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디오-비주얼 융합을 통한 음악의 시각화 연구 : 스크리아빈의 「프로메테우스」를 중심으로

        김진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디지털 시대 매체는 급속한 발달과 다양함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예술 작품의 사용되어지고 있다. 빠르고 방대하게 배포되는 매체는 예술의 형식 역시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공감각적 표현을 사용한 음악의 시각화 방식은 전통에서 벗어난 작품의 형태로 새로운 예술을 창조했다. 과거 색이나 기호 등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방식이 새롭게 등장한 매체에 융합적 방식을 사용하여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것이다. 색과 기호, 매체를 활용한 음악은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변화했으며, 우리에게 다양한 감각을 통한 수용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인터렉티브 개념이 더해지면서 관객과의 일방적인 결합이 아닌 상호작용의 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현 시대 디지털 매체가 이전 매체와 다른 이유이다. 매체가 재료가 되어 해체하거나 반영하고 창조하는 다소 급진적 창작방식, 또한 이질적인 감각 수용을 통한 공감각 예술표현의 미적 가치는 ‘감각’과 ‘수용방식’, ‘일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디오-비주얼 융합을 통한 음악의 시각화 연구로써, 스크리아빈의 「프로메테우스」에서 색광 오르간의 기능과 특징, 작품에서의 역할과 음악적 의미, 현대 기술의 발전과 음악 기술의 진보를 고려하여 색광 오르간을 현대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스크리아빈이 표현하고자 했던 음악과 빛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인터랙티브 기술과의 융합, 가상 혹은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 다중 매체와의 통합 등을 고려하여 색광 오르간의 음향적, 시각적 표현을 확장하고 현대 음악 창작과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음악의 시각화의 목적은 음악을 더욱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대중들이 음악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여, 음악의 구조, 멜로디, 하모니, 감정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또한, 작품에 더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음악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달로 시각적 이미지와 사운드가 디지털화 되고 변환되기 쉬어짐에 따라 공감각 표현의 영역은 더욱 넓어지고 있다. The rapid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media in the digital age are being used in different ways than before. The form of art is also rapidly changing in fast and vast media, and the visualization method of music using synesthetic expressions has created new art in the form of works that deviate from tradition. In the past, methods used in one way, such as colors and symbols, had a tremendous influence by using convergent methods on newly emerging media. Music using colors, symbols, and media has changed from listening music to seeing music, and requires us to accept it through various senses. As the concept of interactive is added to this, it requires a relationship of interaction, not a unilateral combination with the audience. This is why digital media in the present era are different from previous media. The aesthetic value of synesthetic art expression through heterogeneous sensory acceptance, as well as a somewhat radical creative method in which the medium becomes a material, needs to be examined in terms of "sense," "acceptance method," and "daily life." This study is a visualization study of music through audio-visual convergence, and in Scriabin's Prometheus, it studied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organ, its role and musical meaning in the work,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ight that Scriabin wanted to expr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nvergence with interactive technology, the introduction of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integration with multiple media, we studied ways to expand the acoustic and visual expressions of colored light organs and apply them to modern music creation and research.  The purpose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was to express music in a more diverse way so that the public could see it from a new perspective, allowing them to visually grasp the structure, melody, harmony, and emotions of music.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of adding to the work was to study the direction to enhanc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music.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area of synesthesia representation is expanding as visual images and sounds become easier to digitize and convert.

      • 벤처企業의 海外市場 進出戰略에 關한 硏究 : 情報.通信.電子 技術分野를 中心으로

        김진하 전주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47

        A review of shows that past research has focused predominately on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issues in relatively well-established firms. These studies have either ignored venture firms or have failed to treat these firms separately. Only recently, researchers have broadened their search to include aspects of the foreign market investment of the ven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nd explain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on the choice of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for venture firms. And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i) What ar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c archetypes which are pursued by venture firms in Korea? ii) Does factor involving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iii) Does factor involving transaction cost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iv) Does factor involving location specific advantage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v) Are there differences in venture performance i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If so, what are the most favorable 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Through this research, a venture is defined as being a new technology-based firm which is less than 8 years old. The unit of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an individual firm.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explor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of ventures. The other i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trategy and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To find the perceived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and determinant factors, 130 venture CEOs from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industrie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venture's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through 17 questionnaire items on competitive method. Using factor analysis, the six determinant factors were categoriz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and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a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form 92 venture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of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have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of venture firms. Secondly, the factors of transaction cos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Thirdly, the factors of location specific advantage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Fourthly,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pursued by venture firms influence the venture performance. This study has produced evidence to demonstrate that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profile of venture firm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relatively well-established firms. An expanded study would allow for stronger conclusions regarding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variables in the method. Additional research is also needed to examine other determinant variables connecting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 국내 항공사 유튜브의 특성과 지각된 유튜브 정보의 유용성, 브랜드 태도, 항공사 이용의도의 관계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

        김진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 YouTub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YouTube information, brand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airlines : - Apply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Kim Jin Ha Department of Hospitality &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and analyzed it to check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 YouTube channels, information usefulness, brand attitude, and airline usage intention for consumers who watched the domestic airline YouTube video. To verify the hypothesis,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n viewers who have watched YouTube videos of domestic airlines within the last year. A total of 300 sample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check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entral path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on information usefulness, it was found that the central path (reliability, accuracy, and up-to-dateness)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formation useful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ircumferential path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on information usefulness, it was found that the surrounding path (attraction, professionalism)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formation usefulnes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entral path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accuracy and up-to-dateness among the central paths of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were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rand attitude, but reliability was significant in bra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no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eripheral path of the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s on the brand attitude, attractiveness, which is the peripheral path of the airline YouTube characteristic, wa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was found to have no effec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fulness of airline YouTube viewers on brand attitude,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rand attitude.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fulness of airline YouTube viewers and airline usag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irline usage intention. Seven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YouTube viewers' brand attitudes on airline usage intentions, it was confirmed that brand attitud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irline usage intention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we test the hypothe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 YouTube, information usefulness, brand attitude, and airline usage intention,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did. Kewords :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irlines' YouTube, Information usefulness, Brand attitude, Intention to Use the Airlin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ELM) 국문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항공사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해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항공사 유튜브 특성과 지각된 유튜브 정보의 유용성, 브랜드 태도, 항공사 이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해보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최근 1년 이내에 국내 항공사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해본 경험이 있는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표본 수는 총 300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와 Amo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빈도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해보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해보았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중심경로가 정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중심경로(신뢰성, 정확성, 최신성)는 정보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주변경로가 정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주변경로(매력성, 전문성) 또한 정보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중심경로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중심경로 중 정확성과 최신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신뢰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주변경로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항공사 유튜브 특성의 주변경로인 매력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전문성은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항공사 유튜브 시청자의 정보 유용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보 유용성이 브랜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항공사 유튜브 시청자의 정보 유용성이 항공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정보 유용성이 항공사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항공사 유튜브 시청자의 브랜드 태도가 항공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브랜드 태도가 항공사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통해 국내 항공사 유튜브 특성과 정보 유용성, 브랜드 태도 및 항공사 이용의도 간 관계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국내 항공사 유튜브 특성, 정보 유용성, 브랜드 태도, 항공사 이용의도,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

      • 서비스종사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관련업종을 중심으로

        김진하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ing on service workers in beauty-industry businesses, to identify how much important nonverbal communication would be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which factor of nonverbal communication would account for the largest part.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because way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service encoun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customer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rious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generally. Among the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suggestive factor had the larges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ody language and appearances ranked next. Phonetic language had little impact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made it a minus number through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However, phonetic language proved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independently on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able variable. 2. In terms of the difference analysis by gender,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huge, it was analyzed that the female group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nonverbal communication than the male group in the same situation, which suggested that more delicate nonverbal communication should be used for female customers. As for the difference analysis by age, customers in their fifties showed highest satisfaction with nonverbal communication of beauty-industry service workers, while those in their twenties showed the lowest. The level of educ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evance. Finally, regarding the frequency of use, the group using it three or four times a month valued the influence of nonverbal service most seriously, while the group using it five times or more a month did not so much. Accordingly, given the fact that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suggestive factor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but requires high expenses as well as a lot of efforts to often replace it, the supervisors should manage it deliberately with interior designs and periodic changes for the main customer base. When it comes to the factors of body language and appearances, service workers need to receive refin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fit for the business and to make efforts themselves.

      •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의 연구

        김진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의료, 법률, 교육, 자동차, 금융, IT 산업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IT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을 개발해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의 연구’로써 인공지능의 역할과 인공지능과 인간의 창의성이 융합된 작곡창작물에 대한 현황을 조명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곡 프로그램의 특성을 인공지능 기계 학습의 방법에 따라 유형화 하고 고찰함으로써, 향후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까지 IT 기업들이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Google-Magenta Studio, Sony-Flow Machines, Amazon Web Service –DeepComposer, AIVA, OpenAI-Jukebox)을 인공지능 기계 학습(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방법에 따라 유형화해 분석하고,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여,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 발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고 있다. 첫 번째, 인공지능의 개념을 알아본다. 두 번째, 인공지능의 음악 창작물 현황을 알아본다. 세 번째,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을 유형화 하여 특성을 연구한다. 네 번째,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legal, education, automobile, finance, and IT industries and is rapidly developing. Global companies in the IT field have developed and rele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a'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 which highlights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urrent status of compositional creations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creativity are fused,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prog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future AI composition programs by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 method of learning. Until recentl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 (Google-Magenta Studio, Sony-Flow Machines, Amazon Web Service-DeepComposer, AIVA, OpenAI-Jukebox) developed by IT companies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ethod. The purpose is to use it as a material tha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s by tying and analyzing, research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s. The research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 examine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s music creations. Thir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 is categori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tudied. Fourth, we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mposition program.

      • 이직행위와 직무만족도 분석 : 1-15차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한 분석

        김진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1998년)부터 15차(2012년)까지 한국 노동 패널 자료(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직 여부를 바탕으로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하며, 이직 전·후의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동시에 이직을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에 비하여 이직 1년 전에는 부정적이었으나, 이직 후의 직무만족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이직 과정에서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에 비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자발적· 비자발적 이직 여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발적 이직을 한 이직 자들의 직무만족은 1년 전부터 이직 직전까지 매우 부(-)적으로 변화하며, 이직 행위 여부와 동일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자발적 이직 직후에 직무만족이 증가하며, 다시 1년 후 직무만족이 부(-)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비자발적 이직 여부는 이직 1년 전부터 1년 후까지 자발적 이직과는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이직 1년 전이 이직 직전보다 더 부(-)적으로 직무만족이 변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이직 직후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1년 후에는 더욱 정(+)적으로 변화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발적 이직 직전에 직무만족이 감소하였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이직자의 이직 직전의 직무만족도는 이직하지 않은 개인과는 차이가 없는 연구 결과로 가설을 지지한다. 이직 직후에 자발적 이직자들의 직무만족은 증가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비자발적 이직간의 관계에서,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보다 낮을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다. 그리고, 자발적 이직자들의 직무만족은 1년 후 부(-)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자발적 이직 직후의 직무만족은 정(+)적으로 변화하며 1년 후에는 더욱 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위의 결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는 점에서, 기업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이탈방지를 위한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직무만족이라는 조직 구성원의 중요한 태도변수인 직무만족과 이직을 설명하는 실증적 결과를 확장하고, 기존에 부족하였던 장기간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국내의 연구에 실증적 공헌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직 여부의 이직 1년 전 부터 1년 후 까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변화를 검증한다. 이직의 주체에 따라 분류한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이 직무만족에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주는지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추가적 공헌을 보여준다.

      • 점토지반의 단말뚝 수평방향 거동 특성

        김진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점성토 지반에서 단일말뚝의 수평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FB- Multipi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뚝길이와 직경, 점토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말뚝이 설치된 방향 및 경사각도 등을 변화시킨 매개변수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뚝직경과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말뚝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극한수평저항력은 증가하다가 수렴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비배수전단강도에 관계없이 말뚝길이와 직경의 비(L/D)가 약 20 수준에서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질수록 극한수평저항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길이가 17.5m인 경우 직경이 커짐에 따라 극한수평저항력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질수록 극한수평저항력 증가폭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작은 경우 말뚝길이 전체에 걸쳐 수평하중과 휨모멘트가 발생하지만,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지면 말뚝선단 하부에서 수평하중과 휨모멘트가 ‘0’으로 수렴되는 말뚝부분의 길이가 커지는 긴말뚝 거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말뚝길이와 직경이 일정한 조건에서 비배수전단강도의 변화에 따른 해석 결과, 비배수전단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한수평하중은 증가하면서 일정한 수준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짐에 따라 최대 수평하중과 모멘트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경사각도에 따른 해석 결과, 말뚝길이가 길어지고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짐에 따라 모든 경사각도에서 수평저항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수평저항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향말뚝(in batter pile)의 수평저항력이 외향말뚝(out batter pile)의 수평저항력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거의없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질토 지반에서의 모형실험 결과로부터 경사각도에 따른 지지력 변화에 대한 Awad & Petrasovits(1968)의 연구와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Awad & Petrasovits(1968)의 연구 결과에서 외향말뚝의 경우 경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지지력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점성토 지반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반대로 경사각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추후 현장실험 또는 모형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numerical analysis was executed using the commercial program to investigate the lateral behaviors of a single pile under the lateral load in clay. For this purpose, the parametric studies were done, varying the diameter and length of steel pile, undrained strength of clay, direction of pile installation and inclination angle etc.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 At the same pile diameter conditions, as the pile length was longer,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and converged to ultimate lateral resistance at about L/D=20 regardless of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clay. With pile length of 17.5 m, as the pile diameter was larger, the ultimat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linearly, and a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tronger, the increment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When L/D of pile was small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oft, the pile lateral load and moment developed over the pile length. But with large L/D and stiff undrained shear strength, the pile moment and lateral load were almost zero near the pile tip. The pile moment and lateral load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long or flexible pile developed by Broms(1964). Under constant pile length and diameter condition, a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tronger,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and converged to ultimate lateral resistance. Also the moment and lateral load were increas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as the pile length was longer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inclination angle increased,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The lateral resistance of in batter pile was a little greater than that of out batter pile, but the difference was little. These results were obtained from only numerical analysis, an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se results by the field load tests or model t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