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월 광주'의 영화콘텐츠화 연구 : <박하사탕>,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를 중심으로

        김진실 원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오월 광주를 다룬 영화콘텐츠 세 편을 비교해 어떻게 영화가 콘텐츠로서 ‘오월 광주’를 재현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각 영화의 플롯 3막 구조를 정리하고, 구조 안에서 조르주 폴티의 36가지 극적 플롯을 도출해 사건의 흐름과 변화를 고찰한다. 롤랑 바르트의 사회적 약속(객관적인 해석)이자 보편적인 감상법인 스투디움과 개인의 경험(주관적인 해석)이자 새로운 감상법인 푼크툼을 통해 영화 속 오월 광주로 인해 변화하는 인물의 이미지를 해석한다. 이를 통해 세 편의 영화콘텐츠에 나타난 오월 광주와 그 활용 방식을 정리한다.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 김지훈 감독의 <화려한 휴가>, 장훈 감독의 <택시운전사>는 오월 광주를 직‧간접적으로 영화 안에 담아내고 있다. 대중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오월 광주를 표현한다는 점과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를 대표해 각 시대를 반영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세 편 모두 적극적으로 오월 광주를 재현하고 전달한다. <박하사탕>은 오월 광주를 트라우마로 설정한 후, 김영호(개인)의 망가진 삶의 원인을 집중 추적하고 있다. 오월 광주에 의해 순수를 도살당한 김영호는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미래에서 과거로 순환하는 구조에 갇히게 된다. 오월 광주는 수많은 진실을 감춘 채 김영호를 통해 개인화된 역사로 재현되고 있다. 김영호의 선택으로 대중은 분열된 자아를 만들어낸 시대의 폭력을 경험한다. 그는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로서 대중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오월 광주의 잔인함을 전달한다. <박하사탕>은 시대와 국가를 향한 고발과 비판의 시각을 견지함으로써 대중은 이를 통해 오월 광주가 개인의 삶을 얼마나 파괴했는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깨닫는다. <화려한 휴가>는 오월 광주를 집단 기억, 문화적 기억으로 인식하고, 죽음의 공동체를 상징하는 광주시민군을 주체로 그들의 숭고한 투쟁과 희생을 집중해 재현한다. 광주를 지키겠다는 염원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공동체의 죽음으로 인해 <화려한 휴가>의 비극적인 하강구조는 완성된다. 10일간의 항쟁을 시간 순서대로 담아내면서도 마지막까지 신애를 통해 ‘기억’을 강조한다. 영화 속에서 광주시민군의 투쟁과 희생은 대중에게 익숙한 오월 광주의 역사인식을 보여준다. 대중은 죽음의 공동체로 인해 당시 오월 광주의 현실을 경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오월 광주를 자신의 기억 속에 각인시킨다. <택시운전사>는 오월 광주를 희망의 관점으로 보고, 두 외부인을 통해 오월 광주를 제3자의 입장에서 제시하고 있다. 처음부터 등장하는 김만섭과 페터의 불통 관계를 광주시민과 계엄군의 관계로 확장한다. 두 외부인은 광주로 들어온 순간 광주시민과 생사를 함께 하면서 하나의 공동체로 단결되지만, 계엄군과 광주시민의 관계는 완벽히 단절된다. 특히 순천에서 고뇌하는 김만섭을 하강하는 이야기 구조를 상승 곡선으로 전환하는 데 주요한 매개체로 사용한다. 대중은 김만섭과 함께 오월 광주 속에서 내면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그의 결정이 곧 대중의 결정이 되고, 은폐되어왔던 오월 광주의 진실이 세상에 노출되는 결말을 맞이함으로써 <택시운전사>는 상승구조로 끝맺는다. 김만섭과 페터가 점차 광주시민처럼 오월 광주를 자신의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과정은 <택시운전사>가 대중에게 보여주고 하는 중요한 쟁점이다. 외부인과 광주시민의 소통으로 하나의 단체가 만들어지면서 오월 광주는 더 이상 정체되어있는 역사가 아닌 계속해서 기억될 역사로 인식된다. 영화 속 오월 광주는 폭력적인 이미지로만 비춰지지만, 김만섭의 변화로 인해 대중은 오월 광주를 희망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외부자들과 내부자들의 소통으로 인해 김만섭은 대중과 같은 익숙한 방관자적인 입장에서 오월 광주의 폭력성을 고발하는 완벽한 승리의 메신저로 오월 광주의 희망을 전달한다. 세 편의 영화콘텐츠는 오월 광주를 이미 기술된 역사가 아닌 앞으로도 계속 회자되어야할 역사로 콘텐츠 하고 있다. 따라서 오월 광주 영화콘텐츠는 꾸준히 생산되거나 재현, 오마주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곧 오월 광주가 기억의 역사로서 앞으로도 계속 영화콘텐츠화 될 것임을 암시한다. 다양한 영화콘텐츠화는 오월 광주를 잊지 않아야할 역사로 인식하고,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후대에게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데 큰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덧붙여 영화콘텐츠가 다른 콘텐츠와 융합되어 새로운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과 재창조될 수 있는 점을 인식하는 것도 미래 영화콘텐츠의 이상적인 방향이라 하겠다. This study compares the three films dealing with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t analyzes how the narrative contents of the films reenact the Movement. It looks at the three-act structures of each film, within which the flow and changes of the incident are investigated with the more detailed divisions of thirty-six dramatic situations that are proposed by Georges Polti. In addition, the study uses Roland Barthes' concepts of studium and punctum. The former means the social agreement (objective interpretation) and the universal appreciation method. The latter indicates the personal experiences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a new appreciation method. The concepts help to analyze the cinematic images of characters that change through the Gwangju Movement. The film, Peppermint Candy directed by Lee Chang-dong, May 18th by Kim Ji Hun, and A Taxi Driver by Jang Hoon embody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three films hold significance by the fact that the May 18th is expressed to the public in various ways. They also represent the changing viewpoints of each film's production time on the incident: the 1990s, 2000s, and 2010s, respectively. Peppermint Candy depicts the trauma of the May 18th by tracing an individual broken life of its protagonist, Kim Young-ho, whose purity was slaughtered by his experience of the incident. Young-ho is trapped in a circulation from the past (May 1980) and the present (1990s), which is reenacted in the film as a history that hides many truths while it becomes individualized through Young-ho. The audience feels the violence of the era through Young-ho's own and fictional experience of the May 1980 that fragments his ego. He provides the audience a perspective of a victim, not an assailant of the May 1980, and conveys the cruelty of the incident. The film criticizes the era and the state, which leads the audience to recognize how much the May 18th have destroyed the lives of individual South Koreans. May 18 represents the May 1980 as the collective and cultural memory. The film symbolizes the army of Gwangju citizens as the community of death that is the main agent of the noble fight and sacrifice. The tragic descending structure of the film is completed with the dying community that is voluntarily formed with the citizens' wishes to protect the city from the attack of the state army. While it deals with the first 10 days of the strife of the citizens chronologically, a collective 'memory' is reinforced through their beliefs. The fight and sacrifice represent the public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May 1980 that is now familiarized to the South Korean public and imprinted in their memory. A Taxi Driver perceives the May 1980 from a hopeful perspective through a third person viewpoint made by two outsiders. Its opening sequence describes the miscommunication between a Korean taxi driver, Kim Man-seop and a German reporter, Jurgen Hinzpeter, who are just met in Seoul. The film expands the miscommunication to that between the citizens of Gwangju and the state army. As soon as the two outsiders entered Gwangju, they immediately join the joys and sorrows of the citizens of Gwangju and become united with them to build a community. Yet, the miscommunication between the state army and Gwangju citizens got widely open. In particular, the scene in which Man-seop is anguished in Suncheon i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to convert the descending structure of the story into a rising curve. The public shares his internal conflicts with him; he struggles with whether he will stay to keep helping the citizens or to return to Seoul. His decision to return and let the globe know about the truth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s not only made with the audience's empathy but also creates the ascending structure. The process of how Man-seop and Peter gradually embrace the May 1980 as a part of their lives just like Gwangju citizens is a crucial issue that the film is made to the public. A community is created between the two outsiders and Gwangju citizens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film makes the public recognize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s history that should continuously be remembered. The process of the personal changes of Man-seop do not simply visualize the May 1980 as a violent incident but as a moment of historical possibilities that is hopefully solidified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utsiders and insiders. Man-seop not only takes the position of an objective observer, just like the film's audiences, but also functions as a perfect messenger of the interaction so that he can deliver the hope that the state violence will soon be accused as injustice. The three films take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s historical contents that should continuously be discussed and reexamined, not as a content historically set in stone.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vement can and should be continuously be produced or reenacted as film and cultural content. This possibility suggests how the Movement will be continue to be a history of memory and even paid an homage as a cultural content. The diversity in the three film contents is important because their significant goals let the public recognize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s a historical content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so that the future generations can be interested in and learn the historical truth of it. Furthermore, it is likely that an ideal direction is that the films contents are fused with other contents and recreated as new contents.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실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Since mid-2000 low-cost career have been established, explosive growth of air passenger demand is continu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aircraft cabin crew training institute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aircraft operations. As a result of the various recruitment processes, the applicants'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nd basic appearance required by the crew are judged. Through these procedures, even after the final acceptance, many candidates are supporting the Department of Aeronautical Servic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goal of aviation cabin crew by prioritizing these cours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tudy the curriculum, learning method, teaching method, etc.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the aviation service major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a subject of mutual respect. Professors show interest and affection for their majors and students, continue their academic inquiry, provide intelligent motivation to students, Should be. One of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professor's capacity i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Professors must demonstrate effective leadership in relationships with students. In addtion, based on the personal-organization fit who wants to become an airline crew and the value of an organization such as nurturing professional manpower based on suitability of Personal (student)-organization(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Adviser's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al fi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we will examine whether individual self -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April 16, 2015 to May 5, 2018, and the sample of the research was collected from colleges in Seoul, Incheon, Gyeonggi, Chungnam, Busan, and Gwangju.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processed by self - report method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directly to collect 289 copies. A total of 280 validate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the nine unsuccessful samples with missing value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is based on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eadership of advis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students were admit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aviation cabin crew,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could be influenced by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ofessor. Second, the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irline service major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Unlike other majors, students and departments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aviation cabin crew, so students with self-esteem and self-esteem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Third,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dvis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the self -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showe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major satisfaction, but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 organizational suit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this, way, students with high beliefs that they can do well on their own can be satisfied with their majo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 efficacy on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personal-organization fit of advisor 's job preparation behavior were partially adopted. Both hypotheses show that self - efficacy plays a moderating role in pre -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does not affect full - time employment behavior. 2000년 중후반 저비용항공사의 설립 이후 항공여객수요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항공기 운항의 중요 인적 요인인 항공객실승무원 양성 기관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산업체 특성 상 다양한 채용 프로세스를 통해 지원자들의 지식, 기능, 태도 및 승무원으로 요구되어지는 기본적 용모 등이 판단되며 이러한 절차를 통과해 최종합격이 된 후에도 집중적인 객실승무원 양성 교육과정을 수료해야 승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을 선행하여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목표에 한 발짝 더 다가가기 위해 많은 수험생들이 항공서비스전공 관련학과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서비스전공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 학습법,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야 한다.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는 상호존중의 대상으로 교수는 전공과 학생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보이며, 학문적 탐구를 지속하며 학생에게 지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을 효과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러한 교수의 역량 중 주목해 볼 점은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이다. 교수는 학생과의 관계에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또한 항공서비스전공 특성이 가지는 개인(학생)-조직(학과)적합성을 바탕으로 항공객실승무원이 되고자 하는 개인의 가치와 전문인력양성이라는 조직의 가치가 일치하였을 경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전공만족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학생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함께 살펴볼 것이다. 국내 2년제/4년제 관련학과 대학생들을 설문대상으로 하고,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표본은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부산, 광주에 소재한 2,4년제 대학생들로 각 학년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응답은 자기기입법 및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입을 완료한 설문지를 직접 수거하여 총 289부 수집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결측치가 있는 불성실한 표본 9부를 제외한 유효표본 280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은 전공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특성상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입학 했을지라도 전공에 대한 만족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는 바, 이에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개인-조직적합성은 전공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전공과 달리 개인(학생)과 조직(학과) 모두 항공객실승무원이라는 취업 성공을 가치로 두고 학과를 통해 본인의 능력이 발휘되고 자부심을 갖는 학생의 경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은 모두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감성리더십과 전공만족의 영향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게 나타났으나 개인-조직적합성과 전공만족의 영향관계에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 스스로 잘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두 가설 모두 예비적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격적 취업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음악신보』를 통해 해석한 슈만의 <카니발 Op.9>

        김진실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로버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은 동시대 작곡가들 중 문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인물이다. 십대에 이미 본인의 자작희곡을 발표한 슈만은 장 파울(Jean Paul)과 호프만(E.T.A. Hoffmann)의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1834년 『음악 신보 : Neue Zeitschrift für Musik』를 창간해 음악계의 저널리즘을 높이고 충실한 언론인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세 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비롯해 피아노 협주곡 Op.54 등 대규모 악곡을 다수 남겼지만, 문학이 접목된 정수는 다름 아닌 성격 소품 곡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 21개의 짧지만 밀도 높은 소품들로 구성된 <카니발 Op.9>은 슈만의 비전이 집약된 모음집으로 꼽힌다. 각 제목은 축제의 등장인물과 춤의 성격을 묘사하며, 이들 중 상당수는 슈만이 편집장을 지낸 <음악신보>의 다양한 평론을 통해 기술된다. 실제 쇼팽은 <음악신보>를 통해 소개된 바 있고, ‘오이제비우스’와 ‘플로레스탄’은 대화체의 서 술을 통해 상반되는 자아상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대미를 장식하는 ‘필리스틴에 대항하는 다윗동맹 행진곡’은 음악신보의 창간이념을 그대로 투사하며 낭만시대의 고결한 예술이상을 담아낸다. 이에 본 논문은 슈만이 자작한 글과 음악을 직접 관련시키는 시도를 한다. 즉,『음악신보』와 <카니발 Op.9>의 공통된 등장인물과 이념 등을 구별하여, 슈만이 ‘글’과 ‘음악’이라는 서로 다른 도구로 어떻게 이들을 묘사했는지 비교하고 연관 시켜 해석하는 것이다. 이로서 실제 연주에 있어서 슈만의 의도를 조금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20세기 전반 재미한인문학 연구

        김진실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America in the first half of the 20 th century because it is the necessary step to take to write a complete history of Korean-American literature and to broaden up the prospect of Korean literature. A number of Korean people were forced to immigrate to China, Manchuria, Russia, Japan, and America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Korea, and therefore the literature they built in the new world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ar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mong those, the literature of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has developed with their own uniqueness. Whereas the English works of Korean-Americans were studied quite often with a scholastic interest, Korean works of Korean immigrants were neglected until the recent reading on The Shinhan-Minbo, which is the official organ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대한인국민회), published from 1909 up to now. The Shinhan-Minbo is the most fundamental source to study on the literature written by Korean-American before liberation because it published over 30 works of novel, and it shows important data on the influential figures in Korean society, and essential issues to understand the society at a glance. The Shinhan-Minbo is veryimportant but not the only one source to look at when to examine the literature of Korean-Americans because there are other magazine or books published by Korean students who came to America by the mid-1920s. They made a significant shift of Korean society in America. Main writers of The Shinhan-Minbo were also working for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which role in the society was to enlighten and lead the Korean people who immigrated for the labo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the literature of The Shinhan-Minbo was necessarily to focus on this role of literature, and the main theme of works was to promote the patriotism and the sense of solidarity whereas works of The Rocky (우라키), the official organ of Korean Student Federation of North America(북미한인유학생회), or Yonghill Kang’s works showed a variety of subject matter from inner landscape of the self to Korean ethnography. And Koreans who studied in America and had to go back to Korea are also great contributors of Korean literature as they developed a story of self-supporting student(고학 생활기) and criticized the civilized society of America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outsiders. The first Korean immigrants did not initially plan to settle down in America since their purpose to come to America was to earn enough money to feed their family in Korea, but Japanese annexation in 1910 forced them to stay in America. The introduction of the photo-marriage(사진결혼) and the booming of labor market in the west part of America helped the single men to settle down. Now the America became the place of settlement rather than of sojourn to Koreans. As this change happe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also shifted. The literature of the first decade of Korean immigration was quite same as the one inKorea itself like development of the stories of history or real great persons before the development of fictive novel. And the story of historic figures encouraged the people to sacrifice for the nation. The only difference was that the biographic story published in The Shinhan-Minbo dealt with the contemporary event and figures like Jang, Inhwan and Jeon, Myeong-woon who killed Durham White Stevens, a pro-Japanese American, or An, Joong-geun. This books of biography were able to be published thanks to the money of Korean immigrants and the freer political condition from Japan. After the annexation of Japan, Korean people in America had to find the way to settle down in America and face the complicated problem in Korean society such as generation conflict, confusion of identity or culture shock in every aspects of life. This social problems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works of novel from the 1910s but the main idea was still limited to promote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of the people. Even though the subject matter was collected from the real life of Korean society, the focus of the story was to propagate the sense of solidarity as a Korean and the need to sacrifice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writers of The Shinhan-Minbo were overlapped with the lead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their works were used for the channel to deliver the ideal of the Association, patriotism and nationalism. This social unity maintained by the Association and The Shinhan-Minbo started to be cracked by the group of Korean students came to America by the 1920s. The student group was also a part of early Korean immigrants but they did not continue the study in the States but devoted themselve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they were granted to stay in America as political refugees. However the students came to America by 1920s had a different status from the early students. They had to return to Korea as soon as they graduate, and their stay in America was controlled very strictly. Thus their standpoint was basically of outsiders from the western civilized society and the Korean-American society as well. Some of them questioned the existing uniformity of The Shinhan-Minbo literature and some disapproved of mammonism in American society and disclosed the hypocrisy of the philanthropists through their works. Thus the literature of Korean in Americ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summed up the works of The Shinhan-Minbo and the ones of the students came to America by 1920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quite contradictory but at the same time transitional. While the works of The Shinhan-Minbo are the continuous form of the literature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oot of Korea-American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 of the latter, Korean students in America such as Yonghill Kang who stirred the American intellectual society by introducing eastern sentimental and who faced the problem of identity as a Korean-American. 20세기 전반기 재미 한인문학의 양상을 살피는 일은 미국 이민문학의 역사를 서술함과 동시에 국문학의 지평을 넓히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 많은 한국인들은 정치경제적 요인으로 한 곳에 정주하지 못하고 중국, 만주, 러시아, 일본, 미국 등지로 이동하였고, 이들이 건설한 문학 세계는 한국 근대문학을 고찰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 가운데 미국의 한인문학은 100여 년의 이민 역사 와 함께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전개, 발전되어 왔다. 재미 한인문학은 영어로 창작된 작품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집중된 반면 해방 이전에 국문으로 창작되었던 작품들에 대한 연구 업적은 적은 편이다. 본고의 목적은 재미 한인문학의 뿌리가 되었던 1900년대 초반부터 해방 이전까지의 초기 이민세대 들이 국문으로 발표했던 작품들의 계보를 정리하고 이 작품들의 동시대 국내 작품들, 그리고 이후 영문으로 창작되는 재미 한인작가들의 작품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20세기 전반기 재미 한인문학의 양상과 성격을 살피는 것이다. 재미 한인문학을 고찰하는 데 있어 《신한민보》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대한인국민회의 기관지로서 1909년부터 해방 이후까지 발간이 지속되었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여 해방 이전 재미 한인들의 문학 연구를 위한 필수자료라고 할 수 있다. 《신한민보》에는 해방 이전의 소설 30여 편이 수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재미 한인사회의 주요 인사들의 동향과 시기별 중요 사건 등을 한 눈에 살필 수 있어 재미 한인문학 연구의 근간이 된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에 유학생들이 대거 이주하게 되면서 한인사회의 구성이 다변화되는데, 이때 북미유학생회의 기관지 《우라키》와 강용흘의 영어 창작물 등은 기존의 문학계에 새로운 기여를 하게 된다. 《신한민보》는 국민회 기관지로서 민족적이고 대중 계도적인 성격이 강했는데 유학생들이 유입되면서 《신한민보》 중심으로 전개된 문학계는 충동과 자극을 받게 되고 그 결과 내용이나 형식 면에서 훨씬 다양화된 작품들이 재미 한인 사회에 향유되기 시작한다. 뿐만 아니라 유학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가 작품을 발표한 유학생들의 고학기는 외부적 시선으로 형상화된 미국사회에 대한 객관적 탐색기이 자 외부인의 고립적 정체성을 부각하는 독특한 장르로 발전하였다. 1903년 하와이로 노동이민이 시작된 직후부터 발행된 《신죠신문》을 시작으로 미국에서는 한인들의 신문이 다수 발행되었는데, 이들 신문은 애국 계몽의 서사물들이 논설, 기서, 소설 등의 형태로 변주되면서 한국민의 집단적 정체성을 강조하었다. 특히 1910년 이전은 초기 노동이민자들이 미국을 일시적 체류지로 인식하고 경제적 궁핍을 일정 정도 해결하고는 본국으로의 귀환을 계획하고 있었으므로 이 시기 재미 한인들의 문학은 본국과 거의 동일한 양상으로 드러난다. 역사전기물들과 단형서사들이 근대 소설의 전사로서 발전되고 있었고, 주제의식은 애국계몽적인 것들이 대중을 이루었다. 다만 본국의 전기물들이 과거의 역사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했던 데에 반해 미국의 전기물은 시의성이 매우 높아 스티븐스 저격 사건의 주인공인 장인환, 전명운 두 의사의 전기 『량의사합뎐』(1909)과 안중근의 전기인 『大東偉人安 重根傳』(1911)은 사건이 일어난 직후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이는 미국 한인들의 자금력과 일제의 직접적인 탄압으로부터 자유로웠던 정치적 상황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국내 항일운동의 큰 자극이 되었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고 나서는 미국에 일시적인 체류를 계획하고 있던 대다수의 한인들이 미국에 정착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그래서 단신으로 이주했던 남성 노동자들은 사진을 통해 본국의 신부를 데려오는 사진결혼을 통해 미국에 정착하려고 했고 하와이 플랜테이션을 떠나 미본토의 넓은 노동시장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학에는 여전히 국권회복의 의지가 도생의 고난과 갈등보다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 중요한 이유는 소설의 작가가 《신한민보》의 필진과 중첩되고, 대한인국민회나 그 기관지인 《신한민보》가 지닌 사회 정치적 성격과 역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신한민보》에는 세대 갈등이라든가 도생의 어려움등의 현실적 문제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보다는 그 해결을 제시하여 대중들을 계도해야 하는 임무와 역할이 강조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남녀 간의 연애, 세대 갈등, 정체성의 위기감 등 다양한 현실 문제가 거론되며 한인 사회의 면면이 반영된 작품들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신한민보》의 소설 작품들이 계도적인 성격이 강했다면 1925년에 창간되는 유학생회 기관지 《우라키》에는 심리소설이나 자전적 일기체 소설 등 형식이나 내용 면에서 실험적인 작품들이 발표되었고, 《신한민보》에도 문학 전공 유학생들의 문예비평이 실리면서 기존 한인 문단에 큰 자극을 주었다. 또한 주요섭과 임영빈과 같은 귀국 유학생들의 작품이 국내에서 발표되면서 미국 문명사회와 한인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 의식이나 유학생들의 이중적 자기 정체성 등 다양한 주제의식 등이 표출되었다. 최초로 영문 소설을 발표한 강용흘 역시 1920년대 미국으로 이주한 유학생으로서 그의 처녀작 『초 당』은 미국에서 동양의 민속지로서 적지않은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동양선 비 서양에 가시다』는 민족 정체성을 초월한 세계인의 정체성이 실험되는 등 재미 한인 문단은 유학생들의 유입으로 이전보다 훨씬 다양화되는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상과 같이 20세기 전반 재미 한인문학은 《신한민보》 계열의 작품들과 1920년대 이후 유입되는 유학생들의 문학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 둘의 성격은 상당히 상충되면서도 각각 국내의 문학과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의 문학을 잇는 교량적 성격을 갖고 있다. 즉 20세기 초 미국으로 이주해 조국의 독립운동과 민중의 계몽운동에 역주하며 한인사회를 이끌었던 작가들의 작품은 해방 직전까지도 국권회복과 공동체의식의 견지라는 주제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반면 1920년대 유입되는 유학생 집단은 외부자의 시선으로 문명세계에 대한 비판과 자기 정체성의 탐색 등으로 주제 영역을 확대하고 영어 글쓰기를 시도하는 등 해방 이후 한국계 미국인 작가들의 문학세계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20세기 전반 재미한인문학은 국내 문학의 지속과 미국 이민문학의 뿌리라는 횡적, 종적 좌표 위에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US characteristics to predict neoplasm in gallbladder polyps 10 mm or lager

        김진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requency of detecting gallbladder (GB) polyps has increased and their management is a clinical dilemma. Differentiation of neoplastic polyps from nonneoplastic polyp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ir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gallbladder polyps 10 mm or larger to predict a neoplastic polyp in routine ultrasound (US) examinations. A database was reviewed to search for "gallbladder polyp" in all US examinations of abdomen for five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Fifty-three patients with follow-up images (n = 18) or pathologic diagnosis from surgery (n = 35) were included in the retrospective study. The mean duration of imaging follow-up was 46.4 months (range, 12-116 months). All US images and reports were reviewed by two readers in consensus to determine the imaging characteristics of gallbladder polyps includ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echogenicity, size, shape, surface, multiplicity, the presence of hyperechoic foci in the polyp, gallbladder wall thickening adjacent to the polyps, and visibility on CT. A neoplastic polyp was verified pathologically in 12 (22.6%) of 53 patients and the mean size was 23 mm (range, 10-37 mm). Remaining 41 polyps (77.4%) were verified as nonneoplastic from stability in size on follow-up images (n = 18) or pathologic examinations (n = 23). A univariate analysis of all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adjacent gallbladder wall thickening (P < 0.0001), larger size (≥15 mm, P < 0.0001), older age (≥57 years, P = 0.002), the absence of hyperechoic foci in the polyp (P = 0.003), CT visibility (P = 0.014), sessile shape (P = 0.017), solitary polyp (P = 0.025), and irregular surface (P = 0.048)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a neoplastic polyp. In a multivariate analysis, larger size (≥15 m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 neoplastic polyp (P = 0.008). The rate of malignancy was low (15.1%) in polyps even 10 mm or larger. Larger size (≥15 mm), older age (≥57 years), solitariness, irregular surface, sessile shape, adjacent GB wall thickening and CT visibility were predictors for a neoplastic GB polyp. Also, polyps with inner hyperechoic foci preferred to be nonneoplastic polyp. Polyp size 15 mm or larger was an independent and strong indicator of a neoplastic polyp. Follow up US would be recommended for GB polyps less than 15 mm rather than surgery. Cholecystectomy is highly indicated to GB polyps 15 mm or larger. 담낭용종의 발견은 증가하고 있으며, 담낭용종의 관리 방법은 임상적 딜레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기 10 mm 이상의 담낭용종에서 초음파 검사시에 신생물성 가능성을 예측가능 한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일 기관에서 5년 동안 시행한 모든 복부초음파에서 “담낭용종”으로 자료를 검색하였다. 53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이 중 추적검사가 있었던 환자는18 명이며, 수술로 병리진단을 확인한 사람은 35명이었다. 영상의학적 추적검사의 평균 기간은 46.4 개월이었다 (범위, 12-116 개월). 모든 초음파 이미지와 자료는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합의하에 초음파 상 담낭용종의 에코, 크기, 모양, 경계, 다중성, 고에코 부위의 유무, 담낭용종 근처의 담낭 벽 두꺼워짐의 유무, 이미지 관심영역의 값,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가시성여부를 평가하였다. 신생물성 용종이 있었던 환자는 53명의 환자 중 12명이었고 평균 크기는 23 mm 였다 (범위, 10-37 mm). 남은 41 명의 환자는 추적 검사에서 크기 변화가 없거나 ( n = 18) 병리결과 상 비신생물성 용종 (n = 23) 으로 판정되었다. 단변량분석에서 악성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주변 담낭 벽 두꺼워짐 (P < 0.0001), 크기(≥15 mm, P < 0.0001), 나이 (≥57 세, P = 0.002), 크기(≥15 mm, P = 0.000), 고에코부위 없음 (P = 0.003),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가시성 (P = 0.014), 목 없는 용종 (P = 0.017), 단일용종 (P = 0.025), 불규칙한 경계 (P=0.048) 이었다. 상대적 에코, 객관적 에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변량분석에서 크기(≥15 mm)는 신생물성 담낭용종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였다 (P = 0.008). 10mm 이상의 담낭용종에서도 악성율은 낮다 (15.1%). 크기 (≥15 mm), 나이(≥ 57세), 단일용종, 불규칙한 경계, 목없는 용종, 주변 담낭벽 두꺼워짐, 전산화 단층촬영가시성이 신생물성 용종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이다. 또한, 고에코부위가 있는 것은 비신생물성용종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15 mm 이상의 크기는 신생물성 용종을 예측하는 가장 강한 인자이다. 15 mm 미만의 용종에서는 수술보다는 추적 초음파가 더 추천된다. 15 mm 이상의 담낭용종에서는 담낭절제술이 필요하다.

      •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교육 : : 루소적 연민과 공감 부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진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818년에 출판 된 메리 셸리(Mary Shelley)의 소설인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는 현재까지 주로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당시의 여성과 남성이 안고 있는 성 이데올로기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괴물(Monster)을 작가인 셸리를 대변하는 여성으로 해석하여 남성의 억압적인 문화에 억눌려 여성이 가진 잠재능력을 분출하지 못하는 분노를 괴물을 통해 투영시켰다. 하지만 본 논문은 루소(Jean-Jacques Rousseau)의 18세기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토대인 연민(pitié)에 근거하여 빅터(Victor Frankenstein)과 괴물의 상반된 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루소는 18세기 계몽주의 사상가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이성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거부하였다. 그는 이성에 앞선 감성을 주장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연민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루소는 연민을 통해서 인간은 타인의 아픔을 이해하고 자신의 고통인 것처럼 아파하며 남이 고통 받는 것에 대한 혐오감을 느끼며 타인의 존재를 인식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상대방에 대한 연민의 발현 과정에서 상상력이 나오고, 더 나아가 타인과 사회적인 의미의 공감(sympathy)로 확장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은 루소의 ‘사회 속의 자연인’으로서 공동체라는 사회에서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더불어 살 수 있는 사회적인 존재로 거듭난다고 말했다. 빅터는 과학이라는 이성을 근간으로 한 실증적, 합리적, 객관적인 지식의 힘을 추구하는 과학자로서 인간 창조라는 신의 영역에 도전한다. 그는 어렸을 적부터 자연을 숭고하게 여기는 대상이 아닌, 비밀을 연구하고 법칙을 알아내는 실험의 대상으로서 ‘과학자로서의 교육’(education as a scientist)을 행하였다. 과학자인 빅터의 교육은 오직 실험에만 몰두한 채 철저히 가정과 사회라는 공동체로부터 스스로 고립을 자처하며 인간됨의 토대인 연민을 상실해가는 ‘괴물성’(monsterity)으로 치닫는 모습을 보인다. 그에 반해 괴물의 교육은 비록 끔찍한 외형으로 창조되었지만 그 누구보다 인간에게 연민을 호소하며 가정과 사회라는 공동체에 편입하고자 스스로 ‘인간이 되기 위한 교육’(education to be a human)을 통해 ‘인간성’(humanity)로 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때 연민이 인간인 빅터의 과학자로서의 교육과정에는 물론이고, 그런 과학교육의 산물로 태어난 괴물의 인간이 되고자 하는 정반대의 교육과정에도 깊이 작용함으로써 서로 상반된 두 가지 교육방향의 접점과 변별점을 가르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공동체를 형성하는 공감의 사회적인 힘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빅터와 괴물의 연민과 공감의 부재가 루소가 말하는 ‘사회 속의 자연인’이 되지 못한 채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또 다른 방법론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동거주 이용여부의 조절효과 검증

        김진실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노년기는 주거 환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로 신체기능의 저하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에 제한을 받는 노인에게 적절한 주거 대안을 제공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주거 대안을 제공함으로써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것은 비자발적인 입원과 이동을 막아 성공적인 Aging In Place와 커뮤니티 케어를 가능하게 한다. 노화의 생태학적 이론(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에 따르면 노인의 기능 및 역량 저하에 대응하는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주거 대안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 증진과 관련이 있으므로 공동거주제는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저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노화의 생태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공동거주 이용여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거주제의 효과성 및 개선방안 연구”에서 생산된 데이터에서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해 통계적 동질성이 확보된 공동거주제 이용 독거노인 119명과 비이용 독거노인 119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가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거주 이용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건강상태와 공동거주 이용여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상태 중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은 전반적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될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둘째, 공동거주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공동거주를 이용할 경우 전반적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공동거주 이용여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공동거주를 이용할 경우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저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화의 생태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노년기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공동거주 이용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유지 및 증진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농촌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인 공동거주제의 필요성, 공동거주제의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Old age is the period most affect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viding appropriate residential alternatives to the elderly who are restricted from independent life due to deterioration of physical function can be a way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by providing residential alternatives prevents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movement, enabling successful Aging In Place and community care. According to 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 the physical and social housing alternative to respond to the decline in the function and capacity of the elderly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So the Communal Living is expected to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fore, based on 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on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use of Communal Living.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a survey of 119 elderly living alone in a Communal Living homogeneity and 119 elderly living alone who do not live the Communal Living arrangements and who secured statistical homogeneity through PSM from the data produced in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t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health status and joint use as the analysis method were appl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al Living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health conditio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As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creased, life satisfaction de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using a Communal Living than when not using a Communal Liv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use of Communal L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he decreas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life satisfaction was alleviated. Based on The Ecological theory of Ag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al L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mpathized to develop and distribute intervention measures and related programs to maintain and improve daily life performance in old age and a Communal Living system, which is a residential alternativ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empirical research about this subject.

      • 소형 드론을 위한 sense and avoid의 충돌 검출 알고리즘 연구

        김진실 韓國航空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무인항공기의 기술은 군사용에서 민수용으로 확대되면서 산업, 상업, 농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였다. 또한, 상업적 사용을 위해 가격하락, 소형화, 이동성 강화 등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그 중 상업용 드론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는 25 kg(55 lb) 이하의 소형드론은 레저용, 영화촬영용, 스포츠 중계 등 활용성이 극대화 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는 소형드론이 민간공역에 포함됨에 따라 안전성을 위해 상업용 드론 운영 규칙 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드론의 운영 조건에 따른 규제사항만 있을 뿐, 충돌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은 갖춰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형드론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있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SAA(Sense and Avoid)의 검출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도심환경에서 운용되는 소형드론에 적합하도록 빌딩. 사람. 나무. 차량 등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가오는 기체를 인식한 후 기체의 너비와 단일카메라의 특성정보를 통해 거리추정을 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상용 비행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도심 환경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구현된 장애물과 기체의 검출률 및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행 시뮬레이터의 LLA 데이터로 계산한 실제 거리값과 알고리즘을 통해 추정하여 나온 거리 값을 비교하여 거리추정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한 도심에서도 소형드론이 운용되었을 때 장애물 및 피해야할 객체를 인식하고 거리 추정을 하기 위한 여러 시스템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연구

        김진실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입원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사랑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일주일에 2회씩 4주간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알코올 의존 선별검사(NAST), 한국판 변화단계척도(SOCRATES-K), 금주 자기효능감척도(AASES), 강박음주갈망척도(OCDS)와 우울척도(BDI)이다. 8회기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입원 알코올 의존 환자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사랑 프로그램의 단기적 목적인 동기고양이 다른 치료 프로그램을 극대화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반을 두어 그동안 알코올 의존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자기사랑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효과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사랑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행동치료집단은 단일 인지행동치료집단에 비해 변화단계의 인식, 실천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양가성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기사랑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행동치료집단은 단일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금주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강박음주갈망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차이를 고려하면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자기사랑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행동치료집단은 단일행동치료집단보다 우울한 정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combined with self-love program on the alcohol dependences. The subjects were 25 men who showed alcohol dependence and were hospitalized in an alcohol clinic. 8 sessions of cognitive-behavioral program combined with self-love program were provided to 13 patie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8 sessions of only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ere provided to 12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4 weeks. Ae- subjects comp-eted the Stages of Changewe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e(SOCRATES-K),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e(AASES),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OCD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pre and post intervention. The data of 16 subjects (9 in the experiment group and 7 i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out stopping were finally analysed.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scal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ANCOVA was used for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cognition and taking step factors of SOCRATES-K after CBT with self-love program showed positive improvement but ambivalence factor showed no improvement.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self-efficacy and compulsive drinking drive after the treatment but mean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showed positive impact of CBT with self-love program on them. Finally, depression after CBT with self-love program decreased.

      • 한국 거주 학령기 고려인 아동의 이중언어 능력 연구

        김진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ed at measuring Korean and Russian ability of Koryoin-school-aged(10-12) bilingual children, comparing their scores with those of Korean or Russian monolingual children, and examining which language environment is likely to have influenced the language development. The questions for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ow differ the Korean ability of the Koryoin-school-aged children who live in Korea from the Korean monolingual children? Second, How differ the Russian ability of the Koryoin-school-aged children who live in Korea from the Russian monolingual children who live in CIS? Third, Does a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and Russian language ability of the Koryoin-school-aged children who live in Korea exist? Fourth, what kind of language environment affects the bilingual ability of Koryoin children living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LSSC was used as a Korean testl, and the Russian language test was reconstructed using 'Russian Language for My Children' of the Pushkin State Russian Language Institute and Russian textbooks. After dividing the linguistic domains into Semantics(superordinate comprehension, hypernym expression, antonym expression, synonym expression, figurative sentence comprehension) and Syntax(sentence comprehension, grammatical error judgement, error correction, combining sentences)and Pragmatic competence(understanding spoken paragraph), the Korean and Russian language tests were conducted on 10 Koryeoin children (ages 10, 11, 12) who had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Group A). And for comparison with monolingual children, 10 general Korean children (10, 11, 12 years old, group B) were tested for Korean language, and 10 Koryeoin children living in CIS (10, 11, 12 years old, group C) were tested in Russi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yoin children have been residing in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have been studying in Korean, but their scores on all tests were lower than those of general Korean children except for 'superordinate comprehension'. The difference in Korean scores with Korean monolingual children was largely in the order of 'combining sentences>synonym expression>antonym expression>understanding spoken paragraph>figurative sentence comprehension>error correction>grammatical error judgement>sentence comprehension>hypernym expression>superordinate comprehension. Second, The Russian scores of Koryoin children in Korea on all tests were lower than those of Koryoin children in CIS except for 'sentence comprehension. The difference in Russian scores with Russian monolingual children was largely in the order of 'error correction>grammatical error judgement>hypernym expression>synonym expression>understanding spoken paragraph>combining sentences>figurative sentence comprehension>antonym expression>superordinate comprehension>sentence comprehension. Third, as for the language ability of Koryoin children residing in Korea, Russian(their mother tongue), was more dominant than Korean which is a mainstream language of school and society, in most tests, except for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has show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ussian grammar error correction and Korean figurative sentence comprehension(positive correlation), Korean grammar error correction and Russian figurative sentence comprehension(negative correlation). Within the langu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superordinate comprehension and Korean grammatical error judgment, and Russian combining sentences and Russian understanding spoken paragraphs. Fourth, as a result of a language environment survey conducted on parents, their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frequency of use of Korean at home, mother's Korean learning experience, Korean learning period, Korean level,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were the children's Korean ability has affected. And the mother's Korean proficiency also affects the children's Korean and Russian proficiency. In addition, the language used in affectionate communication situations where parents communicate with positive emotions affects their child's language skills, and educa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in which parents receive educational help or exchange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ituation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share their thoughts and express opinions on a topic worth ponde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language ability. And there is another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in situations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share their thoughts and express opinions on a topic worth pondering. Although it is not a research question, since Length Of Residence(LOR) was used as the criterion when selecting the study subjects, we also looked into whether th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differed depending on the LOR. For Korean Semantic and syntax domain, children who have lived in Korea for 7 years received the highest score, and those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8 years received the lowest score. Th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LOR was only shown in the Korean pragmatic domain. This suggests that even with low semantic and grammatical skills, the LOR positively affects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a 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ome language of the Korean children regardless of the LOR in Korea was dominant over the social language in most cases. However, in the tests related to grammatical errors, Korean was slightly more dominant or similar to Russian. As for the overall score, both the mother tongue and the second language did not reach the language ability of monolingual childre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LOR of the children was more than 5 years,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Korean children,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children's Cognitiv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CALP) developed because the Korean language ability directly affects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ack of exposure to school language and cognitive tasks in the mother tongue after immigrating to Korea at a young age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L2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and Russian language skills of school-age children of Koryeoin, which had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past. As Korean language skills of Koryeoin children are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nd settling in Korea, and Russian language skills are related to connection with their home country and maintenance of family language. Therefore, considering that Russian plays an important role as well as Korean for Koryoin children living in Korea, this study is noteworthy in that it is a rare study that measured and analyzed both language abiliti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the research sample is small due to limitations in the recruitment of research subjects, that uncontrolled variables or errors may occur if the experiment is unavoidably conducted online. In addition, since the experiment consisted mainly of listening and speaking, we did not evaluate all language skills equally,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does not represent all language skills,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of school-aged Koryoin children living in Korea.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한국 체류 재외동포 중 고려인(CIS 지역 재외동포)에 주목하여 이들의 학령기 자녀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러시아어 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단일 언어 아동인 일반 한국인 아동과 CIS 거주 고려인 아동의 언어 능력과 비교하 여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두 언어 능력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검토하고 어떤 언어 환경이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 아동과 일반 한국인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 아동과 CIS 지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러시아어 능력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 아동의 한국어와 러시아어 능력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넷째,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 아동의 이중언어 능력에 어떤 언어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도구로 한국어는 LSSC 학령기 아동 언어 검사를, 러시아어는 러시아 국립 푸시킨 언어 대학의 「우리 아이를 위한 러시아어」프로그램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LSSC와 같이 재구성한 검사를 활용하였다. 언어 영역을 의미 영역과 문법 영역, 그리고 담화·화용 영역으로 나눈 후 한국 거주 기간 5년 이상인 10, 11, 12세의 고려인 아동 10명(A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러시아어 검사를 실시하였고, 단일 언어 아동과의 비교를 위해 10, 11, 12세의 일반 한국인 아동 10명(B집단)에게 한국어 검사를, 10, 11, 12세의 CIS거주 고려인 아동을 대상으 러시아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은 5년 이상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 학교에서 수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위 개념 이해를 제외한 모든 한국어 검사에서 일반 한국인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일반 한국인 아동의 한국어 점수와의 차이를 통해 ‘복문 산출>동의어 표현>반의어 표현>단락 이해>비유 문장 이해>문법 오류 수정>문법 오류 판단>구문 이해>상위어 표현’ 순으로 한국어가 부족하고 ‘상위 개념 이해’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러시아어는 구문 이해를 제외한 모든 검사에서 같은 나이의 CIS 거주 고려인 아동의 러시아어 점수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러시아어 능력은 ‘문법 오류 수정>문법 오류 판단>상위어 표현>동의 표현 이해>단락 이해>복문 완성>비유 문장 이해>반의 표현 이해>상위 개념 이해’ 순으로 CIS 거주 고려인 아동과 차이가 있었고 ‘구문 이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대부분의 검사에서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두 언어는 학교와 사회의 주류 언어인 한국어보다는 가정 언어인 러시아어가 더 우세했으나 문법 오류와 관련한 검사에서는 한국어가 러시아어보다 더 우세하거나 비슷했다. 두 언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러시아어 문법 오류 수정-한국어 비유 문장 이해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한국어 문법 오류 수정-러시아어 비유 문장 이해 간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언어 내에서는 한국어 상위어 표현-한국어 문법 오류 판단, 러시아어 복문 완성-러시아어 단락 이해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두 언어는‘동의어 표현/동의 표현 이해>단락 이해>반의어 표현/반의 표현 이해>복문 산출/복문 완성>비유 문장 이해>상위어 표현>구문 이해>상위 개념 이해’ 순으로 러시아어가 더 우세했으며 ‘문법 오류 수정’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고, ‘문법 오류 판단’에서는 한국어가 조금 더 우세했다. 넷째,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언어 환경 조사 결과, 어머니의 최종 학 력, 직업, 가정 내 한국어 사용 빈도, 어머니의 한국어 학습 경험, 학습 기간, 수준, 학습 동기가 자녀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아동의 한국어와 러시아어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형 의사 소통 상황, 교육적 의사소통 상황은 아동의 언어 능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깊이 생각할 만한 주제에 대해 자녀와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의견을 표현하는 과정이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와는 별개로 연구 대상 선정 기준인 거주 기간에 따라 언어 능력이 다른지도 살펴보았다. 한국어 의미, 문법 영역에서 LOR 7년인 아동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LOR 8년 이상인 아동이 가장 점수가 낮았는데, 한국어 담화·화용 영역에서만 거주 기간에 따른 향상이 나타나 비록 L2 능력이 낮더라도 L2로 된 이야기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는 거주 기간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러시아어에서는 LOR 6년인 아동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대체로 LOR 7년, 8년 이상인아동의 모국어 능력이 단일 언어 아동은 물론 LOR 5, 6년 아동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본고에 참여한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은 한국 거주 기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경우 가정 언어인 러시아어가 공동체 언어인 한국어보다 우세하였으나 문법 오류와 관련해서는 한국어가 조금 더 우세하거나 비슷했다. 전체 점수로 봤을 때 L1과 L2 모두 단일 언어 아동의 언어 능력에 못 미쳤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들의 거주 기간이 5년 이상인데도 불구하고 한국어 능력이 일반 한국인 아동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한국어 능력이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의 인지적 학문적 언어 숙달도가 발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어린 나이에 이주하여 L1으로 된 학교 언어와 인지적 과제에 충분히 노출되지 못한 것이 L2 발달에서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했던 고려인 학령기 자녀의 한국어와 러시아어 능력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려인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학업 성취도 및 한국 정착과 관련이 있고. 러시아어 능력은 본국과의 연결 및 가족 언어의 유지와 관련이 있는 만큼,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감안하여 두 언어 능력을 모두 측정하고 분석한 흔치 않은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연구 표본이 적어 언어 능력 검사 결과나 언어 환경 설문 조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고, 불가피하게 온라인으로 진행한 경우 통제되지 못한 변인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듣기와 말하기 위주로 진행되어 모든 언어 기능을 고르게 평가하지 못하여 한국 거주 고려인 아동의 모든 언어 능력을 대변하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