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김혜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표현양가성과 회피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서표현양가성, 회피 갈등해결전략, 대인관계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회피 갈등해결전략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정서표현양가성, 갈등해결전략,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문항에 응답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는 37명의 자료를 제외한 24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정서표현양가성, 회피 갈등해결전략, 대인관계능력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아분화와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 갈등해결전략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 갈등해결전략과 대인관계능력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과 회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과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부분매개역할을 하였고, 회피 갈등해결전략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상담에서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수준의 감소가 중요함을 확인시켰다. 둘째, 회피 갈등해결전략을 덜 사용할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갈등해결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determine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on rol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cond is the question of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third is the question of whether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had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surveyed the 285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by utilizing the scale in relation to self-differenti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of 248 students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those 37 incomplete or unreliable responses. The method and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herea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econd, this study conducted three-phase mediat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 resul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owever,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did not play a mediation rol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n the impact of self-differenti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lso,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counseling.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higher when avoida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utilized less often. Moreover, this study implied the need of an efficient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for an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프레이밍, 감정 매개 공유 행위가 기부 의사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에서의 공익 캠페인을 중심으로

        김혜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개방, 공유, 참여를 기조로 하며 수용자의 힘을 강하게 만든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다.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대에 사는 우리는 과연 더 소통함으로써 덜 외롭고 행복해졌을까? 우리 사회가 수년 동안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행복지수와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우리는 여전히 외롭고 서로에게 무관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을 보다 잘 활용하여 유의미한 사회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의문점에서 시작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긍정적인 영향에 주목하였다. 메시지 프레이밍 및 감정전염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페이스북에서 공익 캠페인 공유 시,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공유 시 공유한 친구의 감정 매개 정도에 따라 수용자의 감정, 공유의사, 기부의사 역시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으로 구성하였으며 페이스북에서 아동 노동 반대의 모금 캠페인을 전달하는 과정 중 메시지의 긍정·부정 프레이밍과 공유자의 긍정·부정 감정 매개가 피험자의 감정변화, 공유의사, 기부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시지프레이밍과 매개감정에 따른 피험자 그룹별 감정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긍정적인 감정인 ‘안녕감’은 메시지 프레이밍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가장 높았고, 부정적인 감정인 ‘우울감’은 공유자의 감정에서 더 큰 영향을 받으며 부정적인 매개 감정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유의사 중 ‘공익 캠페인을 읽기만 하겠다’의 경우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영향이 있었으며 가장 적극적인 공유의사인 ‘공익 캠페인을 다시 공유하겠다’의 경우 공유자의 매개된 감정이 부정적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유의사는 모두 긍정적인 표현보다는 부정적일 때 피험자의 공유의사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기부의사는 기부관여도의 영향이 큰 부분이기에 실험처치물과 기부관여도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 바로 기부 생각이 들었다’의 경우 기부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긍정적인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기부관여도가 낮은 집단은 부정적인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즉각적인 기부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주변인들에게 기부를 권하고 싶다’의 경우 기부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긍정적인 감정이 매개되었을 경우 기부 권유 의사가 높아지는 반면, 기부관여도가 낮은 집단은 부정적인 감정이 매개되었을 때 기부 권유 의사가 높았다. 기부관여도가 높은 집단은 메시지프레이밍이나 매개감정 모두 긍정적일 때 기부의사가 높았으며, 기부관여도가 낮은 집단은 그 반대로 메시지 프레이밍이나 매개감정이 부정적일 때 기부의사가 높았다. 또한, 실험처치물에 따른 피험자의 감정변화와 기부의사와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이나 매개감정이 긍정인 경우 피험자 역시 긍정적인 감정을 더 느끼고, 그 반대인 경우 피험자 역시 부정적인 감정을 더 느끼는 집단의 기부의사가 높음을 확인하여 타인에 대한 공감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기부의사가 높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 네크워크 서비스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공유행동 시 공유자의 감정 매개가 메시지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즉, 소셜 미디어 시대에서는 메시지의 전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확산 과정 중 공유자의 감정이 매개되어 새로운 메시지로 재생산되며 새로운 메시지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공익 메시지 확산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연구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사회변화의 과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Social Network Services are a new method of communication which draw large audiences based on features of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With the rapid growth of such services in Korea though, people are beginning to question whether Social Network Services make us happier and less lonely by allowing us to communicate more with each other? Despite dramatic changes within the communication paradigm, Korean citizens are still depressed and apathetic about their fellow man, which is highlighted in statistics that indicate Koreans have the lowest rate of happiness and highest rate of suicide in OECD countries. Considering this, are there any ways Koreans can positively affect their society b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s’ features more efficiently? The study reported here was inspired by this question and focused on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theories of Message Framing and Social Contagion were used in this study to help develop the hypothesis that, when friends on Facebook share donation campaign messages, the message framing and mediated emotions of friends could affect the receivers’ emotions, sharing intentions, and overall donation intentions. Furthermore, the study was experimental research conducted with 200 Facebook users, an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manipulated treatments of 2 (positive VS negative message framing) × 2 (positive VS negative mediated emotions of friend) in which the method of ‘between subjects desig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message framing and mediated emotions affected subjects’ emotions. In particular, subjects’ positive emotions were influenced by the message framing treatments more than the mediated emotions treatments, and these positive emotions had the highest score when subjects experienced positive message framing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subjects’ negative emotions were influenced by mediated emotions treatments more than message framing treatments, so negative emotions scored the highest when subjects experienced negative mediated emotions. Second, sharing intention was higher when subjects experienced negative treatments in both message framing and mediated emotions. In particular, 'I will only read this message’, which is one item for the sharing intention scale, was influenced by message framing treatments, while ‘I will share this message again’,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item for sharing intention scale, was influenced by mediated emotions treatments. Third, donation intention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donation involvement and experimental treatments.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levels of donation involvement. Regarding the item 'I am willing to donate now' for donation intention scale, subjects with high levels of donation involvement had higher scores when they experienced the positive message framing treatments, whereas subjects with low levels of donation involvement had higher scores when they experienced the negative message framing treatments. As for the item 'I want to recommend donating to my friends' for donation intention scale, subjects with high levels of donation involvement had higher scores when they experienced the positive mediated emotions treatments, contrary to subjects with low levels of donation involvement had higher scores when they experienced the negative mediated emotions treatments. And,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if subjects had the same emotions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intention to donate than ones with different emotional reactions to the experimental treatment. In short, this study explored the positive role of Social Network Services when sharing donation campaign messages.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not only messages but also mediated emotions play a large role in messaging strategies within Social Network Services. In other words, messages on Social Network Services recreated by people who share them affected people’s emotions and intentions to share and donate without realizing it. Thus,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valuable in helping to buil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advertising donation campaigns on Social Network Services, as well as contributing to a positive change in our society.

      •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 강박사고 경향 간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김혜림 덕성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이 초기 부적응 도식(Young, 1990)을 통해 이후 성인기의 강박사고 경향과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그 기여도를 확인하고,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 후 나타나는 강박사고 경향과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이 공존하여 발생하는 경우 초기 부적응 도식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이 있다고 보고된 457명을 선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 집단과 강박사고 경향 집단, 두 경향의 공존집단으로 분류하여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외상후 스트레스 경향은 ‘단절 및 거절’, ‘손상된 한계’ 하위도식이, 강박사고 경향은 ‘타인 중심성’ 하위도식이 각 경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강박 사고와 외상후 스트레스를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예언도식은 ‘과잉경계 및 억제’ 도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경향의 공존집단이 모든 초기 부적응 도식이 유의하게 높은 평균점수를 보여 단일경향 집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조합해보면, ‘과잉 경계 및 억제’ 도식은 아동 청소년기 외상 이후 나타나는 외상후 스트레스와 강박사고 경향의 공통적인 부적응 도식임을 의미하며, 두 경향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초기 부적응 도식의 전반적인 심각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동 청소년기 외상 경험 이후 나타나는 특징적 증상에 따라 초기 부적응 도식에 초점을 맞춘 치료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rends which help determine the contribution and experi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obsessions that co-exist and appear as post-traumatic stress in the case of Early Maladaptive Schemes. It seems possible to grasp such features by conducting the collection of data about adolescents’ trauma due to early maladaptive schema(Young, 1990) and its result later in their lives as post-traumatic stre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rget, there was a survey done focused on those who have been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adolescents trauma resid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Of all the patients surveyed, 457 patients were selected to go through a more focused analysis done according to the divided categories; a group of patients struggling only with post-traumatic stress or obsession, and another group struggling with bo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a significant prediction that provides a chance to draw a similarity among post-traumatic stress and obsession tends as a similar “over the border and suppress’ scheme.” To clarify its traits, the result shows that post-traumatic stress and obsession tend to show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damaged limitation’ sub-index diet, ‘centrality of others’ sub-expression respectively.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existence of both trends directly affects to the high average of Early Maladaptive Schemes differentiating it from a single trend group. All results of the analysis put together, ‘excessive blocking and suppression’ scheme of a childhood appears as a maladaptive result experienced after adolescence due to both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obsessed trends. In case of both cases to simultaneously occur, it increases the severity of the overall Maladaptive Schemes. Therefore, for the fact that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as symptoms for each adolescent trauma, the application of treatments focused on the Early Maladaptive Schemes seems rather important and is most needed.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 읽기 교육과정 비교 분석

        김혜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양교육으로서 고전 읽기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대학에서의 고전 읽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의 대상은 교양교육으로서 고전 읽기 교육을 5년 이상 운영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실시한 S대학의 ‘인문학 독서토론’, P대학의 ‘고전읽기와 토론’과 인문계열 학과의 정원 감축과 폐지 등의 최근 대학의 흐름과 다르게 ‘인문 교양’ 대학을 설립하여 고전을 통한 교양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D대학의 ‘세계명작세미나’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 읽기 교육에 대한 인터넷 조사, 서적 및 논문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세 대학의 고전 읽기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 읽기 교육의 목표가 ‘토론’이나 ‘글쓰기’와 같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치우쳐 있고 교육목표 설정의 주체가 교수자이기 때문에 다양한 목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고전 읽기 교육의 내용을 보면 세 학교 모두 많은 양의 고전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수준이 상당히 높다. 학생들이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작품들까지 스스로 즐겨 읽을 수 있도록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고전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고전 읽기 방법에 대한 교육 내용 또한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고전 읽기 교육의 운영 방식을 보면 세 학교 모두 토론과 글쓰기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독서 동기나 독해력이 낮은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수업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고전 읽기 교육의 평가를 보면 세 대학 모두 ‘읽기-토론하기-쓰기’라는 수업의 전반적인 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토론과 글쓰기의 경우 명확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고, 학생들이 평가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반드시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는 전통적으로 추구해 온 보편타당한 지식보다는 현실적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 변화하는 사회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지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스스로 평생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원활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 공동체의 삶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 등은 오랜 세월에 걸쳐 인류가 형성한 삶의 지혜와 통찰인 고전 읽기 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다.

      • TET1 contributes to neurogenesis during fetal brain development in mice : 태아의 뇌 발달과정동안 TET1이 신경조직발달에 끼치는 영향

        김혜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생적조절에는 DNA 메틸화와 탈메틸화가 있으며 이들은 뇌 발달과정동안 신경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신경조직발달에 영향을 끼친다. Ten-eleven translocation 1 (TET1)은 5-메틸시토신데옥시리보시드를 5-하이드록시메틸사이토신으로 탈메틸화 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특히 중추신경계에서 DNA 탈메틸화를 조절하여 유전자 발현에 관여한다. 이전 연구에서 TET1이 성체의 뇌에서 비정상적인 발현을 하면 시냅스 결함, 기억력이나 인식 장애 등을 초래한다고 연구되었다. 또한 성체의 뇌에서 5-하이드록시메틸사이토신의 탈메틸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태아의 뇌에서 TET1의 역할이나 발현 양상을 명확하게 밝힌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TET1이 태아의 뇌 발달에 끼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태아의 뇌 발달과정동안 TET1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TET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생쥐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쥐가 신경조직발생 과정동안 지속적으로 TET1이 과발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TET1의 역할인 DNA 탈메틸화가 제대로 일어나는지 확인해본 결과 5-하이드록시메틸사이토신의 발현이 야생형 쥐보다 형질전환생쥐에서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TET1이 과발현되었을 때 태아의 신경조직발생이나 아교세포발생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 태아의 뇌 발달과정동안 다양한 시기에서 뉴런이나 신경아교세포와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뉴런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은 증가하였으나 신경아교세포와는 큰 영향이 없었다. 특히 뉴런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야생형 쥐보다 빠른 시점에서 증가를 하였다. 단백질 정량 분석을 통해서도 뉴런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뇌의 구조적인 문제와도 관련 있을지 확인해 본 결과 야생형 쥐와 형질전환생쥐에서 대뇌 피질의 구조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면역형광법을 통해서 TET1과 뉴런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위치를 확인하였고 형질전환생쥐에서 진하게 염색된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TET1과 유전자들이 함께 발현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TET1이 뉴런 분화에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TET1이 과발현되면 신경조직발달이 빨리 진행되어 뉴런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원래 발현되어야하는 시점보다 빨리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태아의 뇌 발달과정동안 TET1이 신경아교세포의 발달이나 대뇌 피질의 구조적인 면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신경조직발생의 시작 시점을 빨리 당겨 뉴런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TET1이 태아의 신경조직발달의 시작 시점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러한 조절장애가 성체가 되었을 때 뇌에서 다양한 문제가 일어날 것이라 예상한다.

      • 사회적지원이 공공기관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콜센터 상담사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 사회적지원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이다. 콜센터 산업은 점점 성장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높은 이직률과 우수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많은 지자체의 지원과 산업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상담사들이 콜센터를 떠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혀 기업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도모하고 상담사들의 입장에서는 좋은 근무환경을 제공받게 함이 목적이다. 또한 지금까지 대부분의 선행논문에서는 직무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만을 밝혔지만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조절변수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기업 내부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 전반적인 해결 과제는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별로는 1년 미만과 6년-9년이 다른 경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3년-5년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업무 적응이 끝나 기업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시기에 이직을 하게 되면 기업입장에서는 교육 등 투자비용 대비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장기 근속자가 없어짐으로써 신입사원과 장기 근속자를 이어줄 매개체가 없어져 경력별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를 선발할 때에도 적당한 인재가 없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렇듯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채용 후 교육 등 수많은 투자를 통해 회사의 이익을 낼 수 있는 시점에 있는 중․장기 근속자의 만족도 향상과 이직률 방지를 위해 고민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적지원에 대한 인식이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콜센터는 고객접점에 있는 채널이기 때문에 고객들의 반응에 더욱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접점 채널에 있는 상담사들이 사회적지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느끼지 않도록 기업과 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지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블랙고객으로부터 내부 고객인 상담사를 보호할 수 있는 기업차원에서의 방안과 콜센터를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일부 고객들에 대한 처벌, 상담사의 인권을 존중받을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직무자체, 동료․상사와의 관계, 보상․승진, 근무환경에 대해 만족할수록 이직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상사와의 관계, 보상․승진,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이직의사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하는 일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는 감정은 본인이 하는 일에 대한 자부심과 책임감을 갖게 하여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담사들이 사회적지원에 대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등의 체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직무만족도를 높여 이직률을 관리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기업 내부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상담사를 바라보는 주위의 동료, 가족, 친구 더 나아가 고객과 사회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상담사들이 느끼는 사회적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다면 콜센터의 안정적인 인력관리를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사회적지원 , 콜센터 , 상담사, 직무만족 , 이직의사

      •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혜림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내에 소재한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책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간 관리자 이상 집단이 일선 실무자 집단보다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자의 이용자 중심 실천과 독립변수인 네트워크 활동, 그리고 통제변수 간의 관련성의 여부와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직책, 슈퍼바이저와의 관계, 사례관리 업무비중, 그리고 독립변수인 네트워크 활동이 종속변수인 이용자 중심 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사례관리자의 직책이 실무자일 때보다 책임자일 때,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사례관리 업무비중이 높을수록, 그리고 네트워크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 중심 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연구목적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이 이용자 중심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요인, 사례관리 요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요인을 투입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에서 이용자 중심 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네트워크 활동 수준, 슈퍼바이저와의 관계, 직책, 사례관리 업무비중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실천적인 함의는 첫째,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사례관리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 기관의 지지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기관에서 사례관리자의 네트워크를 적극 지지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슈퍼바이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이용자 중심 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슈퍼바이저와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사례관리자가 이용자 중심 실천의 가치를 습득하고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셋째, 이용자 중심의 사례관리를 위해 슈퍼바이저의 경험을 토대로 한 적극적인 슈퍼비전과 사회복지 실무경험이 많은 실무자를 사례관리 업무에 배치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넷째,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업무비중의 향상을 통해 사례관리에 집중하여 이용자 중심의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se managers' network activities on client-centered practi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58 case manag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network activities of case managers was above average, and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was relative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user-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rs, it was found that job lev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In other words, the group with middle managers or above showed higher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an the group with frontline practitioner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centered practice of case managers, network level, and control variables and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variables such as position, supervisor, case management work weight, and network activities, which is independent variab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endent variable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case manager is in charge,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is better, the proportion of the case management work is higher, and the level of the network is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s higher. Fourth,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network activities of case manage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putt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factors, case management factors, and case managers' network factors. In the final analysis model, the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the network level,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position, and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that can b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ient-centered case management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expansion of case managers' network. Especially, since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articipation of the case manager in the network activities, it suggests that the institution should actively support the case manager's network.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the higher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it is suggested that the case manager should acquire the value of client-centered practice and support effective case manag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Third, it suggests that the supervisors should be actively engaged in supervision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or client-centered case management. Fourth, it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 are necessary to focus on case management and perform client-centered effective case manage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tasks of case managers.

      •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과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관한 연구

        김혜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푸드 산업과 외식 산업, 서비스 산업에서는 실용적 편익보다는 서비스의 체험을 통해 경험하는 체험적 가치가 중요시 되고 있고 소비자들 역시 음식점이나 레스토랑에서 단순한 식사를 하는 것 이외에 특별한 체험을 통한 정서적 경험을 얻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는 상품과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독특한 체험적 요소가 소비자들에게 제공되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한 SNS는 푸드 브랜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체험마케팅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브랜드사가 제공하는 푸드 콘텐츠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브랜드 정보를 공유하려는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체험마케팅의 모델을 사용하여 체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SNS 사용자 4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5개의 1차 구성개념들에 의해서 구성되는 2차 구성개념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및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의 3개의 1차 구성개념으로 평가되었다. 구성개념에 대한 측정값의 내적 일관성 및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탐색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형의 구성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신뢰도는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SNS를 통한 푸드 콘텐츠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에 영향 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체험마케팅의 요소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마케팅 방안을 모색한다면 SNS상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여겨지며 더 나아가 SNS에서의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정보공유 의도를 통해 향후 소비자들의 오프라인에서의 구매행동으로까지 확대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산업적 의의로 외식업 브랜드 산업에 SNS 마케팅과 관련된 차별화된 전략과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mpirical value of experiencing service plays an integral role in advertising industrial sectors of food or restaurant business. Customers usually tend to gain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an involvement of experiential marketing. It seems logical then that they needs to be provided with unique hands-on elements to experience goods and service. SNS provides a unique platform that enables hands-on marketing, which is able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food brand. The present study was framed using the model of experiential marketing to identify determinant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food information. The conceptual framework included one second-order construct of experimental marketing measured by its five first-order construct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ion. In addition, three first-order constructs of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information were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ual model. The hypothesized framework was validated using sample data collected from N=423 who completed online survey instrument. A series of scale refinement process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ial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oretical structure of measurement items and model fit. The results derived from fit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ample data indicated that nomological validity was established for the second-order construct of experiential marketing from five first-order constructs of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ion. Moreover, experiential marketing emerg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which in turn, significantly impacted behavioral intention to share brand food information. It was also found that bran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SNS may augment its function as a common channel for marketing brand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