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판 단축형 고독동기 척도의 타당화

        김예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validate the Motivation for Solitude Scale-Short Form (MSS-SF) developed by Thomas and Azmitia (2019) by adapting it into Korean circumstanc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version of shortened form scale of solitude motivation (K-MSS-SF) can be divided into two factors, the same as the original scale. Seco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of the K-MSS-SF was 0.78 for Self-Determined Solitude(SDS) and 0.87 for Not Self-Determined Solitude(NSDS), and they were appropriat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K-MSS-SF has a satisfactory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validity and an appropriate construct validity. However, since there is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SDS and related variables, an additional validation process seems to be necess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active researches on solitude motivation by attempting to introduce a tool that can easily measure solitude motivation. The author hopes, based on this study, scales of solitude motivation suitable for domestic circumstances are devised and used in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or educational program dev 본 연구에서는 Thomas와 Azmitia(2019)가 개발한 단축형 고독동기 척도(Motivation for Solitude Scale-Short Form; MSS-SF)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판 단축형 고독동기 척도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2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판 단축형 고독동기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78,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 .87로 적절한 신뢰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국판 단축형 고독동기 척도가 만족스러운 수렴 및 변별 타당도와 적절한 구인 타당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관련 변인과의 상관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타당화 과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독동기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도입하고자 시도함으로써, 고독동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고독동기 척도들이 고안되어, 홀로 있는 것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을 위한 상담 및 치료적 개입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집단탐구 협동학습(GI)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 지도방안

        김예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탐구 협동학습(GI)을 적용하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집단탐구 협동학습(GI)을 적용한 감상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 보완한 수업지도안으로 예비교사들과 모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최종으로 제시한 음악 수업은 집단탐구 협동학습(GI) 모형이 충분히 반영되었으며,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동기유발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탐구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학생들 스스로 주제를 선정하여 구성된 모둠 내에서 역할 분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탐구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신이 맡은 역할을 수행하여 책임감을 느끼게 되고 학습을 주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음악에 대한 태도와 학습 목표 도달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교사가 수업을 구상할 때 활동 진행에 따라 학생들의 예상 반응이나 주의점 등을 꼼꼼히 계획하고 적절한 시청각 매체를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감상 수업에 집단탐구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이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같은 주제를 선택한 구성원들과 역할 분담을 하여 탐구 조사한 뒤 발표까지 함으로써 제재곡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할 수 있는 감상 수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집단탐구 협동학습(GI)을 적용하여 음악 감상 수업을 계획하고자 하는 모든 음악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music listening class guidance plan for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by applying Group Investigation. To achieve the purpose, I wrote an listening class guidance plan applying Group Investigation, and conducted mock class with preliminary teachers as a Class Guidance Pla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experts’ validity tests. Taken together, the music class I finally suggested sufficiently reflected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and it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inducing motivation for students to reach their learning goa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class, interest and problem-solving skills improved as students actively selected topics and collected and explored materials. Through this class, Students felt responsible and led the learning through the division of roles, and as a result, it helps them reach their attitudes toward music and learning goals. When teachers plan classes, they will be able to conduct more effective classes if they carefully plan students’ expected responses or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activities and use appropriate audio-visual media. Based on the results, the listening class with Group Investigation applied can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work and even develop a community sentiment through the course of the class. Therefore, I hope that my research will be helpful to all music teachers who want to plan music listening classes by applying Group Investigation.

      • 온라인문화매개자의 소셜미디어 콘텐츠가 문화예술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사회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을 중심으로

        김예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By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these days, social media, spreading day by day,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daily life for us. The use of social media has opened that potential power for companies to enter new markets, and individuals have more opportunities to obtain information by making various relationships online. Besides, it has brought a new trend that PR methods are improving through a variety of functions of social media platforms. As a result, various industry fields focus on social media as a means of carrying out PR, and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have also made efforts to utilize it as an effective PR tool. Moreover, the concept of an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has emerged by increasing the phenomenon that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re shared, reproduced, and spread within social media. Oth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and analyze their roles and functions. Even though the active academic discussions are in proces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the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how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social media-based activities affect social media users. Therefore, this research supplemented limitations by identifying how SNS contents provided by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affect audience intentions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and specifically examine what differences occur in the acceptance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 as an online culture intermediaries.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Research Question: How do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provided by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affect the acceptance process? The measuring tool has been adapted to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a sufficiently feasible measurement tool through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Parasocial interaction. Based on prior researches, independent variables (interactivity, convenience of access, information reliability, relationship motive, information motive and entertainment motive), mediating variables (cognitive Parasocial interaction and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and dependent variables (intention of information exploration and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relationship)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it, a total of 300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150 copies each for people using Instagram. The research represents that own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social media for use can elicit significant reactions to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Also, it was confirm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 formed between informants and users support not only simple interactions but also intents of receivers. Si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social media can be able to reproduce and spread by users who act as active content producers toda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content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considering whether the features or desires of social media expected by users can be reached. When it comes to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 if the users see the corporate information source, it induces a continuous user’s intention between the corporate information and the users. When the content provided by a company is perceived to be interactive, users are willing to accept the message and try to make a bond. The result shows two-way communication must continue rather than one-way communication. Secondly, when the user access contents created by individual informant creators, it only forms a bond between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users in the case that users perceive the information is reliable and relationship-oriented. And the less complex and easier the information is,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user will accept the content. It proves that reliable quality of contents can be a key factor in the flood of online contents era.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study that statistically verifies the effects of social media content by the intent of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The research conducted mainly on Parasocial interaction, it showed meaningful results with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categorizing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such as corporate and individual informant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of online culture intermediaries can be perceived significant, and detailed PR strategies can be devised more systematically by using social media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the social media users' intentions to accept actual content can be improved so that they can become potential audiences. If the intended content of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is well communicated, the Parasocial interaction will also be expanded, which will not only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media users but also affect consumer behaviours toward continuous culture and art experiences and consumption the cultur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be the basis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tent acceptance process provided by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on social media, after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soon.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나날이 확산되고 있는 소셜미디어는 사람들의 삶과 일상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진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개인에게는 다양한 관계 형성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켰다. 또한 기술 트렌드에 발 맞춰 소셜 미디어 플랫폼 내의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하여 새로운 PR 방식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PR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셜미디어를 주목하게 되었으며, 그 중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이를 효과적인 PR 수단으로써 활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더불어 소셜미디어 내에서 각종 문화예술 콘텐츠가 공유되고 이를 재생산하며 확산되는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문화매개자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그 역할과 기능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학문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문화매개자의 소셜미디어 기반 활동이 소셜미디어 이용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문화매개자가 제공한 SNS 콘텐츠가 의사사회 상호작용을 통해 수용자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온라인 문화매개자로서의 정보원 유형에 따라 수용 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 온라인 문화매개자가 소셜미디어상에서 제공한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는 수용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문화매개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독립변수(상호작용성, 접근편의성, 정보신뢰성, 관계추구, 정보추구, 오락추구), 매개변수(인지적 의사사회 상호작용, 정서적 의사사회 상호작용), 종속변수(정보탐색의도, 관계유지의도)를 활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자만을 대상으로 설문 유형에 따라 각각 150부씩, 총 300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의 자체적인 특성과 이용 동기는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해 유의미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원과 이용자 간에 형성된 의사사회 상호작용은 단순한 상호작용을 넘어 수용자 의도 역시 증가할 수 있도록 지원함을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에서 획득한 정보는 오늘날 능동적인 콘텐츠 생산자의 역할을 하는 이용자들에 의해 재생산되고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기대하는 소셜미디어의 자체 특성이나 욕구가 충족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콘텐츠의 제공이 필요하다. 정보원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기업 정보원의 콘텐츠를 접한 경우에는 기업정보원과 이용자 간에 정서적 의사사회상호작용이 지속적인 수용자 의도를 유도한다. 기업이 제공하는 콘텐츠가 상호작용적이라고 지각되면, 이용자들은 콘텐츠에 담긴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유대감을 형성하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방향적인 소통보다는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인 정보원의 콘텐츠를 접한 경우는 관계지향적이면서 믿을 수 있는 수준으로 콘텐츠라고 지각되었을 때 정보원과 이용자 간에 감정적 유대감이 유발되며, 정보의 복잡하지 않고 용이할수록 콘텐츠를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최근 콘텐츠의 범람으로 소셜미디어상에서 신뢰할 만한 수준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소셜미디어 콘텐츠가 수용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한 실증적 연구이다.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에 주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문화매개자로서의 정보원 유형을 기업 정보원과 일반인 정보원으로 구분하여 심도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온라인 문화매개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예술 분야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PR 전략이 보다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잠재적 관객이 될 수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실제적인 콘텐츠 수용 의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이 운영되기를 기대한다. 온라인 문화매개자 콘텐츠의 의도하는 바가 잘 전달된다면 의사사회 상호작용 역시 확대될 것이며, 이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의 관계적 향상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으로 문화예술 경험하고 소비하려는 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소셜미디어상에서 온라인 문화매개자가 제공한 콘텐츠 수용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의 단초가 되어,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lopfer 과학목표분류 기반의 발문 프로그램을 적용한 생명과학Ⅰ 1,2단원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김예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Klopfer 과학목표분류 기반의 발문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2학년 생명과학Ⅰ 1, 2단원에 적용하여 구조화된 발문 전략의 활용으로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흥미를 촉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 목표가 요구하는 과학적 탐구능력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도구인 발문을 차시 목표와 부합되도록 설계하였다. 우선, Klopfer의 과학교육목표 분류틀을 기반으로 ‘확인 발문’, ‘인식 발문’, ‘관찰 발문’, ‘분석 발문’, ‘적용 발문’, ‘태도 발문’ 의 6가지 발문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화하였다. 이후 각 수업 차시 목표 달성을 위해 적합한 발문 전략을 선택한 것을 바탕으로 차시별 발문을 계획한 뒤, 이를 학습지 형태로 제공하였다. 이후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S 고등학교 2학년 4개반 93명을 대상으로 교과서와 지도서를 기반으로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한 비교반과 발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으로 구성하였다. 수업처치 전후에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흥미도 평가 검사, 그리고 학생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정량적‧정성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인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학습 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Klopfer 과학목표 분류틀 기반 발문 프로그램에 의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단원 학습 후 과학적 흥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Klopfer 과학목표 분류틀 기반 발문 프로그램에 의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수업 참여와 언어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과학적 탐구능력과 흥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법으로서 발문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발문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Klopfer 과학목표분류틀, 발문 기법,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흥미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questioning strategy based on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 to units 1 and 2 of Life science Ⅰ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that promotes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interests by utilizing structured questioning strategies. To this end, Questioning, a tool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was designed to match the lesson learning objectives by focusing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required by the scientific goal. First of all, based on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 it was classified into six questions:‘confirmation question', ‘recognition question', ‘observation question', ‘analysis question', ‘applied question', and ‘attitude question'. Afterward, the questioning was planned ba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questioning strategies for achieving the learning objective of each class, and then it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udy paper. After that, 93 students in four second-year S high school classes in Ansan-si, Gyeonggi-do, were composed of a comparative group that conduct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based on textbooks and guidelines. And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lasses by applying for a questioning program. Before and after class treatment,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interest evaluation test, and student survey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after unit learning, the questioning program based on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cientific interest test after unit learn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by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based questioning program. As a teaching method to improv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interest by promoting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and verbal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help in class design using questioning strategies specifically. Keywords: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 questioning strategy,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interests

      • 일제강점기 신라(新羅) 이미지 연구

        김예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제강점기(1919~1945) 신라 이미지는 문헌기록과 경주에 남겨진 유적 및 유물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출판물 속 삽화, 관광 인쇄물과 기념품 그리고 회화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 신라 소재 이미지가 형성된 과정과 활용 양상을 미술계를 중심으로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신라가 시각문화의 주제로 선택된 배경에 두며 분석의 중점을 시대적 상황, 화가의 화풍(畫風) 및 일본화단과의 영향 관계 등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한일병합을 전후하여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신라는 내선일체의 키워드로 부각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차적으로 경주에 위치한 유적과 유물들이 발굴되고 소개되었다. 고적조사의 결과들은 대중들에게 공유되었고, 관광 홍보물에 사용된 유적과 유물의 이미지는 인쇄기술을 바탕으로 폭넓게 전파되었다. 특히 사진엽서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흑백 사진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발전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이처럼 관광에 활용된 이미지는 여러 매체들을 통해 확산됨과 동시에 대중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으로 변용되어 소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 미술계에서는 신라 소재의 작품이 재현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1920년대에는 신라 인물에 관한 설화가 작품의 소재가 되거나 기명절지도와 같은 전통 장르에 기물로서 신라의 유물들이 활용된다. 이 시기는 일본인 화가들의 조선 여행이 보편화되었으며, 일본 관전에서 먼저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적이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여러 인쇄물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풍경으로 대상을 규정하는 관광의 특성은 사진과 동일한 모습의 작품이 제작되는 배경이 되었다. 1930년대에는 인물의 전기를 표현한 역사인물화가 제작되거나, 조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유적이 자주 묘사되었다. 또한 화가가 지닌 신라 미술에 대한 관심은 유적과 유물이 가진 상징성과 결합되면서 경주 향토색으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동시기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1940년대에는 불교문화재가 일반 회화의 제재가 되는 신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에는 근본적으로 화가들의 불심(佛心)이 작용하였다. 또한 풍경화의 소재로서 유적이 활용된다. 이는 경주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졌으며 이들의 활동은 해방 이후 경주 화단에 계승되어 다양한 소재와 표현으로 확대하였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신라 이미지를 시기별로 분석한 본 연구는 신라에 대한 이해와 경주를 통한 신라 체험의 시각화를 고찰해 본 것에서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image of Sill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1919-1945) was form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relics left in Gyeongju. This can be found in illustrations of publications, printed matter for tourist propaganda, tourism souvenirs, and also painting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images of Silla identifi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art world by period. The focus of the study was considered on the background of Silla's selection as the theme, and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dividual painters' styles, and influence relations with Japanese painting circles comprehensively. Before and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910, Silla was noted by Japanese imperialism as a keyword of the Naeseon Ilche,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and accordingly relics located in Gyeongju were excavated and introduced primary. The results of the historic spot investigation were shared to the general public. And images of relics used in printed matter for tourist propaganda were spread based on printing technolog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stcards, the phenomenon of developing from black-and-white photos to various designs over time is remarkab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s used for tourism spread through various media and were transformed into designs that suit the taste of the public. In this situation of the times, it can be found that Silla-based works are produced in the art world. In the 1920’s, folk tales about Silla characters became the subject of works, or relics of Silla were used as artifacts in traditional genres such as Gimyeongjeoljido(器皿折枝圖). During this period, Japanese artists' travel to Joseon became common, and as first confirmed in the Japanese exhibit exhibition, historical site emerged as the subject matter of their works.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which defines the object as a familiar landscape seen in various printed materials,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production of works in the same shape as the picture. In the 1930’s, historical portraits expressing the biography of characters were produced, or historical spot were used as materials for art to express the identity of Joseon. In addition, the artist's interest in Silla Art was expressed in Gyeongju's local color combined with the symbolism of relics, and also affected artists at same period. In the 1940’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became sanctions for general painting showed the influx of new genres. This phenomenon was fundamentally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artist's Buddha's heart(佛心). In addition, historical spot are used as materials for landscape painting. Furthermore, this began to be confirmed by painters who worked mainly in Gyeongju, and their activities were inherited to the Gyeongju flower bed after liberation, expanding the image of Silla into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image of Silla dynas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period aims to find meaning in examining the understanding of Silla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Silla-experience through Gyeongju.

      • 근대 초기 단청 양식 변화 특성 연구 : 고종 및 순종 연간 궁실 건축의 내부 단청을 중심으로

        김예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research on early modern Dancheong that have not been studied in Dancheong research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ncept of "modern" until now. In this paper,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inside Dancheong of the 14 single-Palatial Buildings and Royal Residences, which are the common early modern Dancheong. The specific period covered in this study range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target pavilion in 1885, the late Joseon Dynasty, to 1926, the middl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fore conducting this study, we organized the forms of Dancheong in the Joseon Dynasty and focused on the Dancheong of the early 19th century, which was the immediate preceding period. Based on this,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ancheong patterns by architectural elements through a comparison with early modern Dancheo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ancheong patterns of each ele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Toeryangs were very simple, while the Daeryangs were elaborately decorated, clearly showing stylistic differences by element. Furthermore, while Moro-Danchung was the main form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a higher-grade form called Sunhwa-moro-Danchung emerged as the main grade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even higher-grade Kum-moro-Danchung was used in the palace.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he Sunhwa-moro-danchung form was used in all elements of the pavilion's interior.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head-end pattern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loring method, and overall, there was a trend of clearer color contrast.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rom Chapter 3, we examined in detail the consist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found in early modern Dancheong. The first point is the use of pigments other than Noerog(a traditional green mineral pigment) for the back of the neck and gyeppung. The gyeppung was variously colored with Changdan, Yangcheong, and Yangrok, while the back of the neck was painted with Yangcheong in all pavilions, suggesting that it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decorative elements. The second point is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head-end form, Yangjok-morocho, and the conjectured reasons for its introduction.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done intentionally to reveal the hierarchy. These points are considered attempts to bring changes to the architecture in line with the status of the imperial kingdom. The third point is the introduction of various Gilsang patterns on the transverse members other than the ceiling, and the origins and uses of elements such as Cloud and Treasures Patterns, the Curved Water Pattern with Wan, and Jjikeumjil and Gummun were examined. The Gilsang patterns were used to express authority and dignity while wishing for the fortune of the owner of the pavilion. Th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e changes in Dancheong in the early modern period, which had been almost unchang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e first examined the use of pigments, the main material of Dancheong. Joseon relied on imports for most of its pigments for a long time, and the process of finding high-quality pigments was a burden. However, artificial pigments produced in the West were cheap and served as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they had good hiding power and colorability, reducing the burden. The introduction of such imported pigments served as a foundation for bringing about chromatic changes. Lastly,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architectural styles between the royal court and temples associated with the similar period. The 19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royal court provided the most support for Buddhism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trend was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ith major contributors being high-ranking women of the royal court, including Queen Min. It is understood that Daewongun supported these women's contributions to solidify his own political position. Against this backdrop, numerous temples supported by the royal court were established in the vicinity of Gunggi, and we confirmed that three of these temples have a direct connection to Dancheong. Considering that these temples were established earlier than Dancheo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architectural style was transmitted from the temples to the palace. While it is believed that Painter Monks had some influence in this transmission process, the lack of concrete evidence beyond the personal records in the Uigwe poses limitations in making definitive conclusions. If further research is expanded, a more comprehensive study can be conducted. In conclusion, the early modern court ceramics examined in this study had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about 50 years to be included as a general style category. However,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tyle consistently continued in palace architecture even in the unique historical contex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restoration and repair of court-related buildings constructed or reconstructed during the modern perio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근대’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지금까지 단청사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근대 초기 궁실 단청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공통적인 근대 초기 단청 기법이 발견되는 궁실 건축의 단일 전각 14동의 내부 고단청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부적인 시기로는 대상 전각이 처음으로 지어진 1885년, 즉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기를 지나 일제강점기 중반인 1926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앞서 조선시대의 궁궐단청 양식을 정리하고 특히 바로 직전 시기인 19세기 초중반의 단청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근대 초기 단청과의 비교를 통해 건축 부재별 단청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내부 각 부재의 단청 양상을 상호 비교한 결과 퇴량은 굉장히 간소하며 대량은 화려하게 장식되어 부재별로 양식적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모로단청이 주된 양식으로 사용되었던 반면, 근대 초기에는 모로단청보다 높은 선화모로단청 양식이 주 등급으로 부상하며 더 높은 등급의 금모로단청까지도 궁궐에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한제국 시기에는 선화모로단청 양식이 전각 내부 모든 부재에서 사용된다. 이외에도 머리초 문양 구성요소는 이전 시기와 큰 차이는 없었으나 이전 시기와 배색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색 대비가 더욱 뚜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근대 초기 단청에서 일관적으로 보이는 양상 및 특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뒷목과 계풍에 뇌록 이외의 안료로 채색하는 점이다. 계풍은 장단, 양청, 양록 등으로 다양하게 가칠했으나 뒷목은 모든 전각에서 양청으로 칠해지는 점으로 보면 장식 요소의 하나로 판단된다. 두 번째는 새로운 머리초 양식인 양쪽머리초의 연원과 특징 그리고 도입 원인에 관해 추정해본 결과 의도적으로 위계를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들은 황제국의 격에 맞게 건축의장에서도 변화를 주기 위한 시도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는 천장 이외의 횡부재에도 다양한 길상 문양이 도입되는 점으로 선화모로단청의 중심 요소인 운보문, 만자곡수문, 찍음질과 금문 등에 대해 연원을 밝히고 사용상을 살펴보았다. 길상문양은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는 동시에 전각 주인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이렇듯 조선 후기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이어지던 궁궐단청이 근대시기에 변화를 보이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우선 단청의 주 원료인 안료의 사용상을 살펴보았다. 조선은 오랜 기간 안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했으며 질 좋은 안료를 찾는 과정은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서양에서 제작된 인공안료는 저렴한데다 은폐력, 착색력이 좋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최선의 대체제였으며 이러한 수입 안료의 도입은 채색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던 밑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유사시기 왕실과 관련된 사찰과의 양식적인 비교를 통해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세기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왕실에서 불교에 대한 후원이 가장 많았던 시기이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고종 연간에 가장 두드러지는데, 주 후원자는 대왕대비를 비롯한 왕실의 고위층 여성들이었다. 대원군은 이들의 후원을 지지하면서 부족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견고하게 만들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근기 지역에 왕실의 후원을 받은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고 3개의 사찰에서 궁실 단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시기적으로 궁실 단청보다 이들이 더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기 때문에 사찰에서 궁궐로 양식이 전래 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전래 과정에는 화승들의 영향이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의궤의 인명 기록만으로는 확실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추정에 그칠 수 밖에 없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향후 화기가 확충된다면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본 근대 초기 단청은 약 50년 동안 이어지기에 일반적으로 양식사로 편입하기에는 짧은 기간이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일관적으로 궁실 건축에서 양식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마지막 전통 단청 양식으로 정립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근대 시기에 건립되거나 재건되었던 왕실 관련 건축물의 단청을 수리하고 복원하는 데 있어 밑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꿈과 무의식에 대한 시각 요소의 조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김예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2020년 개인전 ‘우연과 필연의 경계’에 출품한 작품들과 이후의 신작을 중심으로 본인이 꾸는 꿈에서 본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내면의 무의식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에 대해 다루고 있다. 다변화되는 사회에서 현대인들은 자신이 어떤 것을 선호하고 원하는지 보다는 타인의 욕망을 자신의 욕망으로 혼돈하며 살아가고 있다. 사회적인 환경이나 주변의 시선이 이를 강요할 수도 있다. 본인은 꿈을 통해 이러한 강요와는 다른 자아로 살아오면서 꿈은 사회적 억압이 배제된 상태에서 본인의 존재를 대변해주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꿈에서 본 이미지는 다양한 은유로 본인의 작품에 등장하며 무궁한 상상력의 원천을 제공한다. 길고 짧은, 강렬하거나 소소한 꿈을 꾸고 망각하기를 반복하며 매일같이 꿈의 생성과 소멸 사이를 오가고 있다. 본인은 꿈에서 본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내면의 무의식을 그린다. 아이스페인팅의 추상적인 형태 속에 숨겨져 있는 이미지들을 찾아 꿈의 이미지에 대입시켜 구상적으로 발전시켰고, 꿈의 예측 불가능한 흐름이 아이스페인팅에서 연출되는 우연의 효과와 유사하다는 느낌을 받아, 아이스페인팅의 추상적인 물감 형태를 꿈을 표현하는 장치로 사용했다. 사진이 발명되기 전에는 실제의 형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그림을 그렸다면, 현재는 사진과 영상의 발전으로 실제에 대한 기록은 다양한 미디어가 대신해주고 있다. 하지만 꿈은 이러한 미디어로 기록하기 어려우며, 생생했던 꿈들도 시간이 지나면 잊혀진다. 내면의 기록은 글과 그림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꿈은 나를 대변하는 가장 순수한 상태라고 생각하여, 매일 일기를 쓰듯 작업으로 본인의 꿈을 기록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본인의 작업을 내적 동기 요소와 표현 형식으로 분리하여 분석했다. 내적 동기 요소 안에는 4가지로 나눠 서술했다. 첫 번째로, 본인이 물감이 흐른 흔적에서 연상되는 형상에 영감을 얻어 작업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 본인 그림 공간에서의 무중력성을 언급하였다. 세 번째로 이전 작가들의 우연성 시도와 본인 작업의 우연성을 비교했다. 네 번째로 게슈탈트 이론을 본인 작업과 연관지어 분석해 보았다. 표현 형식에서는 3가지로 나누어, 첫 번째로 본인 그림 공간 속 유기적인 형태에 관한 내용과, 두 번째로 본인 작업의 프로세스에 관한 내용, 세 번째로 본인의 작품에서 추상과 구상 부분을 나누어 비교 분석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인이 인식한 꿈에 대한 해석과 무의식을 표현하는데 있어 본인이 시도한 작업 방법을 서술하고 앞으로 나아갈 작업의 방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This thesis describes my artwork inspired by images I saw in my dreams focusing on works from my gallery called ‘Boundary between Coincidence and Inevitability’ in 2020 and new works since then. In a diversified society, modern people confuse others' desires as if it’s theirs, rather than knowing exactly what they want and prefer. Social environment or being conscious about others may force them to live for others. I live as another ego through dreams, and think they represent myself without any social oppression. Images I saw in dreams provide unlimited amount of creativity because dreams never overlap, appearing as various metaphors in my works. Every day the world of dreams is created and destroyed repeatedly by having long and short, impactful and small dreams. Inspired by the images I saw in my dreams, I draw my inner unconscious. I found the images hidden in the abstract form of Icepainting and substituted them into the dream image to develop them figuratively. I felt that the unpredictable flow of dreams was similar to the accidental effect produced in Icepainting, so I used the abstract paint form of Icepainting as a device to express dreams. Before photography was invented, pictures were drawn to record the actual shape, but now, with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video, various media are taking over the recording of reality. However, dreams are difficult to record with such media, and even vivid dreams are forgotten over time. I think the inner record can be effectively represented by writing and drawing. Thinking that dreams are the purest state that represents me, I started to record my dreams through artwork as if I was writing a diary every day. I analyzed my works by separating inner motivation and expression form. For the inner motivation, I will explain the four key elements. Firstly, I work by getting inspired from the figure made of paint melting and flowing. Secondly, in my drawings, gravity is not present. Next, I compared the coincidence approaches of other artists to my work. Lastly, I analyzed my work associating with the Gestalt theory. For the expression form, I will explain the organic shape in the space in my works, my work process, and abstract and figurative parts in my works. In summary, I will describe the analysis of my dreams, my work process for expressing unconsciousness, and the direction of my future work.

      • 지그재그 변압기를 이용한 양극 직류배전 시스템의 직류단 전압제어 동특성 향상 기법

        김예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decarbonization policy has been reinforced by suggesting carbon neutrality and reduction targets for each countr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a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With the prolif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DC-based power conversion devices and direct current technology application methods to power distribution systems have been increased and becoming popular. Furthermore, the medium-voltage direct-current(MVDC) and low-voltage direct-current(LVDC) have been replacing the existing AC- based distribution systems. The structures for the DC distribution system, which provide higher efficiency and flexibility compared to existing AC distribution systems, can be classified into unipolar and bipolar structures. In the unipolar structure, it provides a single common DC voltage. In the bipola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neutral point is shar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DC poles, which allows two DC-link voltage to be independently provided. The bipolar structure enables stable operation and flexible response through continuous half-power supply with a healthy pole, even if a DC-side fault occurs at one of two poles. However, the bipolar structure applied to the existing bipolar DC distribution system has a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power conversion circuit such as a voltage balancer is required to cope with different loads of each pole of the DC-sid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C-link response characteristic is limited by the DC-link capacitor of each converter. This thesis proposes a new single-stage power conversion circuit using a zigzag transformer without additional power conversion circuits(e.g. voltage balancers or DAB). The proposed circuit provides a decoupled independent DC-link control of two DC-link voltage in bipolar DC distribution and a fast dynamic response for controlling DC-link voltage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circuit method was verified through bot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