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rect and systemic effects of end ototim on nenal function : 김윤영

        김윤영 久留米大學 1979 해외박사

        RANK : 247647

        內毒素가 腎臟에 미치는 直接的 效果의 가능성을 개(犬)를 사용하여 硏究하였다. 최소 致死量( 0. 05mg/kg)인 內毒素는 收縮期 血壓을 약간 감소시켰으나 Na의 尿排세(U Na V)와有效한 腎臟血流球體저過量(GFR)는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動物에게 머리 Phenoty+B-lnzamine(10mg/kg)이나 nolel(0. 25 mg/kg)을 靜脈에 투여하자 U Na V와 RPF 그리고 GFR을 감소시키는 ledototin의 效果뉘퓻눼� 左側腎臟動脈에 lndototin(0. 02mg/kg MIN)을直接 注入하였지만 左側 右側 腎臟 機能은 봅刻年� 左側 腎動脈에 phenoty benzamin 이나 piopianolol을 注入하였지만 개의 大腿部 靜脈에注ndototin의 腎臟效果는 변화시키지 않았다. endototin의 最少 致死量은 RPF와 GFR을감소시키는 펑日�Adienenligic 血管 受容體를 자극하여 endototin 자극에 對하여身體에 방어적 기전을 결국염�다른 流動體들이 유지시켜준다.

      • 에어로빅 운동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체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정신병원에 정신분열증으로 입원한 환자 19명 (운동군 12명, 대조군 7명)을 8주간, 주 2회, 에어로빅 운동을 실시하여, 체력테스트, 우울정도 (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1. 체력은 눈감고 외발서기와 체전굴, 윗몸일으키기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배근력, 서전트 점프, 전신반응 순으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BDI테스트에 의해 우울정도를 측정한 결과 운동군은 훈련후 13.33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에어로빅 운동은 정신질환자의 우울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 정신분열증 환자에 장기간의 에어로빅 운동은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생빈도와 재발율이 높고, 약물치료가 어려운 음성증상 중의 하나인 우울증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병동에 입원중인 정신 분열증 환자들의 체력 향상과 우울증의 개선을 위해 운동요법으로 에어로빅 운동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erobic exercise as a remedy through in schizophrenia patients physical fitness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19 patients are selected as samples according to the norm, who suffer from schizophrenia at D Psychopathic Hospital in Pusan Metropolitan City. The effects of an aerobic exercise in schizophrenia patients during 8 weeks are measured by the physical fitness test and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test is used as the tool of measuring schizophrenia patients depression. As the result, some conclusions can be obtained as follows: 1. The patients' physical fitness increase remarkably in stork stand, trunk flexion and sit-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k strength, sargent jump and whole body reaction time. 2. At the result of BDI test, the patients' depression in the exercise group decreases by 13.33 points after an aerobic exercise, while that in the control group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an aerobic exercise has an important effect on schizophrenia patients depression. Consequently, it is known that schizophrenia patients in the exercise group makes much progress in physical fitness and depression decreases after an aerobic exercise. Actually depression is one of dormant symptoms with high recurrence rate and high frequency, which cannot be cured by medicinal therapy. Therefore, an aerobic exercise can be recommended as a remedy through an exercise suitable to schizophrenia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o that schizophreniac in the closed hospital can be treated through improvement in his physique.

      • 일본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 일본인동경방언화자와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윤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음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일본어는 고저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동경방언화자가 발화한 평판형 악센트 4박어의 어두 및 어중에 나타나는 유성파열음(/b/,/d/,/ɡ/)과 무성파열음(/p/,/t/,/k/)에 대해 한국인일본어초급학습자와 한국인일본어고급학습자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어중파열음의 경우 음성 환경에 따른 파열음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모음, 중자음의 전반부, 발음(/ん/) 뒤에 유성파열음과 무성파열음이 오는 실험어를 선정하였다. 분석 항목은 파열음에 후속하는 모음의 기본주파수, 성대진동개시시간, 폐쇄지속시간 및 강도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행모음 시작점의 기본주파수는 전반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인동경방언화자보다 높게 발성하는데, 이것은 한국인일본어학습자에게 이미 익혀진 한국어 경음과 격음 발성 습관이 긴장된 상태 발성을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성대 개시 시간은 일본인동경방언화자가 한국인일본어학습자보다 대체로 짧게 발성하는데, 이것은 기식성에 비례하여 기의 유무가 있는 한국어 특성으로 인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대체적으로 길게 발성함을 알 수 있다. 폐쇄지속시간에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일본인동경방언화자의 양상과 다르게 발음(撥音)/N/뒤 파열음이 모음뒤 파열음 보다 길게 관측되는데, 이것은 독립된 종성이 존재하는 한국어 발음 습관에 기인한 것 같다. 강도는 일본인동경방언화자가 한국인일본어학습자보다 전반적으로 세게 발성하고 있고, 단어의 위치 및 유·무성음에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와 다른 강도의 양상을 보이는 것은 모국어 화자와 외국어 학습자 간의 심리적, 정서적인 자신감 차이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일본인동경방언화자와 학습수준에 따른 한국인일본어초급학습자와 한국인일본어고급학습자를 종합적으로 비교해 보면, 무성음인 어두파열음 발음은 학습수준이 올라가면 일본인동경방언화자와 유사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어두 보다 어중에서 그리고 무성음 보다 유성음에서 좀 더 파열음 발음학습에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유의미한 단어 속에서 조음위치에 따른 일본어 파열음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연속하는 문장 및 대화체 발성 속에서의 파열음의 음향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과제로 남겨둔다. 本稿は、調音位置による日本語の破裂音の特徴を音響音声学的に分析した研究である。日本語は高低アクセント体系を持っているが、本研究では、日本人東京方言話者が発話した平板型アクセント4拍語の語頭や、語中に現れる有声破裂音(/b/、/d/、/ɡ/)と無声破裂音(/p/、/t/、/k/)について、韓国人日本語初級学習者と韓国人日本語上級学習者の音響音声学的特徴を比較分析した。特に語中破裂音の場合、音声環境による破裂音の特徴を分析するために母音、中子音の前半部、撥音の後ろに有声破裂音と無声破裂音が来る実験語を選定した。分析項目は破裂音に後続する母音の基本周波数、声帯振動開始時間、閉鎖持続時間および強度である。分析の結果、次のような事実が確認できた。 後続母音のスタート地点の基本周波数は、全般的に韓国人日本語学習者が日本人東京方言話者より高く発声するが、これは韓国人日本語学習者が既に覚えた韓国語濃音と激音の発声習慣が緊張した状態の発声を誘導したと見られる。 声帯開始時間は日本人東京方言話者の方が韓国人日本語学習者より概ね短く発声するが、これは気息性に比例し、気息の有無がある韓国語特性によって韓国人日本語学習者が大体長く発声することが分かる。 閉鎖持続時間で韓国人日本語学習者は日本人東京方言話者の様相と異なり、撥音/N/後ろの破裂音が母音に後続する破裂音より長く観測されるが、これは独立した終声が存在する韓国語の発音習慣に起因していると思われる。 強度は、日本人東京方言話者の方が韓国人日本語学習者より全般的に強く発声しており、単語の位置及び有·無声音から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異なる強度の様相を見せることは、母国語話者と外国語学習者の間の心理的、情緒的な自信の違いに影響されるといえる。 以上の結果、日本人東京方言話者と学習水準による韓国人日本語初級学習者と韓国人日本語上級学習者を総合的に比較してみると、無声音の語頭破裂音の発音は学習水準が上がれば日本人東京方言話者に類似することが分かった。これらの結果から、語頭より語中で、そして無声音より有声音で、より破裂音の発音学習に注意が必要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 本研究では、実生活で使用する有意味な言葉の中で、調音位置による日本語の破裂音の特徴を考察した結果を踏まえ、今後連続する文章や発話体での発声における破裂音の音響的特徴を分析することを課題として残しておく。

      • TV 영상매체 속에서의 무용 연출 기법

        김윤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무대에서 표현되어온 춤의 연출방식이 TV매체에서 다루어지기 위하여 어떻게 그 형식과 기법이 달라져야 하는가를 연출기법의 주요한 요인들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논의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무용연출 기법에서 주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여덟 가지(대본, 무대장치, 소도구, 조명, 음악, 의상, 분장, 무용공간)의 연출기법 요인들을 중심으로 일반적인 무용연출과 TV영상매체에 적합한 무용연출기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도출되었다. 1) 무용대본은 시청자에게 영상을 상상하거나 내용을 파악하고 사상, 심리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첫째, TV대본은 시간적 혹은 경제적 측면 등의 제작 여건을 고려하여 써야 할 것이다. 둘째, TV작성의 기술적 요구로서, 영상 부분과 소리 부분을 나누어 기록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본은 간단명료하고 직접적이며 바로 요점을 밝히는 방식으로 쓰여 져야 할 것이다. 넷째, 영상과 언어를 가능하면 조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 TV영상매체에 적합한 무대장치의 기법은 우선 시각적인 효과와 시청자들의 정서적 반응을 창출하고 배가시키는데 그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에 있어서, 첫째, 세트의 균형과 통일감을 고려해야 하며, 다양한 앵글도 주목해야만 한다. 둘째, 효과적인 조명을 위해서는 3차원적 재료로 세트를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육안으로 보는 무대보다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화면에 나타나는 무대효과를 중시해야 할 것이다. 3) 소도구는 첫째, 추상적인 색, 형태 등을 위한 장식적 요소를 강조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확한 위치 설정과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놓아야 한다. 셋째, 제작된 모델을 통해 사전에 카메라 샷, 조명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정확히 준비하고 불편함이 없는지 사전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작은 소도구 하나에도 의미를 두어야 하며, 카메라에 알맞은 구도에 위치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출과 제작진의 사전 의사교환이 꼭 필요하다. 4) 조명의 효과는 최종적으로 피사체가 어떻게 화면에 보이는 가로 판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자연스러운 빛을 재현하려고 노력해야한다. 둘째, 카메라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광량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3차원적 원근감, 즉 깊이를 창조해야 한다. 깊이에 대한 지각은 조명의 질감, 모양, 문양 등에 의해 강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전체 장면의 미적 구성을 중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명의 강도, 색, 분산, 그리고 방향을 절하게 결정해야 한다. 5) 음악은 화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되어야 할 방법들은 첫째, TV의 경우는 시각적인 매체의 성격이 강하므로, 음악이 주는 느낌이 화면에 나타나는 것과 같아야 할 것이다. TV매체는 시각적인 매체의 성격이 강하므로, 음악이 주는 느낌이 화면에 나타나는 것과 이미지가 같아야 함을 항시 고려해야 한다. 6) 의상은 무용수의 이미지를 결정하고 어떤 특정한 느낌을 갖게 만든다. 따라서 역할에 맞는 의상을 갖추어야 하며 의상선택은 프로그램의 성격, 진행방식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따라 선택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에 있어서, 첫째, 지나치게 진하거나 밝은 색 혹은 채도가 높은 색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의와 하의의 색 대비가 중요하다. 둘째, 지나치게 콘트라스트를 주거나 또 명도차이가 심하게 나는 의상은 피하는 것이 좋다. 결국, 카메라에 비추었을 때 빛을 흡수하는 의상은 피해야 하며, 체형에 따른 의상선택 필요하다. 7) 분장은 얼굴과 머리를 위주로 해서 인물의 성격을 도와야 하며 의상, 장신구, 배경과 소도구, 대도구등과 조화를 이루도록 색채와 형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첫째, 배경과의 거리감, 카메라의 방향, 조명의 강도나 방향, 미술의 여러 색채가 얼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배열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텔레비전에서는 색채 조화가 우선시 되므로 피부색이 가장 세심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8) 무용공간은, TV 촬영인 들은 프레임 속에 움직이는 피사체를 공간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으로 기록하는 점을 항시 주지해야 한다. 한다. 이러한 TV화면의 움직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화면 내에 있는 무용수의 움직임에 있고, 둘째는 카메라가 움직여 화면에 변화를 주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별히 TV화면 내에서 가장 극적인 움직임은 Z 축 상의 움직임이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카메라를 향해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움직임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의 과정에서 나타난 사항들을 고려하여 볼 때, TV영상매체에서 다뤄지는 춤의 연출방식은 기존의 연출형태와 그 속성에 있어서 전혀 다른 새로운 기법을 요구한다. 즉, TV영상매체 수용에 있어서 무용은 본질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타 분야와 상호 공생관계 속에서 총체예술적인 가능성을 구현 해야만 할 것이다. 그 가능성이 실현될 때 무용의 대중화는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리라 여겨지며 무용이 하나의 총체예술로서의 보다 높은 지위를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공연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연출되는 무용의 방식과 TV영상매체에 보여 지는 무용공연의 형식이 본 연구에서 논의 및 제시되었던 것과 같이 달라져야 함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dance production in the dimension of TV broadcasting and propose the changing pattern of dance production. In doing so, the following 8 factors for consisting of dance production were compared critically between traditional and new style: 1) scenario, 2) stage setting, 3) stage property, 4) stage illumination, 5) music, 6) dress, 7) make-up, 8) space composition. The following findings were propos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developing new dimension of dance production in TV: In dance production for TV program, 1)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scenario write the unification of audio and visual part of dance work. 2)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first priority of stage setting is on promoting spectators affective response and visual effect. 3) it would be considered that stage property is located in the directed space proper to TV camera angle. 4) the effect of stage illu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of how to be viewed from TV monitor. 5)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image of music is same to visual appearance. 6)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dress includes character, form, image and feeling of dance work. 7)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main function of make-up is on the dress, property, background, and illumination in dance work. 8) it would be considered that space composition is a flow as well as a change for moving objects.

      • 수직 개구부로 연결된 다중구획실 화재 시 온도 및 유동 분포와 고온 가스층 특성에 대한 연구

        김윤영 부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fire phenomena in the multi-compartment connected through a vertical opening were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investigated. Two compartments connected with two vertical openings were tested. One vertical opening(VO1) is installed between two compartments (i.e., ROOM1 and ROOM2) and one(ROOM2) of compartments has the additional vertical opening(VO2) connected to the outside of compartment. In the cases of fires occurring in ROOM1 and ROOM2, the fire phenomena in fire room and adjacent room were examined. Under three heat release rate(HRR) conditions, the velocity distribution, mass flow rate passing through vertical opening,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ickness and temperature rise of hot gas layer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numerical simulation data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dependences of hot gas layer thickness and temperature rise on HRR were checked. In addition to HRR effect, the effects of compartment wall material and widths of VO1 and VO2 were explored. Moreover, the previous correlation to predict the hot gas temperature rise in adjacent room was assessed and previous correlation found to underpredict the present data. Hence, based on the present data, new prediction correlations for the hot gas temperature rises in fire room and adjacent rooms were proposed.

      • 바흐의 오르간 콘체르토 BWV 596에 대한 연구

        김윤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로크 시대 음악가 중 바흐는 오르간 콘체르토의 중요한 형식을 자리매김 한 작곡가이다. 바흐가 궁정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한 바이마르시기에 이탈리아 작곡들의 영향을 받아 오르간과 하프시코드를 위해 10곡의 오르간 콘체르토를 편곡하였고, 그 중 5곡의 오르간 작품(BWV 592-596)을 남겼다. 바흐의 Organ Concerto in d minor, BWV 596은 비발디의 Concerto for 2 violin and violoncello in d minor, Op. 3 No. 11를 편곡한 곡으로 그의 독일적 양식에 비발디의 이탈리아적 양식을 융화시켜 특유의 양식을 창안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시대의 콘체르토의 역사적 배경과 바로크 콘체르토의 양식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비발디의 콘체르토에서 나타나는 이탈리아적 성격을 알아보고, 바흐의 오르간 콘체르토의 특성과 비발디의 콘체르토와 바흐의 오르간 콘체르토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Organ Concerto in d minor, BWV 596를 비발디의 곡과 비교 고찰하는 방식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Johann Sebastian Bach, one of Baroque composers, paved the way for an important form of organ concerto. Bach was influenced by Italian compositions in Weimar era when he was a court organist. At that time, Bach arranged ten of Antonio Vivaldi's Italian concerto for organ and harpsichord, and five of them still remain as concerto for organ(BWV 592-596). Bach's Organ Concerto in d minor, BWV 596 is an arrangement of Vivaldi's Concerto for 2 violin and violoncello in d minor, Op.3 No.11. And Bach's works created its own unique type which harmonizes his German style with Vivaldi's Italian style.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storical background, forms and features of Baroque concerto. In addition, it also examined Concerto for 2 violin and violoncello in d minor, Op.3 No.11 to understand how Italian style appear in Vivaldi's concerto, and investigated common features of Bach and vivaldi's organ concertos. Finally, this study contemplated the features of Organ Concerto in d minor, BWV 596 and Vivaldi's concertos by comparing the two.

      • 모의재판 수업모형을 적용한 저작권교육이 고등학생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정보의 유통으로 인해서 저작물의 가치와 중요성, 저작자의 권리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고 정보에 접할 기회가 많아진 학생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허락 없이 이용하고, 자신의 저작물이 침해당하는 일들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이 저작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저작권을 지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저작권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의 저작권 교육을 살펴보면 교과서의 아주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저작권의 개념은 습득하고 있으나 자신의 일과 동떨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이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습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모의재판 수업모형은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 상황을 소재로 하고 학생들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각자 역할 수행을 통해 의식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의재판 수업모형을 적용한 저작권 교육이 학생들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윤리 감수성과 정보윤리 판단력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우선 경기도 부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4개 반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71명)과 통제집단(69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모의재판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은 교사중심의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정보 윤리 감수성과 정보 윤리 판단력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저작권 수업에 있어 모의재판 수업모형을 적용한 저작권 수업방법이 전통적 수업방법보다 학생들의 정보 윤리 감수성과 정보 윤리 판단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Importance of values of works as well as needs of protection of author rights become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distribution of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use of computers to get information often made use of others' works unconsciously without permission and to suffer from infringement upon their own works from time to time. Therefore, they need to learn copyright at schools to recognize its importance and to protect it. Currently, however, copyright education at schools occupied very much small portion of textbooks to have teacher-oriented expository teaching; the students who learned concept of copyright at class thought that copyright would be far from their studies. Therefore, new teach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recognition on the copyright. The mock trial teaching model has materials of various kinds of problematic situation at actual life, and it is likely to let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in playing of their own roles and to make change of consciousness by playing their own roles.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copyright education based on the mock trial teaching model to changes students' consciousn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information ethics sensitivity and the information ethics judgmen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cond year students of four classes at an academic high school who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of 71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69 students. We investigated results of information ethics sensitivity as well as information ethics judgment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ed instruction of mock trial teaching model, while the control group did that of traditional teaching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eaching method of copyright based on the mock trial teaching model had more affirmative influence upon the students' information ethics sensitivity as well as information ethics judgment than the one hav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had.

      • 광고에서의 톤과 개념에 관한 연구 : 화장품, 패션광고를 중심으로

        김윤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고에 있어 톤(tone)이란 그림, 문자체, 색채, 레이아웃, 표현유형등의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보는이에게 전체적인 분위기나 이미지로 전달되어져 느끼는 느낌을 말한다. 이와같이 톤은 어떠한 실체가 아닌 우리가 시각적으로나 촉각적으로 느끼는 감각적 느낌이기 때문에 그것을 정확히 표현하기에는 표현하는 사람이나 그것을 이해하는 사람이나 모두 애매한 감이 없지 않다. 톤은 인간의 성격, 기분, 행동, 환경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형태가 이성적인 면에 관계가 많은 반면 톤은 빛, 질감, 색채 등으로 감정적인 면에 더 많은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톤이란 설명하기에는 모호하고 조심스러운 영역이기에는 틀림없으나 광고에 있어 톤이란 그냥 무시하고 지나치기에는 너무나도 큰 요소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잡지광고에서 톤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정리와 함께 그 사례를 들어 톤이 광고에 미치는 중요성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서론으로 톤에 관한 연구 목적과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서명하였고 2장에서는 잡지광고와 톤에 관한 이론적 배경으로 톤의 사전적 정의와 관용적인 표현에 대해 설명해 보았으며 잡지광고의 전반적인 의미와 개념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톤의 구성요소로 및, 질감에 관한 내용으로 빛의 양과 각도에 따라 변하는 톤과 질감에 따라 다양햐게 느껴지는 톤에 관해 이야기해 보았다. 마지막 4장에서는 잡지광고에서의 콘트라스트, 질감, 색조에서의 톤의 변화와 그 느낌을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는데 콘트라스트에 의한 톤의 변화는 우선적으로 형태가 선명해 보이거나 흐려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미지 역시 원초적이거나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그 느낌이 강해보이는 반면에 콘트라스트가 약할 경우에는 그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우며 여성적인 경향을 띈다. 또 톤을 질감에 의해서도 그 느낌이 많은 차이를 가지는데 까칠까칠한 모래 스크린이나 부드러운 섬유의 느낌, 고급스러운 무광지 등으로 인해 그 분위기나 이미지, 메시지등의 다양한 해석이 가능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색조를 통해서는 브랜드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느낄 수 있었다. 수많은 광고들 중에서 차별화를 주는 가장 큰요소인 톤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높여주는 광고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며 광고에 있어서도 소비자의 조형의식과 심리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에 광고에 있어서 톤의 역할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What is the tone? Surely it is difficult for us to explain the concept of tone. So how do we understand the concept? Imagine that there is a mixture of letter type, color and layout And the mixture gives some vague feelings to someone.The feeling is the tone! As the tone is not an objective thing but subjective feeling. It really is difficult to be explained. The study for the tone in the magazine advertisement. The definition of the tone in the advertisement is a feeling that was transmitted to audience by a general atmosphere or an image with harmony in a picture, a letter style, color, lay-out and a type of expression. This tone is not an entity but the sense of sight or touch, so it is ambiguous for a person who express or comprehend the tone to define what exactly it is. Chapter one, prelude of this work, describes the purpose and the methods of the study in tone and explains the boundary of this study. Chapter two is the chapter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one in magazine advertisement, which includes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tone and customary usages of the tone. Chapter three is the chapter of the role of light and texture in tone, which is the components of the tone. In chapter three, the researcher also discussed the various tone that people feel as the amount and angle of light changes. Chapter four is the final chapter of the tone in which I have studied the case of the tone that the researcher's feeling of the tone for the changes of contrast. texture, color in magazine advertisement. The changes of the tone by contrast is the often the matter of clarity. For example, if the contrast is soft on the advertisement, the image of it is weak. Furthermore we could have various feelings on the tone by texture. For example, researcher's feeling about the tone by texture on magazine advertisement varies by sand screen, soft fabrics, and crude paper.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the tone plays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d enhancing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brand in the study of the tone in the magazine advertisement.

      • 마술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윤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술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생 수학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연구를 위해 마술이 활용된 수학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습동기가 향상할 것인가는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의 53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에는 3학년 2학기 수학수업을 활용하여 6차시의 마술을 활용한 수학수업을 3주에 걸쳐 6차시의 수업에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동일한 수업내용과 기간에 수학수업 투입 없는 수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술을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수학 연구교사의 지도를 받아 지도안을 수정·보완하여 수업을 활용하였다. 마술에 투입이 적절한 차시와 내용으로 지도안을 완성하고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마술 수학수업 자료를 총 6회기에 걸쳐 투입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동기 검사도구는 Keller(1987)가 개발한 The Cource Interest Survey를 박수경(1998)이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수학 학습동기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유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9.0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로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학습동기의 하위요소인 주의집중, 관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하지만 다른 두 가지 하위요소인 만족감과 자신감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초등학생들은 마술을 활용한 수학수업으로 인하여 통제집단의 학생들에 비하여 수학 학습동기를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