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에 기반한 문화유산 활용 방안 :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을 중심으로

        김희재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Since 2008, the Cultural assets Administration has started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and public subscription as well to provide various standards and direction in utilization of the cultural assets. Under the influence of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which has run over 10 years continuously, the cultural assets which used to be considered something to be preserved has been utilized and come into the life. Thus, it set up environment to enjoy cultural assets. Hyanggyo is the government-run school with its clear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role and has long history. It’s used as place for preservation society and Confucian scholars and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Such plac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extended to the quantitative growth-centered policy and been utilized as historic resource depending on Hyanggyo’s function and its roles. With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shifting concept from the cultural assets to cultural heritage over time, the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relieved common idea that cultural assets are obstacles in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Hyanggyo utilizations project has been developed and it turned into place where the public visited. In this way, this study discovered how to utilize Hyanggyo based on its historic and cultural space characteristics. The concept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has its own specificity, the historicity which is not easily recognized in real life. Also, it has space concept as it’s established with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search and case analysis came up with three elements: Space (Hardware)·Contents (Software)·Manpower (Humanware). Hyanggyo has its restricted space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historic function, but needs to create future value and be changed with influx of modernization. For the same reason, it’s required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set up the integrated business administration system to strengthen competitive power for Hyanggyo. To sum up,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and cultural space. Moreover, it’s necessary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reflect them to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Therefore, Hyanggyo should foster its power as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and go through the branding process in the long term to go forward into future assets from the past. 2008년부터 문화재청에서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사업 공모를 통해 문화재 활용방안에 대하여 여러 기준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영향으로 보존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던 문화재가 활용되고 생활 속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문화재를 향유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향교는 설립의도와 명확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관립학교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공간은 보존회와 유림 중심의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었고, 지역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 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은 양적 성장 중심의 정책으로 확대되었으며,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 역사자원으로 활용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문화재의 개념에서 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변화되는 대외적인 환경변화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문화재가 지역의 장애물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완화하였다. 또한, 향교 활용사업 콘텐츠가 개발되고 대중이 찾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역사문화적공간의 개념은 실생활에서 체감하기보다 역사성이라는 특수함을 지니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space)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Hardware)·콘텐츠(Software)·인적자원(Humanware) 세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향교 공간은 설립의도와 역사적 기능에 따라 제한적이지만 현대적 흐름에 따라 적합한 미래 가치를 만들고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출된 세가지 요소를 융합하여 통합적 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향교 고유의 경쟁력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즉, 문화재 활용사업이 역사문화공간의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세가지 도출된 구성요소를 융합하여 문화재 활용사업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공간으로서 자생력을 얻고 장기적으로 브랜드화의 과정으로 발전하여 과거의 역사에서 미래의 유산으로 나아가야 한다.

      •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김희재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미망 분석을 통해 넷플릭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및 이용동기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연령대, 직업, 가구원수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이용동기들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초통계분석을 실시 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관한 단답형 설문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망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진행 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분석과 의미망분석을 통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기초통계분석결과, 이용행태는 다시보기, 몰아보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용동기는 여가시간 보내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용장소는 집에서 많이 이용하는 결과를 보여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은 넷플릭스 이용에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의미망 분석 결과, 이용자들의 이용이유와 경험에서 “콘텐츠”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 시 만족과 불만족에서는 뚜렷한 차이점을 볼수 있었다. 또한, 만족과 불만족 간의 단어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영향에 대한 이용자들은 이용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결국, 넷플릭스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영화”, “드라마” 등 장르에 관계 없이 “편리”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시청” 하고 “이용”하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understand the usage motivations and behaviors of Netflix users b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irst of all, we carried out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for checking the motivation of usage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group, occup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for examining the users’ behavior of usage. In addition, we proceeded wit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short-answer questionnaires on user’s behavior of usag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get the data for our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s through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we found that, in terms of the usage behavior, the frequency of replay and binge watching were high. As for the motivation of usage, spending the free time was the highest. Home was most highly favored as a place of watch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came to draw a conclusion that users were satisfied with watching Netfli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networks, we found out that, in terms of the users’ reason of use and experience, the frequency of “the content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apparent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hile using. In addition, the vocabulary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ppeared in common. As for the effect of the media, it appeared that the us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use. After all, the results showed that Netflix users woul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freely watch and take advantage of various media regardless of genres such as content, movie and drama in a convenient environment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places, anytime, anywhere.

      • 내독소로 유도되는 Nuclear Factor kappa B 활성화에 미치는 Src family kinase의 조절기전

        김희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Src family tyrosine kinases (TK)가 내독소로 인해 유도되는 NF-κB 활성화 신호전달체계에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내독소 (LPS)나 TNFα와 같은 여러 자극제는 IκB-α의 serine 기 또는 tyrosine 기의 인산화를 통하여 NF-κB 를 활성화 시킨다고 알려진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W264.7 대식세포를 내독소(LPS)에 노출시킨 후 Src TK 가 NF-κB 활성과 염증인자의 생성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내독소 투여로 인한 NF-κB 활성에 있어서 Src TK 의 기본적인 작용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Damnacanthal 이나 PP1 은 Src TK 특이적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rc TK 의 특이적 억제제인 damnacanthal 이나 PP1 을 사용하였고, RAW 264.7 대식세포에서 Src TK 특이 억제제의 전처치는 내독소로 유도되는 NF-κB 활성을 차단시켰다. 또한 내독소 투여로 증가된 NO 생성은 damnacanthal 이나 PP1 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이런 TK kinase 억제제는 내독소로 유도되는 serine 기 인산화와 IκB-α 분해 그리고 NF-κB 의 subunit 인 p65 가 핵으로 전위되는 것을 억제시켰다. IκB-α의 serine 기 인산화 뿐 아니라, RAW264.7 대식세포에서 내독소로 유도되는 NF-κB 활성화는 IκB-α tyrosine 기 인산화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damnacanthal 이나 PP1 은 내독소로 유발되는 tyrosine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를 내독소에 5 분부터 60 분까지 노출시킨 결과 Src TK 인 Lck, c-Src, Lyn 는 활성화 형태로 IκB-α와 직접적으로 연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RAW264.7 대식세포에서 내독소 노출로 초래되는 NF-κB 활성화경로가 IκB-α serine 기와 tyrosine 기 모두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Lck, c-Src, Lyn TK 가 두가지 다른 NF-κB 활성 기전에서 직접 그리고 간적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사료되었다. Src family tyrosine kinases (TK) have been found to be involved in LPS induction of signal cascades. Furthermore Lipopolysaccharide (LPS) or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activat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κB (NF-κB) by inducing serine or tyrosine phosphorylation of the inhibitory subunit of NF-κB (IκB-α).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rc TK in NF-κB activation an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LPS 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Src TK play a role in LPS-induction of the possible pathways leading to NF-κB activation. Inhibition of Src TK with damnacanthal or PP1 blocked LPS-induced NF-κB activation at the range of nanomolar concentrations. Substantial inhibition in LPS-induced production of NO was also observed in cells treated with damnacanthal or PP1. These kinase inhibitors blocked LPS-induced the serine phosphorylation, the degradation of IκB-α, and the consequent translocation of p65 subunit of NF-κB to the nucleus. In addition to the serine phosphorylation of IκB-α, LPS-induced NF-κ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also required for tyrosine phosphorylation of IκB-α. Furthermore, Lck, c-Src or Lyn TK was physically associated with IκB-α. This association was observed after 5min of LPS stimulation and sustained through a 60min exposure of RAW 264.7 cells to 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PS-induced NF-κB pathways are dependent on both serine an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Lck, c-Src, and Lyn TK are key components of the LPS signaling pathway by at least two different mechanisms of NF-κB activation.

      • 암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등 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 연구

        김희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development of edge-cutting scientific technigue and info-communication, today we are surrounded by flooding various visual images from visual media on our everyday life. In such social situations students who are yet wanting in judgment should improve their ability in visual literacy to be not under the control of visual images, to understand visual messages exactly, to receive them critically, to use them adequately and meaningfully, to express their thought and to create visual messages through visual media. Visual literacy should be treated in fine arts education because fine arts is the one school subject which deals with all the visual characteristics as the root of the matter. Especially elementary students in elementary fine arts education stage should improve their ability in visual literacy about photography since photography is a beginning as well as an typical example of visual media in terms of applied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evelopment of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about photography in elementary fine arts subject. With the view of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ing visual literacy,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composing elements of visual literacy, some visual literacy education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and a significance of visual literacy in elementary fine arts subject. These enabled this study to adopt visual cognitive capability, critical receptive capability, proper applicable capability, spontaneous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creative formative capability as the composing elements of visual literacy to apply for the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ing photography, this study tried to build up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by researching the concept, history, types, characteristics, visual elements of a photograph and their expressions, relation with art of photography and significance of photo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fine arts subject. Third, this study researched the significance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bout photography in elementary fine arts subject and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visual literacy education about photography, which are adopted in the 7th art education course for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textbook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nd prior research. Forth, this study tried to set up the purpose and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visual literacy class about photography, to formulate a class model and to develop the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A sixth grade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Pusan with 31 students was targeted for this instructions. This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applied to the actual class carried out total of 4 learning units with 3 learning stages which are divided to basic understanding, basic expressing, creative expressing. Some learning units are run for 80 minutes and others for 120 minutes, which needs 9 classes to make the whole programs run. The detail of the learning units is ; the basic understanding stage is <The world of interesting photography>, the basic expressing stage is <The world looking with a new viewpoint>, the creative expressing stage① is <newspaper photo with theme> and the creative expressing stage② is <Photo story>. Fifth, a research worker analyzed effects of such models on classwork based on prior and posterior questionnaire about original classwork, artwork cases and observation during classwork.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It seem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of teaching-learning through this study served to improve interest about photography as well as visual cognitive capability, critical receptive capability, proper applicable capability, spontaneous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creative formative capability.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remedial solutions about problems and difficulties during the classwork, and make more studies and efforts for the possible visual literacy program of teaching-learning about photography in elementary fine arts subje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영재들이 암호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배운 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암호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사고하고 반응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암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등 수학영재의 유연성은 어떠한가? 1) 암호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고정된 사고 극복 능력은 어떠한가? 2) 암호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사고(발상)의 전환 능력은 어떠한가? 나. 암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등 수학영재의 정교성은 어떠한가? 1) 암호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은 어떠한가? 2) 암호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표현은 어떠한가? 3) 암호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기호적 표현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는데, 이들은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운영되는 교육청 영재교육원과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2년 이상의 교육을 받아왔다. 이들은 모두 암호학을 접한 적이 없거나, 암호학을 접해봤지만 깊이 있게 배운 경험은 없었다. 연구문제 ‘가’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연성을 문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정된 사고 극복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발상)의 전환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두 가지 특징을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각 특징을 4단계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나’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교성을 수학적 표현체계 중에 시각적 표현, 언어적 표현, 기호적 표현(암시적 기호, 정교한 기호)으로 구분하였다. 서로 다른 표현 체계를 대등한 입장에서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표현에서의 정교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가’에서는 고정된 사고 극복 능력과 사고(발상)의 전환 능력은 3차시까지는 대부분 3수준을 넘지 못하였으나, 두 명이 협력하여 암호를 만들어 낸 4차시 수업에서는 이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차시까지는 0·1수준의 학생들이 2·3수준의 학생들보다 많다는 사실에서, 수학영재들이 암호를 만들어 낼 때 기존의 사고나 관점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명이 협력한 4차시 수업에서는 3수준으로 도달한 학생들이 증가했다는 사실에서, 수학적 아이디어를 서로 교환하는 과정에서 고정된 사고 극복 능력과 사고(발상)의 전환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문제 ‘나’에서는 학생들이 암호화·복호화 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시각적 표현, 언어적 표현, 기호적 표현을 고르게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주로 언어적 표현으로 암호화·복호화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를 더 정교화하기 위하여 기호적 표현을 사용하였다. 또, 암호화·복호화 방법을 일반화하여 설명한 학생들은 모두 시각적 표현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수학영재들은 암호를 만들어 낼 때, ‘언어적 표현 → 기호적 표현 → 시각적 표현’ 순으로 정교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중등 수학영재들은 암호학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암호학 수업에서 암호학의 유용성, 수학과의 연계성, 암호화·복호화하는 방법, 암호 만들기를 다루어 보았는데, 모든 과정에서 수학영재들은 주어진 과제에 집중하여 도전하였다. 그리고 과제가 어려운 것일수록 주어진 시간에 관계없이 수학영재들의 과제집착력과 도전의식은 더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학영재들에게 지적 자극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영재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암호학 수업에서 중등 수학영재들에게 유연성이 잘 발휘되게 하려면 협동학습이 필요하다. 다른 수업도 마찬가지겠지만, 교과과정에 없는 암호학을 다룰 때는 암호에 대한 기본 개념이나 거기에 따른 수학적 지식은 반드시 필요하다. 수학영재들에게도 암호학 수업은 기존 배경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유연성이 잘 발휘되기는 힘들었다. 따라서 협동학습으로 수학영재들이 수학적 아이디어를 활발히 공유해야, 고정된 사고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중등 수학영재들은 암호를 정교화 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방식을 사용하였다. 언어적 표현보다는 여러 가지 수학적 기호를 사용한 기호적 표현을 선호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시각적 표현으로 자신의 생각을 일반화하여 나타내었다. 특히, 다양한 표현방식을 사용한 수학영재일수록, 자신의 생각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학적 내용을 정교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상적인 수학적 기호체계나 수학적 그림이 필요하다.

      • 경계의 재해석을 통한 김광석 문화 공원 계획

        김희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은 방천시장의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으로 계획되었으며,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옹벽을 활용하여, 김광석 관련 전시 벽화 등을 계획하였고 옹벽의 밖으로 야외 공연장을 계획되어 김광석 관련 축제를 하거나 각종 음악에 의해 하나하나씩 길에는 김광석으로 채워지기 시작한다. 야외 공연장의 계획으로 인하여, 공연장과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사이에 옹벽이 있게 되었다. 이 옹벽을 경계라는 주제의 대상으로 지정하여 경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며, 대상지의 문제점과 해결점 제시하며, 연구사례와 Case Study를 통하여 방법을 모색하여 경계를 해석하고 대상지를 분석한 결과로 김광석 문화 공원을 계획하고자 한다.

      •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김희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모의 발표수업을 통한 반성적 사고 및 교수 행동변화 내용, 그리고 교수 효능감의 변화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예비유아영어교사가 자신의 배경(i.e., 교수경험만 있는 집단, 연수경험만 있는 집단, 교수?연수 경험 둘 다 있는 집단, 교수?연수 둘 다 없는 집단)과 유아 영어 지도과에 입학한 동기(i.e., 영어가 좋아서, 유아가 좋아서, 주위의 권유로, 직업상 전망으로)가 교수 효능감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예비유아영어교사가 자신의 신념과 자질 형성과정과 교수-학습방법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P전문대학 2년제 유아영어지도학과 1학년 재학생 43명으로 아동극 수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예비유아교사들이 사전 사후 교사의 일반적인 효능감과 개인적인 효능감을 측정,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수경험의 유무, 연수경험의 유무 등, 사전배경에 따른 예비유아영어교사의 일반적인 효능감과 개인적인 효능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배경변인과 입학동기는 유아영어 교수효능감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전체 예비유아영어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의 사전 사후의 유아영어 교수 효능감의 변화량을 검정한 결과 일반적 교수 효능감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경험의 유무와 연수 경험의 유무를 가지고 배경에 따른 집단의 교수 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교수 경험과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교수 경험이 없고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상승하였다. 이에 반해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배경과 상관 없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예비유아영어교사들도 있었다. 유아지도학과 입학 동기에 따른 교수 효능감 비교 연구 결과에서는 유아영어교사를 선택 한 동기가 영어가 좋아서 또는 유아가 좋아서라고 답한 집단이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인 반면, 주위의 권유에 의한 과 선택은 교수 효능감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덟 명의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신념과 교수행동 변화내용과 과정은 어떠한가? 반성적 사고 경험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관심사가 개인에서 교사로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 반성적 사고를 통해 문제상황을 발견하고 재구성하는 능력은 예비유아영어교사의 관심사를 기술적 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실천적이고 행동적으로 바뀌었다. 이는 교수행위에 있어서도 명확한 계획과 지침을 가지고 진행 해야 한다는 사고에서 학습자와 함께 생각하고 구성하고 경험하는 맥락적이고 상황중심적인 교수행위가 되어야 한다는 사고로 전환이 되었다. 반성적 사고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에게 기계적으로 학습된 지식을 실제에 적용함에 있어서 유연하게 구사하는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교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종합해보면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반성적 사고 교육은 연구 대상자에게 체계적인 상황과 과정을 제시하여 결과중심이 아닌 과정중심의 교사 양성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예비유아영어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사고 변화와 교수활동에서의 문제 상황발견 및 재구성의 기회를 제공, 교사의 신념과 자질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시간압박, 조절초점, 인지적 종결욕구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간한정 메시지를 중심으로

        김희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Scarcity message is a message strategy that aim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by emphasizing that consumers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purchase the product. Time-limited promotion is also a scarcity message strategy, encouraging consumers to feel time pressure by a offering limited time to purchase at discounted prices or limited opportunity to purchase products. Consumers tend to exhibit psychological reactance if they are threatened with the freedom to purchase products by time limits. This can result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Consumers may appreciate the value of limited products and show a positive attitude and willingness to buy them, but excessive time pressure can make consumers perceive the risks of the purchase situation and cause negativ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rganize advertising messages that can reduce negative experiences and induce a positive attitude when carrying out promotions that induce time pressure.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me pressure, advertising message strategy with regulatory focus theo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need for cognitive closure, this study had a 2 (Time pressure: high/low) x 2 (Regulatory focus: promotion/prevention) x 2 (need for cognitive closure: high/low) factorial desig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f the advertisement mess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ssure and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tention via perceived risk in time-pressured situation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ime pressure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moderated effects of regulatory focus message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ed effects of perceived ris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ssure and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ime pressure and perceived risk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risk and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ten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higher(lower) time pressure increase(decrease) the perceived risk and consequently form negative(positive)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pressure and regulatory focus message.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promotion-focused message on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was more significant in the low(vs.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previous study that in the low time pressure condition, the risk is perceived to be low, thus making it more preferring to the promotion-focused message. However, in the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the differences in regulatory focus message condition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when time pressure is high, consumers perceive more risk and are overwhelmed by the time-lack situation, so they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advertising messages. Lastly,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pressure and need for cognitive closure.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low need for cognitive closure on purchase intention was more significant in the low(vs.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These results shows that consumers with a low need for cognitive closure are inconvenient to make a quick decision and to have a high time pressure, so they showed a more positive purchase intention under low time pressure than under high time pressure. However, in the case of consumers with a high need for cognitive closur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were affected by the discounted price information that helped to make a quick decision,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ime pressur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희소성 메시지 전략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구매 기회가 제한되어 있음을 강조하여 제품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메시지 전략이다.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혹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제한된 시간을 제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시간압박을 느끼도록 하는 시간한정 프로모션도 희소성 메시지 전략 중 하나이다. 소비자는 시간적 제한에 의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자유를 위협받게 되었을 때 자유를 되찾기 위한 심리적 저항을 하는데, 이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야기할 수 있다. 시간압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한정된 제품에 대해 희소하다고 느끼고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게 된다면 긍정적인 태도와 구매 의도를 보일 수도 있지만, 지나친 시간 압박감은 소비자가 구매 상황에 대한 위험을 지각하도록 하며 부정적인 태도와 구매 의도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압박감을 유도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 부정적 경험을 줄이고 긍정적 태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메시지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압박 상황에서 지각할 수 있는 위험과 조절초점을 적용한 광고 메시지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 그리고 개인차 변인인 인지적 종결욕구에 의해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시간압박: 고/저) x 2(조절초점: 촉진/예방) x 2(인지적 종결욕구: 고/저)의 삼원요인 피험자 간 설계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에 더해, 시간압박 상황에서 지각된 위험을 경유하여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광고 메시지의 조절초점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절된 매개효과의 분석 결과, 시간압박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조절초점 메시지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시간압박이 지각된 위험을 경유하여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시간압박이 지각된 위험에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지각된 위험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시간압박이 높아지면(낮아지면) 지각된 위험도 높아지고(낮아지고) 결과적으로 부정적인(긍정적인)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를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압박과 조절초점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시간압박이 낮을수록 예방초점 메시지보다 촉진초점 메시지 조건에서 더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시간압박 상황에서는 위험을 낮게 지각하게 되므로 이득 프레임의 촉진초점 메시지에 더 동기화되도록 한다는 선행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한다. 하지만 시간압박이 높은 조건에서는 조절초점 메시지 조건 별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 소비자는 위험을 더 크게 지각하여 광고 메시지보다는 시간이 부족한 그 상황 자체가 유발하는 위험에 더 압도당하여, 광고 메시지 조건 별로 유의한 광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시간압박과 인지적 종결욕구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은 조건에서는 시간압박의 조건 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은 조건에서는 시간압박이 높은 조건보다 낮은 조건에서 더 높은 구매 의도를 보였다. 이는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은 경우에는 빠른 종결을 지어야 하는, 시간압박이 높은 상황을 불편해하기 때문에 시간압박이 높은 조건보다는 시간압박이 낮은 조건에서 더 긍정적인 구매 의도를 보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은 경우에는 시간압박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빠른 종결을 도와주는 가격 할인 정보 그 자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간압박 조건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압박과 조절초점, 그리고 인지적 종결욕구의 삼원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단순단순주효과 분석 결과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은 조건에서 촉진초점 메시지를 보았을 때 시간압박 조건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외에 조절초점과 인지적 종결욕구의 이원상호작용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간압박이 야기할 수 있는 지각된 위험의 중요성과 시간압박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광고 메시지 유형, 그리고 고려해야 할 개인차 변인의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시간압박감을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