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진숙의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분석연구

        김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79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composition of Jinsook Kim's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2004). The composer created this piece during her study at Yonsei Graduate School. It is a violin concerto, created through modern techniques in musical composition, focusing on the image of daytime.The violin and orchestra each play a role producing both harmony and discord. The composer includes an independent violin solo, as well as an orchestra of various instruments,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 violin concerto.The image of daytime, both warm and intense, is portrayed through the violin solo, the sharp and precise rhythm of the orchestra, the harmony and discord of both the violin solo and orchestra, and the mild, but tense, dissonant tone created by the interval structure of the perfect 4th and minor 2nd.The piece is composed of one movement divided into 3 sections. In part A, the violin leads the orchestra. In part B, the motif is played by the orchestra, forming harmony with the violin solo. In the coda, elements of both parts A and B are merged together. Each section is characterized by distinct motif, tonal center, uniform rhythm, role change of violin, and various combinations of orchestral instruments. The perfect 4th and minor 2nd appearing throughout the piece and the rhythm of triplet give unity to the piece.As has been stat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logic of each s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mposer's intention in presenting the daytime image. 본 논문은 김진숙의 <The Day> for Solo Violin and Orchestra (2004)에 대한 분석연구이다. 이 작품은 작곡가가 연세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에 작곡한 것으로 낮에 대한 이미지를 현대적 작곡기법으로 형상화한 바이올린 협주곡이다.독주 바이올린과 2관 편성의 오케스트라가 각각의 역할을 조화와 대립을 통해 발전시키고 독주 바이올린이 자유롭게 독주를 하거나 오케스트라를 다양한 악기군으로 조합시킨 의도는 바이올린 협주곡 형식의 특색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낮의 따스하고도 강렬한 이미지를 음악화한 이 작품은 독주 바이올린의 자유로운 연주와 오케스트라의 날카롭고 치밀한 리듬,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의 조화와 대립, 완전4도와 단2도의 음정구조가 이루는 온화하면서도 긴장감 있는 불협화음 등을 사용하여 표제음악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구조적으로는 하나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주로 독주 바이올린이 오케스트라를 이끌어가는 A부분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오케스트라가 동기를 연주하며 독주 바이올린과 조화를 이루는 B부분, 그리고 A부분과 B부분의 요소를 조합하여 사용한 코다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각 부분은 동기와 중심음, 리듬의 수직적 구조, 독주 바이올린의 역할 변화, 오케스트라 악기군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서 뚜렷이 구분되며 작품 전체에서 나타나는 완전4도, 단2도의 음정구조와 리듬적으로 축소, 확대되어 응용된 3연음은 작품의 통일성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와 같이 낮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자 한 작곡가의 의도와 연관 지어 각 부분의 논리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관련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진숙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nother concern wa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uch variables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solve these questions, total 524 college students(male, 297; female, 227) in Cheongju were sampled. Five different scales to measu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2.0.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were set up and analyzed, an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model was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The competition model was a fully mediation model in whic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outcome expec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The final model was analysed using total data.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gender differences of structural weights in the final model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wo exogenou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variable and two endogenou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variables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career adaptab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 direct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ecedes outcome expectation. social capital have an indirect effects on the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rough outcome expect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weights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might have a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at it w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uch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areer adaptability.

      • 2007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 분석

        김진숙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7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 분석 학교 교육현장에서 교과서는 기본적인 학습활동의 도구가 되고 있으므로 교과서에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가 잘 반영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한 예로 충분한 시각자료의 제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상당부분은 이미지화된 삽화와 보조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삽화는 글 속에 삽입되어진 그림들로서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가 반영된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졌다.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 역사영역은 6학년 한 학기 동안 배워왔으나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5학년 1, 2학기에 배우게 되어 1년에 걸쳐 다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면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고 교과서의 개선 내용과 관련하여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의 다양성이나 유형별 제시 경향, 그리고 새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 5학년1학기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초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의 의미와 교육과정 안에서 사회과의 역사 교육 목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삽화 및 보조자료의 개념과 종류를 파악하고 역사교육에서 그 자료의 교육적 기능과 자료의 선택 기준을 알아보았다. 이어 2007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및 개정의 기본 방향과 중점내용을 살펴보고 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편집 구성을 파악했다. 또한 역사분야를 다루고 있는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에 게재된 삽화 및 보조자료들을 단원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게재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과서에서 단원별로 제시한 삽화 및 보조자료의 수량을 분석하고 유형별 제시 수량 및 시대별 수량을 분석했다. 이어 유형별로 제시된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의 변화 모습과 제시방법 및 본문과의 적절성을 살펴보았으며 편성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목표는 7차 교육과정과 동일하지만 단원 목표는 내용상의 변화에 따라 서술 형태가 달라졌다. 즉, 학년별 내용에서 단원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와 관련된 목표를 문단의 형태로 제시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교육과정 대강화에 따라 대단원 아래의 소주제가 삭제되어 단원 목표가 상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특히 역사 교육의 강화 방침에 따라 역사 내용이 6학년에서 5학년으로 이동하여 편제되고 기존의 한 학기 분량을 두 학기로 확대하여 구성되었다. 이것은 역사교육의 시계열성을 고려한 것이며 생활사, 문화사, 인물사 중심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내용이 조직되었다. 교과서 삽화 및 보조자료는 학습자에게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여 학습활동에 적극성을 보이도록 하고 지속성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선정 ․ 조직되는 것이다. 삽화와 보조자료는 학습과정에서 직관적인 사고를 돕는 가장 가까운 자료이며 교과서에 실린 삽화자료는 교과내용의 전달을 명확하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삽화 및 보조자료는 본문내용의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하며 교과내용과 시대적 배경이 일치하고 교과내용의 전개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조직되고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는 자료로 선정해야 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게 다양한 자료를 여러 가지 방법과 형태로 균형있게 제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근거가 확실하고 주제 및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해야 한다. 개정교육과정 5-1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시대별로 분석하여 보면 자료의 유형에 따라 한 시대에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지도, 표, 사료, 사진, 그림 등의 제시방법과 유형별 적절성 등을 검토해 보면 많은 사진이나 그림이 새로운 자료로 제시되었고 본문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삽화자료 단독으로 주제를 이해하도록 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또한 과거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생활사, 문화사적 측면의 자료들이 많이 제시되어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내용들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개정교육과정 5학년1학기 사회과 교과서의 삽화 및 보조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의 삽화자료는 시대별, 영역별, 유형별로 전체적인 균형과 적절성이 제고되어야 하며 본문과 관련하여 표현 내용이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의 발달단계와 수준을 고려한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삽화 및 보조자료의 명칭, 해설 등 기본 설명도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자료의 크기나 위치 등은 실물의 크기, 규모, 본문과의 상관성 속에서 고려되고 결정되어야 한다. 현장에서는 교과서에 실린 삽화 및 보조자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교육적 기능이 수업에서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지도 방법에 대한 개발과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in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Textbooks are the basic tools for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us, the curriculum must reflect the nature and goals of learning itself and also should be able to learning activities. In this respect, one of the ways to meet those suggestions can be presentation of a variety of visual aids. Those textbooks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composed of qualified illustrations. Illustration refers to pictures in a book or magazine; it activates learner's motivation and promotes learner's comprehension. According to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intended to have emphasi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reflecting learner's interest and needs. Accord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6th grade students have learned history for one semester so far but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requires 5th grade students to learn history for both of 1st and 2nd semester, a year. In this regard, a study on is required. In this respect, it is required an analysis on structures and contents of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and a study on how various and adequat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and also what kinds of types illustration are presented regarding with amended aspects in the textbook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in revised textbook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the primary meaning and goals of histor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defin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e concepts and types of illustrat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and the standard to select those materials. Also,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y education being considered,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theory, primary direction and major aspects of the curriculum and the structures and compilation of the textbooks. Moreover, the illustration and sub-materials in the textbooks dealing with history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chapters and types in order to review tendency of publication of those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s. First, the number of illustrations in each chapter of the textbooks was count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ypes and era. Secondly, it was analyzed how the illustrations have change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how appropriate and relevant it is to the body; based on this analysis,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The goals of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re the same as those 7th national curriculum except for how to describe those goals due to changes on the content. In other words, it is still similar to provide goals as forms of a paragraph related with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in each chapter for each grade, but lesson goals are stated in detail since lesson objectives that are entailed to the goals were removed due to simplification of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relation with strengthened history education, themes of history were organized in 5th grade curriculum moving from 6th grade and volume was expanded for two semesters than it used to be for one semester. The series of the history bing considered, the themes of Korean history were organized mainly with life history, cultural history and person history to handle with it easily. Textbook illustrations are selected and organized in order for learners to be engaged in learning actively, providing them with interest and motivation. Illustrations helps learner think intuitively and comprehend the content clearly. Thus, illustration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requirements of each chapter and selected and organized referr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stages of the them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selected and considered with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and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ways to activate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Moreover, those illustration must be based on well grounded background and clearly express its content and topic.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being analyzed,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in one era related with types of materials. However, the manner to present and the adequacy of types of maps, tables, historical records and pictures being considered, a lot of photos and pictures are presented as new information and helps learners to comprehend and supplement the content. Also, the emphasis of the curriculum is reflected well with a variety of materials of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which hadn't been presented in previous textbook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llustrations and sub-material in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1st semester of 5th grade are as following. First, illustrations should be re-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overall balance and adequacy in relation with era, section and types. Basic descriptions of illustrations such as titles, interpretation, etc should be clearly presented and also the size and location of illustrations should be selected with regard to the size, scale and relevance to the original objectives. Further research and studies on teaching method are required in order for educational function to properly perform in class through a broad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use of illustrations in the real context.

      • 장관 내 국소 섭취증가 병소의 감별에 있어 추가 지연 18F-FDG PET/CT의 임상적 유용성

        김진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F-18 FDG can be accumulated in the liver, bowel, kidney, urinary tract, and muscles physiolog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dual time point F-18 FDG PET/CT imaging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nic focal uptak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hirty two patients (M:F=77:55, Age 62.8±11.6 years) underwent F-18 FDG PET/CT at two time points, prospectively: early image at 50-60 min and delayed image at 4-4.5 hours after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F-18 FDG. Focally increased uptake lesions on early images but disappeared or shifted on delayed images defined a physiological uptake. For the differential evaluation of persistent focal uptake lesions on delayed images, colonoscop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ere performed. SUVmax changes between early and delayed images were also compared. Results: Among the 132 patients, 153 lesions of focal colonic uptake were detected on early images of F-18 FDG PET/CT. Of these, 72 (47.1%) lesions were able to judge with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 focal increased uptake disappeared from delayed image. Among 81 lesions which was showed persistent increased uptake in delayed image, 61 (75.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malignant tumor and 14 (17.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benign lesions including adenoma and inflammatory disease. Remaining 6 (7.4%)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re was no particular lesion in the colonoscopy. In the malignant lesions, the calculated dual time point change for SUVmax (Δ%SUVmax) was 20.8%±18.7%,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SUVmax between the two point (p<0.01). In contrast, the change in SUVmax for the non-malignant lesions including benign lesions and physiological uptake was -13.7%±24.2%.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malignant and non-malignant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Δ%SUVmax was the most effective parameter, and the cut-off value using -5% provided the bes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Conclusion: The dual time point F-18 FDG PET/CT imaging with SUVmax change evaluation could be an important noninvasive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and benign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including physiologic uptake.

      • 중소물류기업의 회계투명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숙 순천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having the advanced accounting system is an obligatory for any listed company but in an unlist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related complementary measures have to be taken instead. In this paper, the impeding factor of transparency is investigated and the plan for improving the accounting practice is presented.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a study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expert's book, research report, survey and the expert's opinion are done.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ology and structure of the research. Chapter 2 examines, as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accounting transparency, typ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accounting irregularities(fraud). Chapter 3 shows the characteristics, accounting environmen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firms and factors imped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Chapter 4 describes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accounting transparency. Chapter 5 summarizes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ajor findings to improve the accounting transparen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securing accounting transparenc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o secure accounting transparency. Second, governmental support such as reduction of an external audit cost burden is required for SMEs to strengthen their accounting transparency. Third, legal accountability shall be reinforced to prevent from financial irregularities such as tax evasion and other fraud. Fourth, professionalism of the accounting personnel and ethical education of accounting shall be given to avoid committing accounting frau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ternal capital financing too. Improving accounting transparency will enable the investors to understand the flow of capital more easily and to invest. The loan model for a medium and small-sized firm through deregulation on credit loan is to be created.

      • 교회 내 결손가정 자녀들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구

        김진숙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결손가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교회 내 결손가정 자녀들의 자존감형성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교회의 돌봄과 도움을 받아야 할 결손가정 자녀들이 오히려 갈등하는 모습들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하였다. 먼저, 기독공보와 기독교관련 칼럼을 통해 교회 속 해체가정에 대한 인식과 함께, ‘결손가정’, ‘자존감’, ‘멘토링’등의 기준단어와 연관된 여러 학위논문과 학술지, 관련 도서 그리고 온라인 자료 등을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자존감에 관한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결손가정 자녀들은 가정에서 오는 심리적 불안의 영향으로 자존감 형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점으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사고, 세상에 대한 회의적 시각, 미래에 대한 소망을 스스로 차단한다. 그러나 결손가정 자녀들의 자존감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심리적 문제로 국한시켜서는 안 된다. 돌봄의 불안과 이에 수반되 어지는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함께 안고 있다. 이것은 단기간에 해결되기 힘든 문제로 장기적 투자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교회 내 결손가정 자녀들의 문제는 잘 드러나지 않기에 많은 관심과 세심한 돌봄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기존의 효과적인 상담프로그램들을 통해서 결손가정 자녀들의 자존감향상에 초점을 맞춘 일대일 장기 프로젝트인 기독교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 비정규직 노동조합 내 ‘여성문제’ 구성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starting criticism about patriarchal character of labor unions and movements by feminist activists and researchers to the system like gender quota system and women's committee, it has gone for 10 year. This study focuses on how 'women's question' constructs, means and accepts to labor union under the acting conditions of systems. In particular a case of ‘A’ company that has labor union and women's committee had made by non-standard women worker is meaningful case in present low organizing rate situation of non-standard women worker. This study watches for how the meaning of 'women's question' is situated in changing constitution side of labor power by irregularization of women's work through the experience of non-standard women's committee had majority formed by middle aged women. Ultimately this study tries to find implications and changes of women's committee activities as a frame work of system and structure deals with 'women's question'. Regularizing from 1990's, Women's labor movement has been spoken women worker's voice solely through women's separate organization like women's only labor around office worker married women and brought core 'women's question' into focus like sexual harassment, maternity protection, work-family balance in workplace. In this context, women's committee had been institutionalized systematically in labor union of ‘A’ company. However, the meaning of 'women's question' to women's committee being separate organization in labor union was recognized 'women-specific problem' small and narrow, when gender is understood separately in labor union. It can't put in the reality crossing gender, non-standard work, and age, but also makes leave all duty about women to women organization. Middle aged women workers who are majority of non-standard worker of ‘A’ company understood 'women's question' differently from upper labor union and women's committee. This difference is important significance to present condition that has changed constitution of labor power by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restructuralization of industry. Especially increasing non-standard worker has provoked polarization or fragmentation by differences of various conditions inside women in women's labor market. The existing labor movements had focused on non-standard work as the unorganized excluded gender factor and women labor movement had emphasized the problem of women non-standard worker as women's problem. However this study shows 'women's question' needs to constitute differently, don't just adapt non-standard women to same 'women's question' organized existing certain standard women's needs in focus. In particular, approaching to non-standard women worker in same method doesn't regard constitution changes of labor power shifts under the present condition like policy direction of labor union or needs of collective agreements, it is hard to speak in concrete or explain frame work about chang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depend on employment condition, age, and married or not of women worker. For this reason, it makes tension between separate systematic frame called women's committee and differentiation of women inside and intersection from this differentiation.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women's committee's systematic feature and meaning can collect women and make women be subjects, it needs to think about the method of dealing differences of women inside and complex questions in organization. This study researches necessary strategy and acceptable system in facing circumstance changes of women's committee as a labor union and a separate organization in labor union. 그동안 여성 활동가, 여성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노동조합, 노동운동의 가부장성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하여 대안으로 제기된 여성할당제, 여성위원회 같은 제도적 조치들이 실시 된 지 10여년이 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느 정도 제도적인 장치들이 갖춰지기 시작한 상황에서 노동조합 내에서 ‘여성문제’가 어떻게 구성되고 의미화, 수용되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비정규직 여성들의 조직률 자체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 연구대상인 A사는 비정규직 여성들이 주체가 되어 노동조합과 여성위원회를 만들었던 의미 있는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들이 다수를 이루었던 비정규직 여성위원회의 경험을 통해 비정규직화에 따라 노동력의 구성적 측면이 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루어지는 ‘여성문제’의 의미가 어떠한 방식으로 맥락화 되는지를 살펴보면서, 이것을 다루는 조직적, 구조적 틀로서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가지는 시사점과 변화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여성노동운동은 90년대에 들어와서, 여성노동자가 남성노동자와 다르기 때문에 겪는 성별적 특수성을 통해 ‘여성문제’를 제기해왔다. 이전까지 생산직 미혼 여성들이 다수를 이루던 상황에서, 사무직 기혼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여성노동운동은 여성독자노조나 노조 여성위원회 등 여성분리조직을 통해 독자적인 여성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내어왔고, 직장 내 성희롱, 모성보호, 일/가족 양립 등의 문제들이 핵심적인 ‘여성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한편, A사의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왔으며, 여성위원회를 만들고 활동하는 과정은 분명 여성노동자들이 주체화되고 서로에 대한 지지를 경험하는 집단적인 경험으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여성위원회가 만들어지고 활동하는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노동조합의 인식은 ‘여성문제’를 ‘여자들 일’로 축소시킴으로써 여성위원회와 같은 조직은 ‘여자들끼리 알아서 하는 곳’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여성문제가 오롯이 여성‘만’의 문제로 이해되고 있는 상황은 ‘여성’과 관련된 모든 사안, 업무들을 여성위원회나 여성부서의 임무와 역할로 만들어버렸다. 다음으로, 여성위원회의 활동과정을 통해 ‘여성문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고 이것이 현장의 여성노동자들에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노동현장에서 업무배치나 임금체계, 파업권 등 여성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여성문제’로 가시화되기 어려웠다. 노동현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이 경험하는 많은 일들은 성별 뿐 아니라, 고용형태, 나이, 업무의 특성 등 다양한 조건이 교차하는 가운데 벌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복합적인 작동을 단지 ‘여성문제’라는 것으로 문제화하기 어렵고, 그렇기 때문에 오로지 ‘성적인’ 문제라 여겨지는 성폭력/성희롱이 ‘여성문제’, 여성노동자들이 ‘여성’으로서 겪는 전형적인 차별로서 부각되게 되고 이를 통한 문제제기가 집중되고 있었다. 한편, A사의 비정규직 여성위원회가 정규직 노조에 통합된 이후에 만났던 여성노동자들은 그간의 활동과정을 돌이켜보면서 여성위원회 활동을 하면서 겪었던 어려움들이 바로 ‘여성문제’에 대해 여성조합원 당사자들로부터 호응을 받을 수 없었다는 점에 있었다. A사 비정규직의 경우 다수가 중년 여성들이었는데, 이들은 기존에 여성위원회에서 주로 다루어왔던 ‘모성보호’나 ‘성폭력’과 관련된 사안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런 상황에서 여성노동자들을 무리하게 ‘여성문제’라는 것으로 묶어낼 때 오히려 ‘여성문제에 대해 호응 없음’으로 돌아오는 교착상태를 맞고 있었다. 이는 노동조합 내부에서 ‘여성문제’를 구성하고 문제제기해온 방식들이 비정규직의 증가와 노동력 내부구성의 변화라는 조건의 변화 속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정규직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기존의 노동조합이 비정규직 문제의 성별성을 인식하지 못했던 방식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그동안 여성노동운동에서 여성관련 의제가 상정해 온 여성특수적인 ‘여성문제’에 매몰되지 않는 방식으로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경험과 요구를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현재와 같이 노조의 매뉴얼화된 교육과정에서부터, 정책방향이나 단체협약 요구안의 내용이 노동력 구성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을 때 여성 노동자들의 고용형태나 연령, 결혼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경험과 인식에 관해 설명할 틀이나 다른 구체적인 이야기들이 나오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 A사의 사례 여성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분리조직으로서 여성위원회가 다루는 ‘여성문제’의 의미가 여성에게 특수적인 문제로만 국한되어 있을 때는 성별과 비정규직, 고용조건 등이 교차하는 현실을 담아 낼 수 없을뿐더러, 여성조직에게 여성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떠맡겨버림으로써 오히려 조직에서 주변화시켜 버리는 결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위원회가 기반한 ‘여성문제’의 제기는 여성노동력 내부구성의 다양성에 따라, 고용형태, 연령, 결혼여부 등에 따라 의미화의 차이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을 조직화하고, 여성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조직적 틀로서 여성위원회가 유의미하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여성들과 관련된 문제들을 여성위원회라는 조직에서 모두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직적으로 어떠한 틀을 통해 ‘교차성’의 문제를 다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그 방안에 대해 제안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분리조직으로서 여성위원회가 주변화되지 않으면서도, ‘여성문제’가 직면하고 있는 차이들을 통해 복합적인 권력 역학들을 문제화함으로써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을 이루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2차 체와 타원곡선을 이용한 소인수분해의 비교 : Comparison of factorization using quadratic sieve and elliptic curve

        김진숙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RSA시스템과 Rabin시스템의 안전성은 합성수 소인수분해의 어려움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사실상 소인수분해가 풀기 어렵다. 반대로, 수년동안 많은 효과적인 정수 소인수분해 알고리즘들이 발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인수분해 알고리즘들 중에 이차 체와 타원 곡선을 이용한 소인수분해를 비교해 보고 실제 구현된 결과들을 제시한다. 1 타원곡선 1985년 Koblitz와 Miller에 의해 타원곡선 암호 시스템이 발표된 이후 타원곡선 암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타원곡선 암호가 발표되었을 당시에는 새로운 암호에 대한 안전성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같은 안전도에서 비교할 때, RSA/DSA에 비해서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며 짧은 키 길이를 갖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타원곡선 암호는 무선 인터넷이나 스마트카드 등 제한된 계산능력을 갖는 하드웨어에 적합한 암호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1.1 유한체 상에서의 타원곡선의 정의 유한체 K와 a, b ∈ K는 4a^(3) + 27b^(2) ≠ 0을 만족한다고 하자. 유한체 상의 타원곡선은 y^(2) = x^(3) + ax + b, for x, y ∈ K 을 만족하는 점들(x,y)와 무한원점(point at infinity)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점 O에 의해 정의된다. 타원곡선이 암호학에서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타원곡선의 특별한 연산 때문이다. 다음 장에서 이 연산에 대해 알아본다. 1.2 타원곡선의 연산 E를 한 타원곡선, P와 Q를 E 위의 두 점이라 하자. 점 P + Q는 다음과 같은 법칙들로 정의된다. 1. 항등원 : O. 즉, P = O이면 -P = O, P + Q = Q. 2. 역원 : P = (x, y), Q = (x, -y) 이면, P + Q = O. 3. 덧셈 : P + Q = (x_(3), y_(3))의 계산은 다음과 같다. λ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수식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점 P + Q = (x_(3), y_(3))는 x_(3) = λ^(2) - x_(1) - x_(2), y_(3) = λ(x_(1) - x_(3)) - y_(1) 로 정의 된다. 명확하게, P = Q이면 x_(3) = λ^(2) - 2x_(1)이다. 모든 연산이 타원곡선 E가 정의된 체에서 가능하다. 특별히 체가 F_(p)인 경우, 모든 연산은 modulo p로 되어진다. 1.3 Lenstra의 타원 곡선 알고리즘 n ≥ 2을 합성수라 하고 소인수 분해하자. 먼저 적당한 타원곡선 C : y^(2) = x^(3) + ax + b과 이 타원곡선 위의 한 점 P = (x, y)를 택한다. 이 타원곡선과 한 점으로 n을 소인수 분해하는데, 만약 실패할 경우에는 또 다른 곡선과 한 점을 취해 n의 소인수를 찾을 때까지 계속 시도한다. 일단 타원곡선과 한 점을 택하면, 작은 소수들로 나누어지는 수 k를 선택한 후, kP (mod n)를 계산한다. 이 과정에서 n이 합성수 이므로 x_(2) - x_(1)나 2y_(1)의 역수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D를 x_(2) - x_(1) (또는 2y_(1))과 n의 최대공약수라 하자. 만약 1 < D < n이면, D가 n의 소인수가 된다. D = 1 이면, k값을 올리거나 새로운 타원곡선을 택해 다시 반복한다. D = n인 경우는 k값을 줄이고 다시 kP (mod n)를 계산한다. 2 이차 체(Quadratic Sieve) 이차 체는 다음과 같은 x와 y를 찾는다. x^(2) ≡ y^(2) (mod n), x ≠ ±y (mod n). 그러면 n은 x^(2) = y^(2) = (x - y)(x + y)을 나눈다(그러나 x - y나 x + y은 n의 소인수가 아니다). 그러므로 gcd(x - y, n)가 적당한 n을 나누는 수이다. 다음을 가정하자. m = |√(n)|, f(s) = (s + m)^(2) - n. 적당한 B를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e√(lognloglogn). 일반적으로, A는 B보다 크되 B의 작은 승수보다 작게 정한다. 예를 들면, B < A < B^(2). 그리고 factor base F(B) = {p ∈ P : p ≤ B s.t. ((n)/(p)) = 1}의 소수들로만 소인수를 갖는 수 f(s)들을 찾는다. 이러한 f(s)들을 B-smooth라 한다. 이들 B-smooth들을 factor base의 소수들로 소인수 분해 해 각각의 소수들의 승수들을 원소로 하여 하나의 벡터를 만들고 이 벡터들로 행렬을 만든다. 이 행렬에서 modulo 2로 선형 종속인 행들을 찾는다. 선형 종속인 행들에 대한 B-smooth들의 곱이 제곱수 y를 만들고, 이 행들의 합으로 factor base의 소수들의 곱으로 이루어진 제곱수 x를 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x^(2) ≡ y^(2) (mod n)인 여러 x와 y들을 찾을 수 있다. 만약 x ≠ ±y (mod n)이면, gcd(x - y, n)는 n의 소인수가 된다. x ≡ ±y (mod n)이면, gcd(x - y, n) = 1 또는 n 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소인수를 얻어낼 수 없다. The security of the RSA system and the Rabin system is closely connected to the difficulty of factoring a positive integer into primes. But it is not known whether the integer factoring problem is in fact difficult to slove. On the contrary, over the years many efficient integer factoring algorithms have been invented, and the number of digits required for secure RSA moduli has been increased from 512 to 1024 bits. In this thesis, we describe two factoring algorithms using quadratic sieve and elliptic curves. We let n be a positive integer that is known to be composite. This can be detected with the Fermat test or with the Miller-Rabin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