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세기 말 서울·경기지역 사찰에서 나타난 궁익공의 형성과 전개

        김현범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영건물에서만 보이는 특히, 궁궐에서 주로 사용된 정형적인 형식을 가진 익공이 서울·경기지방의 일부 사찰에서 확인되는 점이 계기가 되었다. 궁궐에서 나타나는 익공의 형식을 '궁익공'이라 명명하였다. 이 궁익공이 사찰에서 나타나게 된 사회적 배경을 당시 불교계의 동향과 관련하여 풀어보고 해당 공포의 형성과 전개를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그 원인을 파악하고 불교건축사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궁익공의 형식적 차이는 쇠서 상부가 거의 수평으로 뻗다가 새부리 모양으로 구부린 것이다. 그리고 다른 부재와의 결구방법은 사찰의 익공과 같다. 사회학적 배경으로 이 공포가 사찰에 도입된 시기는 임금화가 정착된 시점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궁익공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찰이 왕실의 지원을 받았기 때문에 19세기 후반 당시 불교계와 왕실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였다. 게다가 기술적 지원 측면에서 관영건축 축조 시 참여한 목수가 사찰조영에도 참여를 한 기록이 있다. 이런 정부의 재정적, 노동력 지원 하에 궁익공은 19세기 후반 불교사찰에 적용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궁익공이 나타나는 사찰은 왕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찰에서만 나타났고, 그 대부분 명부전, 지장전, 산신각 등과 같은 부불전이었다. 이러한 부불전은 개인과 가족에 대한 안녕과 조상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전각이다. 이러한 양상은 왕실의 재정적 지원이 주로 어디로 향하고, 왕실이 사찰을 지원하게 된 계기에 대한 답이라 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 궁익공이 사찰에서 나타나는 시기는 19세기 말 부터 20세기 초 왕실이 일제에 의해 무너지는 시기까지이다. 왕실이 무너진 이후에도 몇 몇 전각에서 궁익공의 형식이 보이는 것은 아직 전통기법이 단절되지 않고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익공은 하나의 형식에서 출발하여 민간 건축과 관영건축 분야에서 각각 발전하였다. 이렇게 각각의 영역에서 발전한 익공의 기법은 그 시기는 조금씩 다르지만 조선후기로 갈수록 각 영역끼리 서로 영향을 주거나 받게 되면서 기법이나 의장 등에 일정부분 융합이 되기 시작했다. 관영건축 형식이 민간건축에 도입이 되는 상황은 이러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특히, 왕실의 직접적인 재정 지원과 장인을 통한 기술 도입을 바탕으로 사찰조영은 건축사적으로 든든한 후원자를 통해 새로운 형식이 도입되었다는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살피지 못한 궁익공의 또 하나의 형식으로 생각되는 재궁 세자재실과 어목욕청에 보이는 익공의 형태의 형성과 전개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기고, 한 사찰 내에서 비슷한 시기에 왕실의 지원으로 조성된 전각이지만, 궁궐형식이 도입된 것과 그렇지 않은 사례에 대한 연구 역시 앞으로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has motivated from noticing that the specific Ikgong bracket was found in some of the Buddhist templ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ch was used to be the Official Buildings and the Palaces. It was named referred to ‘Gung-ik-gong(宮翼工) bracket’ because it is found in the royal palace. This study would research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t and investigate the reason why it is used in the Buddhist temple based on the social and religious(Buddhist) background.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s on determining the implications of History of Buddhist Architecture. First, the distinguished form of Gung-il-gong from other bracket is ‘Soeseo(牛舌)’ is flat on the upside and finishes like a bird's beak at the end of it. Otherwise, there are very similar structure between ik-gong bracket in temples and Gung-ik-gong in official buildings. On the social background, it is imported when the wage system was adopted by the Buddhist society. Nex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Royal household during the late-19th century because the most of temple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had used Gung-ik-gong bracket. In addition to technical support, there is a document indicated the craftsman involved in the national construction are also taken part in a Buddhist process. Based on the financial and labor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t is assumed that Gung-ik-gong might be applied to Buddhist temples. Only the Buddhist temples which were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had used the Gungikgong bracket. The Gungikgong is only found in a sub-Buddha-Hall(副佛殿) like 'Myungbujeon(冥府殿)', 'Jijangjeon(地藏殿)' and 'Sansingak(山神閣)'. These buildings are for the prayer places of individual and families welfare and of ancestor's easy passage into eternity. For this purpose of these places, the members of royal family did not only visit the temples for their prayers, but also supported the temples financially. Gung-ik-gong is used in Buddhist temple from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until Japanese occupation. It has been found in some buildings after this period. It is supposed that the architectural technology has been continued until the middle 20th. The bracket style of Ikgong was divided into Buddhist and Government Architecture, and each had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ndependent technology probably has been affected by each other or made a common area in method and idiom.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were situational current between the official and the private services. These circumstances could be explained that the Government probably had given support to the Buddhists financial resources and human labors. It is believed that these supports made the temples to take Gung-ik-gong bracket.

      • MEA를 이용한 뇌 해마에서 시냅스 가소성에 카페인이 미치는 효과

        김현범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affeine is an easily incept-able common chemical in present human life. Many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caffeine were performed but it is not yet fully understood on the synaptic transmission. It was known that caffeine targeted the A1 adenosine receptors (A1Rs) as LTP inducing antagonist by increasing cAMP level in CA1 of hippocampus. However, the effect is not yet clear on the other area of hippocampus. For these reasons, it was tried to test the effect of caffeine on memory circuit in whole hippocampal area during LTP. There was a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ons (CA1 and CA2) in the magnitude of effect of caffeine, as well a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a tetanic stimulation to produce LTP. Low concentration of caffeine (0.1mM) treatment produced just an increase of the slope of EPSPs population in CA2 whilst it facilitated LTP in CA1. Moreove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ffeine (>1mM) treatment was able to convert to short-term potentiation (STP) in CA2. It seemed to be a postsynaptic effect and the positional difference might reflect its differential response with caffeine. 카페인은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보편적인 약물이다. 카페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시냅스와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시냅스에서 카페인의 효과는 주로 A₁ adenosine receptors (A₁Rs)가 작용하고 cAMP 를 증가시켜 CA1에서의 Long-term potentiation (LTP) 유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hippocampus 다른 영역인 CA2 나 CA3 에서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카페인의 독특한 시냅스의 영향을 hippocampus 전 영역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시냅스의 대표적인 현상인 LTP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short- 59 term potentiation(STP)에 작용점을 연구함으로 시냅스 전달에 카페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새로운 전기생리학적 접근을 하고자 한다. 이런 이유로 hippocampus 전체 영역에서 LTP상태에 카페인의 전반적인 효과를 설명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카페인의 STP 효과가 LTP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상대적으로 카페인 저농도인 0.1 mM 과 고농도 1mM 처리는 hippocampus 의 영역에서 각각 다른 반응을 보였다. 카페인의 저 농도에서는, 영역별 STP와 LTP반응의 차이를 보였는데 CA1영역은 LTP의 postsynaptic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CA2의 STP 반응은 adenosine receptors가 풍부하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설명된다. 카페인의 고농도 처리는 STP와 LTP 각각 다르게 반응하였다. 특히, DG영역에서 큰 STP와 LTP반응을 보였다. 더불어, CA1의 경우 보다 더 가변적인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런 DG는 non-associative LTP에 대한 presynaptic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DG의 가변적 STP 반응은 adenosine receptors의 풍부한 분포와도 관계 되어있다. DG에서 카페인의 반응에 대한 보고가 불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농도에 따른 다양한 변화는 시냅스 변화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selective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인 DPCPX처리는 고농도 카페인 처리의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페인 adenosine receptor의 non-selective antagonist이고 저농도 처리는 selective antagonist로 다른 결과를 나타났다. Receptor의 sensitivity는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적절한 농도를 위해 좀더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카페인에 의한 hippocampus 영역별 다양한 변화에 대해 기억과 학습에 기능적 의미를 찾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현범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내공간은 무한하고 공허한 공간으로부터 그것을 에워싸고 규정하는 각각의 요소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이 된다. 이는 벽, 바닥, 천장, 이라는 물리적 요소로 나타나고, 이렇게 구성된 공간에 가구를 놓음으로서 살아있는 공간으로의 존재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그러나 공간과 가구의 명확한 조화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미 오래 전부터 공간과 가구의 관계의 조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러한 노력 속에서 나온 것이 공간적 가구라고 정의하고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즉, 가구가 공간 속에서 별개의 개체로 놓이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상호작용하고 그로 인해 가구가 건축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건축이 가구가 되기도 하면서 가구가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현대의 사회에서는 가구가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서 더 확장되어 나타나는 경향 또한 보이고 있다. 건축으로 생겨난 일정한 형태의 공간을 가구가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공간으로 바꾸어 버리는 것이다. 이는 공간의 한 부분이 가구가 되는 예전의 공간적 가구의 모습에서 가구로 인해 공간이 형성되는 현대의 확장된 개념의 공간적 가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의 사회에서는 각각 개념의 범위가 확장되어 나타나며, 하나로 통합된 모습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공간과 가구뿐만 아니라, 개념의 확장으로 인해 영화, 예술, 음악 등 서로 다른 각각의 영역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지고 하나로 통합된 개념의 디자인들이 선보이고 있는 것이 지금 현대 사회의 모습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대 실내공간에서 공간적 가구의 사례들을 통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실내공간을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공간적 가구를 통한 공간구성의 새로운 방식으로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세부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간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공간과 가구의 관계에 의해 공간적 가구의 배경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공간적 가구의 정의와 유형을 정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간적 가구의 모습을 근대와 현대로 나누어 그 의미와 변화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공간적 가구의 구축방식을 도출하여, 현대 실내공간의 공간적 가구의 특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제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 선행된 각장의 내용을 토대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간적 가구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여러 모습을 가지지만, 그 특성의 관계가 서로 상호관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간적 가구로 공간 분절의 역할과 그에 따라 파생되는 형태성, 기능성, 공간성으로 보다 풍요롭고 정갈한 실내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가구의 특성은 공간을 규정짓는 구축요소와의 결합에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는 공간적 가구가 수직, 수평적 요소와의 결합에서 나타나며, 이를 통한 확장으로 공간과 가구, 구축요소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각각의 영역이 하나로 통합되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 디자인에서 개념의 범위가 점차적으로 확장되어지고, 이로 인해 각각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의미가 중첩되어가는 경향과 매우 닮아 있다. 공간과 가구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 다른 개체가 아닌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공간적 가구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공간적 가구는 가구가 공간 구성에서 설치되거나 놓여지는 것이 아닌 건축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건축의 일부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적 구조물과 하나가 된, 건축화된 가구인 공간적 가구는 구축요소와의 결합으로 실내의 형태를 부여하며, 이동식 가구와는 달리 공간구성의 또 다른 방식으로 행해지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실내공간에서의 공간적 가구는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공간을 살아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준다. 이는 사례분석을 통해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공간적 가구의 사용은 실내를 구성함에 있어 좀 더 적극적인 방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건축과 공간, 공간과 가구는 별개의 개체라기보다는 좀 더 긴밀하게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서 디자인에서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생각이 디자이너들에게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본 연구의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에 의하여 좀 더 명확하고 중요한 문제로서 대두되었다. 또한 공간적 가구를 통해서 현대 실내공간과 가구의 일반적 관계에서 생겨나는 문제점과 그 차이를 해결할 방향을 모색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디딤돌을 발판 삼아 현대의 디자인이 각각 그 경계의 모호성을 가지고 확장된 개념으로 전 분야를 넘나들 듯이,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을 통해 건축, 예술, 디자인 등의 전 분야를 넘나드는 새롭고 확장된 개념의 창의적 실내공간의 구성방식으로서 공간적 가구가 사용되는 발판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Interiors are turning from unlimited, vacant spaces to restricted spaces with individual factors surrounding and stipulating them. This appears as physical factors called walls, floors, and ceilings; and it comes to bear existential value as a living space by placing furniture in a space composed this way. However, it is not easy finding a clear harmony between space and furniture. Since from long ago, many efforts have already been tried to achieve harmon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furniture. The research is intended to start by defining spatial furniture as the result of such efforts. That is, it is not that furniture is placed as a separate individual within space, but that it interacts with construction and accordingly, it is located on the continual spatial organization line-furniture goes into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becomes furniture. Moreover, in modern society, a tendency of furniture expanding and appearing more in the continual spatial organization line is also being revealed. It is that furniture changes the constructed, set space into another space completely different from its previous state. It can be said it is more spatial furniture with expanded concepts of modernity where space is formed by furniture rather than the previous state of spatial furniture where a part of space becomes furniture. Like the above, in modern society, the ranges of individual concepts are appearing expanded while tendencies of an image united as one are remarkable. It is the state of present modern society that boundaries regarding individually differing fields such as movie, arts, and music are becoming vague, and designs united with concepts as one are represented due to not only space and furniture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ir concepts. Based on such concepts,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specialties through examples of spat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s; interpret interior spaces creatively accordingly; and provide the scaffold for space organization as a new method through spatial furniture. -The following i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pace are investigated, then the background of spatial furniture is view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furniture. Next, by organizing the definition and patterns of spatial furniture, aspects of spatial furniture in interior spaces are divided into recent and modern times; examining the meaning and change. Through this, the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 are suggested by deducing the building methods of spec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s. An extraction of the conclusion is planned after processing case analyses and projects based on specialties suggested as su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nded on the contents of past individual chapters are as follows. Even though spatial furniture has various features that depen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can be known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formed mutually. That is, a more affluent and neat interior arrang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role of spatial furniture as space segments as well as the form, function, and spatial roles derived from them. Moreover, the specialties of such spatial furniture manifest themselves the clearest in harmony with building factors which stipulate space. This is something that shows the tendency of spatial furniture appearing in the combination of vertical/horizontal factors; the boundaries of space, furniture, and building factors becoming vague through the expansion of this; and respective areas being united as one. Such tendency is very similar to tendencies in modern design of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range of concepts, boundaries of individuals becoming vague through it, and the overlapping of meaning. Also, space and furniture are appearing as individuals united as one, not respectively different individuals, and this could be said to be the specialty of spatial furniture. As noted above, one can notice that spatial furniture functions as a part of construction, formed within a tight relationship with construction, and not as furniture being installed or placed while organizing space. Spatial furniture, which became one and/or constructionalized with spatial structures, imposes the pattern of interior spaces through harmony with building factors and plays a meaningful role that is carried out as another method of spatial organization differing from movable furniture. As such, spatial furniture in interior spaces with diverse advantages transforms space into a living space. This was confirmed in the project that was processed through case analysis. Namely, the use of spatial furniture can be a more active method in organizing the interior. Designers must recognize the thought that connections in design between construction & space and space & furniture should be considered as individuals more closely united as one, rather than as separate individuals. It grew to be a more accurate and important issue through the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seen in the modern interior spaces of this research. Also, it will become the stepping-stone for searching out a way to resolve the problems and the differences emerging from the common relationship between modern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through spatial furniture. By considering this stepping-stone as a scaffold, there is wish for a scaffold where spatial furniture is utilized to be provided as an organizational method of creative interior space with new and expanded concepts which enter all areas such as construction, art, and design through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appearing in modern interior spaces; just as modern design frequents all areas as an expanded concept with the vagueness of the individual boundaries.

      • 광고업계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범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광고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여기서 개인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고업계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광고업계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광고업계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3명(유효응답률 93.1%)의 응답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프로틴 경력태도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틴 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 조직몰입 중 정서적 몰입에 대해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다른 하위 변인인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프로틴 경력태도를 가진 종사자들도 조직의 지원정도에 따라 조직몰입 정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직은 종사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조직차원에서 개인에게 적극적인 지원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verifying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identifying how protean career attitudes of advertising workers impa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purpose, the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s of advertising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analyzed first. Secondly, whether there is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 relation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s of advertising work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verified. In order to verify the thes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advertising workers in capital area. A total of 203 survey questionnaires (with a completion rate of 95.9%)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tean career attitudes of advertising worker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advertising workers in a relation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have a mitigating effect. That is, the impact of protean career attitud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ed to be decreased due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ly worked for affective commitmen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advertising workers can be achieved when organizations support the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Organizations need institutional measures for leading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could be an alternative which is actively supported by the organizational.

      • 행정의 책임성이 전기자동차 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저속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김현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the eco-friendly car business for 20 years by implementing three projects, and they are G7 Next Generation Car Project, Future Car Project and Green Car Project. However, the outcomes of the electric vehicle business has been low when compared with those of hybrid electric vehicle 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utcomes among eco-friendly car busines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ent status of hybrid electric vehicle , fuel cell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sectors as well as the mass production of them in order to measure the outcome of each vehicle. Moreover, this paper analyzed the outcome of the electric vehicle sector including neighborhood electric vehicle for the analysi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political accountability and legal accountability were set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f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types. During the period G7 Next Generation Car Project, emphasizing on professional accountability was conducted, the patent increase rate in the electric vehicle sector was lower than those of hybrid and fuel cell electric vehicle sectors. In this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was overly dependent on the private professionalism as the professional accountability was excessively emphasized. In addition, there were the difference of goals to the electric vehicl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industry. Those were the reasons why the different outcomes among eco-friendly car sectors had occurred in this project. During the period Future Car Project, emphasizing on political accountability was conducted, the number of patents related with electric vehicle tended to decre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uture Car Projec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analyz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atents related with electric vehicle began to decrease as the Future Car Project initiated which were on the increase from 2002 to 2004, which is the period in between the end of the G7 Next Generation Car Project(2002) and the beginning of the Future Car Project(2004). Also, the progress in development of the electric vehicle for mass production was slower than that of hybrid electric vehicle 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Excessively emphasized political accountability in the Future Car Project created a producer-centered market. Moreover, the exclusion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project target made a loophole of accountability and weakened practical responsiveness of the electric vehicle project. During the period Green Car Project, emphasizing on legal accountability was conducted, government has focusing on technical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 sector as the key technologies of hybrid electric vehicle and fuel cell electric vehicle entered mature steps. However, the Kore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s did not have their own technologies whereas the other eco-friendly car manufacturers had. Moreover,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electric vehicle sector was evaluated to be low. Also, electric vehicle sector had a hard time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sales and supply while hybrid electric vehicle went smoothly. Especially, the problems of neighborhood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s were magnified. They tried to extend their businesses over their capacities and they were forced to retreat from the market eventually. This result was because of defensive administration, avoiding to take the risk of implementing tasks which were not defined by law or regul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n analyzing hybrid electric vehicle, fuel cell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omparatively while other research studies analyzed the outcomes of eco-friendly car sectors as a whole, and analyzing the reasons of the different outcome of each vehicle by using different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types as explanatory variables. 정부는 지난 20년 동안 G7 차세대자동차 사업, 미래형자동차 사업, 그린카 사업을 통해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지원을 하였다. 이와 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 분야는 하이브리드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분야에 비해 성과가 저조하였고, 본 연구는 그 이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자동차별 성과는 특허 건수와 보급량을 변수로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저속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전기자동차와 관련된 사례들을 보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사업자단체 등의 관계자와 면접조사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행정의 책임성을 유형화하고, 행정의 책임성의 유형 중 전문가적 책임성, 정치적 책임성, 법적 책임성을 설명변수로 하여 저속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전기자동차 사업의 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문가적 책임성이 강조되던 G7 차세대자동차 사업에서는 전기자동차 분야의 특허출원 건수의 증가율이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의 증가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전문가적 책임성을 너무 강조하여 민간의 전문성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정부와 민간의 목표가 달라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정치적 책임성이 강조되던 미래형자동차 사업에서 전기자동차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G7 차세대자동차 사업이 종료된 2002년부터 미래형자동차 사업이 시작된 2004년까지는 전기자동차 관련 특허출원 건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래형자동차 사업이 시작되자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미래형자동차 사업이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양산형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 비해 저조했고, 보급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래형자동차 사업에서 정치적 책임성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생산자 본위의 시장이 형성되었고, 전기자동차가 사업의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발생한 책임성의 공백이 이 분야의 실질적인 반응성을 약화시켰다. 법적 책임성이 강조되던 그린카 사업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의 핵심기술 개발이 어느 정도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전기자동차의 기술 개발에 상대적으로 집중하였다. 그렇지만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 비해 전기자동차 분야에서는 여전히 한국의 독자적인 기술이 없었고, 기술경쟁력도 저조하다고 평가되었다. 그리고 판매 및 보급도 하이브리드자동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전기자동차는 사업의 목표 달성에도 굉장히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그린카 사업에서는 저속 전기자동차 업체들의 문제가 부각되었다. 이들은 성능 개발에 노력하기보다는 무리한 사업 확장을 시도하였고, 결국 친환경자동차 시장에서 퇴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법적 책임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면서 법에 규정되지 않은 위험을 피하려는 소극적인 행정이 원인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친환경자동차 전반의 성과를 분석한 것과는 달리 하이브리드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전기자동차를 각각 나누어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하지 않은 행정의 책임성을 설명변수로 이와 같은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