structure information and describes about the real ontology design where current operation is possible inside the APSS. At the conclusion, it applies the designed ontology on the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supporting systems and describes its application.

      • 문화적 맥락을 수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계획에 관한 연구

        남덕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문화적 맥락을 수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계획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남덕우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현대 사회는 과거와 달리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의 경우에 있어서도 탈장르화 현상이 급속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분야들 간의 상호 적극적인 연계에 따라 복합적인 ‘문화공동체’를 이루어내고 있다. 이와 같은 현대적 문화현상의 대표적인 예가 ‘인디문화’이다. 인디문화는 그 역동적인 성격으로 인해 상당한 파급효과를 갖고 있으나 문화를 수용하는 장으로서의 건축적 장치는 거의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디문화에 대한 사회학적 탐구를 기초로 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건축적 차원에서의 수용장치라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인디문화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하고 국내 수용현황을 알아보았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의 구성방식을 살펴보았다. 셋째, 서울시 서교동 일대의 실제대지를 선정하여 대지주변의 맥락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넷째, 복합문화공간의 건축계획을 위한 디자인 개념과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디문화는 대중문화의 비주류에 속하면서 기존 문화산업구조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하는 실천적 문화현상이다. 인디문화는 기존 사회질서에 대한 대안적 가능성과 문화적 실천을 통해 기존 사회구조의 모순으로부터 새로운 사회적 망을 설계하는 것으로서 많은 장애요인들에 의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점에서 인디문화 전용의 문화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장의 마련과 순기능을 수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의 필요를 확인하였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의 제안 대상지역을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인디문화가 형성되어있는 서교동 일대로 정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이 갖는 순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건축적 장치가 되도록 기존 문화공간과 다른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정보센터, 전시공간, 공연공간, 관람공간의 인디문화의 주요 기능을 수용하는 계획과 일반 대중과 문화가 교류하는 공간으로서의 야외공연장과 야외극장 등의 계획을 통해 인디 복합문화공간이 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계획 대상 대지의 문화적 맥락과 도시의 문화적 맥락을 프로그램에 적절히 수용하기 위하여 ‘urban void'를 주요 디자인 개념으로 삼았다. ‘urban void'는 일상생활 속에서 너무 익숙하여 쉽게 인지해내지 못했던 골목길, 주차장, 건물과 건물의 사이공간 등 작으면서도 인간적인 스케일을 가진 비워진 공간을 말한다. 이들과 건축적 장치와의 상호관계를 설정하는데 디자인의 초점을 맞추었다. 넷째, 디자인 요소인 대지, 골목길, 오픈스페이스, 사이공간 등을 반영한 디자인 개념의 처리 방법 (레이어에 의한 구분,물리적 맥락의 적용,대지와의 관계설정, 건물과의 연결)을 통해 인디문화를 수용하는 통합적 건축적 장치를 제안하였다. 인디문화의 주요 기능은 각각의 프로그램과 형태도출을 통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각 부분의 성격에 맞는 특징적 공간인 테라스, 야외공연장, 야외극장 등이 주변과의 관계를 통해 문화적 맥락을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의 도출을 통해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의 수용방법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였으나, 현실적으로 상당한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대표되는 인디문화의 속성을 보다 깊이 성찰하여, 기존의 문화공간과 차별성 있는 건축적 장치로 현살화 시키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plex Building Base on the Cultural Context Duk-Woo Nam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ong-Guk Yee) As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modern society has taken on a composite aspect in many fields. In the case of cultur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diverse genres led to form ‘Mixed Cultural Community'. One of them is called ‘Indie Culture.' Indie Culture is a dynamic movement in its nature and has been affected to other fields widely, but architectural settings as a place which accomodate this new culture are wholly lacking. Therefore this research has been analysed the cultural context of Indie Culture based on the social studies associated with it, and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 multi-cultural facility as an architectural setting has been presented. The procedures to achieve the suggested goal are as follows; 1. I have made a general survey of researches on Indie Culture and looked into the current domestic status of its reception in our society. 2.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general multi-cultural facility has been examined. 3. After selecting a real site of Seogyo-dong district in Seoul, physical contexts around the site has been analysed at various points of view. 4. Finally, design concepts and space programs for the multi-cultural facilty have been created and the proposal based on them also has been present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s are as follows; 1. Indie Culture belongs to one of the minorities in the pop culture, but it identifies itself as a practical cultural phenomenon,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conventional fabric of cultural industry. Though Indie Culture attempts to design a new social network free from the paradoxes of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 by seeking alternative potentials to the existing social order through performance of new cultural norms, it has limitations due to many impeding elements. Therefore, I could confirm that a cultural complex that can adequately help performing the cultural functions dedicated to Indie Culture is required. 2. I decided to locate the multi-cultural complex in Seogyo-dong area where Indie Culture is best established in Korea. Also, I designed the space programs different from the program of existing cultural complex so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al setting may further develop the desirable functions of Seogyo-dong area. The proposed multi-cultural complex includes those spaces that accommodate such main functions of Indie Culture as an exhibition hall, concert hall, theater, design and music studios. And also includes those spaces where the general public may meet with Indie Culture easily such as an information center, outdoor performance hall and outdoor theatrical arena. 3. I adopted ‘urban void' as my main design concept to accommodate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arget site and the city. The ‘urban void' means empty spaces with small scale or human scale in the city, including those that we do not easily perceive in our everyday life. Alleys, parking lots, and spaces between buildings belongs to them. My proposal i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settings and these urban voids. Key Words : Indie Culture, Multi-Cultural Complex, Urban Void, Cultural Context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t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ngineering Conferred in February, 2003

      • KOSPI200주가지수차익거래에 관한 연구 : 괴리율을 중심으로

        남덕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market in Korea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comparatively short period of history. This dissert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uropean financial crisis due to a moratorium announcement of Greece between 2010 and 2011 and the second quantitative easing in the U.S. as well as the external factors of tsunami disaster in Japan on KOSPI200 stock index in Korea, was conducted to derive the theoretical value of KOSPI200 futures and to unearth the disparate ratio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actual value and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actual value by using a cost of carry model. It was analyzed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11 an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used was 395. A program used was SPSS18.0 and the result value was derived through the basic statistics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a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value and actual value was not significant and KOSPI200 stock index futures that is similar to the results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had continuously been undervalued compared to the theoretical value. A difference of the disparate ratio, however, was not significant while volume was greater than the past. With this result, we could predict that there has been effective investments made as the investors predict better and acquire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tha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impact made on the market for the last two years. We could also predict that the stock index futures market has matured so it has easily cultivated a reaction capability in a certain degree regardless of growing volume.

      • 하이브리드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남덕우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사회는 탄소배출량 저감 등 녹색 성장을 위해 노후 된 구조물의 보수, 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있다. 기존의 철근, PC강재, 강판 등을 사용한 보강방법은 자중의 증가와 부식 및 내구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반면, FRP 섬유를 이용한 보강 방법은 기존 보강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1990년대 초반부터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FRP섬유 보강 방법은 FRP섬유가 탄성-선형거동을 하여 보강된 구조물이 취성파괴를 일으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FRP섬유의 취성 파괴 특성을 보완하고자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조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로 탄소, 유리, 아라미드 섬유 등 FRP섬유 제조 시 두 가지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하이브리드(hybrid)FRP시트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FRP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거동은 하이브리드 시트가 인장을 받는 경우에는 강성이 높은 섬유가 일정한 변형률에서 먼저 파단하고, 이후에 두 번째 섬유가 인장에 저항하여 높은 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하이브리드 FPR시트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는 보강재의 파괴 시 큰 변형으로 인해서 상당한 처짐을 보여주며, 강성이 높고 극한 변형률이 작은 섬유가 먼저 파단 시 큰 소음으로 구조물의 붕괴상태에 근접했다는 경고를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제작된 하이브리드FRP섬유로 보강한 철근 콘크리트 보의 보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강 유무와 보강량, 보강형태 및 부착공법에 따라 10개의 실험체를 계획, 제작 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실험체 파괴모드 휨 실험체의 경우, 하이브리드 FRP 패널로 보강된 대부분의 실험체가 Rip-off 파괴로 최종파괴 되었으며, 시트로 보강된 실험체는 보강재가 박리되는 Debonding 파괴와 압축 파괴 (Compressive)과 동시에 진행되며 파괴되었다. 전단실험체의 경우, 여러개의 패널을 사용하여 가로 혹은 세로로 압착 보강된 RSCGP-300-2, RSCGP-300-3 실험체는 콘크리트 압축연단이 파괴되는 양상을 나타냈었다. 하지만 하나의 패널로 주입 보강한 RSCGP-300-1 실험체는 보강재가 콘크리트를 물고 떨어지는 Rip-off 파괴양상을 보여주었다. 2)최대내력 평가 실험결과 휨 실험체는 패널로 보강된 실험체들이 Rip-off 파괴모드를 보이며 기준 실험체 대비 15~16%의 내력 증가를 보인 반면, 시트를 하부 및 단부에 U형으로 보강한 실험체가 기준 실험체보다 내력이 최대 52%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단부에 U형으로 보강한 시트가 하부 휨 보강 시트의 박락을 구속해 준다는 의미로 기존연구에서도 제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의 Debonding 파괴나 Rip-off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부의 적절한 구속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전단실험체의 경우, RSCGP-300-1 실험체가 기준 실험체보다 최대내력이 124%로 높은 최대 내력을 나타내었으나 최대 내력이후 Rip-off 파괴 양상을 보이며 급격히 내력이 떨어지는 취성적인 파괴양상을 보여 주었다. RSCGP-300-2, RSCGP-300-3 실험체의 경우 기준 실험체 대비 각각 22%, 29%의 높은 내력을 보여주었고, 최대 내력 이후에도 매우 연성적인 거동을 보여주면서 최종적으로 실험체가 압축파괴 되었다. 이는 하이브리드 FRP 패널이 전단 균열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부착공법에 따른 영향평가 휨 실험체의 경우 부착방법을 달리한 RBCGP-300-1(압착보강), RBCGP-300-2(주입보강) 실험체 모두 최대내력은 97.0kN으로 동일하게 나타내었고, 변위연성비를 평가한 결과 0.23, 0.20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보강재의 1차 파단 후 내력은 압착공법을 사용한 RBCGP-300-2 실험체가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RBCGP-300-2 실험체가RBCGP-300-1 실험체에 비해 보강재의 양이 1.5배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추후 보강 량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단실험체의 경우, 주입보강을 한 RSCGP-300-1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 대비 2배가 넘는 내력을 보였지만 Rip-off 파괴 후 취성적 양상을 나타내었고, 압착보강을 한 RSCGP-300-2, RSCGP-300-3 실험체는 RSCGP-300-1실험체에 비하여 낮은 내력을 보여주었지만 최대내력 이후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다 최종적으로 실험체가 압축파괴 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구조물과 하이브리드 FRP 패널의 부착공법은 주입보강 보다는 압착보강이 보강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 보강 량에 따른 영향평가 실험결과 보강 량이 1.5배 많은 RBCGS-200-2 실험체가 RBCGS-200-1 실험체보다 최대내력에서는 5%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변위연성비는 3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부 3겹의 시트로 보강한 RBCGS-200-2실험체의 경우 첫 번째 보강재의 파단이후 비교적 빠른 Debonding 파괴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하이브리드FRP 시트의 구조물 보강 성능은 보강량 보다는 부착성능이 더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5) 보강형태에 따른 영향평가 실험결과 최대내력 면에서 하나의 패널로 보강된 RSCGP-300-1 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