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기 애착외상이 초기 성인기 여성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정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성의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20~3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문제 척도, 자기자비 척도, 정신화 척도, 아동기 외상 질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90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애착외상, 자기자비, 정신화, 대인관계문제 간 단순상관 분석 실시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애착외상은 정신화, 자기자비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문제와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자비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애착외상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신에 대해 비판단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기 어렵고, 낮아진 자기자비수준이 대인관계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간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신화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애착외상 정도가 높아질수록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내면의 욕구, 감정, 신념 등에 연결 지어 해석하는 능력이 빈약하며, 빈약한 정신화 능력이 대인관계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아동기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자기자비수준을 낮추고 이로 인해 정신화 능력이 빈약해져 빈약한 정신화 능력이 초기 성인기 여성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과 상담 현장 및 실제 교육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애착외상은 생의 초기에 경험하더라도 그 시점을 넘어 이후 삶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을 통해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초기 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훈련 프로그램이나 정신화 초점 치료가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초기 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상담적 개입을 통해 내담자가 자기 자신에게 친절을 베풀며 자신 및 타인의 행동 이면에 있는 마음상태에 집중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이들이 건강하고 적응적인 대인관계를 맺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early adult women. To this end,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early adulthood were surveyed online using the KIIP-SC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SCS (the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K-MentS (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 and the CTQ-S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and the final 290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self-compassion, mentaliz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ization, self-compa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ttachment trauma in childhood, the more difficult it is to have a critical and receptive attitude toward oneself, and the lower level of self-compassion can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mental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of attachment trauma in childhood, the poor ability to interpret oneself and others' actions in connection with inner desires, emotions, and beliefs, and poor mentalization ability can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entaliza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childhood attachment trauma experience lowers the level of self-compassion, resulting in poor mentalization ability, which affects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early adult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e counseling field and actual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ffects life beyond that point even if experienced in the early stages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child abuse through activation of prosp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Second, it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training programs or mentalization-based therapy(MBT) need to be applied to early adult women with childhood attachment trauma. Third,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early adult women with childhood attachment trauma are expected to help them establish healthy and adap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allowing them to be kind to themselves, focus on the state of mind behind their and others' action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인플루언서 특성에 따른 소비자 공감의 매개효과 분석

        김정예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dvertising effects through consumer empathy in influencer marketing, which has become one of the advertising trends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and the rapid increase in SNS users, and to present standards for influencer marketing production and effectiveness. According to marketing experts Kotler & Pfoertsch (2010), marketing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and advertising will develop into cultural content, while Himp (2001) said that advertisements that do not look like advertisements and do not feel consumers like advertisements. In other words, 'non-refusal advertisement' that consumes advertisements as a cultural content that is advertisements but not recognized like advertisements has become a trend. Among these online advertisements, which are "non-objectionable advertisements," advertisements provided by an influencer, which I follow and feel familiar with, are emerging as the most popular advertisements. In influencer marketing,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nfluencer marketing so that consumers who purchase products can efficiently utilize SNS marketing by investigating four characteristics of attractiveness, intimacy, reliability, and experti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fluencer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umer satisfaction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empathy, which is a consumer empathy attribute, was set as a parameter.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research trends through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by re-examin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marketing, influencer marketing growth background, consumer satisfactio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consumer empathy, and components. Since the scope of influencer marketing is so wide and diverse, it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October 14 to October 21, 2021, with the entire experience of purchasing goods through influencers for the diversity of influencer marketing, and 270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response, the summary of the path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is as follows. First of all, subscribers who subscribe (follow) influencers must form sufficient bonds and intimacy through influencers to empathize with advertising, and at the same time, they purchase products advertised through influencer-provided content and are highly satisfied. Therefore, when selecting an influencer, marketers of companies that will use influencer marketing should effectively utilize intimacy by selecting influencers with high intimacy with subscribers. Second, it was found that empathy and advertising attitude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explain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consumer empathy on consumer satisfaction. Therefore, creators who produce content and companies that plan influencer marketing need a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media advertisements by producing content based on "consumer empathy" of SNS creators different from an influencer. Third, SNS advertisements have become one content, and SNS has grown into an effective marketing channel. In particular,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er empathy will be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er marketing, given that companies will choose influencer's content as a mediator between products, and that marketing using influencers will continue to work only when it will be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er marketing.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광고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잡게 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소비자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소비자 공감을 매개로 광고효과를 분석하고 콘텐츠 제작과 수용자의 고찰을 통해 향후 기업의 마케팅 실무자와 전문가들이 브랜드 전략에 맞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제작 및 효과 측정에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있어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마케팅 전문가인 코틀러와 푀르치(Kotler & pfoertsch, 2010)에 따르면 앞으로는 마케팅은 제품과 관련한 경험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중요할 것이며 광고는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발전할 것이라 예견하였고, Himp(2001)는 앞으로의 광고에서 효과가 뛰어난 광고는 광고처럼 보이지 않고 소비자가 광고로 느껴지지 않는 광고가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으며, 오늘날 광고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녹아들었다. 즉, 광고이지만 광고처럼 인식되지 않는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 광고를 소비하는 ‘거부감 없는 광고’가 트렌드가 된 것이다. 이러한 ‘거부감 없는 광고’인 온라인 광고 중에서도 내가 팔로우하고 친근감을 느끼는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광고는 가장 각광 받는 광고로 떠오르고 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있어 제품을 대하는 소비자가 인플루언서의 어떠한 특성으로 인해 제품을 구매하며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소비자 만족도와 소비자 공감 사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규명하여, SNS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참고문헌들의 고찰을 통해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에서 매력성, 친밀성, 신뢰성, 전문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여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 사실의 관찰과 실험에 따라 규명 하는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인플루언서 특성을 독립변수로, 소비자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며 소비자 공감 속성인 공감적 이해와 동일시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국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해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개념 및 특성,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성장배경, 소비자 만족도의 개념과 특성, 소비자 공감의 개념 및 광고 공감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재조명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한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기에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다양성을 두고 인플루언서를 통해 물건을 구매한 경험 전체를 예시로 광고 콘텐츠를 직간접적으로 접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14일부터 10월 21일까지 7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7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에 대해 경로분석 결과와 시사점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플루언서를 구독(팔로우)하는 구독자들은 인플루언서를 통해 충분한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해야 비로소 광고 공감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구독하는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통해 광고하는 제품을 구매하며 만족도 역시 높다. 따라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할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는 인플루언서를 선정할 때 구독자와의 친밀성이 높은 인플루언서를 선정하여 효과적으로 친밀성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소비자 공감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과 광고태도는 소비자 만족도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기획하는 기업에서는 매체 광고의 인플루언서와는 다른 SNS 크리에이터 만의 차별화를 ‘소비자 공감’에 두고 콘텐츠를 제작하여 매체 광고와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SNS 광고는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 잡았으며 SNS는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로 성장하였다. 특히 SNS를 활용한 마케팅에 있어 기업은 제품 사이의 매개자로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선택할 것이며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은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양방향 소통이 되어야 효과가 꾸준할 것이라는 점으로 보아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있어서 소비자 만족도와 소비자 공감은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관한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비자 공감이 소비자 만족도와 인플루언서 특성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큰 의의가 있겠으며, 향후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추진 중인 기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수립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고찰

        김정예 이화여자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8639

        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이라는 용어가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엽이었다. 1950년대에는 “시청각교육(Audiovisual Education)”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1960년대에는 시청각교육의 연구 보급활동이 폭 넓게 이루어졌다. 그리고 1960년대 말엽에 들어서면서 교육공학의 개념이 도입되어 발전하게 되었다. “교육공학”은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교육인구와 지식량이 급증하고 교육매체의 급진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효율적인 교육방법 개발에 관심을 갖게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시청각교육이 도입되어 40년이 지난 지금까지 시대적 변천에 따라 그 동안의 교육공학 발전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적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지금가지 이루어진 몇편의 역사적 연구는 시대적으로나 그 내용에 있어서 비교적 단편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과거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앞으로 교육공학의 발전방향을 좀더 합리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역사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공학이 시대적 변천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여 왔는지 그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연구 고찰하는 것이다. 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우리나라 교육공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한국 교육공학의 시대적 변천 특징과 중요한 발전 시기를 파악한다. (2)교육공학 연구의 동향은 시대적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고찰한다. (3)교육부의 교육공학 관련 행적직제 및 사업시책은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고찰한다. (4)민간 업체와 연구단체 그리고 교육공학 관련 기관의 교육매체 제작 및 보급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5)우리나라 교육공학 발전의 특징에서 나타난 공헌점과 문제점을 통해서 앞으로 교육공학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발달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연구방법으로서, 연구자료는 그 당시에 기록된 정기간행물, 교육부를 비롯한 교육공학 관계 기관의 보고서, 논문, 기록서류 등을 우선적인 1차 자료로 사용했다. 그리고 나중에 저술된 관련 서적은 2차적인 자료로 조사 연구하였으며, 교육공학 관계 사업이나 활동에 직접 참여했던 실존 인물의 면담자료는 보충자료로서 참고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제언 (1)한국 교육공학의 시대적 변천과 주요 발전 시기 1945년이후 1950년대는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일어선 “영화교실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시청각교육 운동”이 시작된 시기였다. “한국시청각교육위원회”(1951)가 발족되고「시청각교육신문」(1952)이 발간되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에 “시청각교육”강좌(1952)가 개설됨으로서 1951년-1952년은 시청각교육 운동이 시작된 발전적 기점이 되었다. 1960년대에는 문교부에 “시청각교육과” (1961)가 신설되었고, 시범시청각교육원의 사업이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1963)의 사업으로 발전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교에 “시청각교육과” (1962)가 설립됨으로서 시청각교육의 연구와 보급이 1961년-1963년을 계기로하여 발전할 수 있었다. 1970년대에는 문교부가 교육공학 관련부서의 직제를 과학교육국 ‘과학교육과’ (1970)로 개편하였고 “시청각교육진흥방안” (1969)을 추진하였다. 1960년대 말엽부터 “교육공학”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한국교육개발원(1970.8.30)이 설립되고 방송통신대학(1972.3)이 설치되는 등 1969-1972년은 우리나라 교육공학 도입에 교육방송의 발전의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한국교육공학연구회” (1985)가 창립되었고 정부는 1985년부터 학교 컴퓨터 교육을 강화하기 시작하는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에 “컴퓨터교육연구센터” (1988)를 설치하여 학교 컴퓨터 교육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함으로서 1984sus-1988년은 교육공학의 연구 보급과 컴퓨터 교육의 중요한 발전 기반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1990년대 초기인 현재는 초.중등학교는 교육방법 개선과 함께 교육 환경 시설의 개선이 시작되었으며 컴퓨터교육이 확산되면서 멀티미디어 개념이 도입되었다. (2)교육공학 연구의 시대적 발전 동향 1945년 이후 50년대에는 “시청각교육”이라는 용어와 함께 시청각교육 이론이 도입되었고 1952년 한국전쟁 당시에 발간된 「시청각교육신문」과 문교부지정 연구학교의 연구발표회 및 연수회를 중심으로 시청각교육 연구와 보급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시청각교육과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이 주축이 되어 연구 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구 동향은 주로 교육영화와 슬라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시청각교재 교구의 활용의 효과성 및 활용실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970년대에는 “교육공학”의 개념이 도입되고 1971년 이화여자대학교 시청각교육과 석사과정이 개설되면서 교수설계, 개별화 교수 등 교육공학 관련 논문과 TV교육방송에 관한 논문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에는 “한국교육공학연구회”가 발족되었고 교육공학 관련 연구 논문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기부터는 컴퓨터 관련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컴퓨터 교육은 더욱 확산되고 교육방송국이 독립되어 획기적인 교육방송을 시작하면서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논문과 TV 교육방송 및 VTR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문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3)교육부의 교육공학 관련 행정 직제 및 사업 시책 교육부의 가장 대표적인 교육공학 관련 사업과 행정시책을 살펴보면 1963년 문교부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영화교육과 라디오 학교방송 사업, 1972년부터 시작된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방송 사업, 1988년 이후 현재 추진중인 컴퓨터교육 지원사업이 있고, 지금가지 계속 규정 공포해 온 시청각교육 교재 인정규정을 비롯하여 각급학교 시설 및 교구 설비 기준령을 들 수 있다. 교육부에서 교육공학 관련 사업을 주관했던 행정기구를 살펴보면 1961년 문교부 학교관리국에 “시청각교육과”를 신설한 것을 비롯하여 1963년에는 편수국 편수와 “시청각교육계”로 직제가 개편되었다가 1967년에는 문교부 과학교육국 “과학교육과”로 교육공학 관련 행정기구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1978년에는 산업교육국 “과학교육과”로 직제 개편이 되었으며, 1982년에는 보통교육국 “과학기술과”로 개편되었으나 또 다시 1986년에 과학교육국 “과학교육과”로 직제가 개편되었다. 1994년 5월 16일 지방교육지원국 “과학기술과”로 또 다시 직제가 개편되어 현재 교육공학 관련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4)교육공학 관련 단체의 교육매체 제작 및 보급활동 1950년대에는 대표적인 연구 단체로서「한국시청각교육위원회」,「한국시청각교육협회」,「중앙시청각교육연구회」가 중심이 되어 영화교육 및 시청각교재 제작과 활용에 대한 계몽활동을 전개하였으며, 군소 민간 업체들이 슬라이드 및 교재연화를 제작 공급하였다. 1960년대에는 문교부가 주축이 되어 중앙시청각교육원에서 시청각교재를 공급하였고 대학의 “시청각교육연구원”과 대한교육연합회 산하 ‘한국기재공사’를 비롯하여 군소 민간업체들이 있었으며, 교사들이 제작하는 시청각교재가 있었다. 1970년대에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설립되면서 교육방송 사업에 주력하게 되었고 연구단체로 8mm교육영화가 보급되면서 발족된「소형교육영화연구회」가 있었고 “남양교육영화사”를 비롯한 군소 업체들이 8mm교육영화, 스크린, 영사기, OHP등 여러 가지 시청각교재, 교구를 공급하였다. 1980년대에는 한국시청각교육협회에서는 「시청각교육」(1984)월간 회보를 발간하여 공급하기 시작하였고 초.중등학교 TV교육방송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한국교육방송연구회」(1985)가 교사들의 모임으로 창설되었다. 1990년 이후 현재는 1990년 교육방송국이 독립되고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컴퓨터 교육 지원사업의 영향으로 1991년에는 「전국학교컴퓨터교육연구회」가 설립되었으며, TV교육방송이 확장되고 컴퓨터보조학습 교재의 개발업체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5)한국교육공학 발전의 특징 및 과제 한국 교육공학 발전의 특징은 해방이후 미군정기를 거쳐 한국전쟁을 치루면서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자들의 노력으로 시작되었고 미국의 시청각교육 이론과 교육공학 이론이 도입되어 연구보급이 진행되었으며 정부가 주관하는 교육사업으로 중앙시청각교육원에서 한국교육개발원으로 발전되었다는 점이다. 1960년대 이후의 문교부의 교육공학 관련 사업을 관장하는 행정기구의 일관성 없는 변화와 단편적인 연구 보급시책은 시청각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그동안 많은 교육공학 관련 연구단체 및 민간 업체의 출현과 몰락이 반복되었고, 교육공학 관련 사업은 시대적 변천에 따라 새로운 연구나 사업을 계속 시행하기에 급급하여 지속적인 장기적인 안목에서 시행되지 못했으며, 우리 나름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공학 발전으로 이끌지 못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공학 발전을 위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아. 첫째, 교육부의 교육공학 행정시책은 우리의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서 좀더 체계적으로 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공학과 전공 학생들이 교육현장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문교사 자격증 규정 및 행정 시책이 일관성 있는 행정 직제에 의해 조속히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공학 관련 기관 및 단체의 교육매체 제작 및 연구 보급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공학 연구의 방향은 교육공학 영역의 모든 분야에서 좀 더 폭 넓게 깊이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들이 교육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학교별 교육매체센터 설립센터 의한 조직적인 지원-공급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는 교육매체 개발기구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우수한 교재가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일곱째, 교육공학의 실제적인 연구활동 및 교육매체의 활용 보급을 위해서 산학협동체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공학의 여러 전공분야(교수설계, 교육방송, 교육매체 제작, 컴퓨터 학습교재 개발 등)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 대학에 더 많은 교육공학과가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1. Significance and Purpose It was about the end of 1960s that a term, ‘Educational Technology’, began to be formally used on Korea. In 1950s the concept of ‘Audiovisual Education’ was introduced in our nation, and accordingly the activity of studies and diffusion of audiovisual education had been extensively achieved in 1960s. And, about the end of 1960’s, the concept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introduced and thereafter, it has been developed. With ‘educational technology’ developed, specially the population of education as well as the knowledge rapidly increased, and the educational media radically develop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efficiently teaching methods has been a great concern while emphasizing its importance. Instead, it is a real condition that no accomplishment of studies into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concretely review and synthetically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has been achieved so far by this point of time when 40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audiovisual education. Since some pieces of studies concerning educational technology have been relatively fragmentary in terms of its history and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grasp more clearly the past and based on that, to establish a direction toward developing educational technology more rationally, synthetical, historical studies of it are required.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tudy into how educationa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our country according to historical transitions. 2. Study Contents and Method Major contents in order to review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technology are as follows: (1)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periods of its significant development. (2)The trends of studies 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changes according to historical transition (3)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office organization and project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4)Production and diffusion activities of educational media related to civilian enterprises, research groups, and other institution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5)Major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based on a review of some contributive points and points at issue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one that bases a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past and data- some periodicals, reports, theses, documents, etc. of the institution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n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in those days of reference- are firstly used for this study. And other books published later are secondly used and reviewed, and some data of interview with several existing figures who had participated in business or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have been referred as supplement data. 3.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1)Historical transition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major periods of its development A period from 1945 to 1950 during which there had been the Korean and the U.S. Armed Forces’ Intervention in Korean government was on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centered on ‘the movement of ‘movie’ class’ which teachers had promoted spontaneously by themselves. Right after the period, in 1951 ‘The Newspaper of Audiovisual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thereby making the period of 1951-1952 a starting point of the develop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In 1960s, the Depart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1961), the business of the Demonstration Audiovisual Center(DAVC; 1958)was developed into one of the Central Audiovisual Center(CAVC; 1963), and with establishment of a course of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1962), studies and diffusion of audiovisual education could be developed upon that opportunity in a period of 1961-1963. In 1970s, the Ministry on Education reorganized the office 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n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Education’ of the Scientific Education Bereau’ (1970), and propelled ‘a plan to promote audiovisual education’ (1969). Form the end of 1960s, with the concept of educational technology’ introduced,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1972)was founded, and also the Korea Air and Corespondens University(1972)started, thereby making a period of 1969-1972 for a good opportunity to introduce educational technology and develop educational broadcasting. In 1980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1985)was established, and with the government’s beginning to reinforce computer education in 1985, the Computer Education Research Center(1988)was established in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reby positively supporting the school’s computer education, the period of 1984-1988 is a period during which a basis of significant development of studies and spread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computer education was achieved. At present, the former half of 1990s,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metho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and facilities of classes has already begun and with diffusion of computer education, the concept of ‘multimedia’ has been introduced. (2)Trend of the researches and developments of educational technology During a period from 1945 to 1950s, the theory of audiovisual was introduced with a term, ‘audiovisual education’, generally accepted. Researches on audiovisual education ant its diffusion were achieved, centered on ‘the Newspaper of Audiovisual Education’ published in 1952, the year of Korean War, the schools for the research of audiovisual education appoi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60s, with the principal axis such as the Depart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and the Central Audiovisual Center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activity was carried out. The trend of research was of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and equipments of audiovisual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al movies, slides, ets. and the realities of their utilization . With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1970s and with establishment of a master’s course of the Depart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1971, the number of master’s theses concerning instructional designing,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TV educational broadcasting outstandingly increased. In 1980s, upon the opportunities of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of Hanyang University and of start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these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ncreased more outstandingly. In particular, from the latter half of 1980s, studies concerning computers began to increase. In 1990s, computer education has spread more wide, and with independence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tation along with its beginning of epochal educational broadcasting, these concern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computers and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TV broadcasting and VTR rapidly increased. (3)Administrative office organization and project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n a review of the most typical business and administrative office organiz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t can be understandable there are the project of education through movies and radio school broadcasting by the CAVC(the Central Audiovisual Center)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63, busines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hich had began from 1972, its supporting business of computer education since 1988 which is still promotion, and the standard ordinance of school fac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cluding the regulations concerning approved audiovisual materials which was once established and then has been continuously proclaimed so far. In a review of the administrative orga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at have supervised busines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re was newly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Bereau of School Manage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61, and in 1963 the department was reorganized into the Subsection of Audiovisual Education of the Editorial Department of the Text Book Compilation Bereau, and in 1967 its title changed 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Education of the Scientific Education Bereau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 1978 it was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Education of the Industrial Education Bereau, in 1982 it was again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Education of the Common Education Bereau, in 1986 then again in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Education of the Scientific Education Bereau. And finally on May 16, 1994, is was again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Bereau of Supporting Local Education which is now supervising busines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4)Production and diffusion activities of educational media of the group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In 1950s, some representative research groups majorly centered on the Committee of Korean Audiovisual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Audiovisual Education’, and ‘the central society for the study of audiovisual education’ had evolved enlightenment activities concerning education through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movies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some minor civilian companies had produced and supplied slides and educational filmes. In 1960s, with the principle axi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AVC(the Central Audiovisual Center)supplied the materials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there were some other sources of such materials such as the audiovisual research institute and some civilian companies including the Korean Educational Equipments and Material Corpor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Association of Korean(Daehan)Education. And additionally, even some audiovisual materials were produced by teachers. 1970s, with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8mm educational film at the beginning of the decade, the meeting for the research of 8mm educational film production started, and several minor companies including the Namyang Educational Film Company had supplied various educational, audiovisual media such as 8mm educational films, screens, projectors, OHP, etc.. In 1980s, the Association of Korean Audiovisual Education began to publish a monthly bulletin titled by ‘Audiovisual Education’ (1984)and delivered to its readers, and with increase of concern about the utilization of TV educational broadcasting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Research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itiated the meeting of teachers. In a period since 1990 to now,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tation became independent in 1990, a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supporting computer education which began and has been carried out regularly from 1989,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research of computer education in school was founded in 1991, thereby resulting in rapid growth of TV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computer education. (5)Features and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began with efforts given by educators for the settlement of educational problems through a period of Korean War(1950-1953), and with introduction of the American theory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studies and diffusion of them were progressed. And they were treated as educational projects supervised by government, thereafter developing them from business taken by Central Audiovisual Center to that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inconsistent change of the administrative orga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have supervised busines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since 1960s and their fragmentary studies and spread of it became the very impediment factor against the continuous execution of busines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for begin bent on new studies or projects unrelated of it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changes, thereby no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rational and initiative in order to develop our own way of education, etc.- all these can be pointed out as problems. So, based on such finding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are made as follows. First, the administrative polic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pelled, based on more systematic, long-term plans. Second, in order that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al technology can taken a full play of their role at the scence of education, provision of the professional teacher’s license and execution of administrative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very soon by means of the consistent, administrative office organization or regulations. Third, in order that production, studies and spread of educational media by institutions or groups related to educational technology can be smoothly achieved, a financially supporting o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the studies and researches of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more extensively achieved in all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Fifth, in order that teachers can properly utilize educational media, a structure of sistematic support and supply should be achieved by means of establishing some educational media center in each regions and schools respectively. Sixth, centered on the organs developing educational media supported in the dimension of government, some superior,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Seventh, for the real research activity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diffusion of educational media, and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achieved, and for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of educational technolgy(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broadcasting, production of educational media,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etc.), more departments of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established in university.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사회지능과의 관계

        김정예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we see a connection between social intelligence of child that is ability of problem solving which needs to live a social life successful from child and parent's attitude of raising children's, This research has a goal that makes peop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rent's attitude of raising children's and provide a basis data of parent's education for child educational zone. Based on the purposes, this study proposes such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at ar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1-1. Are there difference by gender in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1-2. Are there difference by child age in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1-3. Are there difference by the birth order in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2) What ar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by parent's rearing attitude? 2-1. Are there difference by mother's rearing attitude in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2-2. Are there difference by father's rearing attitude in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hich conducted from January 18, 2009 to February 6, 2009 were 290 pupils of private kindergarten which locates in Gyungsangbuk-do and their parents. The tools of study wa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that Shaefer(1959) made, Won-yeong, Lee adapted(1983), Mun-ju, Bae modified and complemented(2004). and we used social intelligence test for child developed by Sueng-hee, Yang and Nang-ja, Park(2005) for social intelligence test tool. We used statistic program called SPSS 15.0 to analyze for this research. We started t-test for verify the problem, 'Are there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by gender and child age?', and also star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for verify these problems, 'Are there difference by the birth order in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and 'what ar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by parent's rearing attitude?' This is the conclusion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children's gender ha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Boy was higher than girl and better in social knowledge and social fluidity. Children's age had a meaningful difference too. 4-year-old child was higher than 5-year-old child in social expressivity and social fluidity, but 5-year-old child was higher than 4-year-old child in social knowledge. Children's birth order also ha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cally, more than the Third was the best in social fluidity, the First was better than the Second. Other factor had no meaning at all. Second, both mother and father's attitude of raising children's ha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When mother's attitude wa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but rejecting-controling attitude was the lowest. When father's attitude was affectional-controling attitud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But rejecting-autonomic attitude was the lowest. So here is the result: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has difference in children's gender, age, birth order and of course, parent's attitude of raising child. When mother is 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and father is affectional-controling to child, they have a positive effects to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So the child can solve some problems dynamically and do right action in some social situation.

      • 이용악 시 연구

        김정예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악은 우리 역사상 가장 어려웠던 시대를 살다간 시인이다. 그가 문단에 데뷔하여 6.25이후 월북하기까지의 기간은 한국 근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련기'였으며 어떠한 정상적인 역사발전 법칙으로도 설명할 수 없는 혼란기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처한 문학역시 그 존립의 근거조차 상실할 위기에 직면에 있었다. 신문학 태동 이후 비록 일제를 통해서나마 근대적인 서구 문예사조를 수용할 수 있었고, 그것을 우리 전통의식 속에서 나름대로 이론을 구축해 나갈 무렵, 일제는 한반도에 '무단통치'를 자행하고 우리의 노력을 수포로 돌려놓어 버렸다. 이렇듯 힘겨운 시대에 서 문학활동을 펼쳤던 이용악에 대한 평가는 그가 1935년 문단에 데뷔한 직후부터 많은 사람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분단 이후에는 그가 월북 시인이라는 이유로 그에 대한 언급이 금기시 되어 왔기 때문에 더 이상의 진전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다가 1988년 7.19 해금조치 이후부터 자유스럽고 광범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일부의 소수 論者들 77)만이 이용악의 서정성이 뛰어난 모더니즘적 순수시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그 외의 대부분의 논자78)는 그를 리얼리즘에 바탕을 둔 민중시인으로 그를 평가하고 있다. 최근에 이용악에 대해 집중적이고 심도있는 분석을 행한 尹永川 역시 그의 모더니즘적 요소를 비판하고 계층적인 토대에 충실하고자 한 「이야기시」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악 시 전체제를 놓고 볼 때 모더니즘적 기법은 이용악 시를 보다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아직도 그의 시세계 전모를 밝혀주는 총체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극히 단편적이고 소박한 감상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러한 결과, 한국 시문학사에서 이용악의 뚜렷한 位相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용악의 생애를 가난의 <동경유학기>, <번민의 일제말기>, <혼란의 해방기>로 나누고 또, 그의 시세계를 <초기의 모더니즘 시>, <리얼리즘의 시>, <사회주의 리얼리즘 시>의 각 시기로 나누어서 그의 생애와 시세계를 저목시키는 방법으로 이용악의 시를 연구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이용악 시를 논할 때, 모더니즘이 이용악 시에 악영향을 주었다고 단정지었던 기존의 평에서 벗어나 모더니즘의 긍정적인 측면을 살피고자 노력하였다. 시인은 자신의 처한 현실적 공간, 말하자면 시대와 사회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염두에 둘 때, 비록 부분적이고 단편적이나마 이제까지 논의된 이용악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그의 전기적 사실에서도 밝혔듯이 그는 가난과 굶주림과 절망의 현실을 살다간 시인이었다. 동경 유학시절엔 학비와 생활비를 조달하기 위해 부두 막노동꾼으로 직접 현실에 뛰어들어야만 했고,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그는 지칠 줄 모르고 문학에 대한 정열을 불태웠으며, 마침내 자기만의 문학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시인 이용악은 고통스러운 현실을 회피하려 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서서 대결하고 또 그것을 극복하려고 치열한 詩精神을 스스로 북돋우며 살았는지도 모른다. 결론적으로 이용악의 시세계를 논하면, 이용악은 30년대의 모더니즘의 주지적 기법을 차용하면서 20년대 소월로 부터 흘러온 토착적 서정성을 기반으로, 불행했던 자신과 이웃 그리고 민족 구성원 모두의 삶에 나타나는 역사적, 민족적의식을 사실적 방법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압박받는 민중의 삶에 대한 이용악의 치열한 시정신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높이 평가받아야만 마땅하다고 하겠다. 1930년대는 한국 현대시사에서 지나칠 수 없는 중요성을 가진 공간이고 해방공간 또는 우리 近代史의 소용돌이 속에서 복잡하고 중요한 문학적 공간으로 남아있다. 이용악에 대한 보다 철저한 연구와 자리매김은 1930년대에서 해방공간에 이르는 한국 시문학사를 온전하게 정립해 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