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석탄 품위향상을 위한 CPT column 부선 연구

        김우람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Development of commercial technology for expansion in domestic anthracite coal utilization is urgent due to the mass reserves of low grade anthracite in Korea. Therefor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o resolve this problem using CPT column in order to check the possibility of high-quality production for the fine coal that is impossible to treat by dry separation method. Particle siz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sample using disk mill and vibro screen, and preliminary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0 mesh of the product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by batch flotation(Sub-A type). Comparis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0 mesh and 100 × 325 mesh by each factor-specific condition applying to CPT Column. The result of CPT column flotation by using the proper reagent confirmed through batch flotation was ash rejection 82.49% and recovery 90.01% under the conditions of pulp density 5%, frother temperature 26°C, Kerosene collector (200mL/ton), Pine oil frother (1L./ton), Lime depressant (3kg/ton), air flow rate (1,400mL/ton) and wash water (300mL/ton).

      •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공간 감각 지도 온라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6학년 2학기 공간과 입체 단원 중심으로-

        김우람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Online Class Program for Teaching Spatial Sense utilizing Algeomath - Focused on “Unit: Space and Dimension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Sixth Grade - U Ram Kim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20, with the global pandemic COVID-19, a big change took place in one year. Accordingly, in education, too, a new form of the class appeared, in which no students attend school during the formal school education hours, learning and taking online classes at home. In the year 2020 when this rapid change was made in the education field, the necessity of various types of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research were raised, instead of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o reach the standards for the achievement of subjects required for students by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eaching aids through concrete manipulative materials in teaching spatial sense and math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stage and demonstrated the need to use a mathematical engineering tool that would replace the concrete manipulative materials in classes to solve difficulties in untact classes and the common use of math teaching aids in the present school. Concerning this opin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so, recommends the teacher’s appropriat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vailability of media and tools to the subjects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is study demonstrate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online class program using Engineering Tool Software, Algeomath, centering around Unit 3 of the second semester of the sixth grade, focusing on teaching spatial sense. Unit 3 is Space and Dimensions, and the class contents are organized based on spatial sense.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urriculum based on Jung’s (2017) framework of the classification of spatial sense of the existing spatial sense-related studies. To teach students spatial sense, considering the spatial sense elements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Algeomath was employed as an engineering tool,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n 2018. Algeomath is math exploration software that can be utilized in Algebra and Geometry classes so that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use it. In particular, the class was offered by Algeomath, replacing building blocks, of the math teaching aids, utilizing the function of making three-dimensional figures of Algeomath. To achieve the purposed of this study based on the contents mentioned,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were set. First, developing and applying a class program for each class hour of building blocks for the promotion of spatial sense utilizing Algeomath in online classes. Second, analyzing the factors of spatial sense and examining the students’ interest appearing in the online class utilizing Algeoma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ingle class of the sixth grade at G. School in Gyeonggi-do, and students in the class were classified broadly into three groups (S, A, and B) based on their achievement in math in the first semester to analyze the factors of spatial sense appearing while in participation in the class of the program developed by selecting two students in each group. In addition, through their written opinions on the class by each group, their reviews and interest were examined on the class of Algeomath utilized in Unit: Space and Dimensions. As a result of teaching and research on the ability to develop a spatial sense in an online class of Unit 3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sixth grad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tilizing Algeomath,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obtained. First, the utilization of Algeomath is high in teaching spatial sense. Further from the previous research topics on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spatial sense, in an online class, too, various activities for spatial sense can be provided in planning a class for spatial sense with Algeomath. Students can have activities, like piling up a building block, exploring their shapes by rotating it, and examining each student’s work together, utilizing Algeomath. In addition, the teacher can effectively demonstrate the factors of teaching spatial sense in online classes, too, through Algeomath, observe students’ works using Algeomath Group Chat Room and provide immediate feedback. Secon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spatial sense, utilizing Algeomath in clas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factors of spatial sense of spatial orientation and spatial visualization and the finished products in an online class, utilizing the function of three-dimensional figures of Algeomath. Through the written opinions on the class utilizing Algeomath were analyzed, and through their responses, most of the students found interesting the math class through Algeomath in the class situation in which they could not use teaching aids directly.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online, Algeomath could sufficiently replace the use of math teaching aids like building blocks. Through these reactions, it is noted that Algeomath can be a good educational method and means that increases in teaching spatial sense. Third, in elementary school, the revitalization of mathematical engineering tools that would replace the function of math teaching aids help get ready for flexible school situations and improve ICT utilization ability. This study offered all class hours of the relevant unit by an online class, in the situation of the expansion of untact classes as in COVID-19 and utilized Algeomath in the class. Through this, a situation was provided, in which the teacher could share feedback actively with students in a real-time interactive class instead of a one-way class, and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math engineering tools and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ies could be found. Key Words: Spatial sense, Algeomath, Online classes 국문 초록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공간 감각 지도 온라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6학년 2학기 공간과 입체 단원 중심으로- 김 우 람 수학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년 세계적인 유행성 COVID-19의 질병으로 한 해 동안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교육에서도 정규 교육 시간에 전교생이 학교에 등교하지 않은 상태로 가정에서 온라인 수업을 학습하고 출석을 하는 새로운 수업 형태의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 현장의 급변화가 온 2020년 한 해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과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수업 방법과 교육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지도와 인지 발달 단계에서 수학을 지도할 때 구체적 조작물을 통한 교구의 필요성에서부터 시작되어 현 학교 현장에서 비대면 수업과 수학 교구의 공용화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수업에서 구체적 조작물을 대신할 수학 공학 도구의 사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에 교사는 매체 및 도구 활용성을 적절히 선택하여 교과에 적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교육부, 2015) 본 연구는 공간 감각 지도에 초점을 두고 6학년 2학기 3단원을 중심으로 공학적 도구 소프트웨어 알지오매스를 사용한 온라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를 제시한다. 3단원은 공간과 입체 단원으로 공간 감각을 바탕으로 수업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자는 기존 공간 감각과 관련된 연구들중에 정영옥(2017)의 공간 감각 분류 틀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제시된 공간 감각 요소(공간적 시각화, 공간적 방향화)를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공간 감각을 지도하기 위해 공학 도구로는 2018년에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알지오매스(Algeomath)를 사용하였다. 알지오매스에는 초·중·고 학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대수와 기하 수업시 활용할 수 있는 수학 탐구 소프트웨어이다. 그 중 알지오매스 입체도형 만들기 기능을 활용하여 수학 교구 중에 쌓기나무를 대신해 알지오매스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언급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서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여 공간 감각 신장을 위한 쌓기나무 차시별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다. 둘째,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 중 활동에서 나타나는 공간 감각 요인 분석 및 흥미도를 알아본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G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학급의 학생들을 1학기 수학과 성취도를 기준으로 크게 3그룹(S, A, B)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2명씩 중점 반응을 살피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수업 중 나타나는 공간 감각 요인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2학기 3단원을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여 공간 감각 능력을 키우는 역량을 온라인 수업으로 지도하고 연구를 실시한 결과 얻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감각 지도에 있어 알지오매스의 활용도는 높다. 기 연구된 공간 감각 지도를 위한 쌓기나무 연구 주제들에서 더 나아가 온라인 수업에서도 공간 감각 수업을 계획할 때 알지오매스로 다양한 공간 감각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온라인상에서 쌓기나무를 쌓고 쌓은 모양을 회전하고 탐구하기도 하며, 학생들 개개인의 활동 작품을 같이 살펴보는 활동도 가질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알지오매스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도 공간 감각 지도 요소를 효과적으로 시연하고 알지오매스 모둠방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작품을 관찰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둘째, 알지오매스를 수업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공간 감각 학습 흥미도에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6학년 2학기 3단원을 전 차시 온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하고 알지오매스 활용 수업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학생들 대부분 교구를 직접 사용하지 못하는 수업 상황에서 알지오매스를 통한 수학 수업이 흥미롭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수학 교구의 사용 역할로 대신 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간 감각 지도를 할 때 알지오매스는 좋은 교육 방법 수단이 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수학 교구의 기능을 대신할 수학적 공학도구 활성화는 유동적인 학교 상황에 대비하고 ICT 활용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비대면 수업 확대와 맞물려 온라인 수업을 통해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였으나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수학 공학 도구 활용의 가능성과 역량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어: 공간 감각, 알지오매스, 온라인 수업

      •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체육교사 동일시,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우람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y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teacher identification, self-identity and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or this study 750 middle school students(365 male & 298 female)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rved as subject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ing styles and teacher identifi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identity and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eacher identifica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ing styles and teacher identific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ing styles and self-identity. 4. Teaching styles influence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5. Teacher identification makes positive influence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6. Self-identity influence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7. Teaching style closely related with teacher identification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체육교사 동일시,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중학생 7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을 이용하여 t-test,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체육교사 동일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체육교사 동일시에 대해서는 여학생 집단 보다는 남학생 집단에서 더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둘째, 체육교사 지도유형은 체육교사 동일시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체육교사 지도유형은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체육교사 지도유형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체육교사 동일시는 학교생활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자아정체감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사 지도유형은 체육교사 동일시, 자아정체감, 학교생활 만족도 변인간의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유의한 인과관계를 미친다.

      • Water footprint 개념을 이용한 가전제품의 수자원 사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세탁기를 중심으로)

        김우람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Water footprint 개념은 수자원을 기본지표로 사용하는 제품의 life cycle 동안 사용 및 소비하는 직‧간접적인 수자원 사용량을 의미한다. 수자원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으며, 수자원의 질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 사전관리를 위한 수자원 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water footprint 기법을 이용하여, 가전제품 중 수자원 사용량이 많은 세탁기를 대상으로 세탁기의 life cycle동안의 수자원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Life cycle은 원료취득, 제조, 사용단계로 설정하였으며, 세탁기에 투입되는 원료에 해당되는 LCI DB(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세탁기부품 생산 및 조립에 사용되는 에너지와 에너지원별 수자원 사용량, 국내 탄소성적표지제도의 가정용 세탁기 탄소배출량 작성지침과 제조사의 홈페이지 게재자료를 참고하여 수자원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세탁기 1대의 수자원 사용량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단위의 수자원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Water footprint 기법을 적용한 결과 세탁기 1대당 life cycle 동안의 수자원 사용량은 110,105 kg/대, 세탁기 life cycle 단계별 수자원 사용량의 경우 사용단계에서 90,495 kg/대, 원료취득단계 18,603 kg/대, 제조단계에서 1,006 kg/대로 사용단계에서 대부분의 수자원이 사용되는 것으로 산정되어, 제조단계에서 가장 적은 수자원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단위의 수자원 사용량은 2006년 기준으로 총 371,269,584 ton, 원료취득 및 제조로 인한 수자원 사용량 83,385,649 ton, 세탁기 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사용량 287,883,935 ton으로 산정되었다. 세탁기 보급현황을 기준으로 세탁기 사용에 따른 지역별 수자원 사용량은 세탁기 보급비율이 가장 높은 경기도와 서울이 각각 61,627,361 ton 및 61,030,091 ton 이었다. 이는 전국 세탁기로 인한 수자원 사용량의 각각 21.4% 및 21.2%로 이들 두 지역의 기여도가 40% 이상이었다.

      • GaN 박막의 광 전기화학식각 및 쇼트키 다이오드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우람 광운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etching process and Schottky diode fabrication which are essential to realization of GaN MESFET fabrication for high-power high-power high-temperature operation were investigated, with which the Schottky diode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 and the optimized etching conditions were proposed in this thesis. For this purpose, high quality GaN film were grown by HVPE(Hydride Vapor Phase Exitaxy) method which has high growth rate and the structural, electrical, optical properties of grown GaN film were characterized. To reducethe damage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 Photo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 was carried out. The etch rate and surface composition were characterizes as a function of an applied voltage and the etching mol% for stirred and unstirred solution. Thermally stable Pt/Au/GaN Schottky diode were investigated with annealing temperature and the I-V and C-V characteristics were carred to obtain barrier height characteristics, ideality factor, and leakage current. The optimized growth condition was T(Ga):870。C, T(Substrate):1050。C, HCl:10sccm, NH3:500sccm, N2:3000sccm. The XRD patterns showed that grown GaN films with the optimizes condition have the hexagonal structure and that was grown parallel to α-Al2O3 substrate and the lattice constant of grown GaN was 5.190Å. The FWHM of DCRC was 402 arcsec. These result indicate high quality GaN film were grown. In right angle Roman scattering at RT, E2(2) phonon mode was dominant and FWHM was 4.12cm-1. E2(2) phonon mode at 568.31cm-1 and A1(LO) phonon mode at 735cm-1 was observed, which satisfies the selection rule of wurtzite crystal. In Photoluminescence spectra at 12K, free-exction and donor bound exciton peak was 3.485eV, 3.464eV. D-A pair peak and LO , LO phonon replica was observed at 3.275eV, 3.186eV, 3.095eV, respectively. From the Hall effect and transmittance measurement ar RT, the conductivity type of grown GaN was n-type and the optical band gap was 3.41eV. The carrier concentration and electron mobility was 9×1018cm-3 and 51.5cm2/V.s, respectively. Photoelectrochemical etching showned that etched surface was uniform and mirror-like. The etch rate and surface roughnes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etchant mol% and applied voltage. Etch rate were as high as 1300∼2000Å and surface roughness was as low as 20∼70Å(rms). The effective etching condition is low applied voltage, low etchant mol% and the optimizes condition were 10V, 0.04mol%, 1hr. From the XPS spectra, binding energy of Ga 2p3/2, N 1s , O 1s was 1127eV, 407eV, 537eV, respectively. Ga 2p3/2, N 1s peak intensity and surface composition were decreased with etchant mol%. The fabricated Pt/Au/GaN diode operated even though annealed at 200。C and Φb(I-V), Φb(C-V), n was 0.99eV, 1.03eV, 1.62 respectively. The reverse breakdown voltage was not observed until –50V and leakage current at -10V was ∼10A-9. The results fo this research were expected be applied to the fabrication of GaN MESFET.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고온 동작용 GaN MESFET 제작에 필수적인 Schottky 다이오드 제작과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고온 영역에서의 다이오드 동작 특성과 최적화된 식각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높은 성장률를 갖는 HVPE(Hydride Vapor Phase Exitaxy)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GaN 박막을 제작하고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표면 손상이 적은 광 전기화학(Photoelectrochemical)식각을 실시하여 인가 전압과 Etchant(KOH)농도에 따른 식각율과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열적으로 안정한 Pt/Au/GaN Schottky 다이오드를 제작하여 열처리 온도에 따른 I-V, C-V 특성 및 전위장벽 특성과 누설 전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Ga):870。C, T(Substrate):1050。C, HCl:10sccm, NH3:500sccm, N2:3000sccm의 최적 성장 조건에서 GaN 박막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GaN 박막은 XRD 조서로부터 Hexagonal 구조를 보였고 α-Al2O3 기판과 평행하게 c축 단일 방향으로 성장하였다. 격자상수는 5.190Å이었으며 DCRC의 FWHM은 402 arcsec로 고품질의 GaN 박막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온에서 직각 산란 방식으로 측정된 Roman scattering에서 Wurtzite형 결정의 선택율을 만족하는 E2(2) 포논 모드의 강도가 가장 지배적으로 나타났으며 FWHM은 4.12cm-1이었다. E2(2) 포논 모드와 A1(LO)포논 모드의 발생 주파수는 각각 568.31cm-1, 735.15cm-1에서 발생하였다. 12K에서 측정된 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으로부터 Free-exction 과 Donor bound exciton은 3.485eV와 3.464eV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3.275eV에서 D-A pair에 의한 방출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LO1 과 LO2 phonon replica가 각각 3.186eV, 3.095eV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광 전기화학식각시 균일한 식각 표면과 거울면을 얻을 수 있었으며 식각율과 표면 거칠기는 인가 전압과 Etchant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각각 1300∼2000Å/min, 20∼70Å(rms)이었다. 균일한 식각을 위해서는 낮은 인가 전압과 저농도의 Etchant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최적의 식각조건은 전압 10V, Etchant 농도 0.04mol%, 시간 1hr였다. Ga 2p3/2, N 1s, O 1s의 결합 에너지는 각각 1127eV, 407eV, 537eV 이며 식각 후 Ga 2p3/2, N 1s 피크의 강도와 성분은 Etchant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제작된 Pt/Au/GaN 다이오드의 Φb와 n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GaN 특성 연구와 GaN MESFET 제작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450ppm 불소 치약의 불소흡착정도 및 치아경도 변화

        김우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치아경도측정 시험 ○ 적용세치제별 치아경도 측정값의 변화는 4주 적용후 대조군 -6.53, 비교군 8.87, 실험군1 10.04, 실험군2 10.28로 나타났으며, 8주 적용후 대조군 -5.66, 비교군 13.33, 실험군1 22.08, 실험군2 31.07로 나타났다. 적용세치제별 치아경도 측정값의 Base 대비 경도증가 효과율은 8주 적용후 비교군 4.33%, 실험군1 7.17%, 실험군2 10.00%로 산출되었다. 세치제 처리에 따른 불소 함량의 측정 시험 ○ 120시간(5일) 동안 세치제 적용 후 불소함량측정결과 대조군은 3.94, 비교군 14.94, 실험군1 34.81, 실험군2 8.87로 불소함량이 측정되어, 불소함량증가비율은 대조군 88.4%, 비교군 613.7%, 실험군1 1563.1%, 실험군2 323.9%로 산출되었다. 대조군 대비 불소함량증가 효과율은 비교군 594.4%, 실험군1 1668.6%, 실험군2 266.5%로 산출되었다.

      • Freshness Gauge를 이용한 최적 보관온도설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우람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부패성 상품의 시장 및 신선 식품의 장거리 운송이 증대됨에 따라 저온 공급망인 콜드체인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온도변화에 민감한 상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콜드체인 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콜드체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유통 기업들은 규정 온도만을 준수하여 상품의 변질을 방지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콜드체인 상의 적절하지 못한 관리로 인한 상품의 손실이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센서 및 RFID 등의 AIDC 기술을 이용하여 콜드체인 상의 상품을 모니터링하고 의사결정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보관 구역에서의 적절한 보관 환경을 설정하기 위하여 AIDC 기술을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DC 기술 및 상품의 품질을 기반으로 하여 저온 보관 구역의 보관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관될 신선 식품의 신선도 및 가격, 저장 수명을 기반으로 하여 단일 혹은 다수로 구성된 저온 보관구역의 보관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여 고정적으로 보관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상품의 동시 보관을 위한 적절한 보관 온도와 습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저온 보관 중 상품의 품질 보존 기간을 늘리고 상품이 손실로 인한 폐기비용을 감소시킬 것이다. As the market for long-distance transportation of perishable products grow, a cold chain is getting more attention. It is desirable for most perishable products to be produced, transported, distributed and sold with good control of their cold chain.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products on cold chain would be useful for decision-making. A good control of cold chain helps to preserve the quality of products and to increase the profit. But now, many companies which deal with perishable product only focus on the keeping existing temperature regulations. This thesis designed an indicator for checking the quality of fresh produce. The indicator wirelessly reports real-time information of the products using RFID and sensor technology. Based on the food quality, the thesis presents algorithms for selecting proper storage environment of various kinds of products. Exact Centre-of-gravity approach and Genetic Algorithm are used to calculate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level for one or several refrigerated storage rooms. Using these algorithms, we believe that we can extend the shelf life of the products and reduce the product loss.

      • 셔틀 기반 AS/RS와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 미니로드 피킹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방안 연구

        김우람 韓國航空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전자상거래 등 비정형 소형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이 커짐에 따라 물류센터에서는 미니로드(miniload)의 피킹(picking)이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또한 다양해지는 상품의 종류와 짧아지는 배송 리드타임, 배송 오더의 증가 등은 물류센터가 제한된 비용 내에서 고객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은 미니로드 피킹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운송체를 사용하여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shuttle) 기반 AS/RS(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와 자동화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피킹 업무를 보조하는 피킹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은 미니로드의 피킹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셔틀 기반 AS/RS 및 자동화 기술 기반 워크스테이션을 실제 구축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의 피킹 프로세스를 계획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셔틀 기반 AS/RS와 자동화 기술 기반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한 미니로드 피킹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제 물류창고 운영 환경과 동일하도록 오더 관리 모듈, 셔틀 기반 AS/RS 및 피킹 워크스테이션의 세 가지 서브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피킹 시스템을 모델링 한 후에 서브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 피킹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셔틀 기반 AS/RS와 워크스테이션의 물리적 연결 방법에 따라 두 가지의 타입의 시스템을 가정하고 각 타입에 적합한 시스템 기능을 모델링하고 운영 방안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에이전트로 구성하여 전체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확장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피킹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더 스케줄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된 시스템의 피킹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셔틀 기반 AS/RS와 자동화 기술 기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미니로드 피킹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의미있는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lean production and e-commerce grow, deliveries for various items with small volume are increasing. Therefore, order pickings for the deliveries are deemed to more important tasks in many facilities such as distribution centres. Furthermore, customers progressively require more diverse items, shorter lead time and more frequent deliveries. This trend constrains distribution centres from satisfying customers in an efficient way and encourages distribution centres to explore a new way for order picking. In this harsh environment, automation technology can be a good solution. For example, parts-to-picker systems can help a distribution centre to pick very diverse items with little labour. This thesis deals with a shuttle-based AS/RS with an automated picking workstations. A shuttle-based AS/RS is a new type of AS/RSs in which multiple vehicles are used to retrieve and store items. An automated picking workstations help pickers to enhance their picking efficiency with automaton technology such as conveyers, auto identification, digital displays, etc.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 miniload picking system which adopts shuttle-based AS/RSs and automated picking workstations. Comprehensive picking processes were designed to operate the miniload picking system. And detailed functions of sub-systems that constitute the whole system were designed to realize the picking process. Computer simulation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system operated well in an efficient way. This work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advice to someone who wants to build an automated miniload picking system.

      •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복합화에 따른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분석 : 서울시 강남구를 중심으로

        김우람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과거의 동사무소는 단순히 행정업무만을 위한 공간으로 밖에 인식되지 못했다. 정부의 “행정 동 전환정책”에 의해 동사무소는 주민자치센터라는 이름으로 그 기능과 역할에 있어서 주민의 복지, 문화 증진을 주 기능으로 하는 복합화 시설로 변화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화 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주민자치센터는 프로그램과는 달리 단순화된 구성의 실내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아직 과도기적 시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직까지도 지자체의 관리자들은 지역 주민들의 특징 및 분석 결과와는 별개로 잘되었다고 평가되어지는 주민자치센터의 사례를 그대로 답습하여 해당 동에 적용하고 있다. 그 적용 역시 프로그램 복합화의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조직방식이나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축방법, 표현 특징 등 다각적이지 못하고 외부의 형태적 아름다움 추구에만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복합화라는 관점으로 주민자체센터의 실내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화의 유형에는 도일 건물 또는 동일 부지 내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설치하여 지역 주민이 필요로 하는 문화 복지 서비스를 가능한 한 동일 장소에서 제공하는 물리적 차원의 복합화와 프로그램이 동일 건물 또는 동일 부지 내에 입지하든 하지 안든 지역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문화, 복지 서비스를 관련 시설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적 차원의 복합화가 있다. 복합화의 유형을 물리적 차원의 복합화에 의해 구분하면, 하나의 기능을 가진 단독형과 동일한 기능의 복합인 동종시설 중복형, 서로 다른 기능의 복합화인 이종시설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구성의 특성으로는 자연채광을 고려한 공간구성, 상호관계성, 자유로운 동선으로 나누었으며, 표현특성으로는 사용자 중심의 계획, 공간의 가변성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의 개방성으로 경계부에 오픈스페이스를 배치하거나 외피를 투명하게 표현하여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물리적, 시각적 개방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내, 외부 경계공간의 개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용자들이 보다 원활하게 주민자치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된다. 기존의 수직적 프로그램 조직 방식은 수평적 혹은 수평, 수직적 방식으로 다양화 되었고, 고정적 성격의 기존 실내공간은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형태의 공간으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복합화에 의한 주민자치센터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한 기반 위에서 발전시켜 복합화라는 성격에 맞는 새로운 주민자치센터의 공간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village office in the past was recognized as a simple space for administrative services. Along with the "government's transforming policy of village office", it is being changed to an complex facility playing a role for the welfare and cultural enhancement of inhabitants under the name of Culture Center. However, unlikely from the integrated programs, the interior space of Culture Center is still in transitional period because of its simple configuration. This research purports to investigate the interior space in the perspective of program integration to solve this problem. a local government managers are still applying well done-culture center to their local culture center un touched without analysing of local people and local characteristic. The application also is not as a complex program culture space for local community and the space representation method, representation feature and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he complex program view but limited to pursuit of exterior structural beauty This research purports to investigate the interior space in the perspective of program integr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ult shows that complex patterns include physical complex to provide culture and welfare program needed by local residents at the same place as far as possible by installing different culture center together within the same building or site and functional complex to effectively provide culture and welfare program needed by local residents through organic association between related facilities whether the culture center is located within the same building or site or not. according to physical complex into a single pattern having one function, and a duplicated pattern of different kind facility with the same function, and a complex pattern of different kind facilities with different functions. spatial complex characteristic can be classified into spatial complex, mutual relationships and free movement considering sun light,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into a user-based plan, spatial variety. openness of space opened to external. By allowing the people to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space visually through arranging public space in the border or expressing the outer cover transparent, the physical and visual openness are improved. the existing vertical configuration method of program was diversifi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method, and the inflexible existing interior space is required to be flexible and variable. This research aims to realize new space of Inhabitant Self-Government Center which will match with the features of program integration based on the issues found by analysis on its spatial characteristics by program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