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 적용 효과

        김은아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iated teaching & learning to the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1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of their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sult of this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oddlers and teachers and the way of behavior of each toddlers observ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1)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ir development? 2)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oddlers? 3)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 play behaviors of the toddler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total number of 20 toddlers at the age of 1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from two childcare centers - A and E - in D metro-politan city. The toddlers were assigned to two classes and each class consisted of 10 participants. These two classes differed with regard to childcare center and the way of teaching & learning. The 10 subjects from A childcare center were given 'Individualized care and education' as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10 toddlers from E childcare center were cared in traditional standardized way as a controlled group. At first, to assess the extent of the participants' development, 'Instrument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provided by Lee, Y.J., Lee, J.S., Shin, Y.S., Kwak, H.R., and Lee, J.W. (2001) was use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toddlers, ORCE developed by NICHD(1996) was adopted. In addition, a checklist edited by 2 specialist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was accompanied to take a close look at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their care.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11.0 through a Window program using the methods of M, SD, t-test, frequencies, percentage,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ir development. Particularly, tha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sub-areas of physical movement, the cognition and the self-helping skills. Second,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increased the positive interaction of teachers to toddlers. Particularly, tha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teachers' responsive behaviors, telling or questioning, and behaviors to stimulate their toddlers' cognitive, social development. Lastly,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encouraged the toddlers to be involved in more pla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is a key factor for toddlers whose developmental states are very various to have an appropriate care an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own developmental stages and speed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영아의 발달평가에 기초하여 발달에 적합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을 고안?실시함으로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활동 과정에 서 변화되는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 및 영아의 놀이 행동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2.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놀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A어린이집과 E어린이집의 만 1세 영아반 각 2학급, 학급 당 5명씩 총 20명의 영아와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그 중 A어린이집을 실험집단으로 E어린이집을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으며, 실험 집단인 A어린이집의 영아들에게는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활동을 16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발달을 평가하기 위해 ‘출생 - 3세용 AEPS 검사 (Bricker, 1993)’를 참고로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1)이 개 발한 ‘교사 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긍정적 상호 작용 행동 및 영아의 놀이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보육시설의 질을 관찰 측정하 기 위하여 NICHD(1996)에서 개발된 ORCE(Observation Record of the Care Environment) 중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개별 놀이행동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하고 유아교육을 전공한 전문가 2인의 내용타당 도를 검증받은 관찰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SPSS/PC 11.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달 평정 결과에 대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 며, 두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사전에서 사후로 증가한 점수 증가분에 대 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찰의 빈도와 백분율 (%),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영아의 자조기술, 신체운동, 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둘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증가에 효과적이다. 특히 영아의 언어에 반응하고 영아의 행동을 촉진하는 반응적인 행동과 영아에게 질문하거나 이야기하기, 인지적?사회적 발달을 자극하 는 자극 행동의 상호작용 행동 증가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영아의 놀이 행동의 증가에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동일 연령 내에서도 발달의 차이가 급격한 영아들에게 적합한 교육과 보호를 제공해 주기 위한 핵심적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 핵확산금지조약(NPT)상 핵무기 비보유국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김은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8년 핵확산금지조약(NPT)이 발효된 지 42년이 지났다. NPT는 핵무기의 확산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핵전쟁이 인류전체에 끼칠 영향이 심각하고 중대할 것이라는 국제사회 전체가 고려한 결과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NPT는 핵무기국을 5개국으로 제한하고 이들이 핵무기 및 기타 핵폭발장치 등의 무기를 핵무기 비보유국을 포함한 어떠한 수령자에게 양도할 것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핵무기 비보유국은 핵무기 및 기타 핵폭발 장치 등의 무기를 제조, 획득하지 않고, 양도받지 않을 것을 약속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즉 NPT는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해 핵무기의 비확산이라는 원칙을 확립하고 보호하기 위한 국제법적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조약 규정의 내용과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서의 모호함이 문제가 되고 있다. NPT상 핵비확산에 대한 의무가 상대적으로 핵무기 비보유국들을 중심으로 부과되고 있고, 이에 대한 보상적 권리로서 원자력의 평화적 목적으로 이용할 권리가 경시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핵무기 비보유국의 권리와 의무의 내용이 명확히 성립되지 않는다면, NPT의 핵비확산·핵군축·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증진이라는 3가지 원칙이 훼손될 수 있다. 본 논문은 NPT에 관한 기존의 논의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인식하여, 핵무기의 비확산의 문제가 NPT의 주요 당사국인 핵무기 비보유국들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함을 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PT 성립과정에서 해당 조항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핵무기 비보유 조약당사국의 핵무기 제조·획득금지의 의무에 대해 검토하고, 내용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의 권리 및 의무의 내용을 담고 있는 NPT 제4조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러한 권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핵무기 비보유국들이 원자력을 평화적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국제적인 검증장치로서 안전조치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NPT는 핵비확산·핵군축·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3가지 원칙을 기초로 확립되었다. 이는 국제평화와 안전의 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수호되어야 할 원칙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핵무기 비보유국들의 권리와 의무가 명확하게 정립되어 조약상 허점(loop-holes)이 발견되지 않아야 한다. 본 논문은 NPT에 관해 앞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현재 NPT 가입국은 아니나 사실상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이다. 둘째로 논의해볼만한 점은 핵무기 비보유국이 NPT를 탈퇴할 경우 그에 따른 의무는 유지될 수 있는가이다. NPT는 3개월 전에 탈퇴통고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상 조약의 탈퇴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NPT가 수호하고자 하는 핵비확산의 원칙이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 탈퇴가 제한되는 강행규범의 원칙으로 인식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위와 같은 연구가 계속되어 핵비확산의 원칙이 더욱 확고히 되길 바란다. It has been forty-two years since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came into effect from 1968. The NPT was the result of deliberat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acknowledging the serious impact of a nuclear war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For this purpose, the NPT recognizes the five nuclear weapon states only and provides that each nuclear weapon state undertakes not to transfer nuclear weapons or other nuclear explosive devices directly or indirectly to any recipient. Also it provides that each non-nuclear weapon State undertakes not to manufacture, acquire, or receive nuclear weapons or other nuclear explosive devices. That is, the NPT works as a mechanism that establishes and protects the principl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for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However, i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ambiguity exists in the content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rticles. Specifically, th NPT imposes relatively more obligations to non-nuclear weapon states and it undervalues the right to use nuclear energy for peaceful purposes as compensation for the obligations. If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non-nuclear weapon state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it may demage the three principles of the NPT, i.e.,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disarmament, and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While recognizing that the previous discussion has focused on this without a balanced view,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non-nuclear weapon states needs to be prior to discussing nuclear non-proliferation. To achieve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articles of the NPT. First, the second chapter discussed the non nuclear weapon states' obligations not to manufacture and acquire nuclear weapons and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ecess of these contents. Secondly, the third chapter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 4 including the right to use nuclear energy for peaceful purposes and how this right has been exercised. Thirdly, the fourth chapter examined the safeguard as a international verification device to use nuclear energy for peaceful purposes. Lastly, the fifth chapter presented some issues for further consideration. The NPT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nonproliferation, disarmament, and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These three principles should be protected for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o realize this purpos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non-nuclear weapon states must be clearly established so that there exists no loop-holes in the Treaty. Also, this paper presented some issues for further consideration. First, future studies need to discuss how to manage the countries who are not parties to the Treaty but de facto nuclear weapon states. Second, it is required to be discussed if non-nuclear weapon states withdraw from the treaty, whether their obligations can be kept or not. The NPT specifies that the countries should give notice of such withdrawal to all other parties to the Treaty and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hree months in advance. As a matter of fact, it restricts the withdrawal from the Treaty. In other words, it is needed to discuss whether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principles can be considered as jus cogens which forbids the withdrawal in order for the interest of the whole international community.

      • Enterococcus faecium SA5의 이화학적 특성과 ginsenoside 전환

        김은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Enterococcus faecium SA5 isolated from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extracellular β-glucosidase activity in Enterococcus faecium SA5 strain, and also to examine whether it can hydrolyze saponins in Korean ginseng. Results showed that E. faecium SA5 was acid-resistant, bile salt-resistant and found to express antibiotic activities effective to 4 pathogenic microorganisms (Salmonella typhimurium KCTC 3216,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Bacillus cereus KCTC 101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In addition, E. faecium SA5 had tolerance to some antibiotics such as colistin, gentamycin, and neomycin. It was also found that E. faecium SA5 expressed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which might be applied to reduce blood cholesterol level. When incubated in 10%(w/v) skim milk as a yogurt starter, E. faecium SA5 found to lower pH of the medium by increasing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increased. Most importantly, it was established that E. faecium SA5 produced β-glucosidase and this enzyme transformed ginsenoside Rb1 into new ginsenoside Rg3-s, Rg3-r when incubated in MRS broth.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E. faecium SA5 had the potential as a probiotic. Therefore, it might be applied to yogurt production and ginsenoside change in limited extent.

      • 장애인가족 대상 숲체험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연구

        김은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carry out a forest experience program among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examine their satisfaction and needs after the experience, and suggest the ways to extend and improve forest experienc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First, the need for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old forest experience programs for the disabled were investigated as a basic step to move towards extending and improving forest experienc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The need and legitimacy of such programs were reviewed. Second, assuming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verse needs of each family member for forest experience,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in 2007" was carried out along with a survey to analyze their need, satisfaction after experience, and effects. For a session, 14 families of the disabled were invited to the program. Total 56 families participated in it over four sessions and made the population (56 parents, 59 siblings). As a result, the surveyed parents and siblings said they had huge interest in forest experience programs but there were not enough program information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to satisfy their interest. Both the parents and siblings scored mean points higher than average in all the item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need of forest experience programs and the personal and family changes after the experience, which confirms the need and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Finally, given that the expansion of forest experiences among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would contribute to higher life quality of the disabled and promote the welfare of their families, five tasks for development were suggested. They include promoting the perception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and effects of such a program, setting up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ing more programs, educating professional forest interpreters, and connecting the networks. 장애인가족들은 일반 가족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에 더해서 장애성원의 치료, 교육, 장애, 사회의 부정적 인식과 같은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해 내야 하는 이중적 고통과 긴장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자연친화적 야외여가문화로 대표되는 숲체험 프로그램은 장애인가족전체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장애인가족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숲체험 기회가 매우 적었으며,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와 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에 소홀하였고 구체적 실천을 위한 지원도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가족대상 숲체험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및 확대를 위한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기존의 장애인 숲체험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실시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가족 숲체험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숲체험에 대한 장애인가족 구성원 각각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보고 ‘장애인가족 숲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체험 후 만족도 및 그 효과를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 장애인가족도 숲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았지만, 가족 특성상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습득이 어렵고, 체험기회에 있어서도 제한이 많아 실제 경험 빈도도 낮았다. 한편 체험 후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필요성이 평균값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험 후의 개인적, 가족적 변화도 또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나 숲체험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체험횟수는 당일형, 1회성에서 벗어나 좀 더 내용이 풍부하고 시간적으로도 충분한 체험을 원했으며, 평균 월 1회 정도의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정착, 운영되기를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가족 숲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참여율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숲체험에 대한 다각도의 인식개선작업, 정보제공 인프라 구축, 장애인가족 중심의 숲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지속적인 운영, 장애인 및 장애인가족 담당 숲해설가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숲해설가 양성 교육과정의 도입, 관련기관간의 네트워크 구축 등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가족 대상 숲체험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바람직한 야외여가문화의 정착과 더불어 자연환경 보전에 대한 홍보와 계몽, 환경 친화적 가치관 형성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장애인가족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장애인의 이상적인 사회참여나 사회통합을 위해서라도 장애인가족이 함께 숲체험을 하는데 있어서 제약이나 차별이 없어야 하며 이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 및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앞의 다섯 가지 개선방안을 통해 이루어지는 숲체험 프로그램은 장애인가족에게 더 많은 야외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가족의 복지 문제점을 보완하고, 장애인가족 기능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장애인가족 대상 숲체험 프로그램이 정착되고, 프로그램운영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이 마련된다면 장애인가족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여가역량의 향상을 도모하여 장애인가족 복지의 궁극적 목적인 사회통합 실현을 앞당길 수 있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로젤(Hibiscus sabdariffa L.)과 석류(Punica granatum L.)의 음료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김은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로젤(Hibiscus sabdariffa L.)과 석류(Punica granatum L.)는 수많은 식물 자원 중에서 식품 또는 전통의학으로서의 중요성 외에도,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차와 음료로 오늘날 전 세계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처럼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재배 및 상업적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이에 두 식물자원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능 등의 기능적 특성과, 감각특성의 중요인자인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기능성 음료 및 바이오산업의 신소재화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제 무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로젤(Hibiscus sabdariffa L.) 은 열대 혹은 아열대 작물로서 국내에서는 기후적인 제약으로 인해 재배되지 않았던 작물이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재배생산이 가능한 환경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상업적 재배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의 국내 재배 작물이 상업적 작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국내 재배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의 꽃받침 건조체의 항산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침출차의 형태로 침출한 후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량 수입 원료에 의존하는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을 주 원료로 하여 가공 생산되어 국내 유통되고 있는 Hibiscus tea 2종과 국내 재배 로젤(Hibiscus sabdariffa L.) 꽃받침 건조체를 침출차의 형태로 하여 향 특성, 산도, 색도와 같은 감각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위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재배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의 꽃받침 건조체는 수입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을 원료로 하는 Hibiscus tea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기능적·감각 특성 및 선호도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입에 의존하는 Hibiscus tea의 주 원료인 로젤(Hibiscus sabdariffa L.)을 국내에서 재배 생산한 작물로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석류(Punica granatum L.)은 ‘기능성 식품’, ‘슈퍼과일’로 불릴 만큼 다양한 식물 화학적 성분들과 유효성분들이 과피, 과육, 종자에 각기 다르게 함유되어 있으며, 강한 항산화 활성, 여성 질환 경감, 항바이러스, 항종양, 항 지질 등의 약리적인 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유용성에 비해 활용도가 낮은 식물에 속한다. 특히 석류과일은 가식부위보다 폐기부산물이 두 배 이상 되는 과일이다. 최근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석류과일의 폐기 부산물로의 산업적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로 품종 등록된 고흥석류‘꽃향’과 국내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캘리포니아석류‘Choice'의 부위별 기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품종 간 특성 및 부위별 특성을 검토하여 부산물의 기능성 음료 및 산업적 소재화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 종류의 석류를 씨를 포함하는 과육(sarcotesta)과 비가식부위인 과피(peel)를 내피(mesocarp)와 외피(pericarp)로 분리하여 각각의 기능적 특성 분석과 향기분석 등을 통해 부위별, 품종 간 기능적 특성 및 향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부산물로 폐기되는 석류 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흥석류‘꽃향’과 캘리포니아석류‘Choice'의 식물화학 성분 및 식물화학적 특성은 과피(peel) 중 외피(pericarp)에서 다양한 식물화학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등의 식물화학적인 특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피의 biomass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피(mesocarp) 역시 다양한 식물화학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등의 식물화학적 특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량, 가식부, 색, 향과 같은 감각특성은 캘리포니아석류‘CHoice’ 품종이 고흥석류‘꽃향’품종보다 더 높았고,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항산화능, ellagic acid, punicalagin 과 같은 식물화학적 특성은 고흥석류‘꽃향’ 품종이 캘리포니아석류‘Choice' 품종보다 더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암 및 항산화제의 좋은 원료로 알려진 석류는 품종과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식물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특성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품종별, 부위별 특성은 활용 목적에 따른 기능성 음료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신소재화로서의 개발을 위한 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직은 로젤(Hibiscus sabdariffa L.)과 석류(Punica granatum L.) 두 작물이 국내에서 재배 및 활용도가 낮은 작물에 속하지만, 기후변화 및 산업적 신소재화 개발 필요성에 의해 향후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산업역량 강화에 부응할 수 있는 신 고부가가치 산업작물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주요어: 로젤, 석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향기성분, 식물화학 Roselle(Hibiscus sabdariffa L.) and pomegranate(Punica granatum L.) in addition to its importance as a food or as a traditional medicine among the numerous plant sources, are commercially produced tea and beverages that are traded worldwide today. Although there is such an important economic value, domestic cultivation and commercial utilization are low. Therefore, I analyzed antioxidant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volatile components which ar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plants and important sensory properties of the two plants. I also conducted research to utilize these as potential new ingredients for a functional beverage and bio industry. Hibiscus sabdariffa L., when it is traded globally, is a tropical or subtropical crop. It is a crop that is not cultivated in Korea due to climatic constraints. However,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nd produce in Korea, but commercial cultivation has not been attempted y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domestic crops of Hibiscus sabdariffa L. could be used as commercial crop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in the through of leaching to confirm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biscus sabdariffa L. calyces dried in Korea. There are two kinds of hibiscus tea, which is processed and produced mainly by Hibiscus sabdariff L. which depends on the raw material imported whole. The leaching of the dried calyces of cultivated Hibiscus sabdariffa L. in Korea,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d flavor, acidity and color were compar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preference.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domestic dried calyces Hs(cultivated Hibiscus sabdariffa L. in Korea)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functional,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hibiscus tea(from imported raw material Hibiscus sabdariffa L.).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ibiscus sabdariffa L. which is the main raw material of hibiscus tea could be replaced by domestic crops in Korea. Pomegranate(Punica granatum L.) has been called a 'functional food' and 'super fruit' as it has rich in various phytochemical components and it has different active ingredients in the peel, flesh and the seed. There are known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it being a strong antioxidant, the reduction of female disease, antiviral, antitumor, anti-lipid etc. Nonetheless, it belongs to plants waste that is less than useful. Especially as pomegranate fruit has more than twice the waste byproducts than the edible parts.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pomegranate fruit as waste byproducts in term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order to develop new materials functional beverage and bio industry,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by separating the pomegranate fruit into the pericarp, mesocarp and sarcotesta. Therefore Goheung pomegranate 'Kkott-hyang', a domestic cultivated pomegranate, and California pomegranate 'Choice', an imported pomegranate species were selected. The Goheung pomegranate 'Kkott-hyang' is the first breed registered in Korea. The sarcotesta of the edible part and the peel of the non-edible part was separated into the pericarp and mesocarp. Then, each phyto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s and part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th Goheung pomegranate 'Kkott-hang' and California pomegranate 'Choice'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in the pericarp. The mesocarp which a counts for most of the biomass of the pomegranate was also found to have high plant chemical properties.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weight, edible part, color and volatile compounds were higher in the California pomegranate 'Choice' than the Goheung pomegranate 'Kkott-hyang'. The phyt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tioxidant ability, ellagic acid and punicalagin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Goheung pomegranate 'Kkott-hyang' than in the California pomegranate 'Choice'. Therefore, pomegranates, which are a good source of anti cancer compounds and antioxidant, have different plant chemical components depending on the cultivar and fruit parts thereby manifesting various properties. The characteristics of pomegranate according to cultivar and fruit parts will be utilized as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a functional beverage industry and a functional bio industry as new ingredients. Two crops, Hibiscus sabdariffa L. and Punica granatum L., have yet to be cultivated and utilized in Korea.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a new and high value-added industrial crop that could be grown with the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spond to the strengthening of industrial capacity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due to climate change and new industrial methods. Key words : Roselle, Pomegranate, polyphenol, flavonoid, antioxidant, volatile compound, phytochemical

      • DfD를 적용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연구 :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김은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는 의류패션산업은 오래전부터 환경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과도한 생산으로 인한 넘쳐나는 의류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가공, 재사용, 재활용의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친환경 디자인 영역의 ‘분해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Disassembly, DfD)’이 재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류패션산업의 전 공정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와 의류 폐기물을 줄이고 현대 소비자의 감성에 만족할 수 있는 DfD를 적용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연구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분석, 작품개발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과 4차 산업혁명시대 첨단기술의 연결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DfD의 개념적 이해와 DfD 건축ㆍ제품ㆍ가구의 사례고찰을 통해 DfD 구성요소를 알아보았고, DfD 패션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셋째, DfD 패션 사례분석을 통해 DfD 패션 유형별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DfD 적용방법과 표현특징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의 DfD 적용방법과 표현특징을 바탕으로 ‘마블러스 디자이너(Marvelous Desig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fD를 적용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패션산업의 3D 가상착의 프로그램 도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작업의 일관성 및 정확성을 나타냄으로써 기존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보다 획기적으로 탄소 및 의류 폐기물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건축ㆍ제품ㆍ가구디자인 분야의 DfD 사례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DfD 구성요소를 ‘재료의 선택과 사용’, ‘스타일의 선택과 사용’, ‘결합방식의 선택과 사용’. ‘새로운 환경 기술적 접근’으로 정리하였고, 이것은 DfD 패션 사례분석과 마블러스 디자이너를 활용한 DfD 패션 개발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 DfD 패션 유형은 ‘생분해성 DfD 패션’, ‘재자원화 DfD 패션’, ‘미니멀 DfD 패션’, ‘모듈 DfD 패션’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현재 DfD 패션 사례들은 대부분 생분해되는 소재를 사용하고, 단순한 실루엣의 미니멀 디자인 형태에 의존하며, 봉제라는 기계적 체결법에서 벗어나지 않는 제한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레이저 커팅을 이용해 원단을 자르거나, 2Dㆍ3D 프로그램을 사용해 환경에 가해지는 부하를 미리 예측하는 새로운 환경기술법 접근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DfD 패션 사례들에서 나타난 가장 많은 디자인 룩은 심플 룩이었으며, 주로 자연 이미지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론연구와 사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마블러스 디자이너 프로그램을 활용해 DfD를 적용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탄소 발생과 의류 폐기물 저감을 위해 제로 웨이스트 패턴 개발을 하였고, 지속 가능한 패션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취향과 개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위하여 사용자의 창의적 발상에 의해 자유롭게 전환 가능한 모듈 디자인 방법을 도입하였다. 또 분해를 고려한 패션디자인을 위하여 자연스럽게 서로 맞물리는 자연물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일체성형법 결합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그동안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적용되지 않았던 DfD 방법을 디자인 접근법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관련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더불어 자연물에서 영감을 받아 실험적이고 창의적으로 설계한 제로 웨이스트 패턴과 서로 맞물리는 솔기로 구성된 유닛을 일체성형법으로 결합한 모듈 디자인 방법을 마블러스 디자이너 프로그램으로 구축함으로써 기성 서양 의복구성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현에 그쳤던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이는 향후 4차 산업혁명시대 패션산업의 진보적인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ashion industry focused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has long been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Design for Disassembly(DfD) is being recognized as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method of reprocessing, reuse, and recycling to solve the overflowing clothing waste problem caused by excessive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to reduce the carbon and clothing waste in the process of the fashion industry and to satisfy the sensibility of modern consumers. The method of research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case study, and study developed a fashion product. And the procedure of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connection between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high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3D virtual clothing program. Second, the study explored the components of Df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DfD and case study about DfD architecture, DfD products, and DfD furniture. Also, the study recalled the need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Third, the study explored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DfD by types of DfD fashion through case study about DfD fashion. Fourth, based on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DfD, the study proposed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using the Marvelous Designer program.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industry was actively working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high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cidence of carbon and clothing waste than the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Second, through case study about DfD architecture, DfD products, and DfD furniture, this study organized the components of DfD into 'The selection and use of materials', 'The selection and use of styles', 'The selection and use of combination method’, and 'The new environmental technology’. It became the basis for case study of DfD fashion and development of DfD fashion. Third, the types of DfD fashion were classified as 'Biodegradable DfD fashion', 'Recycling DfD fashion', 'Minimal DfD fashion', and 'Module DfD fashion'. And,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about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most of DfD fashions are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s, had a simple shape, and used the connection method of sewing. Besides, the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tect the environment by reducing carbon and clothing waste using new environmental technologies such as laser cutting, 2D CAD program, and 3D simulation program. The fashion design look that appeared most often was a simple form, and the fashion design was mainly inspired by natur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using the Marvelous Designer Program. The zero-waste pattern which can reduce carbon generation or clothing waste was used and the method of module design which can be freely converted by user's creative idea was introduced. Inspired by the form of natural, the connection method of no need for sewing was used.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tudy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in that it proposed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Also, it is meaningful to point out that i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that is simulations using western clothing patterns by proposing the zero-waste pattern and the method of module design as the Marvelous Designer program.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with DfD using 3D virtual software in the future.

      • 군 장병의 자살의 원인 및 군 복무 적응을 위한 통합적 상담 방안

        김은아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군대에서의 자살의 원인과 자살의 위기에 있는 군 장병들의 자살을 예방하고 군 장병들이 군 복무를 잘 적응하고 건강하게 마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담을 통해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군대에서의 자살은 일반 사회에서 발생하는 자살과는 달리 군 조직의 특수성과 조직 간의 갈등 상황, 개인의 심리 사회적 배경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장병 자살의 심각성과 위기를 간과할 수 없는 일이다. 특히 대한민국은 군 입대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의무적으로 군 복무를 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그 강제성에 의한 상황과 환경 가운데 군 장병들의 심리적 부담감과 격리감을 더 심각해진다. 군 입대의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어, 심리적 발달 과정에서 보면, 정체감이 공고하게 형성되지 않았다면, 역할 갈등을 경험할 수 있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시기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장병들은 매우 취약한 때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군 복무 중 자살자의 자살 원인이 과거 가정환경, 이성 관계, 등 개인적인 문제에서 구타 및 가혹행위, 복무 염증 등 부대 내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자살 우려자와 자살 위기에 놓인 장병들의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검토하여, 그 대책을 모색하고자 성경적 상담을 기반으로 하여 통합적인 상담 방안을 통한 군 장병 자살을 예방하고, 군 복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그 방법과 대안을 찾고자 한다. 일반 상담과 다른 군 상담을 비교하여 군의 특수한 상황 가운데 있는 군 장병 자살의 예방에 대한 실제적이고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담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군대에서의 자살의 원인과 자살의 위기에 있는 군 장병들의 자살을 예방하고 군 장병들이 군 복무를 잘 적응하고 건강하게 마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담을 통해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군대에서의 자살은 일반 사회에서 발생하는 자살과는 달리 군 조직의 특수성과 조직 간의 갈등 상황, 개인의 심리 사회적 배경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장병 자살의 심각성과 위기를 간과할 수 없는 일이다. 특히 대한민국은 군 입대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의무적으로 군 복무를 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그 강제성에 의한 상황과 환경 가운데 군 장병들의 심리적 부담감과 격리감을 더 심각해진다. 군 입대의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어, 심리적 발달 과정에서 보면, 정체감이 공고하게 형성되지 않았다면, 역할 갈등을 경험할 수 있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시기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장병들은 매우 취약한 때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군 복무 중 자살자의 자살 원인이 과거 가정환경, 이성 관계, 등 개인적인 문제에서 구타 및 가혹행위, 복무 염증 등 부대 내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자살 우려자와 자살 위기에 놓인 장병들의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검토하여, 그 대책을 모색하고자 성경적 상담을 기반으로 하여 통합적인 상담 방안을 통한 군 장병 자살을 예방하고, 군 복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그 방법과 대안을 찾고자 한다. 일반 상담과 다른 군 상담을 비교하여 군의 특수한 상황 가운데 있는 군 장병 자살의 예방에 대한 실제적이고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담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에 대한 타당화 연구

        김은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양옥승(2001)이 재구성한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이 우리나라 유아교육ㆍ보육기관의 시설ㆍ설비, 교육과정, 영양·건강·안전관리, 운영관리, 지원체계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을 평가 하는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어지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은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에 타당한가? 2.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들의 문항 양호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시설·설비, 교육과정, 영양·건강·안전관리, 운영관리, 지원체계의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유치원 158기관, 어린이집 168기관, 총 326기관이었다.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위해서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과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간편형)」및 「보육시설 평가기준」을 자체 평가용 설문지로 구성하여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원장(원감) 또는 시설장, 교사가 자신의 기관을 자체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에 대한 공인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과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간편형)」 및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관련 평가영역의 총점 및 관련 영역별 점수간에 적률 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영역별로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는 내적 합치도 지수인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문항 양호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총점에 의해 상위 1/3집단과 하위 1/3집단에 해당하는 기관을 추출하였으며, 각 문항 점수들이 상·하집단의 차이를 바르게 변별하는지 집단간 평균을 t 검증함으로써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항별 반응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서 78개 문항에 대해 각 답지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우리나라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시설·설비, 교육과정, 영양·건강·안전관리, 운영관리, 지원체계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하위 영역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공인 타당도는 외적 준거로 사용된 두 척도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간편형)」이 관련 평가영역과는 .78로,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관련 평가영역과는 .83으로 모두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그리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나누어 각 기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이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을 파악하고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을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Cronbach α계수는 .9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시설·설비'는 .91, '교육과정'은 .94, '영양·건강·안전관리'는 .86, '운영관리'는 .84, '지원체계'는 .87로, .84에서 .94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 영역에 있어서 문항 전체의 상관이 .30을 넘었다. 즉,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이 영역별로 일관된 내용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변별도 분석결과, 총 78개 문항 중 변별도가 낮은 문항은 한 문항도 나타나지 않았다(p < .01). 이는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의 모든 문항이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의 차이를 분명히 구별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항별 반응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부적 편포를 보여주고 있으나 평균이 지나치게 높고 표준편차가 지나치게 작아 문항에 대한 반응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문항은 2개 문항에 불과하여 대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항들은 '교육과정' 영역의 '장·단기 교육계획의 유무' 문항으로 4.71(.61)이고, '영양·건강·안전관리' 영역의 '보험가입' 문항으로 4.81(.49)이다. 넷째, 원장 또는 시설장, 교사가 스스로 「유아교육·보육기관 종합 평가제」의 평가기준을 자체 평가한 결과, 총 78문항에 대해 총점 평균이 3.83으로 '약간 그렇다'에 주로 평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영양·건강·안전관리' 영역은 총점 평균 4.23으로 가장 높게 평정되었으며, '지원체계' 영역은 3.12로 가장 낮게 평정되었다. 그리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경우, 총점 평균이 각각 3.78과 3.88로 '그저 그렇다'와 '약간 그렇다'의 중간정도로 주로 평정되었다. 유치원의 경우, '교육과정' 영역이 총점 평균 4.14로 가장 높게 평정되었으며, '지원체계' 영역은 총점 평균 3.17로 가장 낮게 평정되었다. 반면, 어린이집의 경우, '영양·건강·안전관리' 영역이 총점 평균 4.44로 가장 높게 평정되었으며 '지원체계' 영역은 총점 평균 3.08로 가장 낮게 평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hether the assessment criteria of a Model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hereinafter the Model ), reconfigured by Ok Seung Yang in 2001, can be appropriately used to evaluate the overall quality levels of facilities & equipment; curriculum; nutrition, health & safety; operation &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The output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using the model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quality of institutions involved in the education and care of young children in Korea. The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Are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valid for assessing the quality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2. How reliable are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3. What is the degree of goodness of the items comprising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4. What is the quality level of facilities & equipment; curriculum; nutrition, health, & safety; administration &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at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research studied a total of 326 institutions (158 kindergartens and 168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area. To study the validity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the research configure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based on three assessment tools: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Scale(convenient version) and the Childcare Facility Assessment Criteria. The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the principals/ directors and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stitutions. The common factor validity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was analyzed using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and those of eith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Scale or Childcare Facility Assessment Criteria.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compare also the total scores of related areas among the three tools. Cronbach's α coefficient, an index for measuring internal consistency, was calculated to identify each areas internal consistency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To analyze the item degree of goodness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the study extracted the institutions whose total scores were in either the top one third or bottom one third. The level of discrimination was identified by t verifying the top and bottom groups means to see whether each items score correctly distinguish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group.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responses in each response sheet were calculated for all the 78 item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for each questi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sub-area were also calculat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overall trend of facility & equipment; curriculum; nutrition, health & safety; administration &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acilities. The research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corresponding areas in the two external references. The common factor validity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Scale was .78, and with the Childcare Facility Assessment Standard, .83. (p<.00l) When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separately among only kindergartens or only childcare centers,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was shown to be an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and promoting the enhancement of the overall quality level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stitutions. Second, Cronbach's α coefficient, an indicator of the reliability of the Models assessment criteria, was .96 overall, which is considerably high. By area,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Facility & Equipment was .91, for Curriculum .94, for Nutrition, Health & Safety .86, f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84, and for Support System .87. The values were between the high levels of .84 and .94. Third, none of the 78 items showed a low level of discrimination. (p<.01), which implies that all items in the assessment standard clearly distinguish the overall quality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stitutions. When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for each item was analyzed, even though most items showed an improper distribution, only two items showed the uneven distribution pattern of excessively high mean value and excessively small standard deviation. One of those items addressed existence of long, short term education plans under the Curriculum area(4.71(.61)) and the other was about Fourth, the total score mean of the 78 items in the questionnaire was 3.83, which implies that the principal/directors and teachers who conducted the self-assessment mostly replied somewhat so. By area, the Nutrition, Health and Safety had the highest total score mean value of 4.23, while the Support System area had the lowest total score mean value of 3.12. The total score mean value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groups were 3.78 and 3.88 respectively, which would correspond to between so and so and somewhat so. In the insurance coverage under Nutrition, Health and Safety(4.81( .49)). kindergarten group, the highest scoring area was Curriculum with 4.14 and the lowest scoring area was Support System with 3.17. On the other hand, in the childcare center group, the highest scoring was the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rea with 4.44 while the lowest scoring was Support System with 3.08.

      • 부모-자녀관계 및 아동의 기질과 형제관계

        김은아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떤 형제들은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는 반면에 또 어떤 형제들은 무엇 때문에 갈등과 불화가 가득한 형제관계를 갖게 되는가? 형제관계는 인생전반을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므로, 어떠한 이유로 형제관계의 질이 결정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형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많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아동을 둘러싼 가족환경인 부모-자녀관계와 맥락 자극체의 역할을 하는 아동의 기질이 형제관계에 어떠한 상호작용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가족맥락 내에서의 보다 긍정적인 가족관계 경험을 기반으로 아동이 접하게 될 더 확장된 사회적 관계망의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자녀관계는 형제관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2) 아동의 기질은 형제관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3) 부모-자녀관계 및 아동의 기질은 형제관계에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를 가져오는가?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소재의 초등학교 3곳에서 외동이를 제외한 한 명 이상의 형제를 가진 6학년 아동 및 그의 부모 3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형제관계를 측정하고자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제작한 것을 박영애(1995)가 번안한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aire(SRQ)를 사용하였다.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고자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부모 양육태도 지각검사를 사용하였다. 기질의 측정을 위해서는 미국뉴욕종단연구(NYLS)에서 개발한 [기질차원 척도]를 Windle과 Lerner(1986)가 다시 개정한 [개정판 기질차원 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로서 이명숙(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 정준 상관분석, 다변량 분석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 요인들 중 형제관계 측정치들을 예측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 하는 것은 애정성과 성취성 이었다. 특히 형제관계 요인들 중에서 부-자녀관계와는 온정/친밀성과 경쟁의식(편애지각)이, 모-자녀관계와는 온정/친밀성이 부모-자녀관계 하위 요인에 대해 가장 잘 예측되었다. 둘째, 기질 요인들 중에서 형제관계 측정치들을 예측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활동성과 기분 요인이었다. 특히 형제관계 요인들 중에서 온정/친밀성과 편애 지각이 기질요인에 의해 가장 잘 예측되었다. 셋째, 부-자녀관계에서는 부모-자녀관계의 성취성 요인과 기질의 활동성 요인이 형제관계의 상대적 지위/권력과 온정/친밀성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모-자녀관계에서는 부모-자녀관계의 성취성과 기질의 접근성 요인이 형제관계의 경쟁의식(편애지각)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형제관계의 하위변인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은 기질보다는 부모-자녀관계인 것으로 드러났지만, 부모의 양육태도에 기질이 영향을 미침으로 해서 형제관계에까지 그 파급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부모자녀관계가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하더라도 그 기저에 깔린 기질의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즉, 형제관계는 선천적 요인인 기질과 환경요인인 부모-자녀관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는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s temperament are related to sibling relationship. 360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not only child and their par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6th graders with almost equal numbers of boys and girls.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Furman & Buhrmester, 1985),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Oh Sung Sim & Lee Jong Seung, 1982) and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Windle & Lerner, 1986). Temperament of child was answered by par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were responsed by children. Th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have four main factors, namely Warmth/intimacy, Conflict, Relative status/power and Rivalry.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have also four major factors such as 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Temperament Questionnaire are consist of six main factors such as Activity, Approach, Flexibility, Mood, Distractability and Persistence.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sed by correlation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ANOVA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ffec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activity of temperament were the biggest predictors of sibling relationship. The next influential factors were achiev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mood of temperament. Warmth/intimacy and rivalry of sibling relationship were predicted by factors of father-child relationship. Warmth/intimacy were predicted by factor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warmth/intimacy and rivalry were predicted by factors of temperament. The 2(high & low factor score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 2(high & low factor scores of temperament) MANOVA revealed the definite existence of interaction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emperament on sibling relationship. When parent-child relationship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mother independently,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chievement of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activity of temperament on relative status/power and warmth/intimacy of sibling relationship. When activity and achievement in father-child relationship were low, relative status/power of sibling relationship was high. When activity and achievement were high, relative status/power was low. Warmth/intimacy scores were highest when high parental achievement was combined with low active temperament. Warmth/intimacy scores were lowest when low parental achievement was combined with high level of activity. There were als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chievemen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approach of temperament on rivalry of sibling relationship. Rival scores were highest when high parental achievement was combined with high level of approach of temperament. When approach was high and achievement was low, rival scores were lo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