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야콘 분말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비만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야콘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야콘 분말의 일반성분 분석과 in vivo에서 5주령 된 흰쥐 수컷 24마리를 10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야콘 분말 첨가군(HFC-PS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10% 야콘 분말 첨가군(HFC-PSH)으로 나누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지혈증 및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게 야콘 분말을 식이의 5%와 10%로 4주간 병합 급여한 후, 혈중 지질대사 개선 및 지방조직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콘 분말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함량은 건량 기준으로 수분 함량 9.53%, 조단백질 1.13%, 조지방 0.40%, 조회분 0.79%, 식이섬유소 1.63% 및 탄수화물 86.52%였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지방산은 palmitic acid, 비타민은 비타민 C, 무기질은 K, 유기산은 oxalic acid, 구성당은 fructose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 In vivo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억제 효능은 ①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체중 감소효과를 보였다. 식이섭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만을 급여한 HFC군이 가장 낮았으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게 야콘 분말의 첨가는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이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야콘 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② 체중 당 간조직의 무게와 장간막지방조직 및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이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의 체중 당 간조직의 무게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지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야콘 분말 첨가군(HFC-PSL)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가 24.72%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는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의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각각 16.53%와 20.59%로 두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③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LT, AST, ALP 및 LDH 활성은 야콘 분말의 첨가로 저하되었다. ④ 혈청 중 포도당 함량은 각 실험군들 간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⑤ 혈청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들(HFC, HFC-PSL, HFC-PSH)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야콘 분말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야콘 분말 첨가군(HFC-PSH)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13.08%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⑥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이 40.10%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각각 17.81%와 27.37%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이 정상식이군(N) 비하여 44.24% 유의하게 증가하고,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은 각각 14.41%와 22.99%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이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각각 3.5배와 2.3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 모두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동맥경화 및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률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⑦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군(HFC)이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각각 44.74%와 41.19%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야콘 분말 첨가군(HFC-PSH)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군(HFC)에 비하여 23.34%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총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은 두군 모두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각각 25.02%와 29.7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⑧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 중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모두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10% 야콘 분말 첨가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10.62%와 11.35%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부고환지방 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10% 야콘 분말 첨가로 12.58%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야콘 분말 첨가군들(HFC-PSL, HFC-PSH) 모두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각각 11.05%와 15.00%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정상식이군(N)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in vivo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섭취한 야콘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야콘 분말에 함유된 식이섬유소인 inulin과 fructo-oligo당 등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지방조직의 체지방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 및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가 많은데 반해 육체노동은 적은 현대인의 대사성질환 예방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외의 성분이 어떻게 고지혈증 및 비만을 억제시킬 수 있는지는 추후 생화학적인 작용기전 등이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공간규모의 특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적응정책 연계를 위한 방법론 연구

        김아라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기후변화 취약성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동안의 평가는 생물⋅물리적인 측면과 사회경제적인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는 기후변화 취약성의 복잡한 개념 때문에 정보를 종합하는 데 용이한 복합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해왔다. 기존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구성하는 대리변수들은 논리적 적합성과 자료의 가용성에 근거하여 주로 통계자료들 중에 선정되었는데, 이를 선정하는 기준이 다소 주관적이었다. 또한 중복된 지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지표들 사이에 다중공선성이 존재하여, 특정 부문이 의도치 않게 가중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취약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기후노출의 본질적인 규모와 민감도, 그리고 적응능력의 평가 및 관리 규모를 고려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유사한 구성의 지표를 사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분석 기법인 주성분 분석과 군집 분석을 통해 국가 자료세트(국가규모)와 지자체 자료세트(지자체규모)로부터 기후변화 취약성의 핵심지표를 추출하여 복합지수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국가 자료세트에서는 여러 국제기구에서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총 33개의 대리변수 중 GINI Index, 인구밀도, 기대여명 등 18개의 대리변수가 추출되었다. 지자체 자료세트에서는 국내 여러 연구기관에서 기후변화 취약성의 지표로 많이 사용되는 총 34개의 대리변수 중 GRDP, 재정자립도, 인구밀도 등 10개의 대리변수가 주요 인자로 파악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대상으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리정보시스템(GIS)과 토지이용도 등이 평가 대상인 공간의 상황과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 선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표를 기반으로 진행된 취약성 평가의 결과가 적응정책에 연계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을 구성하는 주요 인자 중 공간규모에 무관하게 유지되는 것도 있지만, 공간규모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한 핵심 지표가 있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지역의 맥락화(contextualization)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bjective criteria for setting up adaptation policies. Many previous assessments of vulnerability have used a composite index because it can incorporate biophysic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relatively easily. Although using a composite index is simple method to assess vulnerability, this method has some limitations; 1) selection of proxy variables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s largely dependent on the availability of statistical data. Therefore, some variables are redundant, leading to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2) There has been little consideration on the “scale” issue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assess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a composite index by extracting key indicator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rom the national dataset (a national scale) and the municipal dataset (a municipal scal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national dataset and the municipal dataset were collected based on indicators being widely used in many studies of international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of Korea, respectively. These dataset were composed of proxy variables from the section of climate, demographic, health, welfare, agriculture, economic, infrastructure, and education data. As a result, in the national dataset, 18 proxy variables such as GINI index, population density, and life expectancy were extracted from 33 proxy variables. In the municipal dataset, 10 proxy variables such as GRDP, population density, and forest area were extracted from 34 proxy variables. In order to apply this result to the case study, we conducte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Jakarta, Indonesia. In the case study, we sugges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land cover map as a tool to select indicators reflecting spati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We also developed the methodology to connect vulnerability assessment with adaptation policies. This study shows that some indicators are important regardless of spatial scales and some indicators reflect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patial scale.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contextualization.

      •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

        김아라 대구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과학영재교육 내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의 진로를 찾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의 진로개발역량이 일반학생보다 높았다. 10가지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주도성과 진로인식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직업관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다만 9가지 하위영역에서는 주체성과 지도성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초등과학영재의 상관관계가 일반학생보다 더 높았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초등과학영재교육 내 진로교육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초등과학영재의 진로 인식 시기가 이르므로 조기에 진로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을 위해 학부모에게 진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초등과학영재는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받아들이며 진로와 직업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이 높으므로 진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흥미와 재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재교육 내에서의 진로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않으므로 지식과 기능 위주의 프로그램 뿐 아니라 실질적인 진로 지도 또한 이뤄져야 한다. 초등과학영재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가 더 높으므로 초등과학영재에게 수준 높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오배자 추출물의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균활성 물질 분리

        김아라 동의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우리나라의 양식 산업은 연안의 환경오염, 어류 양식장에서의 밀집양식으로 인한 질병 증가, 영양 상태 불균형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어류의 성장 저하 및 폐사가 발생되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비브리오병, 에드와드병, 연쇄구균증 등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의약품의 연구동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독성 및 내성이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천연물로부터의 의약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천연물은 부작용이 거의 적으며 무독성이고 넓은 항균 spectrum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새로운 구조나 기작의 신약개발에 많이 이용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전통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한약재를 이용하여 내성을 가진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의 개발을 탐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종의 천연물을 선택하여 모든 세균에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중 오배자에서 뛰어난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배자 80% MeOH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 추출을 하여 항균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특히 어병세균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배자 80% MeOH 추출물에 대한 V. ichthyoenteri와 E. tarda의 최소저해농도의 측정 결과 각각 32 ㎍/㎖, 64 ㎍/㎖의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인 오배자 EtoAc 분획물을 Diaion HP-20, Toyoperal HW-40C, ODS AQ column chromatography 이용하여 HPLC와 NMR을 통해 methyl gallate, gallic acid 와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을 구조 분석 하였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methyl gallate 와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두 물질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methyl gallate는 어병세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에서는 측정한 모든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ethyl gallate와 기존 항생제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및 ciprofloxacin과 병합하였을 때 효과를 checkerboard법으로 측정하여 FIC index를 구한 결과 V. ichthyoenteri와 E. tarda FP 5060에 대한 methyl gallate 단독 사용보다 각각 tetracycline와 ciprofloxacin과의 병용하여 사용하였을 때 시너지효과를 볼 수 있었다.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민감성과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민감성과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G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4년제 대학교에서 2022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SPSS 27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결과 :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민감성의 평균은 3.44점,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4.08점이었고, 마지막으로 연명의료 중단 태도의 평균은 3.12점이었다.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변수는 간호의 독자성(β=-0.11, p=.006)과 임상실습 경험(β=0.21, p=.008)이었다. 모형설명력은 12.9%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민감성과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의 독자성과 임상실습 경험이 연명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간호사가 되었을 때 대상자의 연명의료 결정 과정에서 올바른 역할수행을 하기 위해 교과과정에서 간호의 독자성을 고려한 연명의료와 관련된 임상현장의 다양한 사례를 기반한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me the influence of ethical sensitiv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10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y in G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to September 30, 2022.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IBM SPSS Statistics 27 program for data analysis. Result: The mean score were for ethical sensitivity, 3.44, for nursing professionalism, 4.08, for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3.12.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uniqueness of nursing(β=-0.11, p=.006),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β=0.21, p=.00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2.9%.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uniqueness of nursing,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re important for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fore, when a nursing university student becomes a nur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various cases of clinical practice related to life-sustaining treatmen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nursing in the curriculum to play a correct role in the subject'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process.

      • 남자 노인에서 흡연 음주 행동과 의치 장착과의 관련성

        김아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oking and drinking of the elderly and the wearing of denture, investigate the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on the wearing of denture in the elderly, and provide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senior oral health policy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employs raw data of 7th (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Among 941 male of 65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dental examination. Through dental examination on the dentures, wearing state was studied an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wearing dentures’ and ‘non-wearing dentur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n drinking’, ‘drinking’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while classified into non-smoker, past smoker, current smoker based on smoking to analyze relevance of the concurrent use of wearing dentures. Results: Among the subjects, 227(22.3%) were wearing dentures, whereas 714(76.7%) did not. Based on analysis, increased smoking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denture. And current smoking-No drinking(odds ratio[OR] 2.554; 95% confidence interval[CI], 1.119-5.832), current smoking-current drinking showed(odds ratio[OR] 2.007; 95% confidence interval[CI], 1.023-3.941)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wearing denture when compared to not-at-all·non-smoker and not-at-all·non-drinker. Odds ratio of wearing den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elderly with concurrent use of drinking and smoking than male elderly who did not drinking or smoking. Conclusion: The denture in the elderly was closely related to smoking period. Also, wearing den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elderly with concurrent use of drinking and smoking than male elderly who did not drinking or smoking. Therefore, improve the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adults,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will be required, and oral health management projects are necessary.

      • 노스탤지어 자극을 통한 캠핑활동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Compared to the past when tent was essential for most of tourism activities due to a lack of accommodations, a variety of camping activiti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such as glamping and caravan. The new types of camping activities would remind those who enjoyed camping using the tent in the past of their past camping experiences. It would be a very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what people would miss for their past camping activities that differ individu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on the emotional re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and behavior. To fulfill the goals of the study, the population for empirical analysis were those who have done camping at least once and the sampling was condu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camping sites around Seoul and Gyeonggi area.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samples from empirical survey to find out demographic propert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mping activit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surement items. The fact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see if the measured variables are abridged into the components conceptualized in the documentary research.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remembrance, event, environment, sensual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sensible emotional reaction, pleasant emotional reaction) drawn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arameter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ether the emotional reaction played a role as parameter between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behavior.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s in general propertie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by dividing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into 3 categories and conducting the cluster-tabul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two elemen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environment and sensual experience, affected the emotional reaction of people in the camping site, and remembrance factor only affected pleasant emotional re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of camp participants and their behavior,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of the two factors in the emotional reaction affected the behavior.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imuli factor of nostalgia applicable to tourism activities by establishing concrete concepts of the variables, and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are expected to provide various marketing implications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and apply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that can draw positive reactions from the camping participants.

      •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및 생리활성

        김아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riminate the effects of the ramie leaf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s(hot air drying and freeze drying) on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capacity in vitro, the antiobesity effect by the prolifer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and the antiobesity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in db/db mice by ramie leaf ethanol extracts administr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t air dried ramie leaf(HR) and freeze dried ramie leaf(F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but the dietary fiber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 than in the HR.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leucine, and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total essenti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 ratios were higher in the FR compared with the HR. The major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rachidic acid, linolenic acid. Hot air drying caused a decrease in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n increase in saturated acid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dried by hot air and freeze drying. The contents of the vitamin A, E, and C in the F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vitamin A and C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Regardless of the drying methods, both the HR and the FR were abundant in order of Ca, K, Mg, Mn, Fe, Na, Zn. The contents of total minerals, total organic acids and total free sugars in the H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F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 total polyphenol and chlorogenic acid content of ramie leaf ethanol extracts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but total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R than in the F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R and FR ethanol extracts were found to be 77.74%, and 77.29% in 1000 ppm, respectively. Antioxidative index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measured by Rancimat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BHT, BHA, and ascorbic acid, bu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The anticancer effect of 80% ethanol extracts of the HR and FR on liver cancer cell line (H460), stomach cancer cell line (AGS), and lung cancer cell line (A549) were increased with a dose-dependent manner.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800 μg/mL showed greater than 80% on Hep G2 and A549 cell line, and greater than 75% on AGS cell lin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HR and FR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pig preadipocytes. To measure th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25 μg/mL and 100 μg/mL ethanol extracts of the HR and FR for two days, and dimethyl sulphoxide(DMSO) was used as the control group. Twenty five μg/mL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did not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but 100 μg/mL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by 25.54% and 24.52%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Twenty five μg/mL and 100 μg/mL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and triglyceride accumul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wenty five μg/mL and 100 μg/mL of the HR and FR ethanol extracts showed the inhibitory action on prolifer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HR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and triglyceride accumul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25 μg/mL and 100 μg/mL, but FR ethanol extract inhibited only 100 μg/mL. Inhibitory effect of differentiation and the fat accumulation on pig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R ethanol extract than in the FR ethanol extrac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rying methods in 25 μg/mL and 100 μg/mL. These action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HR and FR may have potential to reduce the fat accumulation and obesity. The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HR ethanol extract were investigated in type 2 diabetic animal models. After the 1-week adaptation period, the diabetic animal model db/db mice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Control), HR ethanol extract 200 mg/kg/day administered group(HRL), and HR ethanol extract 400 mg/kg/day administered group(HRH). The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water intake and liver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The total adipose tissues weight and serum ALT and AST activities of ramie leaf ethanol extracts administered groups(HRL, HRH)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dministration of HR ethanol extracts induced a great reduction of fasting blood glucose, glucose levels i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AUC for gluco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erum insul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amie leaf ethanol extract administered groups, and the glycosylated hemoglobin(HbA1c)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RH grou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serum total cholest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RH group, while the serum HDL-choles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RH group. The administration of HR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lowered the serum LDL-cholestrol leve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ose. These data suggest that administration of ramie leaf ethanol extracts may improv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help preventing or attenuating the fat accumulation in animals with type 2 diabetes. 본 연구는 모시잎 분말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건강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건조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in vitro에서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3T3-L1 지방전구세포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 억제효과를 통한 항비만효과, in vivo에서 비만 및 제2형 당뇨 유발 db/db 마우스에서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서로 다른 건조방법이 모시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물량 기준으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일반성분 함량을 비교해 보면,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식이섬유소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이며,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 필수아미노산 함량 및 총 구성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 모두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다. 모시잎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rachidic acid, linolenic acid 인 것으로 나타났고,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열풍건조로 인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감소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동결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A 및 C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Ca, K, Mg, Mn, Fe, Na, Zn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모두 유기산은 oxalic acid, succinic acid 및 citr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고, 구성당은 glucose, fructose, galactose, rhamnos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총 유기산 및 총 구성당 함량 모두 열풍건조 시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열에 의해 산화 및 파괴되기 쉬운 지방산, 아미노산 및 비타민의 분석은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고,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열풍건조 시 더 높은 함량을 보인 일반성분, 무기질, 유기산 및 구성당의 분석은 열풍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추출수율, 총 polyphenol 및 chlorogenic acid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간암(Hep G2), 위암(AGS) 및 폐암(A549)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 이상의 증식 억제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모시잎에는 높은 함량의 총 polyphenol 및 총 flavonoi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polyphenol 및 chlorogenic acid 함량은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간의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열풍건조 모시잎에서 높게 나타나 모시잎의 총 polyphenol, 총 flavonoid 및 chlorogenic acid 함량은 열풍건조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항산화지수를 통한 항산화활성, 그리고 간암, 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모시잎의 항산화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모시잎에 함유된 polyphenol, flavonoid 및 chlorogenic acid 등에 의하여 기인된 것이라 사료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한 항비만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모두 25 μg/mL 농도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나 100 μg/mL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5.54%와 24.52%로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25 μg/mL과 100 μg/mL 두 농도 모두 유의하게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25 μg/mL과 100 μg/mL 모두 지방세포 수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되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중성지방 축적의 경우 열풍건조 모시잎 추출물 25 μg/mL과 100 μg/mL 모두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나, 동결건조 모시잎 추출물은 100 μg/mL 농도에서만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 축적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중성지방 축적 및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모시잎의 항비만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효과는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여 in vitro에서 항비만효과는 동결건조 모시잎 보다는 열풍건조 모시잎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항비만효과의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난 열풍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을 db/db 마우스에게 저농도(200 mg/kg of b.w./day)와 고농도(400 mg/kg of b.w./day)로 6주간 경구투여하여 모시잎의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HRL, HRH)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수분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중 100 g당 간조직 무게와 피하지방, 등지방 및 부고환지방 무게는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장간막지방 무게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되어 고농도군(HRH)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총지방량과 혈청의 간 지표 효소인 ALT 및 AST 활성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실험기간 6주 동안 전혈의 혈당 변화를 살펴보면 4주째부터 대조군 비하여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고농도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6주째에는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 인슐린 함량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투여로 모든 실험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당화헤모글로빈 함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고농도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당부하 검사 결과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은 포도당 투여 후 30, 60, 90, 120 분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여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혈당반응면적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고농도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어 고농도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투여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투여는 db/db 마우스의 총지방량과 혈당을 감소시키고, 고인슐린혈증 및 내당능 개선효과를 보이며, 혈중 지질 개선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비만 및 항당뇨효과에 유효적인 효과를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