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음공간 계획에 있어 기획과 디자인의 믹스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김윤수 건국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의 변화, 정보화, 해외여행, 인구의 증가 등으로 사람들의 식음문화에 대한 안목이 시시각각으로 바뀌고 있으며 다양화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과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라 식음공간도 다양화, 복합화의 형태로 발전, 성장하고 있다. 특히 핵가족화에 따른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미시족, 독신자, 다양한 전문직 종사자의 증가 등에 의해 그 변화속도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음산업의 경영환경은 고도성장기 이후 식음공간의 다변화 와 IMF 이후 퓨전 레스토랑 같은 다양한 식음공간의 대두에 의한 경쟁의 심화,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이용객들의 다양한 욕구표출, 그리고 식음업체 들의 포화상태로 신규 고객창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식음공간의 투자경향은 중, 소규모의 단일 건축물에 의한 규모의 확장, 초기 투자비용 규모의 확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화, 전문화, 체인화, 복합화 현상에 따라 실내디자인의 접근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음공간의 기획과 디자인에 있어 디자인 만능주의적 사고로 접근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입지 및 상권, 고객분석 등 기획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오리엔탈 미니멀리즘의 유행에 편승한 획일적인 공간들의 양산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식음공간의 기획과 디자인에 있어 기획의 부재나 기획에 대한 업태의 인식부족과 함께 상품특성 및 제조과정의 이해, 서비스 방식 등을 생각하지 않고, 디자인만 잘하면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잘못된 판단에 의해 않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제는 식음공간에 계획에 있어 치밀한 기획과 기획단계에서의 상권이나 고객 등의 분석 , 그리고 기획단계 분석결과를 디자인으로 연결하는 믹스 프로세스화 시키는 전문적 접근과 전개를 수반하지 않고는 식음산업 분야에서 성공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디자인적 측면을 배제하고 기능위주의 기획의도를 우선시 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기획과 디자인을 하나로 믹스 프로세스 시키고, 치밀한 기획과 기획단계에서의 고객 및 상권분석, 그리고 의도된 홍보전략 등에 의한 전문적 접근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전문적 접근에 의해 기획 및 디자인 단계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면서 체크리스트 등을 통해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는 피드백 단계를 거쳐 기획단계에서 도출된 정확한 자료와 정보를 실제적 디자인에 연결, 식음공간의 궁극적 목표인 이익창출과 고객만족을 부여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창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기획과 디자인을 연결시키는 믹스 프로세스는 보다 전문화되고 새로운 식음문화 공간의 발전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믹스 프로세스 이론을 전개하는데 있어, 그 동안의 실제적 프로젝트 진행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하였다. 첫째 복합업태의 식음공간을 연구대상으로 규정하고, 기획적 구성요소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기획과 디자인의 믹스 프로세스에 의한 디자인 전개의 목적 및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둘째 식음공간의 일반적 요소와 우리나라 식음산업의 역사를 통한 고찰 및 전망을 살펴보고, 기획 프로세스에 의한 공간구성 조건 및 요소를 분석하여 상권, 상품, 고객, 서비스 등의 기획 의도에 의한 기능적 공간표현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기획과 디자인의 믹스 프로세스를 통한 디자인 전개방법에 의하여 도입공간부터 객석 및 중심 서비스 공간, 부대 서비스 공간, 주방 작업공간 등의 디자인과 영업 형태에 대응한 기능적인 요구조건을 반영하여 공간에 적용하는 믹스 프로세스에 의한 공간디자인 적용 지침과 진행과정을 정립하였다. 넷째 식음공간의 기획과 디자인의 실제 적용을 통하여 계획 진행의 과정 및 결과물에 대한 검증과 함께 도출된 문제점을 통하여 향후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공간의 요구조건이 배려된 디자인 프로세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으로 식음공간 디자인에 있어 기획과 디자인의 믹스 프로세스에 의한 실제적 프로젝트 진행으로 상품에 의한 영업형태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주방면적, 객석면적, 부대시설면적 및 고객동선, 서비스 동선을 고려하여 상호 연관성 있는 디자인을 연구하여 고객의 심리적 요인과 기능을 예측한 디자인을 시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것은 치밀한 계획 진행요소의 분석에 의해 기능적 요구조건을 수용하고 효율적인 영업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자이너가 기획적 계획 접근 요소들을 파악하여 공간을 계획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전문적인 접근에 의해 식음공간은 한단계 더 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Changes in the lifestyle, consumer patterns, progress in informationalization and increase in overseas travel are all contributing to the changes of food & beverage culture The food & beverage space are developing into various complex forms which reflect the current economic, social, cultural trend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double-working couples, "missy' s" , singles, specialists and the like are also accelerating the changes. The management of food & beverage industry at the present is facing difficulty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tastes and saturation of food & beverage business. People's taste have become much more elegant in the wake of high economic growth and the jump increase in fusion restaurants after the IMF crisis further speeded competition. Creating new clients have become all the more difficult. The necessary initial investment for a food & beverage business is increasing - for example, the business frequently takes up a whole of small-or medium-sized buildings. Along with the increase in investment, we can also observ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increasing chain stores and complexity. In correspondence, we need expertise in their interior designs However, if we look at the recent trends in the interior design of food & beverage spaces, most of them are dominated by a "design-first" approach. Such approach over looks the importance of location, trade zone, customer analysis and other factors of business planning, but rather is taking advantage of the vogue of " Oriental Minimalism" , producing, as a result, standardized and monotonous space Many have misguided perception that good design alone will bring success to their business. They do not give sufficient consideration to the planning process, item selection, service methodology and so forth Unless the business adopts a professional approach that combines the planning process with the design process, we can say for sure that the food & beverage business is bound to fail A food & beverage business has to plan carefully, analyze market and customers, and link the results with design. I am not postulating that we should exclude the design factor and look only into the planning process but that we have to use a mix-process, combining planning with design. We are ow living in an era where we need professionalism, including thorough planning, customer and market analysis, advertisement and so forth. Such professional approach will allow us to minimize the problems in planning and design We can use means such as a checklist as a feedback that can input the results of analysis, information and data produced at the planning stage into the designing process. We will then be able to create a space that can generate profit and satisfy customers Mix-process that I inks planning with desig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od & beverage culture. The mix-process which this research presents is based on a real project, and follows the below procedures First, the subject of our research is the space within the food & beverage businesses The purpose and method of our research is to apply factors of planning into design and to proceed with design according to the mix-process. Second, I examined the food & beverage space in general and the history of our food & beverage industry. Through the planning process, I analyzed the components and factors of space. I determined the functional spatial factors according to market zone, item, customer, service, etc. Third, I have formulated guideline for a design process that uses mix-process I have tried to establish a rational approach to space, beginning from entry to seat, main service area, other service area, kitchen and so forth. Fourth, the planning and design have been actually applied, enabling a verification on the actual plan and results. The identified problems can help present direction for future design processes that consider functional properties. As a conclusion, we have to use a mix-process approach in designing food & beverage space; realize the business form required according to the item characteristics; take into account the area of kitchen, seats, customer movement line, service movement line, etc . ; employ a inter-related space arrangement and design; predict the psychological status of customers and thereby reflect these upon design In other words, the designer has to fully understand the planning factors, reinforce the functional properties, promote efficient business in designing the space

      • SCORM 표준안이 적용된 자기주도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가상대학용 LMS 설계 및 구현

        김윤수 東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보급의 활성화에 힘입어 웹을 통한 원격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많은 교육사이트 및 컨텐츠의 개발과 이를 효율적인 관리와 개발을 위한 표준안 그리고 운영 시스템인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들이 등장하였지만 실질적으로 학습자를 위한 방안은 거의 변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대학에서 다양한 계층의 학습자가 세분화된 교육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LMS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LMS의 주요 기능은 교수자는 학습자의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개발된 컨텐츠를 등록하고 학습자에게는 학습자의 학습레벨에서 수강 가능한 과목들과 세부 주차들 중 학습자가 수강하기를 원하는 과목과 세부주차들을 선택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본인의 수준과 관심 내용에 맞게 수강과목을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세분화 하여 개발된 컨텐츠는 학습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강의의 수강을 가능케 하며 교수자는 매번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강의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의 제작으로 구성만을 달리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가상대학의 경우 학습자의 수준차이가 크고 본인 스스로 자아실현을 위해 학습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런 학습자들에게 최적의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As remote education through web is activated with the wide use of Internet, many educational sites and contents were developed and standard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were introduced.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the learning method for actual learners. In this article, we proposed LMS to support self-driven learning to enhance the effects of learning by letting the learners in various levels utilize the segmented educational contents in virtual university. The major functions of LMS are that the learners register the segmented cont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that learners select subjects and segmented contents that learners want to enroll and compose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level and interest. The segmented contents allow learners to learn what they want, and the teachers to satisfy the learners requirements not by producing different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but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nly. In case of virtual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levels of learners and they perform self-driven learning for self-realization. We are very confident that this article will help those learners to learn the most optimal subject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 테헤란로 법정 조경공간의 이용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김윤수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도심지 내에 넓은 공원용지를 확보하여 공원을 창출한다는 것은 공원 조성을 위한 부지 및 예산 확보의 어려움이 따르며, 이에 면적의 크기보다는 도심의 소공원이나 조성된 외부 공간의 역할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심지 외부공간을 조성한 곳은 상당수 있지만, 도시의 쾌적성 확보를 위한 취지와 이용자의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실정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주요 원인은 규제에 의한 형식적인 공급에 따른 공간의 양적확보 및 관리의 편리성에 치우쳤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공간의 하위체계인 조경관련 법․규제에 의해 현재 조성된 법정 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실제적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결과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 도시 공원 확보 및 도심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조경 관련 법․규제 제정과 도시 설계 계획 시 조경공간의 지침수립에 있어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례지 법정 조경공간의 이용실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지 전체 법정 조경공간의 이용실태 분석결과 법정 조경공간의 위치는 측면형(47%)에 조성되어 인접 건물과 연계(40%)되어있고, 조성된 조경공간의 기능은 경계형(44%)으로‘ㅡ’자형(49%) 형태로서, 3개소이상(50%)조성된 곳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법정 조경공간에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시기별, 면적별 분석을 하였다. 시기별 분석은 조경기준이 고시된 2000년 전․후에 조성된 조경공간을 상호 비교분석하였으며, 면적별 분석은 100㎡미만과 100㎡이상으로 조성된 조경공간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시기별 분석결과 조경기준 적용이후 입지환경 분석요소의 소분류 22개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5% 범위이상 변화되었다. 이는 조경기준이 미치는 영향은 물리적 설치개소의 변화였으며, 조경공간의 위치, 연계, 기능, 형태에 대한 영향은 미비하였다. 면적별 분석결과 조경면적 100㎡이상의 조경공간에서 입지환경 분석요소의 소분류 22개 항목 중 16개 항목에서 5% 범위이상 변화되었다. 하지만 면적이 클수록 다양한 변화가 일어난 이유는 지반층 건축계획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100㎡이상의 조경공간의 분석결과 역시 사례지 전체 법정 조경공간 분석결과 및 시기별 분석결과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개별 분산 조성된 법정 조경공간은 본래 취지인 도시의 쾌적성 확보 보다는 규제를 위한 양적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조경관련 법․규제의 조경기준이 사적 영역의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공원 용지 확보 및 예산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조경기준의 공공 관리 영역으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경관련 법․규제의 조경기준이 공공 관리영역으로 인식을 전환 시 개별 조성된 법정 조경공간이 도시 공원용지 및 예산확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통합조성 조경공간을 제안한다. 이는 향후 조경 관련 법․규제 제정과 도시 설계 계획 시 조경 공간 지침수립에 있어 개선방향을 위한 제안이다. 주제어 : 법정 조경, 개별 분산 조경 공간, 통합 조경 공간

      • 동결융해작용을 받은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제어성능 평가

        김윤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strain hardening cement composites (SHCCs), defined by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higher than the first cracking strength and the formation of multiple cracking during the deformation process, show promise in serving as excellent repair and strengthening materials for concrete structures.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and theoretical analyses in bending of concrete beam with SHCCs repair system. The influence of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between repair material and old concrete substrate on the overall bending performance i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result o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freeze-thaw cycles on four points bending test of beam specimen with SHCCs. This paper reports on the cracking mitigation and flexural behavior experimentally observed in concrete prisms layered with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s (SHCCs). Tests were conducted using 70x100x400mm long prisms supported over a simply supported span of 350mm. The center point load was applied using MTS servo control machine. The kinds of SHCCs, thickness layered with SHCC,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nd the surface condition of substrate are the main variables for this study. The test result, SHCC layered repair system showed over 3-4 times increased load carrying capacity, and mitigated cracking damage of concrete beams layered with SHCC compared with concrete beams freezing and thawing cycling up to 300cycles does not appear to significant affect the bending stress. And the variation of dynamic elastic modulus and bond behavior of concrete beam with SHCC due to the applied freezing and thawing cycles is examined.

      • H형 및 ETAH형 수지의 Na+ 누출 특성 평가

        김윤수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자력 발전소 2차 계통에서는 고 pH 운전을 통해 부식 제어를 하고 있다. 계통수 내 pH를 더 높게 유지하기 위해 약품을 현재 주입량보다 더 많이 주입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의 포화가 빠르게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잦은 이온교환수지의 교체 및 재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재생 및 세척으로 인한 다량의 폐수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복수탈염기 내 H형 수지를 ETAH형 수지로 전환하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어 더 높은 pH 조건에서의 운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하지만 아민포화운전은 이온교환수지 내 포획된 이온성 불순물인 Na+이 방출되어 정화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 농도 Na+ 범위에서의 H형 수지와 ETAH형 수지의 Na+ 누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 농도 Na+ 범위에서의 칼럼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선형 Na+ 누출 모델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모델을 통해 저 농도 Na+ 범위에서 시간에 따른 Na+ 누출 농도를 계산하였다. 누출 농도는 Na+ 0.01, 0.1, 1 ppb 일 때 수질 내 Na+ 농도가 0.01 ppb 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였고, 이를 비교 평가하여 누출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ETAH형 수지의 경우 H형 수지 일 때 보다 운전시간은 최소 2.84 시간이 단축되었다. H형 수지에서 ETAH형 수지로 전환 시 운전시간은 수지B가 3.19 시간, 수지A는 2.84 시간 단축되었다. ETAH형 수지가 H형 수지보다 Na+

      • 경량 안전 로봇팔의 동력학적 성능 분석 및 볼 캐칭을 위한 순응형 제어

        김윤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높은 질량과 강성을 가져 충돌 시 안전에 위협이 되기 때문에 로봇의 작업 반경 내에는 사람이 위치해선 안 된다. 이는 사람과 로봇이 상호작용을 하는데 큰 방해요소로 작용하므로 안전성 측면에서 분석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과 안전한 상호작용을 하는데 적합하도록 개발된 경량 안전 로봇 팔 LIMS2 (Low-Inertia High-Stiffness Manipulator for High-Speed Safe Interaction)에 대한 특별한 구조를 분석하고 근사화된 기구학 모델과 제약조건이 반영된 기구학 모델 두 가지를 제시하며 두 모델 간의 각도 변환 관계를 밝혔다. 또한 실제 로봇과 모델 사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동역학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통해 CAD모델과 최적화 모델간의 RMS오차를 각 조인트별로 0.8396, 2.3149, 0.4741, 0.8150, 0.5389, 0.3965, 0.2706만큼 줄였다. 이를 바탕으로 LIMS2의 안전성을 기존의 경량 안전 로봇들과 비교하였다. 저속 구동 상황에서는 비교한 모든 로봇이 안전성 지표에서 안전한 범위 내의 점수를 보여주었다. 그중에서도 LIMS2가 가장 좋은 지표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고속 구동 상황에서는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속도에 근접하는 로봇은 LIMS2가 비교 군 중에선유일하였다. 속도제한이 없다는 가정을 했을 때 안전한 범위 내에서 sports interaction이 가능한 것도 LIMS2가 유일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인협업 로봇을 넘어서 사람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Sports interaction의 응용으로 볼 캐칭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기존의 경로 계획법과 핸드의 파지력에 의존한 것이 아닌 유연 컴플라이언스의구현을 통해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공의 충격을 흡수하며 잡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LIMS2의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제어가 어떤 특징과 장점이 있는지 분석하고 임피던스 파라미터가 볼 바운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Mass system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desired spring과 damper는 어느 정도 바운싱을 낮출 수 있지만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중요한 요소로서 유효 질량이 낮을수록 농구공의 바운싱 이 크게 줄어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효 질량이 무거운 로봇은 제어적으로 inertia shaping하여 유효 질량을 낮춰야하지만 inertia shaping은 안정 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질량과 관성이 낮은 LIMS2는 inertia shaping이 불필요하여 안정적이며 높은 성능을 가지므로 위와 같은 sports interaction에서 다른 로봇에 비해 유리하다. Since the robots used in industry have high mass and stiffness which is danger when human collides with them, they shouldn’t be located within the workspace of the robots. Therefore it should be analyzed and improved in terms of safety because it’s a hindrance to the interaction. In this paper, a special structure of light-weight safe manipulator LIMS2 (Low-Inertia High-Stiffness Manipulator for High-Speed Safe Interaction) suitable for safe interaction with human was analyzed. An approximated kinematic model and constrained kinematic model are proposed and the conversion of posture between them were revealed. Furthermore, a method of optimizing the parameters was suggested to reduce errors between the actual robot and the model: 0.8396, 2.3149, 0.4741, 0.8150, 0.5389, 0.3965, 0.2706 for each joint. Based on this, the safety of the LIMS2 was compared with the other light-weight robots. At low speeds, they were all within safe bounds. Among them, the LIMS2 showed the best result and it was the only one could be realized especially at high speeds. If there is no speed limit, it’s possible for sports interaction to be within the safe region is the LIMS2.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dynamic interaction with human beyond coworking. Ball catching was presented as one of sports interactions. Not relying on path planning and grasping, but receiving as absorbing the impact of the ball falling fast was presen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pliance control. It was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the impedance control has and the two mass system was modeled and simulated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control on ball catching. As a result, the desired spring and damper can reduce their bouncing, but they have limitations. Particularly a small effective mass greatly reduces the bouncing. From this point of view, heavy robots need to be controlled to have lower effective mass through inertia shaping, but it reduces stability. Therefore, the LIMS2 with low effective mass is stable because the inertia shaping is not necessary and has high performance. As a result, it has an advantage over other robots in sports interaction.

      •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김윤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들의 초진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수평적, 수직적 분류 기준에 따라 9 군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씩, 총 270명을 추출하였다. 수평적 골격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ANB 각도가 이용되었으며 Class I(ANB 각도가 0° 에서 4°사이), Class Ⅱ(ANB 각도가 5° 초과), Class Ⅲ(ANB 각도가 0° 미만)로 분류하였다. 수직적 골격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하악평면각(SN-MP 각도)을 사용하여 Low angle(SN-MP 각도가 28° 이하), Average(SN- MP 각도가 30°에서 37° 사이), High angle(SN-MP 각도가 39° 이상)로 분류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계측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igh angle group은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에 비해 CEJ 하방 2 mm 부위 아래의 협설측 치조골과 모든 부위의 설측 치조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두께를 보였다 (p<0.05). 2.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 중에서 Class I, Ⅱ group은 모든 부위에서 Class I average group에 비해 유사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운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0.05). 3. Average group 내에서 Class Ⅲ group은 Class I, Ⅱ group에 비해 치근 중간 부위의 협설측과 설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0.05). 4. High angle group 중에서도 특히 Class Ⅲ인 High angle group에서 더 얇은 평균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5.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라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면 성인의 교정 치료 시 Class Ⅲ이면서도 High angle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하악 전치부에서 얇은 치조골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정 치료 시 하악 전치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