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용필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최근 산업현장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고속화, 고정도화가 요구되는 고속가공(High-speed machining)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컴퓨터의 급격한 발전과 CNC 공작기계와 CAM 소프트웨어 등 급속한 개발로 자동차 부품, 금형 등 복잡한 3차원 자유곡면 형상을 갖는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과 복잡한 형태의 제품 생산은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사용한 볼 엔드밀 고속가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형제작시 반구형태의 피삭재 기계구조용탄소강(SM45C)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가공방법 및 가공조건을 적용하고 곡면 경사위치각의 변화에 따른 절삭력 특성과 표면거칠기 등을 비교하여 최적의 가공방법과 가공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표면거칠기와 5가지 정삭 가공방법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실험장치로는 고속가공기와 절삭저항 측정을 위하여 3축 공구동력계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은 공구동력계로부터 전압증폭기를 거쳐 NI-DAQ board (USA)에서 A/D변환되어 LabVIEW 프로그램을 통해서 저장 분석였으며 촉침식 표면거칠기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정삭 가공의 평면영역에서는 스캔 정삭이 틈새 가공 정삭보다 절삭력이 작게 나타나고 있으며, 곡면가공에서는 공구입사각이 60°보다 클 경우에는 등고선 & 스캔 정삭이 우수하며, 입사각이 60°보다 작을 경우에는 스캔 정삭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표면거칠기 면에서는 틈새 가공 정삭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크기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틈새 가공 정삭의 경우는 공구의 입사각이 작아짐에 따라 표면거칠기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절삭력과 표면거칠기, 생산현장에서의 생산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공구 입사각이 60° 이상이면 등고선 정삭, 이하에서는 스캔 정삭으로 가공할 수 있는 등고선 & 스캔 정삭 방법이 가장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rec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importance of 3D free-formed surface machining has been increasing using ball end mill in CNC High-Speed Machining. The geometrical accuracy of the 3D workpiece should be effected by the cutting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 hemispherical test piece was used as a 3D workpiece using φ6 mm ball end mill according to vary processing method of finish cu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 High-Speed Machining, the cutting forces in the three(3) axis using a strain gage type tool dynamometer were measured for a vary processing method of finish cut. The accuracy of processing method in hemisphere was considered by surface roughness. The surface roughness were measured using the contact type surface roughness measuring device. The results of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 the one of vary process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processing method was related with the cutting force and surface roughness in hemispherical workpiece. In the range of plane surface, the cutting forces of the gap finish cut were greater than that of scan finish cut. In the range of the curved surface, the was shown that the cutting forces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 were different due to the position of hemispherical workpiece. Therefore, considering to life of cutting tool and productivity in the manufacturing field,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ool is greater than 60 degree, the method of a contour finish cut is better. When the angle of incidence of tool is less than 60 degree, the method of a scan finish cut is better.
본 연구는 S시에 거주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고, 자녀의 공격적 성향에 미치는 부모의 성격특성요인은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부모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공격성을 유발, 강화시키는 부모의 성격특성을 순화시키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성격특성과 아동의 공격성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자녀의 공격성은 부·모의 성격특성 요인들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88명(남자200명, 여자1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는 공격성검사를 실시하고, 부모에게는 성격특성검사지를 투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는 부모의 성격특성과 아동의 공격성과의 상관 관계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 r을 산출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고, 자녀의 공격성요인과 부모의 성격특성요인의 정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토대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의 관계 부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의 관계에서는 부의 성격의 하위요인인 안정성과 자녀의 공격성의 하위 요인인 간접공격성, 부정성, 언어공격성이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의 책임성과 자녀의 간접공격성, 언어공격성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의 남향성에서는 간접공격성, 부정성, 흥분성이 부의 충동성에서는 흥분성, 부의 우월성에서는 간접공격성과 언어공격성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부의 사회성에서 자녀의 흥분성이, 부의 사려성에서는 자녀의 폭행성이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2) 모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의 관계 모의 성격특성과 자녀의 공격성과의 관계에서는 모의 성격의 하위요인인 안정성과 자녀의 간접공격성, 부정성, 언어공격성이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모의 남향성에서 자녀의 간접공격성, 부정성이, 모의 우월성에서는 자녀의 폭행성과 간접공격성이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모의 사려성에서는 자녀의 공격성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모의 충동성에서도 자녀의 간접공격성과 언어공격성이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3) 자녀의 공격성과 부의 성격특성요인의 정도에 따른 차이 부의 안정성과 부정성(p<.001)이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부의 지배성과 폭행성, 간접공격성, 언어공격성(p<.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의 사회성과 부정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부의 책임성에서는 폭행성, 간접공격성(p<.001), 흥분성, 언어공격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부의 사려성에서는 폭행성(p<.05)이 부의 우월성과 자녀의 흥분성(p<.01), 간접공격성, 부정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부의 남향성과 충동성에서는 자녀의 흥분성 부정성, 언어공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4) 자녀의 공격성과 모의 성격특성요인의 정도에 따른 차이 모의 안정성과 자녀의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부정성(p<.001), 간접공격성(p<.01), 언어공격성(p<.05)이, 모의 책임성에서는 흥분성(p<.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모의 사려성과 자녀의 간접공격성(p<.05), 부정성(p<.01)이, 모의 남향성과 자녀의 부정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모의 충동성과 자녀의 폭행성(p<.05)이, 모의 우월성과 자녀의 언어공격성(p<.05)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closely what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and personality trait pacts of parents that affect the propensity to aggressions of children is what difference in proportion to rate subjects for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sublimates the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that cause the aggressions by examine closely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and offers an fundamental data for go to better way to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 questions of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how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Second, does the aggressions of children have a difference in proportion to rate of personality trait pacts of parents? Subject of this study were 388(boys 200, girls 188)sixth grader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S city and inspecting aggressions to the children and personality traits to parents. Collected dat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8.0 program. Statistically,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verifi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difference in proportion to rate of between personality traits pact of parents and aggressions pact of children verified by using one-way ANOVA The main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partially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and aggression of children. Personality traits of mothers showed more relations than personality traits of fathers to aggressions of children but, the relations showed low rates. Also there were same conclusions that established theories or previous studies but depend on low pacts, there were opposite conclusion that previous studies. Second. a difference in proportion to rate of between personality trait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showed a difference of aggressions all the top, middle. lowest groups. Especially, aggression pacts of children showed low in middle level of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This means the middle of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makes aggressions of children lower than the extreme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rait of parents and aggressions of children so, personality traits of parents that cause the propensity to aggressions of children have to be cared and sublimates through education of parent continually.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특급호텔 객실 종사원 중심으로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aimed at employees in the room related department in five-star hotels, which may be the symbolicity and the standard for representing Korean hotel companies. Thus, the study looked into how the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and managers in hotel companies affect the empowerment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in hotel companies, according to leadership style(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hotel industry in which the dependency of the human resources of organization members is high and the influence of managers is significant. Accordingly, the study aimed to propose a wa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tel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 the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research project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owerment.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wo parts: a temporal scope and a spatial scope. First, the temporal scope las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08, and second,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or the spatial scope, targeting employees with over 5-years of experience in the room service department, working in about 20 five-star hotels in Seoul, Busan, and Jeju. In order to look at the relationship of how the leadership style affected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in hotel companies, based on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study established and analyzed a total of 17 research hypotheses. The research summary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ccordingly.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eadership on empowerment. In the impact factor of empowerment, the contingent reward significantly affecte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in the meaning factor of empowerment, both a contingent factor and a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In the empowerment competence factor, both the contingent reward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Also, in the self-determination factor of empowerment, the contingent reward factor was significantly affective. When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based on the above, the contingent reward factor out of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factors was significantly affective to empowerment on the whole, which means various reward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a boss may affect empowerment. Therefore, hotel companies were found to have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ss and the employees. Regard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impact factor of empowerment, a charisma factor and an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 the meaning factor of empowerment, the charisma factor a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 were also significantly affective. In the competence factor of empowerment, only the charisma factor fro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affective, and in the self-determination factor of empowerment, the charisma factor a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When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based on the above, the charisma factor from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empowerment, in general, which means employees' pride and trust in a boss, and respect for a boss may affect empowerment. Thus, hotel companies are shown to be required to further enhance employees' pride and trust in a boss by cultivating a boss who is more reliable and respectable through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boss.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n it comes to transactional leadership out of leadership, only the contingent reward affected job satisfaction factor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oth the contingent reward factor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were found to be effective. Also, in the turnover intention factor amo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ntingent reward factor was negatively(-) affective,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was positively(+) effective. When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above, the contingent reward factor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from transactional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the whole. One peculiar thing is that the management by exception factor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turnover intention factor. This means that when a boss points out mistakes by employees or reports a certain problem to employees or intervenes with employees during the occurrence of a problem, employees desire to leave the company. In other words, excessive intervention and control by a boss would cause subordinate employees to be resistant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company. Hence, hotel companies were discovered to have a need to make a boss avoid excessive intervention or involvement with subordinate employees, and support them in dealing with their work independently. Concern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factor ou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harisma factor, a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factor, and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factor were all significa
LiveDRM 환경에서 라이센스 발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용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Live DRM applies the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to real-time broadcasting. DRM is the general digital content circulation system that includes authorization control technology, which protect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digital content from illegal replication, packaging technology, license control and authority control.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applicable to various technologies including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INDECS (Interoperability of Data E-Commerce System), DW (Digital Watermarking) and DRM. All the aforementioned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however DRM is the most popular because of its manageability of Super-Distribution. Nowadays, real-time broadcasting requires DRM technology, i.e. Live-DRM. However, when applying this system to an old technology, it might stress the license server. This study offers a method of converting a currently broadcast system into LiveDRM by issuing licenses through the dynamic multimedia rearrangement and separation that uses W3C’s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Markup Language. With the LiveDRM system, media server Plug-in authorization is used to filter the illegal users from the traffic, and it also connects to the server to obtain a license. Not only that, it is able to reissue the license to the subscribers whose watching the media longer than the average users.
비트코인 이후로 수많은 암호화폐가 등장하였으며 암호화폐 거래도 증가하였다. 이와 동시에 암호화폐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암호화폐 탈취를 위한 거래소 정보통신망 침해사고와 더불어 암호화폐 투자사기를 포함한 범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랜섬웨어나 다크웹상에서 불법 무기 거래, 마약 거래 등의 대가로 암호화폐가 요구되고 있다. 암호화폐는 각종 범죄의 자금세탁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암호화폐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함께 암호화폐의 익명성 및 각종 믹싱, 스왑 기술로 인하여 거래내역 추적이 어려운 상황이다. 암호화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에도 정부의 정책과 암호화폐 규제를 위한 법적 근거도 미비한 상태이다. 암호화폐로 인한 현실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형사법적 대응이 절실하다. 이 논문에서는 암호화폐 사건 수사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쟁점이 될 수 있는 사항들을 다루어 현행법상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구체적인 법적 논의에 앞서 암호화폐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현재까지 암호화폐에 대한 논의는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암호화폐를 지칭하고 있는 용어가 통일되지 않아 유사 개념과의 구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현금 외에 전자적으로 표시되는 화폐들은 모두 디지털화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화폐는 다시 전자화폐와 가상화폐로 구별되며, 암호화폐는 가상화폐의 하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암호화폐의 종류와 특성이 다양하다는 점도 암호화폐의 개념 정립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다양한 특성을 지닌 암호화폐를 단일 개념으로 볼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암호화폐의 전송 과정을 기준으로 기술적 원리를 설명하고 암호화폐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국 모든 암호화폐는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공통된 특성을 지닌다. 위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으로 정의하여,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였다. 암호화폐는 행위 객체로서 재산상 이익 내지 이익에는 해당할 수 있으나 재물 또는 물건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음으로 암호화폐가 관련된 사건에서 수사기관이 취할 수 있는 일련의 절차로써 동결, 압수 및 몰수보전의 문제를 다루었다. 암호화폐 동결 조치는 수사 과정에서 매우 큰 중요성을 갖지만, 수사기관의 동결 요청은 임의수사에 해당하고 거래소의 협조 여부에 따라 동결 여부가 결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암호화폐 동결이 불가능한 경우 압수가 고려될 수 있으나, 암호화폐 자체를 압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의 몰수특례법에 따라 범죄피해재산인 암호화폐를 몰수하거나 피해자에게 환부하는 것은 제한적으로 인정되어 암호화폐에 대한 몰수보전 또한 실효성이 없다. 암호화폐 관련 사건의 특성상 민사절차를 통해서 피해를 회복하는 것도 곤란하기에 법률 정비와 더불어 다양한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Many kinds of cryptocurrency have emerged since Bitcoin and its trading h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cryptocurrency have arisen. With the intrusive acts on the networks of cryptocurrency exchanges, crimes including fraud on cryptocurrency investment are frequently occurring. It is demanded for ransom money at the ransomware case and on the dark web in exchange for illegal weapons, drug transactions or etc. Cryptocurrency is also used as a means of money launder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track down the crytocurrenc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pace, anonymity of cryptocurrency and various mixing and swap techniques. Despite the necessity of active response, government's policies and legal grounds for the regulation are insufficient. However, the actual damage caused by cryptocurrency is critical and criminal justice response is desperately required.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nature of cryptocurrency by focusing on the concept and deals with the freeze, seizure and confiscation as a series of procedures which can be taken in the cases involving cryptocurrency. As of now, the concept of cryptocurrency has not been dealt with in depth.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terminology used for cryptocurrency is not unified and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imilar concepts. Except for the cash, all the electronically representable currencies can be referred to as digital currency, which can be divided into electronic and virtual currency. Cryptocurrency falls into the sub concept of virtual currency. Furthermore, the variety of cryptocurrency can also hind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t can also be questioned whether the cryptocurrenci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could be considered as a uniform concept. This article describes the technical principles based on the transfer process of cryptocurrency and provides systematic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discuss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all the cryptocurrencies are based on the blockchain and encryption technolog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this paper defines the cryptocurrency as the authority to manage, access or change the blockchain network data, and then judges the legal nature of the cryptocurrency. It corresponds to interest or profits, but not objects or property. The following discussion covers overall investigation procedure and its problems. As the first process of the procedure, freezing measures to the assets in the cryptocurrency exchanges are important. But the freeze request of investigation agency is not legally binding. The freeze of assets fully depends on the cooperation of exchanges. Seizure could be considered as the next step, but it is impossible to seize the cryptocurrency itself. Preservation for the confiscation should be reviewed in the situations where the cryptocurrencies are transferred to the exchange or the private key cannot be seized. However confiscation or recovering the criminal proceeds to the victims is restrictively allowed in the current law. It is also difficult to recover damages through civil procedures due to the nature of the cryptocurrency case. Thus, various levels of efforts are needed in addition to the revising of relevant law.
괴델의 두 번째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해석에 관해서 : 괴델의 두 번째 불완전성 정리에 대한 표준적인 해석의 근거 그리고 비표준적인 해석의 근거에 대한 고찰
독일 수학자 힐베르트(David, Hilbert)는 그의 「기하학의 기초」(1899)에서 기하학의 일관성을 산수의 일관성에 의거하여 증명하였다. 즉 산수에 대한 기하학의 상대적 일관성을 증명하였다. 때문에 힐베르트에게는 산수의 일관성 증명이라는 문제가 새롭게 중요한 것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20세기 초에 ‘수학의 위기’를 초래한 러설의 역설(Russell's Paradox)이 제기 되었다. 그 후로 수학자들하고 논리학자들에게 그 역설의 문제가 공론화 되었지만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0년대에 힐베르트는 고전 수학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 힐베르트 프로그램으로 알려진 새로운 제안을 하였다. 힐베르트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공리적인 형식에서 수학의 모든 형식화와 수학의 일관성 증명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수학의 일관성이란 수학의 어떤 문장도 모순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일관성 증명은 힐베르트가 “유한적인” 추론이라고 불렀던 것만을 사용해서 수행될 수가 있었다. G2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페아노 산수(Peano Arithmetic, P.A.)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P.A.를 비형식적으로 설명하자면, P.A.는 자연수를 다룰 수 있고 덧셈과 곱셈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산수를 포함한 형식적인 공리 체계이다. 또한 어떤 체계가 일관적이란 것은 그 체계 안에 모순을 나타내는 문장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G2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P.A.가 일관적이라면, P.A.는 자기 스스로의 일관성을 증명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자기 스스로의 일관성을 증명할 수가 없다는 것은 P.A.의 형식화 된 방식으로 P.A.의 일관성을 증명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 형식화 된 방식이란 것이 바로 공리적인(axiomatic) 접근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은 P.A.가 비일관적이란 것이 아니라 P.A.가 일관적이지만 형식화된 방식으로는 일관성을 증명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반면에, 힐베르트 프로그램은 유한적인 추론에 의해서 수학의 일관성을 증명하려고 한 특징을 가진다. 힐베르트는 유한적인 추론에서 허용되는 수단들이 무엇인지 형식적으로 규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힐베르트가 가지고 있었던 수단들은 P.A.와 같은 산수 체계에서 형식화될 수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G2의 귀결에 의해서, 즉 P.A.가 스스로의 일관성을 증명할 수가 없다면, 기본적인 산수의 일관성 증명도 유한적인 추론으로 증명할 수가 없다. 때문에 힐베르트 프로그램은 수행될 수가 없다. 이것이 바로 G2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G2가 힐베르트 프로그램을 반박한다는 해석을 표준적인 해석이라고 하자. 그러한 해석의 근거는 G2의 증명과정을 살펴보면 분명해지는데 이것은 본론 1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데틀레프센(Michael, Detlefsen)은 G2가 힐베르트 프로그램을 반박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것을 비표준적인 해석으로 규정하자. 이것은 본론 2에서 상세히 소개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G2에 대한 비표준적인 해석이 충분한 근거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론 1에서는 G2에 대한 표준적인 해석을 소개하고, 본론 2에서는 G2의 비표준적인 해석과 그에 대한 반박들을 다루었다. David Hilbert, German mathematician, proved consistency of geometry based on the consistency of arithmetic in his 「Foundations of Geometry」(1899). In other words, he proved relative consistency of geometry for arithmetic. So, the problem, poof of arithmetic's consistency, became newly important for Hilbert. In addition, Rusell's Paradox creating ‘crisis of mathematics’ was sugges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n, the problem of paradox was publicly discussed among the mathematicians and logicians, but it was not solved easily. In this situation, Hilbert advanced a new suggestion known as the Hilbert's program so as to establish the base of classical mathematics in 1920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Hilbert program is to request all formalization of mathematics and consistency proof of mathematics in axiomatic form. Consistency of mathematics means no mathematical sentence shows contradiction. Consistency proof could be performed by what Hilbert called “finitary” methods. To understand G2, Peano Arithmetic (P.A.) should be firstly known. If examining P.A. informally, P.A. can treat natural number and is formally axiomatic system including basic arithmetic which can calculate addition and multiplication. Also, consistent system means there is no sentence showing contradiction. If describing G2 under the background, it can be said as follows. If P.A. is consistent, P.A. cannot prove its own consistency. In here, the fact that its own consistency cannot be proved means consistency of P.A. cannot be proved by P.A.'s formalized method. The formalized method is rightly axiomatic approach. And, it must be watched that P.A. cannot prove consistency with axiomatic approach, not P.A is non-consistent. On the other hand, the Hilbert's program has a characteristic to prove consistency of mathematics by finitary reasoning. Hilbert didn't regulate measures permitted in finitary reasoning formally. But, it's clear that measures Hilbert had can be formalized in arithmetical system like P.A. But, if P.A. cannot prove its consistency by G2's conclusion, it cannot prove consistency of basic arithmetic with finitary reasoning. Therefore, the Hilbert's program cannot be conducted. It's rightly core content of G2. Let's suppose that the interpretation G2 refutes Hilbert program is standard interpretation. If examining G2's proof, the grounds of interpretation become clear. It was minutely explained in the main subject 1. But, Detlefsen, Michael insists that G2 doesn't refute Hilbert program. Let's define it as non-standard interpretation. It was minutely introduced in the main subject 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at non-standard interpretation of G2 shows sufficient grounds. And, to achieve the goal, standard interpretation for G2 was introduced in the main subject 1 and non-standard interpretation for G2 and its refutation were treated in the main subject 2.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인식 및 제품 선호도와 기호도 : 부산·경남지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Awareness and Product Evaluation and preference of The Bakery Cafe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with which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of customers' life style pattern used in bakery cafe and resource to operate bakery cafe for customers satisfaction and high Quality & servie.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400 males and females age 20∼30 in Busan․Gyeongnam. Among them 375 papers were valid for statistics process(valid collect rate is 93.8%)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papers and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on each variable was made by x2 -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take after the verification at the level of p<0.05.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e rate of male was 50.4% and that of females was 49.6%. By age, the rate of 20∼29 was 48.3% and that of 30∼30 was 51.7%. On Awareness of bakery cafe, in case of definition of bakery cafe 54.4%, visited the bakery cafe 81.6%, On bakery cafe using pattern, in case of purchase 20,000∼29,000won 56.4, in case of frequency 1 time a month 28.9%, in case of date sometimes 49.2%, in case of time after 6 pm 33.9%, in case of routed information Internet/blog 60.3%, in case of prefer franchise bakery 59.8%. On changes used pattern of bakery cafe, in case of yes 83.0%, in case of general bakery → bakery cafe 46.4%. in case of reason to choice bakery cafe than others to eat in shop 45.4%, in case of using smart phon visit famous place 25.5%. On customer preference in beverage and product , coffee 70.4%, Americano 27.5%. On customer preference bakery product with beverage, Cake 24.5%, in case of bread cream bread 20.8%, in case of cake sweet potato piece cake & cheese piece cake 24.3%. In case of product honey bread 15.6%, in case of event day freshcream cake 29.6%, in case of present rollcake 20.7%, in case of christmas character cake 20.1%, in case of brunch menu sandwich 44.5%. When it comes to satisfaction in bakery cafe, in case of Quality & taste(M=3.66), hygiene(M=3.60), interior(M= 3.57). On improvement for increased bakery cafe, in case of improvement quality 39.8%, in case of development close the indistinctive bakery cafe 42.8%, In the bakery industry today, the competition between the bakery industry is the situation of competition with coffee shop is intensifying. The service in the form of a composite shop that was start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intensifying in this way, with the arrival and improvement of the required level and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s, consumer is the height of the eye I'm growing more and more. Correctly recognizes the competitive situa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bakery cafe operation required for the job is necessary. This research is coming out good business performance are used as basic data to use Bakery Cafe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our customers leading to continued opportunity I hope to visit. 본 연구에서는 부산‧경남지역에 있는 20‧30대를 대상으로 하여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인식 및 제품 선호도와 기호도를 성별, 세대별로 분석하였다. 복합 매장 형태의 베이커리 카페를 소비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객들의 베이커리 카페 이용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제품의 재구매와 베이커리 카페를 재방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베이커리 업계에 종사하는 제과제빵사 1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부산‧경남 지역의 남녀 20‧30대를 대상으로 2014년 4월∼5월까지 총 400명에게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처리에 사용한 유효 설문지는 375부였다(유효 회수율 93.8%).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및 성별, 세대별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각 변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x2 검증, T-test로 하였다. 베이커리 카페의 만족도와 재방문 인식에 관한 문항은 5점 ‘매우 그렇다’에서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의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신뢰도 Cronbach's α는 베이커리 카페의 만족도는 .8359, 베이커리 카페의 재방문 인식은 .7871로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카페에 대한 인식에서 응답자 375명중 54.4%가 베이커리 카페의 정의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81.6%는 방문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제품구입비로는 2만원∼3만원 미만이 56.4%로 가장 많았으며, 방문횟수는 한달에 한번이 28.3%로 가장 많았다. 구입하는 주기는 때때로가 49.2%로 가장 많았으며, 오후 6시 이후가 33.9%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인터넷, 블로그를 통하여 60.3%가 정보를 가장 많이 획득하고 있었으며,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에서는 59.8%가 베이커리 제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형태 변화는 일반 베이커리에서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로가 46.4%, 일반 베이커리에서 베이커리 카페로가 44.9%였으며, 베이커리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서 베이커리 카페를 더 선호하는 경우는 47.4%로 그 이유는 매장에서 제품을 먹을수 있어서가 45.4%였다. 대부분은 ‘베이커리 제품과 음료를 구입하여 매장에서 먹고 간다’가 54.7%로 가장 많았으며, 베이커리 카페를 이용 할 때 스마트 폰은 24.5%가 ‘유명한 곳을 찿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하였다. 외국여행 경험은 46.1%가 외국여행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외국 베이커리 카페를 방문한 후 우리나라 베이커리 카페의 개선점으로는 ‘특색 있는 제품’에 대하여 51.3%가 개선사항이라고 했다. 둘째, 베이커리 카페에서 가장 선호하는 제품은 허니브레드가 15.6%, 기념일에는 생크림 케익이 29.6%, 선물용으로는 롤케익이 20.7%, 크리스마스에는 캐릭터 케익이 20.1%, 브런치 메뉴로는 샌드위치가 44.5%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와 함께 베이커리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케익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선호하는 빵은 크림빵이 20.8%, 선호하는 케익은 고구마 조각 케익과 치즈 조각 케익이 24.3%였다. 베이커리 카페 제품의 선호도에서 선호하는 음료는 커피가 70.4%로 가장 많았으며, 아메리카노 커피가 27.5%로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베이커리 카페 제품에 대한 인식에서 ‘제품의 제조내용에 대해서’는 18.5%가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건강식품이라고 생각한다’는 9.9%로 매우 낮았다. 베이커리 제품 중에서 ‘가격이 비싸면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한다’는 14.9%였으며, ‘베이커리 제품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한다’는 82.1%였다. 베이커리에 대한 만족도는 제품의 맛과 품질(M=3.66), 위생상태(M=3.60), 인테리어( M=3.57), 제품의 포장 및 용기(M=3.56), 서비스(M=3.50), 제품의 구성(M=3.48), 할인 쿠폰 및 마일리지 적립(M=3.40), 고객의 요청사항 반영(M=3.35), 가격(M=3.17)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커리 카페 재방문 인식도와 발전 방향에서 재방문은 ‘제품의 품질에 만족해서 방문할 것이다 (M=3.57)’, ‘인테리어가 마음에 들어서 방문할 것이다 (M=3.57)’,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방문할 것이다 (M=3.54)’, ‘제품의 포장이 마음에 들어서 방문할 것이다 (M=3.53)’, ‘특색있는 베이커리 카페를 방문할 것이다 (M=3.39)’, ‘판촉 및 이벤트 때문에 방문할 것이다 (M=3.24)’, ‘베이커리 제품 가격이 상승해도 방문할 것이다 (M=3.16)’로 나타났다 베이커리 카페의 발전방향으로는 ‘제품의 질 향상’이 39.8% 가장 높았으며, ‘특색없는 곳은 문을 닫게 될 것이다’는 42.8%였다. 베이커리 카페가 증가한다면 ‘한 두가지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곳의 증가’가 30.8%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베이커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복합매장 형태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베이커리 카페를 인지하고 베이커리의 제품 품질 뿐만 아니라 음료에 대한 연구,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인식,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기호도를 조사하
漢語中有各충形式的偏正結構,其中最具代表性表達的是修飾或翎屬笑系的定中結構 (例“美麗的風景”, “他的書”等)。 這충定中結構具有名詞性,因此中心詞成爲體詞性結構成分的情況非常普遍, 而且定語的충類흔多,定中結構中旣有不加“的” 字(定語+中心語)的,也有加“的”字(定語+的+中心語)的情況。結構助詞“的”字用在體言(名詞、代詞、數詞、量詞的總稱)之前,作爲限制性定語的標志,構成名詞性“的”字偏正結構,可用作主語、賓語、定語等; 령外還可用于句子中名詞、代詞或名詞性短語與動詞、動詞性短語或形容詞中間構成“NP+的+VP”結構。(例: “他的到來”,“我們的討論”, “這本書的出版”等)該名詞或代詞是動作的施事者或動作的受事者, 限制幷使動詞的動作或狀態具有語意上的聯貫性。 笑于“NP+的+VP”結構的語法性質,“的”的語法作用及中心語“VP”的性質,흘今爲止學者們的說法一直都比較模糊; 笑于中心詞“VP”應該??分析,也因?代不同, ?者不同而?解各?, 甚至?着?代的??,?言?者?自身的?点也?生?化。1938-1943年?法?界???代??的?性?分?行了一?大??,1950年初又就?一??展?了一次大??。1950-1960年??的??焦点有?方面。第一?方面是 ?于“NP+的+VP”整???的性?。 黎?熙、?世儒在《???法?材》(1957)中??“NP+的+VP”??是主???,但是朱德熙《?法??》(1982)??????是名?性短?。第二?方面是?于???中心?的性?。初始,一部分?者主?中心?“VP”性?不?, ?一部分?者??志公主??由?家?布的《???????法系?》中?????用于主?和??位置, 使??和形容??得了名?的特性,?叫做“名物化”用法, 但部分?者仍然?疑此”名物化”用法的矛盾性。后?朱德熙、?甲文、??在《?于??、形容?“名物化”的??》(1961)中?,?然“NP+的+VP”??是名?性偏正??,但是中心?仍然是??性。 ?一?期?于“NP+的+VP”??的性?出?了??截然不同的?点。 一??点??“NP+的+VP”整????中心?性?一致。?一??点??“NP+的+VP”整????中心?性?不一致, ?“NP+的+VP”整???是名?性,但此??的中心?“VP”却是??性,?一?点?“向心??”理?相矛盾,因此?于????性的??一直持?不?。解??一矛盾的?者??明(2003)??“NP+的+VP”???是名?性??,但中心?不是“VP”,???的中心?是具有名?性功能的 “的”字,???也可以成?中心?。他??“NP+的+VP”??不是偏正??,而是“的”字??,???一?点?“向心??”(向心??:endocontric construction)也不矛盾。?“NP+的+VP”??的??最近?年除了在???言中考?的?例外,在此基?上表述新?点的?文也???表。 本?文的?点是以???中心?的“NP+的+VP”??, ?然?部?造?名?性,但?一般名?不同,???是主要限定性地用于主?或??位置的“的”字??。 本文通?????有?似用法的“NP+之+VP”的用法和“的”字的?史由?分析“NP+的+VP”??的?法功能, “NP”?“VP”的?意?系及“VP”的特征。 由于“NP+的+VP”??的用法、??多?,?言?境繁?, ???其下一?明?的??。但?者希望通??究??法?者?的??,深入理解???的?法特性和???系,正?理解???在句子中的含?,?而能更加自如地?用此??。 “NP+的+VP”整???是名?性,而中心?是??或形容?,?一?点?背了“向心??”理?,?也是?多??存在的原因。?非所有名?均适用于“NP+的+VP”??中的“NP”, 只有?“VP”有????的名?才能使用; 同?也非所有的??或形容?都能?用于???,只能因其?“NP”的???系而受限制的使用。 ?外“NP+的+VP”?限用于主?、??(含定???)、定?、副?及?句等,不可用于??, ?是??的??充???用法的典型功能,也是??的本??性。若“NP+VP”??中加入??助?“的”,“NP+的+VP”??的?法形???成“的”字短?,?然强?中心?“VP”,“NP”?“VP”的???系??有?大的?化。因此“NP+的+VP”??中的“的”字具有强?“NP”?“VP”的???系,??上表?完成??,?短??成名?性短?的特殊功能。?于“NP+的+VP”??,必?在大量的???言?例?究基?上, 才能考??短?使用?表?出的?法?用特征。只有如此,才能?本??的特性和使用??形成一?全面明?的??。 ?然本?文通????言?家的??探?分析,?“NP+的+VP”??也提出了一家之言,但一定有?得重新商?的??,在???言?用中有??考??究的必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