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예술인을 위한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효과 분석 : -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웰빙, 예술지속의도를 중심으로 -

        김초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at attitudes artists form when they receive public support and how these attitudes help them to continue their artistic careers. Although the process to make public aid policies requires a prior understanding of artists, the beneficiaries,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on the recipients of such aid. This study aims to examine public support for the arts and culture sectors from the aspect of psychological mechanism and, through an empirical study of artist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ublic aid perceived by the artist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jective well-being, and adherence to their artistic careers. To achieve these goals,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Study I and Study II,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rofessional artists aged 20 and older in fine arts (including literature, drawing, music, dance, theater acting,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Of the 540 respondents, those indicating that the aid was effective 405(7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Study I, and of those 405, 139(34%) that answered affirmatively to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have received any subsid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Study II. The following are the details. In Study I, the result of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f the 405 respondents rejected Hypothesis 1 that stated “Subjective well-being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one has re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accepted Hypothesis 2 that stated,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art activitie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one had received government support.” In Study II, the resul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the 139 respondent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rejected Hypotheses 1, 4, and 5, that stated “Public support is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jective well-being, and Adherence to their artistic career,” respectively. But it accepted Hypotheses 2 and 3 that stat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ntion to adhere to arts respectively as well as Hypothesis 6 that expects subjective well-be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dherence to arts. According to additio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sub-factors of public support, a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showed that the appraisal support on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based on this result found that the appraisal support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ce in subjective well-being and adherence to artistic careers at a 90% confidence interva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Study I and II are as follows. First, in Study I,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a group of artists who received public aid and a group who did not show that public support had no effect on the artists’ subjective well-being in either group, but the group receiving the aid had a stronger intention to stay in their career. However, in Study II, which only included the respondents who have received public aid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support and variants via six channels, all three channels started from public support were rejected, indicating that public support had little or no effect. This means that although public aid did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e intention of the artist group who received aid to continue their artistic career, artists in general did not consider public support positive. Therefore, government institutions supporting arts and culture sectors should continuously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artists when developing public aid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artis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ir commitment to continue their career. Secondly, the additional analysi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e appraisal support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ediation analysis verified its indirect effect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In that sense, the appraisal support using the medium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low-level influence on artists’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ir art activities. This indicates that the artists recognize the government aid as a positive resource despite their low appraisal of i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improve relevant policies, which will complement the appraisal support in the future and eventually fulfill the artist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subjects and results hold great significance for arts studies, establishing a new extended theoretical model in the field. It can also expand the boundaries of research for public support policies and serve as an effective means to understand the role of public ai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neficiary. From a practical view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ublic support on artists’ subjective well-being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artistic careers and found a structural relationship in terms of a psychological mechanism.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evaluate the direction of public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and to make relevant policies in the future. This exploratory study analyzed public aid for artists by adopting a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s measurement scale that has been verified for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an be used by subsequent studies. Using the measurement scale suggested here, researchers will be able to investigate aid packages or programs in more detail for each organization or for each sample. Regular examinations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 for trend analysis and research on specific arts majors. 본 연구의 단초는 ‘공공지원을 받은 예술인은 어떠한 태도를 형성해서 예술을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공공지원정책 입안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수혜자, 즉 예술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해 다각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문화예술 공공지원을 심리적 메커니즘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예술인을 대상으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공공지원과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웰빙, 예술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적 수준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Ⅰ과 연구Ⅱ로 구성하였으며, 순수예술분야(문학,미술,음악,무용,연극,국악)에 종사하고 있는 20세 이상 전문예술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총 540부의 데이터 중 유효한 405(75%)부를 연구Ⅰ의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405부의 데이터 중 공공지원의 수혜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139(34%)부의 데이터를 연구Ⅱ의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Ⅰ에서 405부의 데이터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웰빙은 공공지원의 수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고, 예술지속의도는 공공지원의 수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2는 채택되었다. 둘째, 연구Ⅱ에서 139부의 데이터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공지원이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웰빙, 예술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4,5는 기각되었고,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웰빙, 예술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3과 주관적 웰빙이 예술지속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6은 채택되었다. 추가적으로 공공지원의 하위요인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단순상관계수 분석에서 평가적 지지만 긍정심리자본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가적 지지가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주관적 웰빙과 예술지속의도에 90% 신뢰구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Ⅰ과 연구Ⅱ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Ⅰ에서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주관적 웰빙에는 차이가 없으나, 예술지속의도는 수혜를 받은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Ⅱ에서 수혜 집단만 구분하여 6개의 경로를 통해 공공지원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나 공공지원에서 시작하는 3개의 경로 모두 기각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공공지원의 영향이 약하거나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즉, 공공지원은 수혜를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예술지속의도에 실질적인 효과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예술인들에게 공공지원이 긍정적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 지원기관은 지속적으로 예술인들과 소통하고 협력하여 예술인들의 주관적 웰빙과 예술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공지원정책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추가분석에서 공공지원의 하위요인인 평가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의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고,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90% 신뢰구간에서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평가적 지지는 예술인의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주관적 웰빙과 예술지속의도에 낮은 수준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예술인들이 지각하는 공공지원의 평가적 지지는 낮은 수준이지만 예술인들이 긍정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평가적 지지를 보완하여 예술인들의 심리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본 연구의 주제와 결과는 예술학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예술학 분야의 새로운 이론적 확장모델을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공공지원정책 분야의 연구 주제를 확장하는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수혜 대상인 예술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통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공공지원의 수혜 여부에 따른 주관적 웰빙과 예술지속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메커니즘에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공공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진단이 가능하며, 향후 공공지원정책 차원에서도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예술인들을 위한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연구를 심리적 메커니즘에서 규명하고자 탐험적으로 시도된 연구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척도로 후속 연구가 가능하며, 보다 세부적인 지원 형태나 프로그램, 기관, 표본에 따른 연구가 가능하다. 또한 주기적인 조사 측정을 통해 추세분석이 가능하며, 예술학의 전공 분야별로 연구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 한국무용 공연예술시장 확대를 위한 한국문화원형의 활용 방안

        김초하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a variety of culture in the world is sharing·developing at a rapid rate, this phenomenon can certainly be known in 'Korean Wave' in the world. 'Korean Wave' has demonstrated that Korean culture is watched by the world, as a result, Korea is growing rapidly with the title of a cultural power. In this era,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has become the foundation to set up in the world. Due to characteristics such as uniqueness, traditionality, diversity etc cultural original form has, they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s economic, industrial development by inducing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people who are living in a different culture area. However,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that can be called unique culture among them has been very slow. This is because the traditional dance is taken easy and Korean things are taken for granted naturally by being accustomed to accepting Western culture. In the situation that performing arts are developing, easy going response attitude of employees who do Korean dance has made even Korean people ignore it. To sum the situation up, the most appropriate solution at this moment was considered to take advantage of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which has universality and diversity, uniqueness collectively and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In addition, this is expected to be the cornerstone as the preceding data through the ultimate goal to expand the performing arts market of Korean dance in future. This study presented the way to use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as a measure by expecting to expand the performing arts market of Korean dance. Measures that can be used as a practical approach were examined in terms of performance planners by recognizing that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was worth in current performing arts market as a material of the danc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Ryu dance company planned 'Leave the trail' for 11th anniversary concert, suggested the direction to apply them through substantial performance planning process and verified them by writing the performance proposal that was empirical dat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ways to utilize Korea culture's original form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to apply it to expand the performing arts market of Korean dance.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Expansion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of Korean dance' in future, in-depth research and study through trial and error of the measures are required, which is the limit. So, the way of using and activating it in other aspects should be made consistently. 현재 세계의 다양한 문화는 빠른 속도로 공유·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세계 속의 ‘한류열풍’에서도 확실히 알 수 있다. ‘한류열풍’은 우리문화가 세계 속에서 주목받고 있음을 증명하였고, 그로 인해 우리나라는 문화강대국이라는 칭호와 함께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조류 속에서 한국의 문화원형은 세계 속에 한국이 올라설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문화원형이 가지는 고유성, 전통성, 다양성과 같은 특징들로 인하여 다른 문화 속에서 살고 있는 세계인의 궁금증과 흥미를 유발시켜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제적, 산업적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우리나라 고유문화라 할 수 있는 한국무용의 발전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전통무용이라는 안이한 생각과 더불어 아직까지도 서양문화수용에 익숙해져 우리 것을 너무도 자연스럽게 당연시 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공연예술이 발전해 가는 현 상황에 한국무용을 하는 종사자들의 안이한 대응 태도가 우리나라 사람들까지도 외면해 버리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지금까지 상황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현시점에서 가장 적절한 해결 방안으로 보편성과 다양성, 고유성이 총체적으로 내포되어있는 문화원형을 활용 하는 것이라 사료되어 한국의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이것은 앞으로 한국무용 공연예술시장의 확대를 위한 궁극적 목표를 통해 선행 자료로써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 공연예술시장의 확대를 기대하여 그 방안으로 한국문화원형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문화원형이 현재 공연예술시장에서 무용공연의 소재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인지하여 공연기획자의 측면에서 실무적 접근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류무용단 11주년 기념공연 ‘흔적을 남기다’를 기획해 실질적 공연기획과정을 통하여 적용방향을 제시하고, 실증적 연구 자료인 공연기획서를 작성함으로써 본 연구결과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무용 공연예술시장의 확대를 위하여 한국문화원형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적용방향을 제시하는 것 까지가 연구의 목표이다. 향후 ‘한국무용 공연예술시장 확대’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활용 방안의 시행착오를 통한 심도 있는 조사, 연구가 요구되며, 이 논문의 한계점이라 하겠다. 이에 또 다른 측면의 활용방안 또는 활성화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행정계약 해지 등의 쟁송형태에 관한 연구

        김초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현대사회에서는 공법상 계약과 행정처분이 혼용되거나 혼재하는 경우가 잦다. 현대행정의 구조변화에 따른 협력적 행정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행정의 행위형식이 바로 행정계약이기 때문이다. 행정계약을 통해 개발이나 조달 업무를 민간에 위탁하여 그 창의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여전히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법의 규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처럼 협력적 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행정작용으로서 행정계약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에 비해 체계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행정계약법의 체계를 정립하면서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은 행정계약이 사법상 계약과 다른 특징은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체계적으로 규율할까 하는 문제이다. 이는 행정계약을 민사소송으로 해결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행정소송을 해결하게 할 것인지 하는 문제와도 닿아있다. 행정주체가 체결하는 계약의 법적 성격을 공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는 실체적인 법리의 차이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재판관할의 차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실익을 갖는다. 공법상 계약과 사법상 계약의 구별은 공법과 사법의 구별에 관한 기존 논의의 도구를 이용하되, 특히 계약이라는 특징상 그 목적에 공공성이 있는지와, 체결과 이행 및 해지 과정에 사인 간 계약과 다른 권력적 특수성이 있는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당사자소송에 관하여는, 우리 행정소송법 체계와 민사소송과의 차이점에서 오는 공법상 규율의 특수성을 생각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법원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는 이른바 공공조달계약에 대해서 사법상 계약으로 보고 있는데, 이를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반면 대법원은 최근 국가연구개발협약에 관하여는 근거가 되는 법령의 내용 및 개발협약의 내용이 공익성이 강하고 공권력 행사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그 법적 성질을 공법상 계약으로 보았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앞으로 공공조달계약과 관련하여도 판례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행정계약이라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실행행위의 성격은 행정처분의 성격을 가진 경우가 발생한다. 계약은 살아있는 생물과 같이 시간이 흐르고 단계가 지나면서 복잡다기한 양상으로 실현되거나 실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 행정소송법상 ‘처분 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념의 외연을 넓힐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는 이상, 처분은 쟁송법적 개념으로 보아 넓게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이처럼 행정계약에 기한 행정청의 의사표시라고 하더라도 그 실질이 공권력의 행사에 해당한다면, 계약관계와 별개로 처분성을 인정하여 항고소송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프랑스와 독일 또한 행정의 행위 실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를 단계적으로 혹은 분리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는 이론적 시도를 하였다. 이는 모두 행정에 대한 공법의 통제를 강화하고 시민의 권리구제 가능성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 한편 취소소송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 반드시 행정에게 불이익한 것만 되는 것도 아니다. 행정계약과 관련한 법률 분쟁의 쟁송 형태 및 쟁송간 관계를 검토하는 것은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차원에서도 의의가 크다. 대법원에서 수년에 걸쳐서 실체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사안에 대해서 관할위반을 이유로 다시 행정법원으로 이송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권리구제의 현저한 지연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당사자소송과 취소소송에 관한 당사자의 선택권을 인정하는 것은 소송형식의 선택에 따른 소송 지연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 In today's modern society, contracts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s are often mixed or mixed under public law. This is because administrative contracts are the form of administrative conduct that can best implement cooperative administration following changes in the structure of modern administration. There is the advantage of entrusting development or procurement work to the private sector through administrative contracts to promote its creativity and efficiency, but on the other hand, discipline in public law is still needed to secure publicnes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administrative contracts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s an administrative action to implement such cooperativ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the existing discussion focused on the nature of administrative actions at the stage of contract signing, and it seems that the discussion on the disposition of contract termination has not been fully conducted. The first thing to think about in establishing a system of administrative contract law is what is different from private contract and how to systematically discipline it.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dministrative contract should be settled through civil litigation or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issue of whether to view the legal nature of a contract signed by an administrative body as a contract under public law or a judicial contract is beneficial not only in terms of actual legal principles but also in terms of practical differences in jurisdiction. The distinction between a public law contract and a private contract shall be made using the existing tools of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law and the civil law, but in particular, in the nature of the 'contract', it shall be considered whether there is a public nature for its purpose or whether there is a power specificity different from that between private contracts in the process of signing and implementing and terminating. And with regard to "litigation between parties under public law",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i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discipline in the public law that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our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and civil litigation system. The Supreme Court views the so-called "public procurement contract" as a contract under civil law, which is subject to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a State Is a Party," which needs to be viewed critically.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viewed the legal nature of the recent National R&D Convention as a public law contract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Act and the Development Agreement are of strong public interest and contain elements of the execution of public power. The Supreme Court's position is thought to be part of the expectation of a change in precedents regarding public procurement contracts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administrative contract, the nature of the specific action is often characterized by "administrative disposition." Because contracts are like living creatures, they executed or cannot be executed in a complex manner over time and through stages. As long as the Korean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recognizes the possibility of broadening the exterior of the concept by using the term "disposal, etc." it is reasonable to distinguish the concept of "actual law" disposal from the concept of "transmission law" disposal. France and Germany have also made theoretical attempts to think of it as 'step-by-step' or 'separable' in order to determine the substance of administrative conduct. In addition, even if it is the expression of the intent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due to the administrative contract, if the substance corresponds to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it should be thought that it can be considered subject to an appeal suit by acknowledging its disposition independently of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This can all be justified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ontrol of public law on administration and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civil rights relief. On the other hand,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a cancellation suit is not necessarily a disadvantage to the administration. The Supreme Court is transferring the case to the first administrative court, and that case already has been made of actual legal judgment over the years. This is hardly desirable in that it would result in a significant delay in the relief of rights. Therefore, acknowledging the party's options regarding "party litigation" and "cancellation litigation" makes sense in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of delayed litigation resulting from the choice of the form of litigation. Ultimate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system of legal discipline concerning administrative contracts. To do this, continuous research and analysis of administrative practice should be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