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의사결정역량이 재직의도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임상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병원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과 의사결정역량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이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인정되는 재직의도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무용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에 관한 연구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무용 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설정한‘불교생명론 윤회의 특징을 통한 삶과 죽음의 자기성찰’이라는 안무 의도와 주제가 작품에서 잘 표현되었는지 연구한 것이다. 윤회(輪回)의 특징이 어떻게 한국무용의 움직임과 안무자의 독창적 춤 방법으로 구성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구현되는 예술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인간이 지닌 이기심, 삶과 죽음의 불안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하여 불교생명론‘윤회’를 주제로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윤회를 주제로 창작한 무용 작품은 거의 없음을 찾아냈고 또한 이런 작품을 연구하여 이를 역사화하고 사회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실기기반연구(Practice Based Research)를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1단계 계획, 구상 → 2단계 창작, 연습 → 3단계 공연, 감상 → 4단계 분석 및 평가의 4단계로 이뤄진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무용 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의 주제와 내용을 설정하였고 연구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출한 윤회의 ‘순환성’, ‘반복성’, ‘영원성’의 특성을 뽑아 작품의 핵심 내용으로 구축하였다. 이를 윤회의 상징성을 지닌 ‘원’에 내재한 특성과 결부하여 작품으로 구상하였다. 이를 작품에 ‘공간성’, ‘움직임’, ‘시간성’과 연관해서 무용 작품으로 구현해 내었다. 이러한 주제와 구성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작품 「멈추지 않는 순간」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에서 윤회의 특성인 순환성은 죽음’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인간이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4명의 무용수가 한 방향을 향해 움직임이면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환원성(還元性)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오브제인 원을 통한 공간의 제한적 사용은 작품에서 무용수를 통해 되돌아오고 다시 출발하는, 또는 다른 자극이나 변화에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에너지로 표현되었다. 셋째, 움직임을 구와 절로 만들어 반복하고 오브제 원을 한 개에서 세 개로 변화함으로써 새로운 공간인 가변적 공간이 창조되었다. 넷째, 윤회의 특성인 영원성(永遠性)을 표현하면서 작품을 통해 무대 뒤로 퇴장함으로써 완전히 비워내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시·공간적 공(空)의 단계를 표현하면서 초월성을 만들어내었다. 본 연구자는 윤회의 특징에 공간성, 움직임, 시간성을 적용해 몰입하는 구성을 통해 몸에 특성을 포함한 내재 된 움직임에 집중할 수 있었다. 이를 오브제 원을 통해 표현할 수 있었고 움직임을 밖으로 표출하는 방법을 경험하며, 독창적 춤 언어를 정립해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안무자는 특성에 입각한 몰입된 움직임의 구성을 통해 예술적 가치관을 확립해 나가는 데 큰 도움을 받고 더 나아가 새로운 표현 방식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thesis presents with the study on to what extent the choreographic intention and the theme, namely‘introspection on life and death through the features of Buddhist samsara’, set during the stage of designing the dance work「Immortal life through passage of time」were effectively expressed in the work. Its purpose is to examine how the features of samsara were integrated in the movements of Korean dance and the choreographer’s original dance method, along with the artistic meaning that this realizes. The researcher created the work around the theme of Buddhist ‘samsara’in order to somewhat relieve the humans’ selfishness and anxiety over life and death. The researcher discovered that there are few dance works created around the theme of samsara, and felt the necessity to study one, and thereby publicize and historicize it. To make this happen,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e based research. The process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first step plan and design, the second choreograph and practice, the third perform and appreciate, the fourth analyse and evaluate. Firstly, the theme and the content of「Immortal life through passage of time」were set up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features of‘circularity’,‘repeatability’, and ‘perpetuality’of samsara deriv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review were established as the thematic elements. These were combined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ircle’, which has the symbolic meaning of samsara. This was associated with‘space’, ‘movement’, and ‘time’of the work and realized into a dance work. The result of studying「Immortal life through passage of time」with th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theme and the composition is as below. Firstly, samsara is described as a return in the work. This was shown as the circle, the objet used in the work, played a role of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rcularity’ and ‘spatiality’. Secondly, restricting the space through the circle resulted in the energy flow moving in one direction, which appeared as an expression of ‘the constancy of spatiality’ in the work. Thirdly, the choreograph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peatability’ and ‘movement’ created the new world of ‘changeable space’. Representing the repetitive characteristics of samsara only through movements opened the new world ofspace for the choreographer and thereby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the composition of content. Fourthly, it was possible to come up with an expression that represents unlimited transcendence by associating perpetuity with time. ‘Gong’(空), the stage of becoming free from everything, was expressed by completely clearing the stage, thereby portraying the transcendence in terms of time and space. The title of the work has been translated to English such that it sufficiently expresses the significance and substance of samsara. Thus, it should be known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title at the time of performance. Finally,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on the movements inherent in body through the compositional method that focuses on the features of samsara that consists of karma and samsara.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through this, one experienced the method of expressing externally and established an original dance language. Through this, the researcher has received a lot of help in establishing the artistic values on stage, and seeks to contribute in creating a new way of expression.

      • 대입논술문제에 나타난 사회과교육 내용 분석 : 2000학년도 이후 정시 인문계를 중심으로

        김정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2000학년도 이후 대입논술문제에 나타난 사회과교육 내용 분석에 관한 것이다. 1986년 대입논술고사가 최초로 도입된 이후, 대입논술고사는 현행 대입전형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대입논술고사가 재도입된 지 10년이 넘은 지금에도 학생들은 학교에서 체계적인 논술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에서 행하고 있는 논술지도는 대부분 특정 교과에서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공교육, 즉 학교 수업을 통하여 논술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인간과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학습내용으로 하는 사회과의 내용이 논술문제에 어떻게 반영 되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대상 논술문제는 건국대를 비롯한 16개 대학의 2000학년도~2008학년도 대입논술고사 정시 인문계열의 문제이다. 그리고 사회과 중 8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일반사회 해당 영역의 학습주제와 학습목표를 살펴보고 해당 논술 문제가 정치, 경제, 법, 사회문화의 네 가지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사회과의 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논술 문제에 한하여 유형(사회과의 평가영역을 기준으로 한 유형)을 5가지로 나누고 어떠한 유형이 많이 출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54개의 문제가 사회과의 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었고 그 중 42개의 문제가 사회과 영역 중 사회․문화의 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이 출제된 문제 유형은 ‘어떤 집단의 여러 역할이나 위치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바를 생각하고 주장하게 하는 논술’ 형태였다. 118개의 문제 중 54개의 문제가 사회과와 관련이 있었지만 고등학교 인문계 수업에 사회과의 수업시수를 고려해 볼 때 이는 유의미한 결과라고 생각하며 본 연구가 사회 수업을 통한 논술지도 방안 연구에 미약하나마 작은 근거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 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 중요도의 지각 차이 :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정아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Parasuraman et al.(1988)의 서비스 품질 차원을 의료기관에 부합하는 서비스 차원으로 수정하였고 각 차원들에 부합하는 세부항목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의료서비스 품질을 위치적 유형성, 환경적 유형성, 편의적 유형성, 절차신뢰, 역량신뢰, 의료행위 응답성, 비의료행위 응답성, 공감성 등 8가지 요인으로 유형화하여 환자‧보호자 차원의 비의료인과 의사‧간호사 차원의 의료인이 의료 기관을 선택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받고 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의료인과 비의료인 사이에 병원을 선택하는 기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종합병원의 의료인들과 환자,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편의표본추출방식과 1:1 대인면접 방식의 설문조사가 2019년 8월에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설문조사결과 총 24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부실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총 228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위치적 유형성에서는 병원의 위치와 교통의 편리함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으며, 환경적 유형성에서는 병원의 청결상태 유지가, 그리고 편의적 유형성에서는 환자의 식단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절차신뢰에서는 검사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신뢰가 역량신뢰에서는 의사의 의료지식과 치료방법에 대한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의료행위 응답성에서는 의사의 신속한 문제해결이, 비의료행위 응답성에서는 예약·접수·수납 및 대기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성은 의사의 환자얘기 경청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가설검증 결과, 위치적 유형성에서 비의료인이 의료인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 1a는 기각되었다. 이는 의료인과 비의료인에게 있어 병원의 위치가 갖는 중요성이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두 번째로 비의료인이 의료인 보다 환경적 유형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 1b는 채택되었다. 세 번째로 의료인보다 비의료인이 편의적 유용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1c 역시 채택되었다. 네 번째로 의료인이 비의료인 보다 역량신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2a는 기각되었다. 이는 의료역량은 의료인과 비의료인이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다섯 번째로 의료인보다 비의료인이 절차신뢰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2b는 채택되었다. 여섯 번째로 의료인이 비의료인 보다 의료행위에 대한 반응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3a는 기각되었다. 이는 의료행위 자체는 의료인과 비의료인 모두에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하겠다. 일곱 번째로 비의료인이 의료인보다 비의료행위 반응성을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 3b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비의료인이 의료인 보다 공감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라는 가설4는 채택되었다.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ffecting hospital select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health care providers and non-health care providers Jungah Kim Advisor : Prof. Seongho Kang, Ph.D.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developed the quality of service of Parasuraman et al. (1988) into quality of medical service and categorized it into eight factors: location typeliness, environmental typeliness, convenience typeliness, process reliability, capacity reliability, medical action responsiveness, nonmedical act responsiveness and empathy. Demonstrated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a survey on how patient, caregivers as the non-health care providers level and doctors, nurse as the health care providers level are affected in choosing a medical institution.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Cronbach's α coefficients to ensure internal consistency, and for feasibility analysis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e-discriminant validity were identified. As an analysis metho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5.0 and AMOS21.0. As a result, the location of the hospital and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were assess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location tangible nature, the hospital's cleanliness in environmental tangible nature, and the patient's diet in convenience tangible nature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fidence in the examination process and result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liability of the capacity, and trust in the medical knowledge and treatment methods of the physician. It has been shown that doctor's prompt problem resolu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sponding to medical action, and reservation, reception, acceptance, and waiting tim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inally, empathy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octors' listening to patients.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e healthcare providers who provide medical services in the hospital prioritized only the quality of service related to original purpose the treatment of the diseases of the hospital.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respondents were capacity reliability(4.51), followed by responsiveness (4.33) and empathy (4.20). Overall, trust in a medical practitioner's capabilities and rapid response and empathy for a medical patient have been shown to be of high importance. Conversely, opportunistic typology (3.98), positional typology (4.10), and environmental typology (4.14) showed relatively low importance, while reliability of medical practice and procedure (4.18) and non-medical response (4.16) were found to be moderate. The eight factors shown above all showed high scores across the board, confirming that the criteria presented were factors that led to the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erefore, the quality of all hospital services should be adjusted upward. Such efforts will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medical consum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huge capital, cop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health, and effectively approach health care consumers who expect human consideration due to nuclear familization and aging. Key words: Medical Service Quality, Locational Tangibility, Environmental Tangibility, Credibility Trust, Procedural Trust, Medical Responsiveness, Non-medical Responsiveness, Empathy

      • Minor Characters in Faulkner's Light in August : 포크너의 [팔월의 빛]에서 주변인물들 연구 : 김정아

        김정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Faulkner의 Light in August에는 각각의 주인공을 가진 줄거리가 셋이 있다. 그것은 리너 그로브의 이야기와 조 크리스마스의 이야기와 게일 하이타워의 이야기다. 이 작품의 주요 인물의 의식의 세계를 보면 리너의 세계는 자기 정체성(self-identity)의 세계요 크리스머스는 자기 갈등(self-conflict)의 세계이며 하이타워는 자기 분열(self-alienation)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윤리적 태도를 두고 볼 때 리너의 복종(submission), 크리스머스의 반항(revolt), 하이타워의 도피(escape)가 이 소설의 기조가 되고 있다. 이 이야기의 주요 플롯은 리너-->하이타워-->크리스머스-->하이타워-->리너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크리스머스와 리너 그리고 하이타워에 관한 플롯은 Light in August라는 집을 떠받들고 있는 세 기둥이다. Faulkner의 Light in August는 주로 위의 세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읽혀져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Faulkner의 Light in August는 그 큰 스케일이 암시라도 하는 듯 위의 세 주인공을 제외한 주변 인물들의 작중에서의 역할이 유난히 돗보이는 작품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주인공 중심의 작품 분석에 반기를 들고 주변 인물을 중심으로 작품을 바라 보고자 한다. 즉 주변 인물들이 위의 세 주인공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또 작품의 구조를 탄탄하게 하는 데 있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살펴 봄으로써 주변 인물이 없이는 주인공들의 삶 뿐이 아닌 작품 자체가 존재할 수 없음을 보여 주고자한다. 이 논문은 두 개의 장으로 되어 있다. 제 1장에서는 조 크리스머스의 고립된 삶에 영향을 주는 주변 인물들을 분석해 보았다. 크리스머스에게 영향을 준 주변 인물들은 당시 미국 남부 사회의 왜곡된 사회 제도--즉 인종차별, 칼비니즘으로 대변되는 미국 남부 종교, 그리고 여성들--의 모습으로 크리스머스의 삶을 억압하고 파괴한다. 제 2장에서는 하이타워와 리너 그로우브의 삶에 영향을 주고 그들의 삶과 관련을 갖는 주변 인물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하이타워의 경우 과거엔 어둡고 고립된 삶을 살다가 작품의 후반에 밝고 개방된 성격을 갖게 되었기에 그런 삶의 특성을 고려하여 두가지 종류--즉 그의 고립에 영향을 준 주변 인물들과 그의 변화에 영향을 준 주변 인물들--의 주변 인물을 살펴 보았다. 리너 그로우브의 경우 그녀의 삶과 관련하여 그것에 영향을 준 주변 인물 보다는 그녀의 삶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주변 인물들이 작품의 주를 이루므로 후자의 인물들을 주의 깊게 살펴 보았다. 이 논문은 Faulkner의 Light in August에 등장하는 주변 인물들이 조 크리스머스, 하이타워, 그리고 리너 그로우브와 같은 주인공들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작품의 구조를 탄탄하게--대표적인 예로 작품의 끝에서 이 소설을 죠의 비극이 아닌 리나의 희극으로 승화시키는 가구 상인 부부--하는 기능적인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소설의 등장인물, 그들 자신으로서의 고유한 가치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Faulkner's Light in August, there are three stories with each major characters. They are stories of Lena Grove, of Joe Christmas, and of Gail Hightower. The observations of the psychological worlds of this novel's major characters show that Lena lives in the world of self-identity, Joe Christmas in self-conflict, and Hightower in self-alienation. Also in view of their ethical attitudes Lena's submission, Christmas's revolt, and Hightower's escape form the base of this novel. This novel's main plot follows this order: Lena--> Hightower --> Christmas --> Hightower-->Lena. Thus, plots of Joe Christmas, Lena Grove, and Gail Hightower are three pillars propping up the house called Light in August. It's true that Faulkner's Light in August has been studied and read focusing on the above mentioned three characters. However, as the big scale of it signifies, Faulkner's Light in August is a novel where minor characters's (other than the above three major characters) roles in it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this thesis will object the established method of analyzing this novel centering on above three characters. Instead, this thesis will analyze this novel focusing on minor characters. That is, by studying how minor characters influence three major characters's lives and how significant roles minor characters do in strongly and solidly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novel, this thesis will show the fact that without minor characters not only major characters's lives but also this novel itself cannot exist. This thesis is composed of two chapters. Chapter 1 analyzes minor characters influencing Joe Christmas's isolated life. Minor characters influencing Joe Christmas appear as the very representatives of the distorted Southern American social system including Southern American racial discrimination, its religion of Calvinism, and female sex and they oppress and destroy Joe's life. Chapter 2 analyzes minor characters influencing and being related with lives of Lena Grove and Gail Hightower. In case of Hightower, his life is transformed from his past dark and isolated life to later bright and open life. So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minor characters related with Hightower are classified into two kinds: those influencing his isolation and those influencing his characteristic change. In case of Lena Grove, minor characters influenced by Lena rather than those influencing her mainly consist of the novel. So the latter will be carefully examined. This thesis attempts to prove that minor characters in Faulkner's Light in August not only play their important functional roles in influencing three major characters's lives and cementing the structure of the novel but also have their own values as minor characters themselves.

      • 현대미술의 ‘예술의 자율성’ 에 대한 개혁주의 비평 연구

        김정아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원주의 아래에 있는 현대미술 속에서 딜레마에 처할 수밖에 없는 기독교미술가들의 고심에 주목한다. 현대미술 현장에서의 실존의 문제와 영적·정신적인 면에서의 성경적 가치관이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미술가들이 그러한 문제를 넘어 자신의 정체성 위에서 창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예술의 자율성으로부터 비롯된 현대 미술의 당위성에 대한 개혁주의 관점의 비평’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선행 개혁주의 비평에는 기독교세계관 관점을 전제로 하는 비판적 인식에 의해 예술의 자율성과 함께 진행된 모더니즘 이후의 미술사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그 논의에는 현대미술의 수용 문제에 모호함이 나타난다. 현실적으로 많은 기독교 미술가들이 자신의 창작에 현대미술의 다양한 기법들을 거리낌 없이 사용하고 있다. 선행 개혁주의 비평이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은 시의성 있는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현대미술의 자율성에 대한 보완된 시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그 근거를 개혁주의의 일반은총론에서 찾고 있다. 선행 개혁주의 비평에 수용의 문제가 나타나는 원인은 미술사적인 이해에 있어서 기독교세계관의 틀 안에서 자율성에 대한 부정을 전제로 함으로써 관점의 적용이라는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대미술 자체의 역동성의 원리, 즉 현대 미술사를 관통하는 부정성과 그 안에 작동하는 작용과 반작용의 기제에 대한 수긍을 간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현대미술의 시작점에서부터 내포된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철학자들의 견해들을 먼저 살펴본 후에 이어서 그 영향을 받고 진행된 현대 미술사의 특징적인 변화와 양상들을 동시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추적하고 있다. 또한 현대미술의 인식론적 문제를 비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선행 개혁주의 비평가들의 논의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하고 공통점과 상이점들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선행 개혁주의 비평에도 작가와 작품성을 인정하는 데서 부분적이지만 일반은총의 관점이 이미 적용되고 있음이 발견된다. 본 논문은 이 사실을 통해서도 일반은총이 현대미술에 대한 합당한 수용의 가능성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일반은총은 세상 문화의 모든 영역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과 그 속에 부어지는 은혜를 인정한다. 결국 예술의 자율성과 현대미술에 대한 선행 개혁주의 비평의 수용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일반은총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예술의 자율성에서 시작된 현대미술에 대해 신을 떠난 인간 자율의 반영으로 보는 선행 개혁주의 비평의 비판적 관점은 숙고되고 견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또한 현대미술에 대한 부정적 시각에만 머물지 않고 그 속의 다양한 형식과 기법들은 동시대성의 반영을 위해 수용될 필요도 있다. 이 논문은 개혁주의 비평이 기독교미술과 동시대미술의 관계를 대립적으로만 인식하기보다는 합당한 경우에는 필요한 영향을 서로 주고받는 관계로 조망해 보아야 하며 여기에 일반은총이 근거가 되어 줄 수 있다고 제안한다.

      •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능력 비교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자연스러운 발달에 의한 성숙 및 치료에 의한 적절한 중재에도 불구하고 언어문제, 학습문제 및 사회적 기술능력의 결함 등을 계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나타내는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및 중재를 하기 위해서는 낱말이나 문장수준에서보다 좀 더 긴 언어학적 단위인 담화(discourse) 수준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Merritt & Liles, 1987). 그런데 이야기에 의해 담화평가를 할 경우 이야기를 산출하기 위한 자극이나 과제의 적절성 여부에 따라 화자의 언어수행능력이 좌우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를 산출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또한 특정 과제유형으로 수집된 이야기 자료를 어떠한 분석틀에 의해 평가할 것인지도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특성을 이야기 구성능력과 구문능력의 측면에서 파악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언어발달장애 청소년 26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6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자료 수집과제의 유형을 이야기 만들기 과제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이야기 담화능력을 알아보았다. 수집된 이야기 자료를 바탕으로 이야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이야기 구성능력은 시작과 끝맺음(appendages),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복잡화 행동(complicating actions), 평가(evaluation), 결과(resolutions)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을 알아보았다. 구문능력은 이야기길이(총 T-unit의 수), 구문복잡성(T-unit 당 평균 절의 수, 종속절의 사용률) 및 구문오류(구문오류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집단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분할구획요인으로 설계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유형에 따른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단 내에서는 과제유형에 따라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은 ‘시작과 끝맺음’, ‘결과’의 경우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고, ‘오리엔테이션’과 ‘복잡화 행동’은 과제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평가’는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이야기 길이를 살펴보기 위해 총 T-unit의 수를 측정한 결과, 과제유형에 따른 총 T-unit의 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내에서는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 비해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총 T-unit의 수가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구문복잡성을 살펴보기 위해 T-unit 당 평균 절의 수와 종속절의 사용률을 측정한 결과, 두 변수 모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이 언어연령일치 아동보다 평균 절의 수를 적게 산출하였으며, 종속절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내에서는 과제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제유형에 따른 구문오류율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이 언어연령일치 아동보다 더 높은 구문오류율을 나타냈다. 집단 내에서도 과제유형에 따라 구문오류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보다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구문오류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이야기 구성능력에서 언어연령일치 아동과 유사한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구문능력은 평균 절의 수, 종속절의 사용, 구문오류 등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과제유형에 따라 이야기 구성능력에 대해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문능력의 경우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구문오류가 많았고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이야기를 더 길게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이야기 담화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제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생활연령을 감안하여 이야기 구성능력이나 구문능력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측정할 때 발달적 유형을 고려한 질적 분석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iscourse abilities of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by evaluating two tasks (story generation and story retelling).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wenty-six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and their language ability matched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LD adolescents were enrolled in middle schools and LA children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ased on the two tasks, split-plot factorial ANOVA was used. Story composi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story components (appendages, complicating actions, orientation, resolutions, evaluation) and syntactic ability was measured by the total number of T-units, mean number of clauses in a T-unit,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and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D adolescents show different story composition ability depending on two tasks. The percentage of story components (appendages, resolutions)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generation than in story retelling. However, the percentage of evalu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retelling than in story generation. Second, the total number of T-units in story retell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ory generation. Third, syntactic complexity measured by mean number of clauses in a T-unit (MNC) and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LD group uses significantly less MNC and subordinate clauses than LA does. Fourth,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in a T-unit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generation than that in story retelling.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have inferior ability in syntactic complexity and in syntax errors, not in story composition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rrative abilities depending on the two task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LPs need to evaluate and treat language abilities of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by using various elicitation tasks and that they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LD adolescents when evaluating their abilities in story components and in syntax by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 인상주의 작곡가의 바이올린 음악 : 드뷔시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중심으로

        김정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대표적인 인상주의 작곡가인 드뷔시(C. Debussy, 1862-1918)의 바이올린을 위한 유일한 작품인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Sonata for Violin and Piano, 1917> 에 관한 분석과 고찰에 관한 것이다. 이 작품은 그의 생의 마지막 작품이란 점에서도 또 다른 의의를 지닌다. 이 작품이 분명 드뷔시의 양식을 따른다는 점에서 의의를 제기할 여지는 없지만, 그가 추구했던 바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에 다소 거리가 있음도 사실이다. 드뷔시가 소나타 혹은 협주곡 등의 고전적 기악형식에 관심을 두지 않았음은 이를 성공적으로 다루었던 라벨과 대조적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가 고정된 틀을 싫어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또는 인상주의적인 관점에서 전제되는 바의 "모호성"이 고전적 형식이라는 "틀"과 서로 모순된다고 생각했으리라 추측할 수도 있다. 그 의도가 무엇이었던 간에, 드뷔시가 말년에 몇 곡의 기악소나타를 남겼다는 것은 또 다른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과연 그가 마침내 형식적 틀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렸다는 것일까? 아니면, 인상주의적 어법을 사용하는 소나타를 만들려 한 것일까? 논자는 이런 의문을 전제로 하여 드뷔시의 바이올린 소나타에 관한 분석과 고찰을 시도하였으며, 분석에 앞서 인상주의의 역사적 의의와 인상주의 작곡가들, 인상주의 바이올린 곡에서의 특징적인 기법들에 관해 고찰하였다. 드뷔시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제 1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 2, 제 3악장은 론도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고전적 틀에 얽매이지 않아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되었다. 전체 악장은 G장조 혹은 g단조의 조성 내지는 조 중심을 사용하고 있어 전통개념의 소나타와 크게 다르지 않다. 화성은 3화음, 7화음 등 전통화성 뿐 아니라 드뷔시가 즐겨 사용하는 9화음, 11화음, 그리고 빈 5도, 증속화음, 병행화음 등이 사용되었다. 중세선법의 사용이 빈번하며, 5음 음계, 온음음계, 반음계 등의 사용은 드뷔시의 인상주의 양식의 작품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여기에 복조성적 수법이 더해지기도 하며 이런 모든 수법은 조성의 모호성을 나타내는 인상주의의 주된 특성에 속한다. 무곡 리듬과 같은 사실적 리듬의 사용,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복합리듬, 교차리듬 등이 자주 사용되었고, 박자의 변화가 자주 일어나고 때로 마디 선을 무시한 선율의 구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수법 역시 리듬의 모호성을 통해 인상주의적 효과에 목적을 두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오스티나토의 사용이 전 악장에 걸쳐 빈번하며, 빠르기 역시 자주 변화하고 있다. 바이올린의 특별한 기술로는 하모닉스, 하모닉스의 트레몰로, 트릴같은 효과의 트레몰로, 포르타멘토를 사용하는 장식음, 글리싼도, 지판 위에서 활의 사용(Sur la touche)등이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다. 드뷔시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소나타라는 고전적 형식 안에서 인상주의 양식을 구현시킨 독특한 작품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This thesis is an analitical study on <Sonata for Violin and Piano> which is the only work for the violin of C. Debussy(1862-1918), the representative composer of "Impressionism". <Sonata for Violin and Piano> has the meaning of Debussy's last work in his life. There is no question that this work follows the style of Debussy, but the fact is that it is different from other works of Debussy on the point of "Impressionism". Debussy was not interested in the classical form, for example, sonata and concerto. It is possible to guess that "blurring"of impressionism is not suitable for "the classical form". Whatever his intend was, there is the special meaning that Debussy composed several sonatas for the different instruments in his last years. At last, did he break his revolting idea about the classical form? Or, did he intend to compose the sonata in the methods of impressionists? From this premises, this researcher tried to study this work. This thesis consists of three parts. The 1st part is about "Impressionism", the historical meaning of that, the impressionists and their methods in the works for the violin - glissando, tremolo, tremolo like trill, harmonics, pizzicato, double stopping pizzicato, roulades, andeggiando, sul tasto, and doubling. The 2nd part is the abstract of Debussy's life, his important works, and the background of <Sonata for Violin and Piano>. The 3rd part is the analysis of this work: The form of the 1st movement is the Sonata form in that is ommited development. That of the 2nd and 3rd movement is the Rondo. Ostinatos are used over the whole movements, frequent changes of Tempo are characteristic. Some melodies are so blurring that one cannot know the bars well. In rhythm, there are some poly-rhythms and cross-rhythms of the piano and violin. The medieval modes as Dorian, Phrygian, Lydian, Mixolydian are used. And the Fentatonic scales, the Whole-Tone scales and Poly-Harmonies are used for the special effects of tone color. In harmonies, the uses of 9th chords, 11th chords and parallel motion that specifically forbade in classical harmony are characteristic. Harmonics, Tremolo of harmonics, Glissando, Pizzicato, Sul Tasto are used for the characteristic tone color. Debussy expressed his characteristic methods of "Impressionism" in the "classical sonata form" in his <Sonata for Violin and Piano>(1917).

      •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과 핵심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객만족 경영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서비스 기업인 병원은 그 경쟁력의 원천이 서비스에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러한 병원 서비스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나갈 병원 코디네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현장 실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과 핵심역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문헌을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회귀분석, 빈도분석 등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은 직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은 업무효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역할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설명력은 높지 않았다. 이는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만이 재무적 성과를 좌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병원의 경영성과를 측정할 때 의료외적 서비스를 관리하는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과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한 방법으로 고객만족을 재무적 성과로 연결 짓는 연구 모형과 가설을 개발한다면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겠다. 또한 직무역할 변수 중 변화관리자 보다는 증간관리자 역할이 보다 설명력이 높다는 것은 병원 코디네이터가 경영자보다는 중간관리자 역할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핵심역량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핵심역량은 직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병원 코디네이터의 핵심역량은 업무효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핵심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중 지식 요인만 유의하였다. 지식은 다른 요인에 비해 측정하기 쉬운 편이나 기술과 태도는 평가하기에 상당히 모호하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연구 모형과 가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채택되었으나 설명력은 최고 14.7%에서 최저 5.5%로 미미했다. 이는 예상한 변수 이외의 다른 요인이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설명력은 높지 않았고 그 높은 정도는 재무적 성과, 직원만족, 업무효율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 외부고객만족과 밀접한 재무적 성과가 내부고객만족인 직원만족, 업무효율보다 높다는 것은 병원 코디네이터 제도가 외부고객만족 서비스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병원 코디네이터가 있다고 해서 직원만족도가 높아지거나 진료업무가 줄어 드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병원 코디네이터의 역할 및 직무 정의에 대해 응답자 다수가 병원 조직 내의 '조정자'라고 답하였으나 이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었고 나머지 답변 또한 매우 광범위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병원 코디네이터 제도를 도입하여 병원조직의 경영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병원과 관련기관은 먼저 병원 코디네이터의 직무역할과 이에 따른 핵심역량을 명확히 하고 조직 내 제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명확한 직무역할에 맞는 최적의 인력을 채용, 교육 훈련하여 병원 서비스와 경영성과 향상을 시도한다면 조직성과에 기여하는 훌륭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병원 코디네이터 제도를 통해 경영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동기부여는 물론 조직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job role, core competency of Hospital Coordinator and effects on performance in hospital. The data were gathered from doctors, nurses, staffs, students who work in hospital. They were asked to assess job role, core competency, and performance. A total of 284 usable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These hypothesized relationships concerning job role, core competency, and performance were verified by modeling, using SPSS 10.0 program. The analytic methods for the study were confirmator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job role of Hospital Coordina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in hospital. Second, core competency of Hospital Coordina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in hospital. Based on these findings, performance in hospital was e mediator between job role and core competency of Hospital Coordin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