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은 작곡 「오케스트라를 위한 유기체 II (2016)」에 관한 분석

        김지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11

        국 문 초 록 「오케스트라를 위한 ‘유기체 II’(2016)에 관한 분석」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곡전공 음악학과: 김지은 지도교수: 오세일 본 논문은 2016년에 작곡된 김지은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유기체 II’ (2016」의 작곡 배경 및 사용된 기법과 형식 등을 분석한 것이다. ‘유기체’란 많은 부분이 일정한 목적아래 통일, 조직되어 부분과 전체가 필연적 관계를 가지는 조직체라는 뜻으로 좁은 의미로는 생물체, 넓은 의미로는 우주를 뜻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기체의 뜻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하게 되었으며 오케스트라는 무한한 뜻의 유기체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편성으로써 음악적인 요소의 작은 유기체들이 하나의 작품인 큰 유기체를 표현한다. 이 곡에서 사용되는 음악적 요소의 작은 유기체는 음(note), 음의높이(pitch), 리듬(rhythm), 셈여림(dynamic), 발음(attack), 연주기법(technique), 음색(tone color)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2~5가지씩 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한다. 전체 형식은 네 부분으로 A-B-C-D로 나눌 수 있다. 각 부분은 서로 다른 파트로 나누었지만 음소재나 음형, 셈여림, 주법 등의 유기체적 요소들로 인해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크게 A와 B에서 현악파트는 상하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A부분 안에서도 현악과 목관파트는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C와 D 또한 반음계스케일이라는 공통된 음소재를 사용하여 다른 음형과 음역이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이 곡에서 사용되는 유기체적 요소들은 매개변수가 되어 다양하게 결합 되어 변화, 발전하며 하나의 곡(work)이라는 큰 의미의 유기체를 표현하며, 또 이곡이 어떤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핵심단어: 대칭, 유기체, 클러스터 ABSTRACT 「Analysis of Organism Ⅱ (2016) for Orchestra」 Kim, Jieun (Advisor: Prof. Oh, Seil)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article analyzes composition background, utilized techniques, and forms of「Organism Ⅱ for orchestra (2016) 」composed by Ji Eun Kim. ‘Organism’ in this article refers to organizations that are united and systemized under the common purpose, signifying each parts of the organism is in inevitable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organism. This does not only include literal living organisms in short term, but also refers to the universe in a broad term. This music was inspired from such meaning of organism and expresses the vast and infinite organism (the orchestra), through partial organisms (the musical factors). The partial organisms (musical factors) used in this work are note, pitch, rhythm, dynamic, attack, technique, and tone color. These factors are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with two to five of them combined. The entire form of the music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B-C-D. Although divided into different sections, each part generates unity through material, figure, dynamic and technique. The string part in sections A and B are establishing up - down symmetric structure. The string and wind part in section A are forming up - down symmetric structure as well. Sections C and D are also united through common material, the half scale, despite the difference in figure and range. The organic factors in this work serve as parameters expressing the meaning of a vast organism (the work), as they are combined and changed into various forms. It is also the eventual purpose of this article to understand and logically analyze the organic relationship in this work. Key word : structure, organism, parameters

      • 김지은의 "Harmony for flute, oboe violin & cello"의 분석 연구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79

        "Harmony for Flute, Oboe, Violin & Cello"(2005), composed by Kim, Ji Eun, is a serial music which is used twelve-tone technique. Twelve - tone technique which was based on composing this work, was origin 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Arnold Schoenberg. And this technique values much of each-12-tone provided by equal temperament. It can be used in forms of Prime(P), Inversion(I), Retrograde(R) and Retrograde-inversion(RI). This technique was developed from the atonal music, and it had been used in various types of contemporary music such as pointillism, aleatory music, electronic music and computer music. "Harmony" is music for Flute, Oboe, Violin and Cello. While each instrument makes its own timbre, they harmonizes each other, so that they can create new type of tones. This work is made of single movement which has 2 parts.(A-B-Coda). A and B are symmetrical concerning the connecting parts. And it shortly repeats the theme of A in the Coda. Standard Set, Combinatorial Set, and Derived Set were used in this work.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ques of composition used in the 20th century by analyzing this work. 김지은의 "Harmony" for Flute, Oboe, Violin & Cello(2005)는 12음 기법으로 작곡된 음열 음악이다. 이 곡을 작곡하는데 기초가 된 12음 기법은 20세기 초 Arnold Schoenberg 에 의해 창안된 작곡방법으로 이는 평균율에 의해 제공 되어진 12개의 음을 조직적으로 동등하게 중시하며 원형(P), 전위(I), 역행(R) 또는 역행전위(RI)의 형태로 쓸 수 있다. 이 12음 기법은 무조 음악에서 발전되었으며 점묘주의, 우연성 음악, 전자음악, 컴퓨터 음악 등의 다양한 양상의 현대 음악에서도 사용되었다. 작품"Harmony"는 Flute, Oboe, Violin, Cello를 위한 곡으로 악기들은 각각이 지닌 고유한 음색을 표현함과 동시에 악기들의 상호 조합을 통해 새로운 음색을 창출한다. 이 작품은 A-B-Coda 의 2부분 단악장 형식으로, A와 B는 연결구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Coda에서는 A의 주제가 짧게 재현된다. 이 작품에서 쓰인 음열은 기본 음열, 조합 관계 음열(Combinatorial Set)과 추출 음열(Derived Set)이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음열을 통한 20세기 작곡기법의 구조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연구

        김지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미술치료 장면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아동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다. 아동이 속한 환경인 부모, 형제, 친구, 교사 등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모는 아동에게 일차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행동의 완화와 소거를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는 아동과 달리 성인으로, 미술치료사는 부모상담에서 아동 내담자와는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실제로 미술치료사의 아동 미술치료 체험 연구에서 치료사들은 부모요인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기도 하고, 부모를 아동과의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아동 미술치료 과정에서 조력자로써 기능하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부모가 조력자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치료사와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 기관중심 현장은 미술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접하기 쉬운 실습현장이기도 하다. 또한, 기관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연령은 아동으로 대부분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는 부모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과정에 있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 아동의 보호자인 부모와의 상담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현장에서의 부모상담과 관련한 기초적인 실습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에 대한 체험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 중, 인간의 의식이 지향하는 현상 자체에 집중하고 그것을 기술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단계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를 밟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 5곳의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으로, 석사 3학기생 4명, 4학기생 2명, 5학기생 3명 그리고 석사 수료 후 6개월 이내 2명으로 총 11명이다. 이들은 복지관, 지역아동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발달센터, 심리치료기관 등에서 아동 미술치료 회기 후반에 10분 내외로 내담아동의 부모와 상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11월에 걸쳐 11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반성적 사고를 통해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10개의 대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준비없이 맞이하게 된 부모상담으로 인해 두려움과 막막함에 휩싸임>, <아동을 맡길 수 있는 믿음이 가는 미술치료사가 되고자 애씀>, <부모상담을 통해 아동과 관련된 연결고리를 찾아감>, <부모의 무심한 태도로 인해 부모와의 만남이 답답하게 느껴짐>, <부모상담에서는 무엇보다 라포형성이 중요함을 깨달음>, <부모상담에서 백 마디 말보다도 아동의 그림이 유용하게 느껴짐>, <아동을 위한 치료여정에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이끔>, <그럴 수밖에 없었던 부모의 상황이 이해되고, 노력하는 부모의 모습에 감사함을 느낌>, <부모상담에 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낌>, <부모상담의 시작은 어려웠지만 한 단계 성장한 것 같아 뿌듯함> 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부모상담을 하게 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부모와의 만남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아동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기대와 요구를 파악하여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둘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하는 부모상담에 대해 불안감과 걱정이 많았으며 부모상담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셋째, 아동 미술치료와 부모상담을 병행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의 미술작업을 통해 부모가 자녀를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미술치료의 효과를 체감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이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이다.

      •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근육세포를 이용한 샤르코-마리-투스 병의 치료법 연구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샤르코-마리-투스 신경병증, 유전성 운동 감각 신경병증 그리고 비골근위축증으로서 알려진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CMT)은 유전 질병의 큰 이질적인 집단(heterogeneous group)을 구성하는 운동 감각 신경병증이다. 본 연구에는 샤르코-마리-투스병 type 1A (CMT1A)를 위한 모델인 Trembler-J (Tr-J) 생쥐에서 신경 근육의 재생을 위한 인간 편도유래 줄기세포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T-MSCs)는 골격 근육 관련된 마커(troponin I type1, myogenin)의 증가된 발현과 함께 근육세포(skeletal myocytes)로 분화했고 생체외에서 myotube를 형성하기까지 분화하였다.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근육세포(T-MSCs-myocytes)를 Tr-J 생쥐의 비복근으로 이식한 경우 복합근육활동전위(compound of muscle action potential amplitude, CMAP)의 진폭 회복과 더불어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좌골신경(sciatic nerve)과 골격근육(skeletal muscle)의 조직학적 소견은 기형종(teratoma)의 형성 없이 회복하였고 신경아교세포에서 분화된 신경영양인자(glial cell 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를 포함한 여러 신경영양인자의 발현 수준은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비교하여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근육세포에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CMT1A 환자에 대한 편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근육세포의 이식은 환자의 근육뿐 아니라 신경근육의 재생을 가능하게 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Mesenchymal stem cells (MSCs) can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 typ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human tonsil–derived MSCs (T-MSCs) for neuromuscular regeneration in trembler-J (Tr-J) mice, a model for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CMT1A). T-MSCs were differentiated toward skeletal myocytes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skeletal muscle–related markers (including troponin I type 1, and myogenin), and the formation of myotubes in vitro. In-situ transplantation of T-MSC–derived myocytes (T-MSC myocytes) into the gastrocnemius muscle in Tr-J mice enhanced motor function, with recovery of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amplitudes. Morphology of the sciatic nerve and skeletal muscle recovered without the formation of teratomas,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nerve growth factor and glial-cell-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MSC myocytes compared with T-MSCs in vitro. Transplantation of T-MSC myocytes could enable neuromuscular regeneration in patients with CMT1A.

      • 중학교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개선 방안 연구 :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oday w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people from multi-ethnic backgrounds are mingled, not i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has changed South Korea that had tried to exclude other culture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onsequently, attached greater importa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people can accept other cultures in a desirable way and learn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Because art as a part of culture can deliver its specific culture, regardless of language, art education can be of great valu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in seven sessions by the year of 2015.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the art curriculum in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ar revisions and, on this basis, the textbooks and present a plan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2007 curricular revision for art is similar to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was announced but is to be applied in 2018;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utline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both revisions for art, determine th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ims at,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in the multicultural unit in the eight types of art textbooks for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and help manufacture new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The analysis of the outline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both revisions for art showed that they poorly reflected the situation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number of whom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pluralistic socie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 art curriculum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South Korea. The art textbooks for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eories of some scholar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Mcfee'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e and art history and had a strong inclination toward specific countries and artists and works in specific era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ypes of balanced art textbooks for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by adding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ncepts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s race, nation, social status, gender, religion, and minority to the learning objectives for the units in each area. It is also necessary to contain works related to visual culture that address a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al issues as well as a diversity of ethnic culture, pluralistic value expressions, gender, and art culture for minor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allow students to obtain knowledge about diverse art cultures,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multi-ethnic backgrounds, and compare art cultures, enable the non-mainstream group at risk to become self-confident, and giv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pursuit of cultural identity. It is hoped that textbooks will be manufactured to reflect these issues.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섞여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이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국내 이민자의 증가와 국제결혼의 증가로 타문화에 배타적 태도가 강했던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문화를 올바른 방법으로 받아들여 함께 사는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미술은 우리의 삶과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 예술을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에서의 미술 교육은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1차 교육과정부터 시작하여 7차 교육과정과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발표되었다. 그 중, 다문화 미술교육은 2007 개정 미술 교과과정에 처음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들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7 미술교육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다문화 미술교육 부분의 내용이 유사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발표는 되었으나 중학교의 적용은 2018년부터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부가 지향하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을 확인하고, 2009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8종의 다문화 관련 단원 내용과 도판을 비교·분석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편찬될 새 미술교과서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실정을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에 맞는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2009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은 다문화 미술교육 학자들의 이론과 맥피(June King Mcfee)의 다문화 미술교육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문화학습과 미술사 학습에 편중된 교과서 구성, 특정 나라와 작가, 특정 시대의 작품을 매우 편향되게 수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편찬될 2015 개정 미술 교과서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념인 성별, 인종, 민족, 종교, 사회적 지위, 소수집단 등의 내용을 각 영역별 단원의 학습 목표에 추가하여 다양하고 균형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민족 문화와 다원화된 가치표현, 성별, 소수 집단의 미술문화와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룬 시각문화 관련 작품들도 함께 수록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계점과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 서로 다른 미술 문화의 비교 체험 및 문화 비주류 문화권의 학생들에게 자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하여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다문화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아울러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교과서가 제작되기를 기대해본다.

      • 대학교직원을 위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김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aff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BMI 25 over 35 university staffs(24 man, 11 women) in jeonbuk area, and the educational period was 8 weeks. This study evaluated the anthropometry, biochemistry analyse,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eating out, snack intake, exercise and nutrient intakes of university staffs before, after and 6month la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ean weight, triceps thickness,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WHR, BMI, SBP and DBP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efore, after and 6month late(p<0.05). 2.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and visceral fat are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p<0.05). 3. Biochemistry analyse,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p<0.05). 4. The survey showed that the dietary habits was not significantly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but the indices tend to improved. 5. The survey showed that the dietary behavior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overeat frequently, eat salty and spicy, generally eating full, eat animal-food frequently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before, after and 6month later(p<0.05). 6.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n nutrition knowledge after the education(p<0.05). "If vitamin much better eat, it is not harmful", "Fruits is good food, because not gain weight", "Vitamins and minerals are nutrient for energy". 7. There was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frequency of snack intake before, after and 6month later(p<0.05). 8.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n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d and grade of nutrition knowledge after the education(p<0.05). 9. The mean intakes of energy , protein, carbohydrate, P, Fe, Vitamin B1, Vitamin B6, folic acid Vitamin E not significantly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but the indices tend to decreased. 10.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The average carbohydrates, protein, fat ratio on the energy intakes was 60.1 : 16.6 : 20.2. MAR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on weight management program(p<0.05). The result indicate that after the weight management program, participants positive change with regard to the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It is suggested that long-term weight management program,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program for university staffs. Moreover long-term weight management program is necessary to eating habits and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 유통기업들의 스마트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반 옴니채널(omni-channel) 활성화로 인한 쇼핑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지은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통기업들의 스마트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기반 옴니채널(Omni-channel) 활성화로 인한 쇼핑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지은 IT유통물류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소매 유통산업의 진화와 21세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정보탐색이 가능해졌으며 신규 유통채널의 등장으로 새로운 쇼핑 환경이 조성되었다.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도 정보화시대로 접어들면서 AIDMA <Attention(주의) - Interest(관심) - Desire(욕구) - Memory(기억) - Action(행동)>에서 AISAS <Attention(주의) - Interest(관심) - Search(검색) - Action(행동) - Share(공유)> 으로 변화하였다. 유통기업들은 스마트해진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하나의 유기적인 채널로 통합하여 고객의 쇼핑경험을 극대화시키는 옴니채널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대형유통기업을 중심으로 옴니채널 전략을 구축하고 있지만 고객에게 서비스 전달에 있어 더딘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관련된 선행 연구도 부족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의 발전에 따른 유통채널 및 소비자의 구매프로세스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옴니채널의 이론적 배경과 사례를 바탕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유통기업의 옴니채널 매개체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의 품질과 소비자의 쇼핑 가치에 대해 파악하고 이러한 쇼핑경험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 대한 변수는 총 다섯 가지로 '서비스품질, 정보품질, 경제적 가치, 쾌락적 가치, 충성도' 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옴니채널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거나 사용 중 혹은 사용해 보았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3부 배부하여 불성실 응답 2부를 제외한 201부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됐으며 SPSS(24.0)과 AMOS(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품질은 경제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정보품질은 쾌락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경제적 가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쇼핑가치인 경제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옴니채널의 어플리케이션(APP)의 품질이 소비자의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쇼핑환경에서의 쇼핑가치가 충성도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실증적 검증을 함으로써 이론적 기반과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핵심주제어 : 옴니채널, 어플리케이션 품질, 쇼핑가치, 충성도 ABSTRACT A Study on the Impact of Shopping Value on Loyalty due to the Activation of Omni-channel Based on Mobile Application by Distribution Companies KIM, JI-EUN Department of IT Distribution&Logistic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With the evolution of the retail industry and the emergence of smart phones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retrieval has become possible anytime and anywhere, and a new shopping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with the advent of new distribution channels. The consumer purchase decision process changed from AIDMA(Attention - Interest - Desire - Memory - Action) to AISAS(Attention - Interest - Search - Action – Share). Distribution companies are trying to create an Omni-channel environment that maximizes the customer's shopping experience by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into one organic channel to satisfy smart consumers. Currently, some of large-scale domestic and overseas retailers are structuring their Omni-channel strategy, but they are showing tardy delivery of services to customers. Al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field.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change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the purchasing process of the consumer as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s, and establishes the concep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of the Omni-channel. We analyzed the qua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APP) used in distribution company Omni-Channel and the shopping value of the consumer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se shopping experiences on the loyalty. There are five variables for this analysis: servic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economic value, hedonic value, and loyalt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surveyed users who had prior knowledge of, or are using or had used Omni-Channel. A total of 203 copies were distributed and used to analyze the 201 questionnaires except 2 copies of unfaithful respons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value and Hedonic value. Information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Hedonic value, but it does not affect Economic value. Finally, Economic value and Hedonic value, which are shopping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and the empirical basis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the application (APP) of the Omni-Channel on the shopping value of the consumer and the possibility of the shopping value in the shopping environment leading to the loyalty. Key word: Omni-channel, application quality, shopping value, loyalty

      • 박생광 채색화의 색채표현 연구

        김지은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박생광은 민족적 소재와 색을 차용하여 자신만의 채색화 화풍을 구축하고 연 구해온 근현대 작가이다. 그는 일본유학을 통해 일본식 근대 회화를 습득하고 해방 후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당시 척색주의(斥色主義)로 경도된 사회적 시선 에 의해 화단에서 배척되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단청, 무속신앙, 불 교, 역사 등의 민족적 소재를 한국의 색을 통해 작품으로 풀어나갔으며 한국 채색화의 성립과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경제발전과 문화운동을 숙제로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서양문화의 유입으로부터 우리의 고유문화를 고수하고 발 전시키기 위해 70년대 미술계에는 다양한 변화들이 등장하였다. 수묵화 운동은 추상적 요소를 수용하였으며 서양화는 한국적 소재를 얻어 발전한 반면 채색 화만큼은 왜색이 짙은 작품이라 하여 배척 되었다.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박생 광의 작품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그가 작품으로 승화시킨 한국의 색에 대한 이해 때문이다. 박생광은 역사의 흐름에서 배재되어 온 색채를 그의 작품에 선명한 원색적 색감으로 표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음양오행사상에 근본을 둔 오방색을 차용하였다. 오방색은 흑, 적, 청, 백, 황을 지칭하며 음양오행사상이 풀어낸 섞임이 없는 순수한 색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다섯 색을 기본으로 하여 의식주(衣 食住)는 물론이고 삶에 필요한 모든 것들에 오방색을 사용해 왔다. 박생광은 이러한 한국적 색감을 민족적인 소재를 통해 재해석하였으며, 청년시절 습득한 근대적 조형성이 내포되어 그만의 조형언어를 구축하였다. 즉, 채색화를 일본 화의 범주에 두고 배척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이전에 우리가 쌓 아온 채색화의 근간들을 연구하고 차용하여 한국인의 감성을 풍부하게 드러냈 다. 박생광의 후기작품에 해당하는 1980년대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각각의 회화작 품에는 오방색과 녹색, 주황색, 보라색의 8가지의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다. 인 간의 심리와도 연결되어 있는 8가지 색채는 박생광의 작품을 통해 한국적 감 성과 적절하게 융화 되었다. 박생광은 작품의 소재를 서민들의 삶과 연결된 민 족, 종교, 역사에서 찾아 이와 결부된 한국적 색감은 서민들의 의식과 적절하 게 부합되었다. 원시적인 색감은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갔으며, 이는 우리에게 친근감과 불안감을 동시에 느끼게 하였다. 박생광이 후기에 사용한 이 색채들은 시각을 자극하는 기본적인 빛의 색이다. 이 색들은 아주 오랫동안 우리의 인식 속에서 여러 의미를 두고 사용되었고 박생광은 이점을 간파하여 작품으로 승화하였다. 이 때문에 박생광의 작업은 진정성이 내포되어 친밀하면서도 불편하게 다가 왔으며 한국 회화사 안에 중 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Park, Saengkwang is a modern painter who has studied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painting style by adopting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colors. When he returned to Korea after Liberation of Korea from study in Japan where he learned Japanese modern painting, he was excluded from painting circle due to cold eyes of the society which was inclined to 'Color Exclusionism (斥色主義)' of the time. And yet, from late 1970s, he applied traditional Korean ethnic materials such as Dancheong (丹靑,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Shamanistic beliefs, Buddhism and history and presented new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lor painting. Through the tumultuous historical period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Korea had its miss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In addition, to preserve unique traditional Korean culture from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various changes appeared in the painting community in the 1970s. While Ink-and-wash painting (水墨畵) movement adopted abstract factors and Western painting developed with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 colored painting was ostracized with the reason of its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style. Under these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reason why Park, Saengkwang's works attracted attention was none other than his understanding on colors of Korea he sublimated into his works of art. Park expressed colors excluded from the current of history in raw primary color tones and, in the process, adopted O-Bang-Saek (五方色: colors designated in 5 directions) based on ideology of Yin-yang & Five Elements (陰陽五行說) of Oriental philosophy. O-Bang-Saek (五方色) are pure colors of black, red, blue, white and yellow without mixture in the ideology of Yin-yang & Five Elements (陰陽五行說). Korean people have used these 5 colors of O-Bang-Saek in almost all things in life inclu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衣食住). Park reinterpreted these Korean colors through traditional ethnic Korean materials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formative language by adding modern formative nature he acquired while he was a young adult. That is, he did not discriminate against colored painting as painting belong to Japanese painting but expressed Korean emotions abundantly by studying and adopting colored painting which Koreans had accumulated even before Japanese occupied and annexed Korea by brutal force. Park, Saengkwang's later painting works in 1980s mainly used 8 colors which are green, orange and purple in addition to O-Bang-Saek. These 8 colors which are also connected with human psychology were appropriately harmonized in Park's works. Park found his subject matters in ethnicity, religion and history related to the life of ordinary people and related Korean color tones properly corresponded with conscious of people. Primitive colors approached closer to the essence, which has made us feel at once familiar and uneasy at the same time. These colors Park used in his later years are colors of basic light stimulating sense of sight. These colors have been used with various meanings in our 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Park saw this through and sublimated into his works of art. For this reason, works of Park approached us in familiar and uncomfortable way simultaneously with genuineness inside and they came to occupy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