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김진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이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성남과 용인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00 명이 응답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대답과 미기재 응답이 많았던 33명을 제외한 총 367명의 내현적 자기애, 우울,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내현적 자기애는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상관도 유의미하게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역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은 유효하였으나 매개효과를 통제하였을 때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있어서 내현적 자기애의 성격적 부분을 고려해 봐야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우울, 스마트폰 중독간의 더욱 깊은 이해와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는 시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 관련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과 예방,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through which the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would have an effect on their smart phone addiction. For the study, 420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ngnam City and Yongin City, Kyunggi Province, were chosen for the survey. Of these students, 400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aires, with 33 of them being excluded because of improper replies. Finally, a total of 367 students became eligible for statistical procedure to determine three categories of the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The regressive analysis was introduced to verify the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interrelation survey among the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was implemented. The covert narcissism and smart phone addiction proved to be meaningfully correlative. The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lso proved to be same result. The dep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showed the same result. Second, The depression was found not playing any role in the effect of the covert narcissism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Although the covert narcissis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depression did not give any effects on the smart phone addiction when mediating effects of the depression was controll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vert narcissism should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during the counselling of th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Also, it suggests that deeper understanding and in-depth research are needed to determine the interrelation among the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Accordingly, these research findings are of significance in providing materials which could be used as the counselling and prevention program for the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다구찌 方法을 利用한 디스크 캘리퍼의 輕量化 設計 및 熱的擧動에 관한 硏究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exhaust gas recently becomes asocial issu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utomobiles. In such circumstances, car manufactures perform a various studies to develop the eco-friendly technology. With studie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ing of fuel efficiency with weight reduction of vehicle and application of recycled material ar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the braking performance has improved while electronic control technology is making rapid progress and being applied to the automobile. The actuators of brake system need highe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opularization of ABS, TCS, EPS and etc. In this study, a steel piston of disc caliper is replaced with a resin piston to reduce the weight and brake fluid temperature by low thermal conductivity of piston material and the technologies required to replace are studied. To replace the piston material to res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pplied to caliper are studied; such as brake system, caliper and piston. Moreover, for resin piston, a variety of raw materials are reviewed and phenolic material included glass fiber is chosen as the most suitable raw material according to test results for physical properties. And to apply a phenolic piston to the disc caliper, several studies are performed for proper design such as thermal expansion of piston, compressive strength and deformation at high temperature by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test. And each design factors of caliper and piston are optimized with the method of Taguchi’s design of experiment. The compression molding process is adopted to manufacture a resin piston with reliability and the process of molding and post curing conditions are also optimized with Taguchi’s design of experiment. Such products manufactured with optimization were evaluated by static and dynamic tests with the designed test method and fitted with a disc caliper. To analyze the thermal behavior during braking, a numerical analysis model is develop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model and test are compared. The conclusion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By phenolic material containing 30% glass fiber, a steel piston of disc caliper can be replaced to resin piston and cause approximately 8% of weight reduction compared with the same cylinder size caliper applied to steel piston. 2. Caliper stiffness, piston structure and seal groove correspond to the results of analysis and test by numerical analysis model of integrated caliper’s parts, and the optimized design is possible with Taguchi’s design of experiment. 3. In accordance with post curing condition of phenolic piston, approximately 30% differences of compression strength is shown and the orientation of glass fiber after molding of piston contained glass fiber can be affected the strength of thermal shock. 4. From the test results of the brak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disc caliper adapting a phenol and steel piston respectively, any differences were not shown. 5. From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ith thermal transfer model considered the piston material and the dynamic test, the differences are less than 10%. And the application of phenol piston can lower brake fluid temperature by more than 27% during ultimate braking condition, such as alpine braking mode.
김진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헤이리 예술마을은 문화와 예술이라는 특수한 목적을 지닌 공동체로 옥 내외 공용공간에서 벌어지는 페스티발, 이벤트가 정기적이거나, 수시로 일어나며 동시에 이를 보기 위한 관람자들이 방문하게 되는 장소적 특성을 지닌 곳이다. 이는 개인 주거인 사적영역의 유지 속성과 공적인 성격을 전제로 하고 있는 공동체마을과 방문자와의 상호교류를 통한 문화공간의 창출이라는 공·사 영역의 상호 보완적 또는 대립적 성격이 서로 상대적으로 존재하며 공간적 충돌의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헤이리 예술마을에서 사용자의 영역성 인식의 특성을 분석하고 사용자와 방문자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헤이리 예술마을에서 사용자의 영역성 인식의 특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파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헤이리 예술마을’로 한정하고 문화시설과 주택이 공유하는 복합건물과 주택으로 제한하여 103개의 작품을 선정하였으며 실제로 답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화시설과 주택의 진입동선 구분을 통한 영역구분 방법은 계단을 별도로 분리 설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나 문화시설을 통해서 주택으로 출입하고 있는 경우도 20%로 나타나 작업장이나 전시장 등 문화시설과 주거를 크게 하나의 영역으로 인식하는 특성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주택에서는 대지의 고저차를 이용하거나 현관의 후퇴, 현관의 방향 돌림, 가벽설치 등 다양한 건축적인 방법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도로에서 주택으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외부인의 출입이 거의 없는 단지 내 도로가 반 사적인 공간으로 인식되는 정발산 주거단지에서 현관의 방향이 대부분 도로에서 바로 진입하게 되어있는 것과는 사뭇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대지경계의 표현은 대부분 경계구분이 없거나 조경을 통한 느슨한 경계구분을 하고 있고 설문조사에서도 대부분이 담장의 설치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쇄적이지 않은 설계지침이 입주자들 간의 소통에 도움이 되고 만남의 횟수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방문객의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복합건물에서 59%, 주택에서 20%가 별도의 출입통제를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의 경우 대문을 설치한 경우도 잠금장치가 없는 간단한 영역표현만을 하고 있으며 출입을 자제하는 푯말 또는 가벽이나 중정설치 등 다양한 건축적인 해결을 통해서 방문객의 출입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거주자의 설문조사 결과 방문객의 돌출행동으로 응답자의 39%가 두려움을 느낀 적이 있고 73%가 방문자의 출입을 조절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 사적영역에 대한 인식은 설문조사 결과 거주자나 방문자 모두 다양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른 주거단지에서는 도로와 대지의 경계에서부터 사적인 영역으로 인식하는데 비해 복합건물에서 건물과 대지경계 사이 그리고 건물과 도로 사이의 공간에 대해서 공유영역으로 인식하는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택에서 사적인 영역인 마당이 외부의 시선에 대부분 노출되지만 반대로 마을 입구부터 사적인 영역으로 느낀다는 설문의 응답도 있어 사적영역과 공적영역 간에 상호침투현상도 나타났다. 5) 커뮤니티를 고려해 계획된 정발산 주거단지와 비교해보면 정발산 주거단지에서는 대지안의 주차장을 정원으로 변경하고 울타리를 설치하여 물리적으로 사적인 영역을 확장하고 공유영역인 도로에 주차를 함으로써 단지 내 도로가 반 사적인 영역으로 인식되는 특징을 보이는 반면 헤이리 예술마을에서는 담장 및 대문이 없음으로 해서 사적인 영역이 대지경계에서 더 안쪽으로 축소되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헤이리 예술마을에서 사적영역의 물리적인 표현을 거주자의 대부분이 원하지 않고 문화시설과 주거를 크게 하나의 영역으로 인식하는 특징이 나타나며 사적ㆍ공적영역 간에 상호침투현상과 사적영역이 대지경계에서 더 안쪽으로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나 사적ㆍ공적영역이 항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상호작용으로만 존재하는 과거의 경계인식과는 달리 상호관입의 형식을 취하면서 사적·공적 영역의 성격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헤이리 예술마을 만의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절반이상이 지어지지 않은 미완성의 마을이고 전체가 완성되기까지 앞으로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에 문화를 생산, 전시, 판매 하면서 동시에 거주하는 24시간 커뮤니티를 실현해 나갈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고자하는 헤이리 예술마을 공동체의 이념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어질 건축물에 대해서 주거의 독립성과 커뮤니티와의 소통의 상반된 문제 해결을 위한 거주자와 건축가들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고 문화시설과 방문자 간의 상호소통의 문제와 방문자의 주택에서의 돌출행동 조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키워드: 헤이리 예술마을, 영역성, 공동체
대흉근의 응용해부 : 여성의 유방과 연관된 대흉근의 표면해부
서론 매력적인 유방을 만들고 가꾸는 일이 여성들 사이에서 보편화 되었고, 유방성형술은 이미 성형외과 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았다. 빈약한 유방실질조직을 가지는 동양 여성에서는 대흉근하 유방확대술과 이중평면 유방확대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보형물이 들어갈 포켓의 정확한 박리를 위해 대흉근의 해부학적 구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흉근과 유방사이의 표면해부학적 연관성을 규명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시행하는 유방성형술의 정확성과 성공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64 channel chest dynamic CT (Somatom Sensation 64, Siemens, Erlangen, Germany)를 촬영한 20. 30대 여성(평균나이 30.8세) 60명에서 120개의 유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는 유방의 여러 특성에 따른 모양을 분석한 뒤 유방조직과 대흉근을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된 새로운 삼차원 영상을 만들었다. 삼차원 영상에서 유방의 부피, 하수, 밀도, 연령의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대상군을 분류한 다음, 대흉근의 기시부 여섯 지점을 계측점으로 선정하여, 유두와 계측점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이를 통해 대흉근의 표면해부학적인 윤곽을 그릴 수 있었다. 결과 부피에 따른 분류에서 600 cc 이상의 군을 제외하고는 부피가 증가할수록 대흉근의 바깥 경계선과 아래 경계선은 유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내방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유방의 하수정도와 밀도에 따른 분류에서도 하수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밀도가 낮을수록 대흉근의 바깥 경계선과 아래 경계선은 상내방으로 이동하여 유두가 대흉근의 바깥 경계선상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었다. 하지만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는 특별한 규칙성이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이 연구는 삼차원 재구성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과거 아날로그 방식보다 더욱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였고, 이를 통해 대흉근의 표면 윤곽은 유방의 부피, 하수, 밀도와 연관되어, 부피가 클수록, 하수가 심할수록, 고밀도 유방 일수록 대흉근의 바깥 경계선과 아래 경계선은 유두와 가깝게 상내방으로 편향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계측값들은 실제 임상에서 유방의 성형 및 재건수술에 있어 중요한 참고사항 및 점검사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reast augmentation is to dissect the accurate size of implantation pocke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association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PMM) with the female breast shape for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mammoplasty. This study included 60 women (120 breasts)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who were imaged by CT between September 2006 and December 2007. On reconstructed 3D CT images, 6 points in the area of the PMM were selected as fiducial points, and using the imaginary lines connecting individual points, the PMM contour and the correlation of the PMM with the nipple were analyzed. As the volume increased, the lateral and inferior borders of the PMM moved to the superomedial side from the nipple. As the ptosis degree increased, the density became lower, and the lateral and inferior borders of the PMM moved to the superomedial side of the nipp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MM contou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MM contour may change according to the volume, ptosis and density of the breast. This study can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for breast surgery, increasingt the success rate of mammoplasty.
光纖維의 微細屈曲에서 發生하는 屈曲損失을 利用한 浸水센서의 製作 및 特性
김진한 慶北大學校 産業大學院 1991 국내석사
단일모드 광섬유로 침수센서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했다. 1300nm 파장에서 광파워 손실은 정상작동 모드에서 0.1dB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광섬유 통신선이 침수됐는지 여부를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광섬유의 다른 모드, 스롯의 수, 스롯의 크기 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e submersion sensor is fabricated using single-mode optical fiber and its properties are evaluated. The evaluation data at the wavelength of 1300nm show that optical power loss is less than 0.1dB in normal operation mode and 1.1dB in water submergence condition.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with this water submersion sensor it can be easily monitored whether the optical fiber transmission line is submerged or not. However, it remains as the future study to improve the sensor quality by considering the parameters such as the mode of optical fiber, the number of slots, slot size and static fatigue phenomenon.
콘텐츠 관련 상품을 위한 신경망과 가중치 기반의 키워드 추천 알고리즘
김진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현재 포털 사이트의 콘텐츠 광고는 사용자의 관심사와 키워드 매칭 등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광고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중 키워드 매칭 방식은 콘텐츠 내 존재하는 키워드를 통해 광고 매칭을 하는 것으로 주제와 관련 없는 키워드의 광고가 노출되거나, 동음이의어를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콘텐츠 광고를 집행하기 위해서는 광고주가 검색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하면 함께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음이의어로 인해 관련 없는 단어가 상위 광고를 목적으로 경쟁하게 되면 의미 없이 광고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음악 스트리밍 앱 ‘멜론’과 과일 ‘멜론’은 주제 구분 없이 구매되고 매칭된다. 콘텐츠에서 과일 ‘멜론’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면 광고도 과일 ‘멜론’에 대해 노출되어야 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광고 불일치는 광고 클릭률(Click Rate) 저하로 이어지며 광고주 광고 효율뿐만 아니라 CPC(Cost per Click) 방식으로 수익을 내는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과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수익도 감소한다. 본 논문에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쇼핑 키워드 추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이용하여 키워드의 집합을 사전형태(Dictionary)로 추출하고, 사전 정의된 쇼핑 카테고리 DB 내에 일치하는 키워드를 추천한다. 단, 이 경우 콘텐츠에 부합하지 않은 키워드가 추천될 수 있기에 쇼핑 카테고리별 가중치를 구해야 한다. 이때 가중치는 웹 콘텐츠를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한 주제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쇼핑 카테고리별로 산출한다. 산출된 가중치는 추출한 키워드 집합에 적용한다. LSTM 기반의 주제 분류 모델은 웹에서 수집한 15만 개의 뉴스 데이터를 Word2Vec으로 단어별 Vector를 산출하고 기계학습하여 생성된다. Word2Vec에서 추출하여 LSTM에 학습한 단어의 개수에 따라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달라진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 Word2Vec에서 추출한 단어 중 자주 사용되는 상위 단어의 개수를 100개, 500개, 1,000개, 2,000개, 5,000개, 20,000개, 50,000개, 100,000개, 추출단어 전체 순으로 구분하여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한다. 5,000개를 사용하였을 때부터 정확도가 99%에 도달한다. 학습에 사용된 단어의 개수가 많을수록 시스템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정확도가 99%에 도달하는 5,000개의 Word2Vec 추출단어가 본 시스템에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포털 사이트에서 수집한 1,500개의 실제 웹 콘텐츠를 대상으로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광고와 제안 알고리즘에서 추천한 키워드와의 매칭률을 비교해 실제 서비스 가능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 수집한 웹 콘텐츠와 포털 사이트의 추천광고와 매칭률은 70%였으나, 제안 알고리즘에서 추천된 키워드와 매칭률은 90%로 나타나 20%의 유의미한 성능향상을 보인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광고 키워드 추천 알고리즘이 시장에서 충분히 효용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Currently, content advertisements on portal sites are exposed through algorithms such as matching users' interests and keywords. However, in the keyword matching method, advertisement matching is performed through keywords existing in the cont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dvertisement of a keyword not related to the subject is exposed or a homophone is not processed. In order to make a content advertisement, the advertiser can proceed with the purchase of keywords for search advertisements. However, if an unrelated word competes for the purpose of a higher advertisement due to a homophone, it causes a meaningless increase in advertising costs. For example, the music streaming app “Melon” and the fruit “Melon” are purchased and matched regardless of subject classification. If the content is talking about a fruit “Melon,” the advertisement should also be exposed about the fruit “melon,” but it is not. This ad mismatch leads to a decrease in the ad click rate, and not only advertiser advertising efficiency, but also decrease profits for companies and content providers that provide advertising platforms that generate revenue through a CPC (cost per click) method. In this pap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e propose a shopping keyword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This algorithm extracts a set of keywords in a dictionary form using TF-IDF (Term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d recommends matching keywords in a predefined shopping category DB. However, in this case, since keywords that do not match the content may be recommended, weights for each shopping category must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weight is calculated for each shopping category by inputting the web content into the subject classification model-II- using LSTM(Long Short-Term Memory). The calculated weight is applied to the extracted keyword set. The LSTM-based subject classification model is generated by calculating a vector for each word using Word2Vec and machine learning 150,000 news data collected from the web.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words extracted from Word2Vec and learned in LSTM. To check this point, the number of frequently used high-order words among words extracted from Word2Vec is divided in the order of 100, 500, 1,000, 2,000, 5,000, 20,000, 50,000, 100,000, and all extracted words and evaluates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The accuracy reaches 99% from using 5,000 pieces. As the number of words used for learning increases, the memory space required for the system increases, so it can be seen that 5,000 Word2Vec extracted words with accuracy reaching 99% are most suitable for this system. In addition, the actual service possibility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atching rate between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portal site and the keyword recommended by the suggestion algorithm targeting 1,500 actual web contents collected by the portal site. As a result, the recommended advertisement and matching rate of the collected web content and portal site was 70%, but the keyword and matching rate recommended by the suggestion algorithm was 90%, showing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of 20%.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 advertisement keyword recommendation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is sufficiently effective in the market.
ATM망에서 연결 수락 제어를 위한 신경망 컨트롤러 구현에 관한 연구
For increasing of users for the network on LAN and for Internet service, a high-speed network is required. For improving multimedia technologies and services, a communication service for various services is required.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 satisfied these requirements for needs of the high-speed network and various services. B-ISDN is designed for providing almost of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one united network without any changing of characteristics for a service. ATM is the most attractive technology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ATM has advantages of packet transmitting mode and synchronization transmitting mode. It provides the statistical multiplexing based on a 53 bytes unit cell. Also ATM makes it possible to use a bandwidth efficiently and to accept various servic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a transfer rate because the service has a variation of a transfer rate. The difficult of predicting the transfer rate is caused by a traffic overload which gives a damage for the quality of services. This problem Is said "Congestion". CAC(Connection Admission Control) is one of the solution to control the congestion. CAC is defined as a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o accept call or not, depending upon analyzing a settling of call, a quality of service, traffic parameters, and network resources. However the CAC using mathematical models or equalized bandwidths is hardly to find a pefect model for the estimating multimedia traffic which consists of various services. Many researchers try to solve CAC using a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without traffic models. However neural network is not easily implement to hardware. In this paper, the digital hardware using a stochastic operation of neural network is described for the process of C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