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방향 비교연구 : 외식·조리전공을 대상으로

        김희나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71

        국문초록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방향 비교연구 -외식·조리전공을 대상으로- 조리교육전공 김희나 지도교수 박계영 본 연구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 방향 비교연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따라 조리교육을 함에 있어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큰 영향을 줄 것을 예상하여 연구모형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분석(documentary analysis), 실증분석(empirical analysis)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분석은 교수요인, 교육시설, 학생만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을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실증조사에 필요한 개념 정립과 측정도구의 적절성에 대하여 기술 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설문지조사법(survey method)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01일부터 12월 10일(주말제외)까지 10일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외식·조리전공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고등학교, 대학교(전문대학 포함)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33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뺀 305매를(회수율 92%)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Window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방법, 교차분석, t-test, One 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e, 이원변량분석, 단순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설문항목이 신뢰성을 인정받기 위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알파(Alpha)계수가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높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0.6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설문항목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사항의 학력에 따른 졸업 후 희망하는 진로계획에는 고등학교 재학은 취업이 90.1%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2년제 대학 재학은 취업이 70.0%, 4년제 대학 재학은 취업이 55.7%로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진학을 할수록 취업률 보단 진학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졸업 후 희망하는 진로계획에는 특급호텔이 40.4%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식품계열회사가 20.2%, 프랜차이즈가 18.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학을 원하는 집단은 대학교, 대학원 진학이 72.1%로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유학을 원하는 집단은 미국이 53.8%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기타로는 이태리, 프랑스, 캐나다 등으로 나타났다. 학교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교육환경의 경우에는 ‘전공학과의 실기 수업에 관심이 많다’가 5점 만점에 4.28점, ‘전공학과의 교과내용에 흥미를 느낀다’가 4.12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전공 자격증 교육 중심으로 학습한다’는 3.4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수요인의 경우에는 ‘전공학과의 교수(선생님)는 전공지식이 풍부하다’가 5점 만점에 4.32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전공학과의 교수(선생님)의 교육방법은 전체적으로 만족한다’는 4.16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육시설의 경우에는 ‘실습실의 환기 및 배수 수세관리가 잘 되어있다’가 5점 만점에 3.88점, ‘실습실의 조리대 등 규격이 적당하다’가 3.8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실습실의 기자재 및 도구가 최신 것이다’는 3.29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육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전공과 일치하는 취업이나 진학을 할 것이다’가 5점 만점에 4.1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노력한 만큼 전공 성적이 좋아서 만족한다’는 3.67점, ‘전공자격증 취득이 다양해서 만족한다’는 3.77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진로성과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전공을 살려서 진로결정을 하고 싶다’가 5점 만점에 4.10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부모님의 소득은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3.45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가설 H1의 ‘고등학교의 교육은 교육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학교의 교육, 교육만족도, 진로성과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의 교육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는 r=.346(p<.01)에서 r=.646(p<.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교의 교육 점수가 높으면 교육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설명력은 54.1%를 설명하며 교수요인(β=.304, p<.001), 교육시설(β=.222, p<.01), 교육만족도(β=.384,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환경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수요인, 교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가설 H2의 ‘대학(교)의 교육은 교육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학교의 교육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는 r=.605(p<.01)에서 r=.701(p<.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교의 교육 점수가 높으면 교육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경우에는 설명력은 62.6%를 설명하며 교수요인(β=.265, p<.001), 교육시설(β=.289, p<.001), 교육만족도(β=.358,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환경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육시설, 교수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가설 H3의 ‘교육환경은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설명력은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모델1은 설명력은 7.6%를 설명하며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는 진로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2는 설명력은 11.1%를 설명하며 추가로 투입한 교육환경(β=.278,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환경이 높아지면 진로성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경우에는 모델1은 설명력은 35.3%를 설명하며 교육시설(β=.163, p<.05), 교육만족도(β=.435,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성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모델2는 설명력은 35.3%를 설명하며 추가로 투입한 교육환경은 진로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도성 나노 물질 기반 고민감도 신축성 센서 개발 및 체내 이식형 활용을 위한 신뢰성 확보 연구

        김희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Stretchable devices can adjust their shape even when the measurement area experiences deformation due to their elastic physical properties. Research on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is actively underway, with numerous studies reporting the measurement of deformation changes based on electrical variations through the deposition of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on stretchable substrates. However, these devices can be susceptible to noise in the electrical signals due to human components such as sweat and body temperature. In this study, our objective was to develop a solid stretchable sensor that possesses both stretchabil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y targeting the bladder—an organ with high stretchability—and to validate the sensor's stability for use as an implantable device. We formed a carbon nanotube pattern to measure the deformation of the sensor and applied a protective layer on top to prevent cracks in the pattern. This conductive layer was designed using AgEcoflex, a material selected based on optimal conditions determined by measuring resistanc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adjust the current direction and measure only the carbon nanotube patterns. The resulting multi-layer stretchable sensor exhibited a low sensor drift over 1000 deformation-recovery cycles, with the ability to stretch up to 245% while maintaining conductivity. Moreove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the multi-layer stretchable sensor in order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body temperature in future studies. Additionally, for broader utilization of the developed AgEcoflex, we explored the extraction of electromyogram signals using an adhesion-enhancing material that improves adhesion to AgEcoflex. This combination can be integrated with the multi-layer stretch sensor targeting bladder monitoring, enabling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bladder expansion, and facilitating precise bladder monitoring. The combination of the technologies presented i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universal applications in the future.

      • 외국어 교육 분야의 영문초록에 나타난 인식 서법 연구

        김희나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epistemic modal expressions in research article abstracts, which provide a brief summary of the main articles. For the study, 400 research article abstracts written by non-native speakers and native speak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leading journals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resulting in a corpus of 147,000 words.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epistemic modal expressions were analyzed based on 82 lexical devices compiled from Hyland and Milton(1997) and Biber, Johansson, Leech, Conrad and Finegan(199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n-native speakers used 1.67 devices per one hundred words and the native speakers used 1.91 devices. Second, the non-native speakers made a less balanced use in terms of grammatical class. The non-native speakers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for verbs and modal auxiliaries relative to the native speakers. Third, in terms of semantic categories, the non-native speakers showed their preference for using words representing strong certainty. However, the native speakers used words representing the lower level of certainty. Finally, the non-native speakers used strong epistemic modal auxiliaries when compared with the native speakers, while the native speakers stated their own opinions using more tentative modal auxiliaries which represent a lower level of certain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what has been observed in previous research in that non-native speakers rely on a more limited range of epistemic devices with stronger degree of certainty than native speakers. It is suggested that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be provided with instruction which helps them becom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epistemic devices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attitudes with appropriate degrees of certainty in academic writing. 본 연구는 원어민과 비원어민에 의해 작성된 연구논문 영문초록에 나타난 인식 서법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출간된 국내외 전문 학술지의 영문초록 400편을 모아 147,000단어의 코퍼스를 구축하고 Hyland와 Milton(1997)그리고 Biber, Johansson, Leech, Conrad와 Finegan(1999)에서 제시된 다양한 형태의 인식 서법 표현 82개를 참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14,7000단어의 코퍼스에서 총 2,627개의 인식 서법 표현이 관찰되었다. 비원어민과 원어민의 사용 빈도의 차이는 100단어 당 환산한 결과 0.24로 두 그룹의 인식 서법 표현의 전체 사용 빈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품사별 선호도를 살펴보면, 비원어민과 원어민 모두 동사를 많이 사용했지만 형용사의 사용 빈도가 낮았다. 그러나 비원어민은 원어민보다 조동사와 동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며 부사와 명사, 형용사를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했다. 셋째, 인식 서법을 나타내는 표현의 의미상 사용분포를 살펴보면 비원어민은 개연성과 가능성을 나타나내는 항목에 비해 확실성의 의미를 나타내는 항목들을 많이 사용한 반면 원어민은 자신의 주장을 확실성이 낮은 잠정적인 표현을 통해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비원어민이 자신의 주장을 서술할 때 확실성의 정도가 높은 표현을 선호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논문의 영문초록에서 비원어민은 원어민에 비해 한정된 단어와 확실성의 정도가 높은 표현을 사용하여 저자의 의견이나 태도를 표현한다는 것을 관찰 하였다. 학문적 영어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태도와 의견을 표현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인식 서법임을 주지하고 고급 단계의 영어 학습자들이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성인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식행도, 짠맛선호도 및 나트륨 섭취량

        김희나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According to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0, the average daily sodium intake of people was over three times higher than the sodium intake in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ietary behavior, that stress could change a person's dietary intakes and selection tendencies, and that people tended to pursue hot or salty taste under stres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general information, life habits, stress, dietary behavior,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of adult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and analyze their dietary behavior,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ir stress levels, thus checking out connections between stress and dietary behavior.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o reduce sodium intakes by analyzing the factors related to sodium intakes. The subjects include total 167 adults(male: 77, female: 90) and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sensory test from July 23 to August 3, 2012. The questionnaire and methods as to the general information, life habits, stress, dietary behavior,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were revised to fi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by consulting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emale subjects(64.7±34.6) had higher total stress scores than the male subjects(45.4±26.2)(p<0.001). The male subjects(58.7±10.8) had higher total dietary behavior scores than the female subjects(56.9±14.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As for salty taste preference among men, 21(27.3%) preferred 0.08%, 18(23.4%) 1.25%, 15(19.5%) 0.63%, 14(18.2%) 0.16%, and 9(11.7%) 0.31%. As for salty taste preference among women, 30명(33.3%) preferred 0.16%, 25(27.8%) 0.08%, 19(21.1%) 0.63%, 13(14.4%) 1.25%, and 3(3.3%) 0.31%. The male subjects showed a preference for higher-concentration salty taste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p<0.05). The male subjects(5822.8±3255.6mg) had more sodium intake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4449.4±4147.4mg), as well(p<0.05). 2. As for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only 'fatigue' stres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dietary behavior of men, whereas 'nervousness,' 'agg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stres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dietary behavior of women. As for salty tast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re was no stress subfactor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alty taste preference of men, whereas 'anger' and 'fatigue'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alty taste preference of women. As for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only 'aggression'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dium intakes of men, whereas 'nervousness,'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and 'fatigu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dium intakes of women. The female subjects tended to engage in undesirable dietary behavior, show a preference for higher-concentration salty taste, and consume a lot of sodium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under great stress. 3. As for correlations among stress, dietary behavior,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s, both men and women display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and dietary behavior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alty taste preference. The higher their stress scores were, the lower their dietary behavior scores became and the higher-concentration salty taste they preferre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salty taste preference. The higher their dietary behavior scores were, the lower-concentration salty taste they preferre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lty taste preference and sodium intakes. The higher-concentration salty taste they preferred, the more their sodium intakes became. As for wom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odium intakes. The higher their stress scores were, the more sodium intakes they had. As for sodium intakes according to stress, dietary behavior, and salty taste preference, salty taste preference had direct influences on the sodium intakes of both men and women. Stress and dietary behavior affected salty taste preference and thus had indirect influences on sodium intakes. In conclusion, adult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engaged in undesirable dietary behavior and preferred higher-concentration salty taste under stress. Female adults especially had high sodium intakes. Salty taste preference had direct impacts on sodium intakes, while stress and dietary behavior affected salty taste preference and thus had indirect impacts on sodium intake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education on stress redu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help to form the desirable dietary behavior and reduce sodium intakes. Given the differences in the research findings between man and woman,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tailored education for each target group.

      • 배빗의 음렬기법을 통한 분석 연구 : String Quartet, No. 4 (1970)와 The Joy of More Sextets (1986)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희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mposers and theorists of serial 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Milton Babbitt, accepted Schoenberg's twelve-tone system and extended it to include rhythm, dynamics, articulation, instrumentation, tempo, and timbre. His work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1947-60), second (1961-80), and third (1981-2011), each of which shows specif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Babbitt's serial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to analyze three of his works in order by date. Part Ⅰ is an introduction of methods for studying Babbitt's works. In addition, it describes his strong influences on and brilliant exploits in writing serial music and then clarif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 Ⅱ is an explanation of Babbitt's serial techniques such as trichordal array, all-partition array, and superarray.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Schenker's theory and terminology, "composing-out" to Babbitt's serialism helps to understand his music as showing the 'systematic hierarchy.' Part Ⅲ is an actual analysis of two works, String Quartet No. 4 (1970)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Joy of More Sextets (1986) in the third period. The analysis of these works is based in part on the work of Mead and Dubiel. In addition, Straus’s analytic approach to the associative relationship between set structures provides a primary method of study. Most important, Schenker's composing-out is used to examine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background, the twelve-tone series, and the foreground musical surface within the array structure of Babbitt's music. All of these processes provide a good opportunity to explore Babbitt's music and to present a new point of view on which to base subsequent research. 아르놀트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에 의해 창안된 12음 기법(twelve-tone music)은 그의 제자인 알반 베르크(Alban Berg, 1885-1935)와 안톤 베베른(Anton Webern, 1983-1945)에게 계승되었다. 이후 12음 음악은 수많은 무조 음악을 비롯한 조성 이후의 작품에서 보편적인 작곡 기법으로 자리 잡았으며, 미국은 유럽 중심의 음악적 흐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음렬 기법을 완성해갔다. 미국의 작곡가이자 음악 이론가인 밀턴 배빗(Milton Babbitt, 1916-2011)은 쇤베르크가 사용한 음고(pitch) 중심의 12음 기법을 바탕으로 한층 더 발전을 이루어 리듬, 다이내믹, 아티큘레이션, 관현악법, 빠르기, 음색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에 이르기까지 음렬의 적용 범위를 확장했다. 또한, 그는 많은 저서와 논문을 통해 음렬음악의 용어와 기법들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그만의 독창적이면서도 고도화된 음렬 작법을 제시하여 이후 세대들에게 음렬음악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본 논문은 배빗이 초기의 주요 음렬 기법으로 사용한 3음군 행렬(trichordal array)과 3음군 유도 집합(trichordal derived set) 등의 3음군(trichord) 중심의 음렬 구조에서부터 중기의 전분할 행렬(all-partition array),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기의 수퍼행렬(superarray)에 이르기까지 세 시기에 걸쳐 폭넓게 발전된 그의 작곡 기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배빗의 음렬 구조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의 음렬 기법이 초기보다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되어 집대성된 중기와 후기의 두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배빗이 작품 안에서 하나의 음렬을 기초로 이를 어떻게 조직화하고 발전시켜 선율을 형성하도록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음렬에서부터 선율에 이르기까지 그의 음악이 단계적으로 발전되어져 가는 경로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작품 안에서 음렬과 선율이 서로 어떠한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배빗이 그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어떠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LED 조명의 색이 갈색 산란계의 산란성적, 계란 품질,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혈액과 난관 내 성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나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산란계의 계란 생산은 성 성숙과 노화에 직결되어 있으며 산란일령이 증가할수록 계란의 생산은 줄어들게 된다. 동물의 성 성숙과 번식 활동은 광 자극의 정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산란계에서 계란의 생산은 번식 활동의 일환이므로 광 자극의 변화를 통해 계란 생산성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빛의 파장이 계란 생산성이 감퇴하기 시작하는 산란계에서 계란 생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LED 조명의 색으로 빛의 파장에 차이를 두었고, 갈색 산란계의 혈액 및 난관 내 성 호르몬 농도의 변화 및 계란 생산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사양실험은 4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Hy-line brown) 산란계를 공시하여 강원대학교 동물사육장 내 평사(floor)에서 6주간 실시하였다. 각각 적색, 청색, 녹색, 그리고 백색 LED 조명으로 총 4처리를 두었고, 처리당 4반복, 반복당 9수씩 총 144수를 배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산란성적, 계란 품질,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 혈액과 난관 내 성 호르몬(17β-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적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p<0.01)이 가장 높았고, 녹색 조명 그룹의 난중(p<0.05)이 가장 무거웠다. 난각강도는 청색 조명 그룹에서 가장 높았다(p<0.05). 적색 조명 그룹의 혈중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p<0.05), 혈중 프로게스테론의 농도 또한 적색 조명 그룹에서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녹색 조명 그룹의 난관 내 17β-에스트라디올(p=0.055)과 프로게스테론(p<0.01)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명의 색, 즉 파장이 갈색 산란계의 호르몬 농도에 변화를 가져오며, 계란의 생산 개수, 난중, 품질에도 영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산란계의 계란 생산 개수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산란 개수 감소 정도를 줄이는 데 적색 LED 조명이 가장 적합함을 제시하였다. Sex maturation and reproductive modulation in animal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appropriate level of photostimulation. Since egg production is a mode of reproductive modulation in laying hens, it is postulated that the egg production would be affected by different type and degree of photostimulation. In addition, it is also postulated that the effect of photostimulation would be more remarkable in aged hens since the egg production decreases with aging of the laying he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D light wavelength (color) on reproductive modulation and egg production of aged laying hens, of which egg production begins to decline. Red, blue, green, and white colors of LED lighting were designated as the individual treatment with four replications in a treatment. 144 Hy-line brown laying hens (47 wks old) were raised in a floor pen for six weeks experimental period. Egg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total cholesterol content in egg yolk, and sex hormones (17β-estradiol, progesteron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oviduct were analyzed. Hen day egg production was the highest (p<0.01) in red LED group, and egg weight was the heaviest (p<0.05) in green LED group. Shell strength of blue LED group was the highest (p<0.05), and yolk cholesterol of red LED group was the highest (p<0.01). Plasma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of red LED group were the highest (p<0.05). However, oviduct 17β-estradiol (p=0.055) and progesterone (p<0.05) concentration were the highest in green LED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lors of LED lighting are able to affect the hormone concentrations in the laying hens and thereby affect the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qualit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red LED color would be most appropriate for increasing the egg production number when the number is beginning to decline with aging of brown laying hens.

      • 학교급식 영양사의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 활용에 관한 연구

        김희나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인터넷을 통한 식품영양정보의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인지도와 접속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실시를 위한 전문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일부지역의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2007년 6월 ~ 7월 우편과 이메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6부 중 153부가 회수(회수율 68%)되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학교급식 영양사들이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에서 검색하는 정보에 대해 알아본 결과,'영양교육에 관련된 정보'가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식단 및 레시피 정보'24.7%,'최신 식품영양정보'12.7%,'조리원 위생교육에 관련된 정보'6.0%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25%가 인터넷상에 식품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이 있었으며, 제공한 식품영양정보로는 '식단 및 레시피 정보'가 59.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영양교육에 관련된 정보' 19.0%, '최신 식품영양정보'9.5%,'조리원 위생교육에 관련된 정보'7.1%,'기타'4.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리커트식 5점 척도법으로 업무에 있어서 인터넷 식품영양정보획득의 필요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4.37점으로 조사되었다. 2. 영양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를 문헌조사와 예비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13개 정도의 웹사이트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인지도와 접속도를 조사한 결과,'대한영양사협회','영양사도우미','재치영양사',인터넷 포탈사이트에서 90%이상의 매우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으며, 접속도는'대한영양사협회','영양사도우미', 인터넷 포탈사이트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영양사들이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는 '영양사도우미','대한영양사협회', 인터넷 포탈사이트,'재치영양사'순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만족하는 사이트로는'영양사도우미','재치영양사','대한영양사협회'순으로 조사되어,'영양사도우미'를 가장 자주 이용하고 있었으며,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질적 만족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근무처에 따라서는 '영양사도우미'(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p<0.001), 구리시보건소'건강한 구리시아이들'(p<0.05), 보건산업진흥원'키디키즈'(p<0.05), 충북대'아이푸드'(p<0.01), 성북교육청'사이버튼튼교실'(p<0.05), 안양시 동안구'영양관리 홈페이지'(p<0.05)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들의 만족도가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② 경력에 따라서는 성북교육청'사이버튼튼교실'의 경우 4년미만의 경력자에서 질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8년이상 12년미만 경력자에서 질적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4.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내용충분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근무처에 따라서는 다음카페'경기 학교영양사회'의 경우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집단의 내용충분도가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초등학교 영양사의 내용충분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5). ② 학력에 따라서는 안양시 동안구의'영양관리 홈페이지'(p<0.05)와 창원대 '짱이와 영양친구들'(p<0.05)의 경우 대학원재학이상의 집단이 전문대졸 및 대졸인 집단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③ 경력에 따라서는'영양사도우미'의 경우 4년미만의 짧은 경력의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p<0.05), 창원대'짱이와 영양친구들'의 경우 8년이상 12년미만의 집단에서 가장 높은 내용충분도를 나타냈고(p<0.01), 충북대'아이푸드'의 경우 12년이상의 경력자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④ 연령에 따라서는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경우 20대 집단에서 내용충분도가 가장 높았으며(p<0.05), 충북대'아이푸드'의 경우 40대 집단에서 가장 높은 내용충분도를 보였다(p<0.05). ⑤ 고용형태에 따라서는'영양사도우미'의 경우 정규직에서 더 높은 내용충분도를 나타냈다(p<0.05). ⑥ 영양교육실시여부에 따라서는 안양시 동안구'영양관리홈페이지'의 경우,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집단의 내용충분도가 더 높았다(p<0.05). 5. 13개 식품영양정보 웹사이트의 활용편리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① 학력에 따라서는'재치영양사'의 경우 전문대졸 및 대졸의 집단이 대학원재학이상의 집단보다 더 높은 활용편리도를 나타냈다(p<0.05). ② 경력에 따라서는 인터넷 포탈사이트의 경우 4년미만의 집단에서 활용편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③ 고용형태에 따라서는'대한영양사협회'(p<0.05), 충북대 '아이푸드'(p<0.05)의 경우 정규직 집단이 비정규직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활용편리도를 나타내었다. ④ 영양교육 실시여부에 따라서는 구리시보건소'건강한 구리시아이들'의 경우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집단에서 더 높은 활용 편리도를 나타내었다(p<0.05). ⑤ 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유무에 따라서는 '대한영양사협회'의 경우 영양정보를 제공한 경험이 없는 집단에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the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to analyze the name-recognition, access frequency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websites providing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lso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demand for the special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bsites for the nutrition training programs at schools. For the purpose, a survey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was done from June to July in 2007 via post and email, and 153 copies out of 22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response rate 68%) and used in the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can be present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question on the frequently used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websites, 54% of the respondent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said''informa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and 24.7% for''menu and recipe information'', 12.7% for''the latest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6.0% for''the information on the sanitary training of cooking employees''in the order. 5 point Likert type scale was introduced to evaluate the demand for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result turned out to be average 4.37point. 2. According to the name-recognition and access frequency of 13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bsites, the survey result showed very high name-recognition of more than 90% in''KDA'',''KDclub'',''Jaechi dietitian''and internet portal site, and more than 90% of access frequency in''KDA'',''KDclub''and internet portal site. The most frequently accessed website by the respondents was ''KDclub''and''KDA'', internet portal site,''Jaechi Dietitian''in the order, and in the most satisfactory site,''KDclub''ranked the first followed by''Jaechi Dietitian'',''KDA''in the order. As a result,''KDclub''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most satisfactory website. 3.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schools where th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in the websites of''KDclub''(P<0.05),''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01), the public health center of Guri City ''Healthy Guri City Kids''(P<0.05), KHIDI''KHIDIKIDS''(p<0.05), ChoongBuk Univ.''ifood''(P<0.01), Seongbuk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Cyber Healthy Academy''(p<0.05), AnYang City DongAn 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P<0.05), the respondent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user satisfaction than those work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s. ②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 Seongbuk District of Education in Seoul''Cyber Healthy Academy''(p<0.05) the respondents with less than 4year work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and in case of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 the respondents with the working experiences between more than 8 years and less than yea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4.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contents sufficiency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schools where the respondents are working for, in case of Daum cafe''GyeongGi School Dietitians Association'', the respondents work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s showed higher points of contents sufficiency than those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And in the website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 the contents sufficiency for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was higher than that for middle and high school dietitians. ②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of the respondents, in the websites AnYang City DongAn 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P<0.05) and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5), the respondent group of higher than graduate school attendance showed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of the websites than the group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③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KDclub''the respondents with less than 4 year work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P<0.05), in Changwon Univ.''ZzangYi and Nutrition Friends''(P<0.001), the respondents with the working experiences between more than 8 years and less than years showed the highest points (P<0.01), and in Chungbuk Univ.''ifood''the respondents with more than 12 years work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points (P<0.01). ④ According to the age groups of the respondents, in case of internet portal sites, the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in the twenties(P<0.05), and in Chungbuk Univ.''ifood''the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recorded the highest in the forties (P<0.05). ⑤According to the types of employment, in''KDclub''resulted in the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 for the regular employees(P<0.05). ⑥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case of AnYang City DongAn-Gu''Nutrition Management Homepage''the group hav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points in the contents sufficiency(P<0.05). 5. According to the 5 point scale evaluation of the user convenience of 13 website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①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s of the respondents, in the website''Jaechi Dietitian''the group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showed higher points in the user convenience than the group of higher than graduate school attendance(P<0.05). ②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s, in case of internet portal site, the group of less than 4 year experience recorded the highest points in the user convenience(P<0.05). ③ According to the types of employment, in case of''KDA''(P<0.05) and ChungBuk Univ.''ifood''(P<0.05), the group of regular employees showed higher points of user convenience tha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희나 한양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가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지적장애 성인에게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A시에 위치한 M지적장애인 거주시설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 성인 6명으로 매주 3회 50분, 총 30회기의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분노 표현(STAXI-K)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매 회기 반복측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코딩 후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으로 반복측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물화(DAP), 이야기 그림 검사(DAS)를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작품 자료와 관찰지, 분노검사(NAS) 체크리스트, 축어록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회기별 과정에서 나타난 분노 표현의 변화를 기술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성인은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분노 표현의 하위유형인 분노 억제, 분노 표출, 분노 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는 분노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부정적인 인지·각성·행동적인 분노표현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긍정적인 분노 표현이 점진적으로 증대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분노 표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함을 검증하였다. 현재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분노와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으로, 본 연구의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대상과 범위가 확대되어 보다 다각적인 입장에서 그 효과를 검증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김희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방문하였던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 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를 위해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를 병용 투여하였던 총 33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체중, 약물 용량 및 기저 신경계 질환에 따른 진정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33명의 신경계 질환 환아들 중 26명(78.7%)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며 7명(24.2%)에서 진정에 실패하였다. 연령에 따르면, 0-4세에서는 100%, 5-9세에서는 84.6%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나, 10-14세에서는 50%의 가장 낮은 진정 성공률을 보여 나이가 어릴수록 진정 효과가 높았다. 체중, 성별, 약물 용량에 따른 chlorpheniramine 진정 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발달 지연 및 경련성 질환, 기질적 뇌병변의 유무에 따른 진정 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환아에서 28.5%로 진정 성공률이 매우 낮았다(P=0.002). 약제 투여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으며 1명에서 일시적인 청색증이 발생하였다. 결론: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 효과가 없는 경우 chlorpheniramine을 추가했을 때 78.7%의 높은 진정 효과를 보였다. 특히 진정 효과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3가지 약물을 사용하였음에도 진정이 되지 않은 환아들 중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역민이 지각하는 지역애착도와 지역브랜드자산이 협력효과와 협력의사, 참여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역민이 지각하는 지역애착도와 지역브랜드자산이 협력효과와 협력의사, 참여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2년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개최된 ‘2012 F1 코리아 그랑프리’ 기간 중에 이벤트를 관함하기 위해 찾아온 전남 지역민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35부의 최종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역애착도는 남성, 고학력, 자영업, 긴 거주기간의 집단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역브랜드자산은 남성, 고학력, 자영업 및 전문직 종사자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효과는 남성, 저학력, 전문직/경영직, 긴 거주기간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협력의사에서는 남성, 고학력, 단순직 종사자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만족에서는 남성, 고학력, 단순직 종사자, 짧은 거주기간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추천의도는 남성, 고학력, 단순직 종사자, 짧은 거주 기간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역애착도와 지역브랜드자산이 협력효과와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애착도는 협력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협력의사에서는 친분성이 지역애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브랜드자산과 협력효과의 관계에서는 관광과 투자가 협력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협력효과와 협력의사가 참여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협력효과와 협력의사는 참여만족과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이벤트와 지역사회의 관계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나 관전 스포츠이벤트 유치 지역민, 전라남도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참여 스포츠이벤트 그리고 개최장소와 거주지와의 거리가 먼 지역민을 대상으로 연구해 볼 필요성 있다. 셋째, 지역민에게 아직은 자동차경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즐기려는 경향이 약하기 때문에 자동차 경주를 통해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지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F1 그랑프리뿐만 아니라 국내 자동차 경주대회가 지속적으로 개최되어 우리 지역에서 개최된다는 것에 자긍심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국내 F1 선수를 육성하여 대회에 참가한다면 지역민뿐 아니라 국민들이 지지해주고 관심 갖는 스포츠이벤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 attachment which local residents holding a sports event perceive and local brand equity on cooperative effects and inten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280 residents of Jeollanam-do who visited for watching '2012 Formula 1 Korean Grand Prix' which was held in Yeongam-gun, Jeollanam-do from October 12, 2012 to October 14 and I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rom 235 final data.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demographic properties showed that community attachment was highly perceived in the male, the well-educated, self-employment group, and the group of long length of residence and local brand equity was highly perceived in the male, the well-educated, self-employment group, and professionals, Second, the cooperative effects were shown to be high in the male, the low-educated, professionals/managerial career, and the group of long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ooperative intention was shown to be high in the male, the well-educated, and the simple profession group. Thir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shown to be high in the male, the well-educated, the simple profession group, and the group of short length of residence. Fourth, the analysis effects of community attachment and local brand equity on cooperative effects and intention showed that the community attachment significantly did not affect the cooperation effect but the acquainta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mmunity attachment in the cooperative intention and the tourism and inves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cooperative effects in the relationship of local brand equity and cooperative effects. Fifth, the analysis effects of cooperative effects and intention on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ed that cooperative effects and inten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Finally, wit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try to suggest the following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es. First,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is research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orts event and community but it has research limitations that it was targeted at the sports event inducement residents for watching and residents of Jeollanam-do. Second, further researches need to be studied targeting the participation sports event and the local residents of the long distance from the venue to the residence. Third, various programs in which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for enjoying leisure will should be going on through a car racing because they lack the awareness about the racing and so are less prone to enjoying it. Fourth, people should feel pride in the fact that the events are held in our region by consistently hosting not only F1 Grand Prix but also a domestic car racing. Fifth, if we take part in the contest by training domestic F1 players, it will be established as a sports event which the people as well as the local residents support and have an interest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