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현경 작곡 테너, 클라리넷, 트럼펫, 비올라, 첼로를 위한 <오우가(五友歌)>의 분석

        김현경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테너, 클라리넷, 트럼펫, 비올라, 첼로를 위한 <오우가(五友歌)>” 에 대한 작곡 및 작품의 분석이다. 작자 윤선도가 주는 시상(詩想)을 음악적으로 표현을하기 위해 형식 및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다. 이 곡은 모두 5개의 큰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락은 주제 오우(五友)인물(水), 돌(石), 소나무(松), 대나무(竹), 달(月) 을 기리며 다섯 가지 자연물을 의인화한 심정의 시상(詩想)전개에 따라 구성되어있다. 주요 음조직은 증 4도와 단 2도,장2도와 증 4도로 구성되었고, 각 단락의 주제에서 출연하여 작품의 통일성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또한, 짜임새와 다이나믹스는 악기의 특수주법과 악기와 음형들의 대비를 통해 다양성을 창출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오우가(五友歌)”라는 시에서 나타나는 내용들이 다섯 개의 악기로 어떻게 표현되고, 이런 내용들이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특정한 형식에서 계획된 음조직으로 구성된 선율과 화성을 통해 어떻게 나타내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 Five Friends(五友歌) > for tenor, clarinet in B♭, trumpet in B♭, viola, and violoncello is a musical piece composed following poetic inspiration from the heart, in which five natural objects are personified serving as a musical theme. The piece consists of 5 major parts. Each part illustrates its own specific theme, that is, water, stone, pine tree, bamboo, or moon, which constitutes a program music. It also reflects an analysis of Korean character based upon fundamental principle of creating its consonants and vowels. To express programmatic contents, five themes, or water, stone, pine tree, bamboo, and moon, are linked to five different instruments, that is, "tenor, clarinet in B♭, trumpet in B♭t, viola, and violoncello", which can convey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theme. Tenor illustrates coldness of moon through chromatic development of melody. Flowing and versatile water is represented by clarinet in B♭ which with various dynamics, and sharp contrast between stable compass and unstable compass, brings out characteristics of water efficiently. Trumpet in B♭, that has powerful and masculine sound, is related to bamboo and delivers the feeling of bamboo through continuous play with various dynamics. Viola symbolizes pine tree. Its ever-green color is represented by stable compass serving as a back ground of the music. Sturdiness and firmness of stone is expressed through low-pitched sound of viola, another back ground of the music to create harmony among all instru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s the overall structure and elements, a long with partial analyses. In addition, through various special executions, it tries to create renovative sound effect, while through contrast of volume and various colors and shadings of tone, it attempts to give more scenographic effect to the music. Vocal parts are performed either by real human vocals or by instruments. All the other instrumental parts are normally performed by musical instruments, but here by adding vocal-like sound effect through a special execution, we attempt to treat them as equally as possible.

      • 참깨 主要成分의 登熟期 蓄積 및 發芽時 變化에 관한 硏究

        김현경 동아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47

        참깨種子의 登熟段階에 따른 種實內의 總脂質과 蛋白質含量 및 脂肪酸組成의 變化, 構成脂質의 種類別 含量 및 脂肪酸組成의 變化, 그리고 中性脂質中 triglycerid, diglyceride 및 monoglyceride의 蓄積經路와 組織觀察 等을 調査하였다 또한 참깨 種子 發芽時 總脂質 및 蛋白質 含量의 變化와 脂肪酸組成의 變化를 檢討하였고, 發芽後 子葉部와 胚軸部 및 幼根 等의 各 部位別 總脂質과 蛋白質含量 및 脂肪酸 組成의 變化 等을 比較, 分析한 結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結果를 얻었다. 1. 참깨種子의 登熟에 따른 總脂質含量은 開花後 15日부터 急激히 增加하기 始作하여 開花後 36日까지 增加의 폭이 컸으며, 그 以後에는 增加의 폭이 鈍化되어 貯藏脂質의 形態로 蓄積되었고, 蛋白質含量 變化에서도 開花後 15日부터 30日頃까지 急激히 增加하였으며 以後에는 增加의 폭이 둔화되었다. 2. 總脂質의 主要 脂肪酸 組成의 變化에 있어서는 登熟이 進展됨에 따라 含量이 增加한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登熟期間 동안 80%以上을 차지하였으며,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含量은 登熟初期에 完熟種子보다 크게 높았으나, 登熟의 進展에 따라 계속 減少하는 傾向을나타내었다. 3. 참깨種子의 登熱에 따른 構成脂質의 變化에서는 登熟初期인 開花後 10日頃의 초기에는 糖脂質이 42.62%로 매우 높았으나, 以後 登熟 進展에 따라 急激히 減少하였으며 燐脂質도 이와 비슷한 傾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中性脂質은 開花後 登熟初期에 29,21%에서 登熟의 進展에 따라 急激히 增加하여 開花後 40日頃에는 91.84%로 總脂質의 거의 大部分을 차지하였다. 4. 中性脂質中에서는 trig1yceride가 登熱이 進展됨에 따라 急激히 增加하여 登熟後期인 開花後 30日 以後에는 中性脂質의 60%以上을 차지하였다. 中性脂質中 monoglyceride와 diglyceride 및 triglyceride의 脂肪酸組成에서는 登熟의 進展에 따라 monoglyceride diglyceride 및 triglyceride 모두에서 linoleic acid의 含油率은 增加하였으나, palmitic acid의 含油率은 減少하였다. 5. 中性脂質과 糖脂質 및 燐脂質의 脂肪酸 組成의 變化에 있어서는 登熟이 進展됨에 따라 飽和脂肪酸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며, 不飽和脂肪酸인 oelic acid와 linoleic acid의 含量은 增加하였다 그러나 登熟初期에 比較的 높은 比率을 차지한 linolenic acid는 登熱의 進展에 따라 急激히 減少하여 登熟後期에서는 1%未滿의 아주 적은 比率을 차지하였다. 6. SDS-PAGE 分析에 의한 蛋白質 變化 pattern에서는 登熟이 進展됨에 따라 20KD와 31~32KD 및 50KD에서 legumin과 유사한 貯藏蛋白質의 形態로 貯藏되었다. 7. 참깨 未熟種子의 組織檢鏡에서 開花後 10日된 未熟種子에서는 胚乳가 種實의 大部分을 차지하였으나, 開花後 20日된 未熟種子에서는 胚部分이 大部分을 차지하였고. 胚乳는 種皮와 胚사이에서 얇은 층으로 觀察되었으며, 胚乳와 胚의 -部組織에서 貯藏組織인 油積群이 一部 觀察되었다. 種皮組織은 開花後 10日에서 內種皮는 거의 發達되지 않았으며 外種皮만 發達피었으나, 開花後 20日에서는 內種皮와 外種皮가 發達되어져 있음이 觀察되었으며, 外種皮 사이에서는 纖維質이 一部 形成되어 完全한 形態의 種皮의 構造를 나타내고 있음이 觀察되었다. 8. 發芽의 經過에 따른 總脂質 및 蛋白質 含量 變化에서는 發芽가 進行됨에 따라 總脂質 및 蛋白質 含量 모두 減少하였으며. 특히 發芽後 3日까지에는 蛋白質의 含量이, 그 以後에는 脂質의 含量이 急激히 減少하였다. 9. 發芽後 10日과 15日 및 20日의 子葉部와 胚軸部 및 뿌리의 各部位別 總脂質 및 蛋白質含量의 變化에서 子葉部는 發芽後 15日까지 總賠質과 蛋白質含量이 急激히 減少하였다가 그 以後에서는 거의 變化하지 않았으나, 뿌리에서는 發芽後 15日까지는 서서히 減少하였다가 發芽後 15日 以後에는 急激히 增加하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10. 總脂質의 脂肪酸組成의 變化에서는 飽和脂肪酸인 palmitic acid는 發芽의 經過에 따라 增加하였으며, 不飽和脂肪酸인 oelic acid와 linoleic acid는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다. 發芽後 子葉部와 胚軸部 및 뿌리의 各部位別 脂肪酸組成의 變化에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發芽가 進行됨어 따라 增加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는 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11. SDS-PAGE 分析에 의한 蛋白質 pattern의 變化에서는 完熟種子의 貯藏蛋白質이 加水分解 酵素에 의하여 急激한 分解作用을 받아 發芽直前에서는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發芽가 進行됨에 따라 40KD에서 나타난 약한 polypeptide band와 32~34KD 사이의 두개의 polypeptide band와 24KD에서 나타난 매우 진한 polypeptide의 새로운 band가 形成되었다.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of major components occurring during development, and germination of sesame(Sesamum indicum L.) seeds.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Also, accumulation process of monoglyceride, diglyceride and triglyceride,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development. 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of seed germination was investigated. Also, the corresponding values of various components in cotyledons, hypocotyls and roo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germination st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otal lipid contents were rapidly increased between 15 days after flowering(DAF) and 36 DAF. After then, the rate of lipid accumulation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this stage lipid was changed and accumulated as storage lipid. Protein contents were rapidly increased between 15 DAF and 30 DAF, and then the rate of became slower. This changing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lipid content. 2. In the changes of major fatty acid composition,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consisted of over 80% of total lipid. From the above results. those two fatty acids would be the main storage lipid among the fatty acids.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ic acid decreased as sesame seeds developed. 3, Changes of lipid during development sesame seeds, glycolipid contents which showed the highest in the early ripening stage and after that rapidly decreased, and phospholipid cont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as glycolipid occurred. In contrast, the content of neutral lipid was rapidly increased by 29.21% 10 DAF,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by 91.84% at 40th day after flower. 4. The neutral lipid, triglyceride content was rapidly increased as the seeds developed, and consisted of over 60% of the neutral lipid since 30 DAF. 5. In the changes of neutral lipid, Phospholipid and glycolipid, stearic acid and palmit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eed ripening. However,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Linolenic acid, which showed relatively higher value in the early ripening stage, but rapidly decreased as much as l% at the later ripening stage. 6. According to the SDS-PAGE analysis, two polypeptides with 20KD and 31~32KD and another polypeptide with 50KD were detected on the gel, and those were assumed to be major and minor storage protein such as legumin and vicilin, respectively. 7. According to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seeds harvested 10 DAF were mostly composed of endosperm, while the seeds obtained 20 DAF comprised of embryo. Endosperm was also observed between seed coat and embryo. The storage tissue with oil droplets was observed between endosperm and embryo.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ed outer seed coat developed 10 DAF, but inner seed coat not. In contrast by observation of seeds obtained 20 DAF inner seed coat developed, and outer seed coat was fibrous. 8. During germination, total lipid and protein contents decreased. In particular, protein contents rapidly decreased to the 3 days after germination(DAG). and then total lipid contents rapidly decreased. 9. In changes of total lipid and protein of cotyledons, hypocotyles and roots detected at the 10, 15 and 20 DAG, some variations were determined, The contents of lipid and protein in hypocotyls rapidly decreased, but since than no changes were observed. In contract, in roots similar changing patterns were observed, while since 15 DAG a rapidly increase was examined. 10.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On the other hand, unsaturated fatty acid such as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In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of cotyledons, hypocotyls and roots,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germination. However, linole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11. According to SDS-PAGE analysis, there was no detectible polypeptide bands on the gel before seed germination suggesting that this may be due to the rapid degradation of the storage proteins in the mature seed by hydrolyttic enzymes during the stage. As germination continued polypeptide bands, one with 40KD, two with 32~34KD and one with 24KD. were detected on the gel.

      • M. Ravel의 Le Tombeau de Couperin에 관한 연구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상주의 작곡가인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 마지막 피아노 곡인 「Le Tombeau de Couperin」(1917)을 18C 음악의 형식 속에서 인상주의적 어법으로 어떻게 나타냈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라벨은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로서, 드뷔시에서 시작되는 인상주의 안에서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드뷔시와는 달리 화성적으로 애매 모호한 인상주의적 색채 안에서도 리듬과 형식면에서 고전적인 방법을 고수해 나갔다. 본 논문의 주제인 「Le Tombeau de Couperin」은 라벨의 피아노를 위한 마지막 작품으로써 형식면에서 엄격하게 18세기 적 스타일을 따랐다. 바로크 시대에 유행하였던 모음곡(suite)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Prelude, Fugue, Forlane, Rigaudon, Menuet, Toccata의 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오늘날에는 거의 쓰지 않는 춤곡인 Forlane나 Rigaudon이 삽입되어 있는 것은 매우 특징적이다. 또한 바로크 시대 프랑스의 유행이었던 Tombeau(무덤)라는 표제를 붙임으로써 전통을 수용하였으며, 1차 세계대전 때 사망한 친구들을 위하여 6곡에 각각 다른 표제를 붙이고 있다. 첫 곡인 Prelude는 빠른 16분 음표의 무궁동 스타일로 2부분 형식을 취하며, Fugue는 라벨의 곡 중 유일한 fugue로써 고전적인 3성 푸가 형식을 취한다. Forlane는 론도 형식, Rigaudon과 Menuet은 3부분 형식이다. Rigaudon은 활기있는 A부분과 통주저음으로 진행되는 대위적인 B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Toccata는 변형된 소나타 형식으로 매우 화려하고 리드미컬한 모티브가 자유롭게 발전되어 가고 있다. 전체적으로 조성보다는 선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7, 9, 11화음 등의 불협화음과 병진행 등을 자주 사용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이 「Le Tombeau de Couperin」은 라벨 피아노 음악의 대표적인 곡으로써 고전주의적인 틀 안에 교회선법과 인상주의의 음악 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작품이다. Maurice Ravel (1875-1937) was representative composer of Impressionism which is appeared French Arts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to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 leader of Impressionism, Claude Debussy (1862-1918) pursued colorful music emphasizing feeling instead of doing accuracy melody and formality. But Ravel's music established personal musical form through of extreme imagination and sharp method. he added clean melodic contours, clear rhythm, and a firm basic form. 「Le Tombeau de Couperin」, composed in 1917, his last solo piano work, is in classical style and belongs to the second period of his musical life. This work is harmonized his composing idea with impressionistic composing music form. This suite is consisted of six movements which are Prelude, Fugue, Forlane, Rigaudon, Menuet and Toccata. This is borrows Suite of Baroque's subject matter example for Forlane and Rigaudon rarely existing in the present time. In view of the classical form, Ravel take a free style in only a Toccata and in the composition of each music , two binary form in Prelude, counter-exposition and development in Fugue, Rondo form in Forlane, and take a three part song form in Rigaudon and Menuet. In view point of the technique of Impressionism,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non-harmonic chord of 9th, 11th, 13th chords and parallel chord. he sometimes used the chromatic scale and Modes in the theme. M. Ravel combined classical form with his own unique musical language through this work. 「Le Tombeau de Couperin」 is one of the representing works of Ravel's piano music using impressionistic techniques and church modes in classical suite form.

      •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감사 교육을 실시하고,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교사에 대한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적극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G시 소재의 D초등학교, T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2개 학급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 2개 학급 중에서 1개 학급 20명은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며, 다른 1개 학급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그림책만 읽어주는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10월 4일부터 11월 25일까지 총 8주 동안 주 2회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하여 Lebuffe와 Naglieri(1999)에 의해서 개발된 것을 구희정이 변안하여 사용한 만 2-5세 유아의 탄력성 검사 도구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ment)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사전검사, 사후검사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실험 효과 검증을 위하여 통계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 처리를 하였으며 실험이 사후검사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감사 교육 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유아의 자아탄력성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반은 자아탄력성 변화가 크게 증가하였고, 비교반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탄력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탄력성 사후검사에서 실험반과 비교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5.052, p<.001). 즉,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은 유아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유아 행복 교육 활동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 교육 현장에서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을 활용하여 유아의 행복 증진 교육 활동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주요어: 그림책과 연계한 감사 교육 활동, 자아탄력성 *본 논문은 2017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과 만족도가 여가스포츠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과 만족도가 여가스포츠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대회 개최의 당위성을 확인하고, 향후 대회 운영 방향의 주안점을 논의하여 보다 의미 있는 학교스포츠클럽대회 개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와 필요성이 있으며, 평생스포츠의 가교로서 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졸업생 중 20~24세 남녀 236명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과 만족도가 여가스포츠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도의 차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행동적 참여가 높으나 인지적 참여와 정의적 참여는 차이가 없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경험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도의 차이는 전국대회 참가 집단이 교육지원청대회 참가 집단에 비해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모두 높으며, 참가 종목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도의 차이는 없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만족도는 여가스포츠 참여도와 정의적 참여,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상관이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만족도는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학교스포츠클럽대회를 운영함에 있어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를 여가스포츠 참여로 연계하기 위한 정책적 측면의 논의가 필요하며, 대회 규모에 따른 여가스포츠 참여도의 차이를 보완하고 대회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n the participation of leisure-time sports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holding a more meaningful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by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and discussing the main points of the future 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and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that promote lifelong sport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236 men and women aged 20 to 24,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s in Seoul and have experience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for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effect of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n the participation of leisure-time sports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leisure-time sports by gender, the men have higher behavioral participation than women, however cognitive and affective participation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competition is higher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participation tha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school district compet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ticipation of leisure-time sport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events. Third, satisfaction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is correlated in the order of affective participation, cognitive participation, and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has a static effect on cognitive participation,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affective participation. Based on this conclusion, policy-based discussions are needed to link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to participation in leisure-time sports. Also, measures to make up for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leisure-time sports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competition an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would be studied and implemented.

      • 五四婚戀小說硏究

        김현경 北京師範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247631

        五四婚戀小說繼承了晩淸民初言情小說對女權問題的思考, 但同時又將這種思考作了進一步的深入探討. 前者的思想傾向是改良而決非革命, 而后者體現了更徹底的革命與透徹思考. 前者在總體上肯定 愛情, 歌頌靑年男女追求自身幸福的行爲的同時, 幷沒有反對封建札敎和制度. 后者却從制度. 后者却從制度本身出發, 給以本質性揭露和透徹性批判. 人與女人. 五四婚戀小說就是在對傳統家族制度和傳統札敎思想的批判下, 在 “人”的意識覺醒的思潮中, 在對婦女問題的關注這一特定時代背景下發展起來的. 娜拉出走. 娜拉作爲現代中國婦女解放的原型, 타的名言“首先我是一個人, 근稱一樣的一個人” 則成爲女性精神覺性的宣言. 知易與行難. 五四知識分子雖然以激進的姿態出現在文壇, 可是由于身受多年的傳統因襲與文化浸染, 面對現實婚姻時, 往往擧步維難, 徘徊不定, 只好把目光投向虛構的文學作品中, 尋조自己心目中的理想化愛情, 或者用尖銳的筆調來批判, 諷刺現實的婚姻. 訥喊與抗爭; 開爲愛自由而死的血路. 婚姻自由的主張在面臨守舊而慈樣的父母時, 往往時親情조勝理智, 斗爭的結果要마是屈服退步, 痛苦地接受無愛的婚姻, 要마是反抗無望, 命赴黃泉. 彷徨與苦悶: 面對婚姻城堡. 自由結婚不等于萬事大吉, 在婚姻的城堡中如何維持愛情的持久幷保留個體的獨立性才關鍵. 有爭論的同性愛戀. 同性戀愛的情節實質在某種程度上有肯定誠性愛, 反抗封建婚姻, 追求個性自由的意義. 道德與不道德: 婚外戀與亂倫. 自由戀愛者們走入영外一個極端, 將一切世俗倫理全抛開. 甚至將婚姻與家庭的各種責任歸之于腐爛的舊道德陣營, 于是不可避免的産生了婚外戀與亂倫. 食色性也, 性本能, 性苦悶, 性壓抑心理. 受封建禁慾主義長期壓抑的一代靑年終于沖破這道藩籬, 大膽描寫了以前不敢隨便談的性的苦悶, 變態的性心理, 肉慾和色情, (郁達夫, 협靈鳳, 張資平等). 五四時期的鄕土文學的婚俗描寫, 用批判的眼光視鄕村的風俗民情, 批評的焦點集中于鄕村宗法制對心靈的束縛和禁錮, 落后愚昧的婚姻風俗(譬如, 冥婚, 沖喜, 典妻, 問吉, 合肖, 借種, 補老床等). 鄕土作家們將其暴露于筆端, 着眼于批判封建宗法社會傳統婚俗的落後, 愚昧, 揭示其違背人道, 侵犯人權的本質, 幷對婦女的社會地位進行了倫理性思考. “在家從父, 出嫁從夫, 夫死從子 ”的傳統倫理綱常, 創造了貞女, 烈女. 帶着對人的覺醒的熱情, 對傳統倫理綱常札敎本質的深入認識, 中國社會漸漸揭開了籠조在 “貞女”, “烈女” 光環下的罪惡與慘劇, 20年代鄕土小說中的寡婦形象就是最典型的被侮辱被損害者的例證. 在爭取戀愛的自由, 婚姻自主的時代潮流中, 正在覺醒的女性們執筆寫下了타們對于與女性命運密切相關的戀愛婚姻家庭問題的思考, 타們自己心靈心處的酸甛苦辣. 應該說, 타們旣是作家, 又是當事人, 타們的作品最能代表時代思潮影響的實際深度和廣度. 馮沅君與蘇雪林: 情人之愛與母親之愛的衝突. 眞切的親情(母愛)與同樣眞切的愛情(情愛), 因不合理的傳統札敎與婚姻觀念而相互傷害. 背叛母親, 就是背棄親情, 違背個人的意志自由. 馮沅君與蘇雪林的筆下的人物表現了大韓折時期的矛盾之間徘徊不定的沁態. 廬隱的停滯: 對妻女出路的思考. 活躍于廬隱小說中的女性, 幾乎都是受過新式敎育的知識女性. 타們大多敏感, 脆弱, 少女時代的타們卽把 “戀愛自由” 當作人生重要的目標, 渴望純길高尙的精神生活. 但等到爭取到自主婚姻的勝利后, 隨着勝利的喜悅而來的却是理想逐漸失落, 幷幻滅在家庭的쇄碎生活中. 凌叔華: “世態的一角, 高門巨族的精魂. 與同一時期的多數女作家不同, 凌叔華一開始就顯示出一種成熟和敏銳的心理觀察. 타寫大家族的悲哀, 寫舊家庭中溫順的女性, 寫生活在客廳中平庸的太太, 寫高門巨族的精魂飄蕩在變化中的時代上空. 타用冷靜寫實的態度所達到的藝術高度, 敍述了一個歷史轉型時期各類女性的挫折和遭際, 타們生活中的甛蜜與辛酸 關鍵詞: 五四婚戀小說, 鄕土小說, 婚俗文化, 女作家 Loving novels after May 4th activities inherit the concern on women rights, which was produced during the years 1901 to 1918, and then make a deeper probing into it. The former's ideology trend is to reform, not to revolute; the latter embodies thorough revolutionary spirit. The former approves sincere love and encourage young male and female to persuade their happy family life, without any meaning of anti-feudalism; the latter has an essential disclosure and thoroughly criticism on the Feudal system. Manpower and women Loving novels on women rights was developed on a certain backgrounds, for example, the traditional clan system and the Feudal ethics were criticized, the ideology of person's rights was awakened, and so on. NoRa(a figure in the famous movie) is a symbol of women's revolution in nowadays China. Her famous remark is: "Firstly, I am a person, the same as you," which has become the declaration of women's awakening. Easier to say than to do To do is much more difficult than to say. Although the intellectuals after May 4th activities appeared on the artificial fields in radical attitudes, when facing real marriage, they always hesitated and almost could do nothing because of the traditional factors and cultural influences. So they turn to the fabricated artificial works to seek the ideal love in their minds or use their pens to criticize the irrational marriage in the real life. Cheer and fight There are always conflicts between free marriages and parents' power. Mostly the parents' power own priority and young couples have to give in, accepting the marriage without love. There are also some youths who died for free love. But getting free marriage doesn't mean that everything is fine, for the critical thing is to preserve the love forever and maintain independent in the marriage world. The homosexuality is a contentious topic. In some sense, the plots about homosexuality naturally have the meaning of approving true love, protesting feudal marriage and seeking individual freedom. Moral or immoral: about the love beyond marriage Free lovers always get to the other extreme, which is to give up all secular ethics, even the responsibilities to the marriage and family,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been repressed by the feudal asceticism, now bravely break away from all the limitations and describe the suppression on sex, the abnormal mentality on sex, the sexual desire and sexy activities(such as the following writers: Yu Dafu, Ye Lingfeng, Zhang Ziping). The describing of love and marriage about countryside literatures during May 4th period, criticize the restriction of the countryside patriarchal clan system on youth's minds and the ignorant and backward marriage customs, such as burial marriage, striking wedding, trading wife, matching mates, giving birth with borrowed sperms, and so on.. The countryside writers use these to criticize the ignorance and backwards of the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in feudally patriarchal society. They revealed the nature of violating human sympathy and human rights, improving the women's social status. Having deeply recognized the nature of traditional ethics and feudal codes, with the enthusiasm , of human ideology's awakening, these writers disclose the evil and tragedy under the loyal circles. In fact, the widow figures in the countryside novels of 1920s are typical examples of the indurted and harmed. In the trend of times for free love and marriage, the awakening women use their pens to write down their own thinking over the marriage and family things and to record the feelings in their hearts, which were firmly associated with women's fates. As writers and the persons concerned, their works can best represent the depth and broad of the times' influences. For example: Feng Yuanjun and Su Xuelin There are always conflicts between Lovers' love and parents' love. To betray parents is to betray the whole family and violating the conscience as sons or daughters. But to obey the parents is to obey the feudal ethical codes and betray their spirit freedom. The figures that Feng and Su model in their novels embody the conflicting and hesitating mentality. Lu Yin She thinks about the out-way of women's revolution. The female figures in Luyin's novels are mostly educated by the new education. As sensitive and weak young girls, they look the free love as their important life goal, looking forward to the pure and lofty mental life. But when they succeed in the free marriage, they find that what comes next is the subtle family life and the ideals begin diminished little by little. Ling Shuhua Her novels reflect the noble family's spirits. Not like most of the female writers of her times, Shuhua expressed a mature and keen mental observation on women. She writes down the novels on noble family's tragedy, the meek women in the traditional families and the mediocre ladies living in the parlor. With a calm and real attitude, she uses her pen to narrate all kinds of women's setbacks and happiness during the historical transferring period. Critical Words: love novels after May 4th activities; countryside novels; marriage customs and literatures; female writers

      • 중년남성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특성 연구

        김현경 강릉원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년남성 1인 가구의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 현 경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지역개발학과 사회적경제전공 2019년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이와 함께 1인 가구는 여러 유형의 가구 형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2045년도에는 전체 가구의 36% 이상이 1인 가구로 구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 중년 남성으로 구성된 1인 가구는 최근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는 중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 중심이었던 과거와 달리 성별 차이가 없을 정도로 남성 1인 가구가 급증했고, 60대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편성되는 여성과 달리 남성은 청·중년층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게 된 현실을 반영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중년남성으로 구성된 우리나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와 대안을 제기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는 1인 가구 중 여성과 노인, 저소득계층 등 취약계층과 청년층에 대한 분석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는 중년 1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다. 비록 중년남성 1인 가구는 지금까지 큰 주목을 받고 있지는 않지만, 1인 가구 중 큰 폭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노숙이나 고독사 등에 취약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남성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소로 가구주 특성, 거주 주택 상태와 거주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였다.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의 자료를 활용했으며, 지역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임의절편모형(random intercept model)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년남성 1인 가구의 여러 주거 특성 중 구조물 상태와 목욕시설, 주차 편의와 방범 환경이 전반적인 주거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남성 1인 가구의 주거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와 대안을 모색하였는데, 물리적 공간으로서 주택 구조물 및 환경 개선 외에 사회·문화적 공간으로서 다원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거 복지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impa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in single middle-aged male households in South Korea Kim, Hyunkyung Dept. of Regional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 Policy Scienc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ummary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exceeded 30% for the first time in 2019. In addition,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ypes of households, with more than 36% of all households expected to be single-person households by 2045 according to the report of Statistics Korea. In this transformation, single-person households consisting of middle-aged male have been on a steep rise recently.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fact that the single-person male households have surged to the point where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though female were at a higher rate in the past. Especially, the single-person male households have increased among young and middle-aged unlike female elderly aged 60 or old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made up of middle-aged men in South Korea,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as well. Although many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women, the elderly and the low-income bracket, and young people, this research is aimed at single middle-aged male households. They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but account for a larg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specially stand for vulnerable to homelessness, lonely death, etc. Household owner characteristics, house conditions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s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 middle-aged male households in the study. The research uses data from the '2019 Korea Housing Survey' in order to identify various factors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applying to random interception models as well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region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 two main ways. First, the structure condition, bathing facilities, parking convenience and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the various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middle-aged male households. Second, the impa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middle-aged male on housing satisfactio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gion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wofold. Basically, a single middle-aged male needs a sound shelter by facilitating comfortable temperatures, suitable illumination and requisite sanitation to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Improv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dwelling is important. But ultimately, they also need perspective shifts of house from a basic space for human survival to the place for living. They have to communicate with neighbors beyond the walls,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and creating a local community. Both efforts to improve physical facilities and social efforts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single households are required to enjoy their home as a more cozy place. Keywords ; single middle-aged male household, housing characteristic, residential satisfaction, random intercept model

      •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ㆍ고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방관경험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내 4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 총 610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경험유형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또래관계 질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성별 및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을 분석을 위해 1단계로 측정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판별여부와 모형 적합도 등을 점검하고 2단계로 구조모형이 추가된 전체 모형을 분석하는 Anderson과 Gerbing(1988)이 제안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방관 경험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또래관계 질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또래관계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을 높임으로써 또래관계 질을 높여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학교폭력 방관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방관경험이 회복탄력성을 통해서만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학교폭력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극복하여 성장할 수 있는 개인 내적 능력인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학교폭력 예방 및 치료 시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상담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폭력 경험에서 피해자는 물론 방관자의 정서요인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경험 학생들의 원만하고 질 좋은 또래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ffects peer relationship,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two variabl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otal 610 students, 338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and 272 students from four high schools in Seoul. Questionnaire surveys taken by these students were about the measuremen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grad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were used, which is a two-step approach, suggested by Anderson and Gerbing(1988).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from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was found in resilience, and also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from resilience in peer relationship was discovered. Second, th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which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s directly affected by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also it can be improved by building up resilience. Third, a significant full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the experiences of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was found, which indicates that peer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s of outsiders only through resilience.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eer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of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needs to be planned, focusing on building up resilience. And also this study significantly indicates the necessity to focus on not only the experience of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but also on the outsiders. The study may contribute to building a healthier peer relationship of the victims and outsiders of school violence, and planning the basic materials related to counsell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developing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