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번역에 있어서의 가타카나어에 대한 연구

        김시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일본 문화의 전달 매체로서의 일본어 번역과 일본어 가타카나어 번역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기 위해, 번역의 제문제를 살펴보고, 일본의 신문 기사를 번역한 글의 양상과 오역을 살펴보아 바람직한 가타카나어 번역의 방향과 가타카나어에 대한 학습에 대해 제언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일본어 속의 가타카나어의 변천과 기능을 통해 가타카나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일본인이 실제 생활 속에서 느끼는 가타카나어의 사용 양상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일본어 번역에 관한 제문제를 검토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어휘에 관한 오류와 문법에 관한 오류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가타카나어에 대한 정의와 일본어 번역에 있어서의 제문제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타카나어 번역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의 신문기사와 이를 번역한 기사 가운데 가타카나어의 번역 양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이다. 가타카나어가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에 의해 번역된 것으로, 이는 크게 동일한 어휘와 다른 어휘에 의한 번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용례를 살펴보던 중, 특히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에서 오역의 예가 자주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이를 따로 정리하여 올바른 번역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둘째, 이종어휘에 의한 번역이다. 가타카나어가 한국어의 고유어에 의해 번역된 것으로, 가타카나어 번역에 있어서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한국어의 고유한 표현을 찾는 노력을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번역을 지향해야 한다. 위의 연구를 통해 실제 신문기사 속의 가타카나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그 번역의 양상을 위의 연구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제언을 통해 보다 화자의 의도를 독자에게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는 번역이 될 수 있도록 꾀하였다. 일본어의 번역에 있어서 가타카나어는 그 중요도가 크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연관하여 그동안의 일본어 교육 속에서 가타카나어의 위치를 연상할 수 있다. 그러나 번역이라는 작업을 통해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문화를 서로 이해하는데 큰 발판이 됨을 인식할 때, 하나의 어휘조차 가볍게 옮길 수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가타카나어의 번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불어 양국에 있어서의 올바른 언어 전달과 그 언어를 통한 문화 전달을 도움이 되는 가타카나어의 의의와 그 교육에 대해 좀 더 힘을 기울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청소년의 성태도와 자극추구성향이 디지털 성범죄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시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태도와 디지털 성범죄간의 관계에서 자극추구성향의 매개효과가 공감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에 거주하는 만 15-18세의 남자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성태도 척도, 자극추구성향 척도, 공감 척도, 디지털 성범죄 척도를 시행하였고, 불성실 응답 자료를 제외한 총 28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태도, 자극추구성향, 디지털 성범죄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공감은 성태도를 제외한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극추구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성태도가 디지털 성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자극추구성향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극추구성향이 디지털 성범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의 수준에 따라 효과의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태도가 자극추구성향을 거쳐 디지털 성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감 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공감능력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청소년의 성태도가 자극추구성향을 매개로 디지털 성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성태도와 디지털 성범죄의 관계에서 자극추구성향의 매개변인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영향력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치료적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임상적 장면에서 공감능력 요인을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시사되는 개입의 방향, 연구의 한계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성태도, 자극추구성향, 디지털 성범죄, 공감, 조절된 매개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 mediating effect of sensation 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xual attitude and digital sexual crimes is controlled by the level of empathy. For this purpose, 300 male high school students aged 15-18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 inventories of sexual behavior scale, sensation seeking scale, empathy scale, digital sexual crimes scale, and among them, 282 responses of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undependable answers. Correlation analysis among major variables was conducted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pathy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xual attitude, sensation seeking, and digital sexual crimes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correlation, while empath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xual attitud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nsation seeking, it was found that sensation see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hile sexual attitude had an effect on digital sexual crimes. Third, the result showed the moderation effect of empathy ability, implying that the differing level of empathy ability effects the size of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on digital sexual crimes. Fourth,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ppears when sexual attitude influences digital sexual crimes through sensation seeking.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by increasing the level of empathy,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xual attitude on digital sexual crimes through sensation seeking can be mitigate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basis for utilizing the empathy factor in the clinical scene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mediating variable of sensation 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digital sexual crimes, and by exploring therapeutic factors that can control this influence.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further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key words: sexual attitude, sensation seeking, digital sexual crime, empathy, moderated mediating effect

      • 깊은목굽힘근 강화 운동과 교각 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시은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CCFT) and the bridge exercise on sitting bal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en children (five males, five females)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5) and the experimental group(n=5). fiv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twenty minutes of the bridge exercise twice weekly for eight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five children underwent a forty minutes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 and the bridge exercise with biofeedback unit twice a wee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CMS(trunk control measurement scale)was used to measure sitting balance and Biorescue was used to measure the limitation of stability. After a eight weeks of training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nk control measurement, stability limi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nk control measurement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bility limitation in the control group. And static strength(the maximum voluntary contractile strength), static endurance after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CCFT)was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ed that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itting balance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and it is to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require frequent physical therapies.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를 이용한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머리-목 굽힘 운동)이 깊은목굽힘근의 정적근력과 근지구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며, 교각 운동만을 적용했을 때와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과 교각 운동을 함께 적용했을 때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진단을 받았으며 본 실험조건에 만족하는 아동 총 10명을 대조군 5명, 실험군 5명으로 나눈 후 교각 운동 20분을 공통중재하고, 실험군은 깊은목굽힘근 강화 운동(머리-목 굽힘 운동)을 20분 더하여 주 2회 총8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로는 대동작 기능분류체계인 GMFCS의 3, 4 등급의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아동으로 하였다. 중재 전, 후의 깊은목굽힘근의 정적 근력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머리-목 굴곡 검사를 이용한 최대수의 수축력을 측정하고, 근지구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깊은목굽힘근 근지구력 검사를 중재 전, 후 실시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체간조절능력도구와, 바이오레스큐를 이용한 안정성 한계를 중재 전, 후로 평가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실험군은 정적 근력, 근지구력이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체간조절능력과 안정성 한계 모두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은 체간조절능력에서는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안정성 한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체간조절능력과 안정성 한계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의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은 깊은목굽힘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고, 교각 운동과 함께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의 적용은 교각 운동만의 적용보다 앉은 자세에서 정적, 동적인 안정성을 갖는데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앉은 자세의 조절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각 운동의 적용과 함께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의 적용은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SCM에서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대한 전략적 요인의 영향

        김시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조사하여 전략적 요인을 정리하고, 혁신기술로써 블록체인 기술을 수용하는데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주목하고 있고 적극적인 도입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SCM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블록체인의 도입과 관련된 전략적 요인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변수들을 살펴보면 법제도요인, 기술적요인, 조직적요인 및 사회적영향을 독립변수, 지각된 가치 및 혁신저항을 매개변수 그리고 수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될수 있고, 조직의 혁신성 및 업무 역할을 위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모형의 독립 변수에 선행하는 요인을 찾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조사하고, 블록체인과 유사한 혁신기술의 수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변수들은 블록체인 연구에 맞게 조작적 정의를 하였고, 해당 변수의 측정문항을 만들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이 국내에 도입 초기 단계이고 상용화된 서비스가 부족한 시점이므로 설문 대상은 잠재적 사용자 및 수용자를 예상하고, 기업의 물류 및 전산 개발자 및 운영자를 포함한 관련 종사자들 또는 IT 기술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법제도 요인은 지각된 가치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 저항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요인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저항에는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요인은 지각된 가치 및 혁신저항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저항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가치는 수용의도에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저항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많은 사용자들에게 확산된 후, 수용의도가 아닌 수용, 성과 등을 종속 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실제적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블록체인을 넓은 관점으로 바라보고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보다 확산되고 구체화된 시스템으로 서비스되었을 때 연구 범위를 축소해서 각 시스템 및 산업에 적합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A bitcoin-based technology named blockchain is spotlighted in various industries as a cost-effective measure in strengthening security and a reliable technology medium. Blockchain technology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is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fundamental changes. Recently, SCM companies are putting their endeavors into introducing blockchain technology in shipping industry. Moreover, logistic companies had tried to apply a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SCM field. Currently, most of the current studies related with blockchain had focused on the state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ir types.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es on blockchain had mainly add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trategic factors in the acceptance of blockchai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the strategic factors on the intention to acceptance in blockchai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strategic factors on the intention to acceptance of blockchain in SCM area.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study introduced the institutional factor, the technology factor, the organizational factor and the social effect as the behavioral factors. Moreover, this study modeled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novative resistance as the mediating variables in research model. In addition, the strategic factors are model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acceptance is model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empirical research was based on a poll done through 300 research candidates in the SCM area and the final 21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adaptability, trust, and validity to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through these 215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itutional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novative resistance. The technology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resistance. Moreover, the organizational factor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novative resistance. The social eff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novative resistance. Finally,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novative resis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However, it is note tha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from a restricted point of view.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mbine more complicated factors of related field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by explaining the roles and the effects of strategic factors of blockchain in SCM. This study further will provide a guidance to blockchain providers and practitioners who are employed in SCM.

      •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발달특성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연구

        김시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을 양육행동과 양육태도로 유목화(Chunking)하여 자녀의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종합하고, 아버지의 양육변인에 따른 상관효과크기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자녀의 발달단계, 자녀의 성별, 연구의 출판연도를 조절변인으로 변인의 하위차원 별로 상관관계에서 다른 양상이 발견되는지 확인하여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아버지의 양육 역량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1988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 기준에 맞춰 204편을 선정하였고,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은 양육행동, 양육태도로 나누어 분석하고, 자녀의 발달특성은 사회발달, 인지발달, 자아개념, 자기조절, 정서발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 간 상관관계 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2.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 간 상관의 전체효과크기는 어떠한가? 3.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사회발달, 인지발달, 자아개념, 자기조절, 정서발달 각각과 이루는 상관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4.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의 상관효과크기는 조절변인(자녀의 성별, 출판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의 전체 상관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변인별로 살펴보면, 자녀와 시간보내기(ESr=.20), 발달 및 교육지도를 통한 양육행동(ESr=.20),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16), 부부협력 및 지원(ESr=.14) 순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양육태도(ESr=.19), 자율적 양육태도(ESr=.18), 적대적 양육태도(ESr=-.12), 통제적 양육태도(ESr=-.07) 순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과 초등학생 자녀발달의 효과크기가 다른 발달단계에 비해 높았다. 둘째,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사회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와 시간보내기 양육행동(ESr=.20)에서 가장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고, 자녀의 인지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와 시간보내기(ESr=.20), 발달 및 교육지도를 통한 양육행동(ESr=.20)에서 가장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다. 자녀의 자아개념은 아버지의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37)과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으며, 자기조절 또한 아버지의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32)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정서발달은 애정적(ESr=.24), 자율적 양육태도(ESr=.24)와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제외한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남아와의 상관효과크기가 높았으나, 자율적 양육태도는 여아가 상관효과크기가 높았다. 연구논문의 출판연도에 따른 상관효과크기를 살펴보면 2010년대에 가까워질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태도를 재정립하고, 아버지의 어떠한 양육이 자녀의 발달단계 별로 어떠한 발달영역에 중요한지에 대한 단서와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부담을 덜고, 아버지의 양육 역량을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between father’s parenting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ich investigated the total correlation effect size. It is intended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stage of development, gender difference of the child and publication year of the study. For analysis, 204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dissert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from 1988 to 2019. By Chunking the variables, the father‘s parenting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soci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ncept, self-contro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overall correlation between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development characteristic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specific variables, soci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ncept, self-control and emotional development?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regulator(gender of the child, publishing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related variables and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as the medium power.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behavior,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followed by parenting through development and education(ESr=.20), parenting through play(ESr.=.16), and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husband and wife(ESr=.14) were hign in order.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correlation effect size was hing in order of affectionate parenting(ESr=.19), autonomous parenting(ESr=.18), hostile parenting(ESr=-.12) and controlled parenting(ESr=-.07). Differences between stages of development showed that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ges of development.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variables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correlation effect with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with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and parenting through development and education (ESr=.20). The self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with parenting through play(ESr=.37) and emotional development was affectionate parenting(ESr=.24) and autonomous parenting(ESr=.24). Third, looking at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y the year of publication of the research paper,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s are greater as they approach the 2010s. For Children's gend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father-parenting except for parenting through play and controlled parenting. Although the correlation effect size with boys was high in most areas, the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had the high correlation eff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established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s. It also provided clues and information on what development areas are important for a particular developmental stage of a child. As a result, it can be a useful material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father's child support ability by reducing the father's burden.

      • 연금저축의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김시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mprovement compa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dividual pension Saving plan with life, analyze the results, and obtain some suggestions for our country. In Korea, the individual pension saving plan was first introduced in December 1994,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nd population structure that will arise from ongoing population aging phenomenon are set to cause aplethora of unfore seeable problems. Although meager , minimal measures at state and individual levels to secure old-age income in the coming aged socity include the ongoing private pension revitalization polic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by which tax support for voluntary pension savings plans influences the investment decision of individuals and affects investor preferences in the capital markets. Hypothesis 1 centers on whether the tax reduction effects of marginal tax rates influeence the investment amount of the household in the contribution stage for pension savings products that are tax-favorable assets were traded. Hypothesis 2 seeks to confirm the response of investors to changes The Pension savings accounts, effective from 2013, merged the IRP under the name of pension savings. Examining the investment assets, pension saving insurance and trusts are managed by focusing on bonds or liquid assets. The profitaability of pension savings insurance is tied to interest rates, and its is influenced by the credit rates determined by insurance companies. Also, an increase in accumulated assets makes it more likely an individual will choose a life annuity over the lump-sum. especially private pensions are divided by tax benefits under the taxation regime into tax-qualified private pension savings, which are eligible for income tax benefits, and non-qualified private pension insurance, in which tax savings occur at the withdrawl stage if plan has been held for more than 10years. Three factors explain the high annuitization rate in the sample data: the role of public pensions and occupational pensions in the provision of old age income, behavioral factors (tax incentives and default options in the payout phase), and the price of life annuities. Among these factors, price is assumed to be a major factor. Our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for a guarantee of the reinvestment risk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the policyholder will choose a life annuity compared to lump-sum withdrawal.. This indicates that the revisioms in this period did not influence the before-tax benefits of pension savings. and It was observed that capital market regulation revisons favorable for normal funds caused the targeted AUM(assets under managenent). change an item in pension savings. and retard long terms behind the schedule. This study produced an insignificant result for certain period ※ key words: determinants of annuitization, payout choices, tax-qualified individual annuities

      • 다중 인스턴스 학습을 이용한 바이트 시퀀스 기반 악성코드 분류

        김시은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플랫폼을 대량으로 발생시킨다. 다양한 플랫폼의 증가는 공격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공격자는 플랫폼을 공격벡터로 활용하여 자동화 도구로 대량 생산한 악성코드를 배포한다. 분석가는 기계학습을 사용하여 대량의 악성코드에 대응하지만, 이 방법은 도메인 지식에 따라 성능이 변하고 프로세스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기계학습을 실제로 적용하기엔 많은 양의 인적 및 시간적 비용이 요구된다. 기계학습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딥러닝 기술이 제안되었다. 딥러닝은 인공신경망 내부에 여러 종류의 레이어를 쌓아 데이터에서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이러한 딥러닝 방법은 사람의 수작업 없이 고차원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학습하는 강력한 분류 모델이 된다. 악성코드 분류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다른 모델에 비해 간단한 전처리를 가진 이미지 기반 딥러닝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바이트 시퀀스의 1차원 구조를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1차원 시퀀스의 구조가 왜곡되고 악성코드 샘플의 크기가 딥러닝 모델이 허용하는 크기를 초과할 경우 허용되지 않은 크기만큼 샘플의 일부분이 손실되거나 보간법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이미지에 변형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바이너리 파일이 손실되거나 변형될 경우 악성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시퀀스가 사라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 인스턴스 학습 구조 (MIL: Multiple Instance Learning)를 적용한다. 또한 다중 인스턴스 학습의 전처리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1차원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안한 모델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중 인스턴스 학습은 샘플의 크기에 탄력적인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위의 문제인 데이터 왜곡, 변형, 손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존의 다중 인스턴스 모델 구조는 악성코드 분류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구조를 악성코드 분류에 맞게 변경한다. 악성코드 분류 데이터세트는 딥러닝 기반 모델을 실험한 저자에게서 제공받은 다중 분류 데이터세트를 사용하고. 다양한 전처리와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실험 결과 기존에 제시되었던 기계학습 방법과 딥러닝 모델에서 제안한 방법이 5가지 성능 지표에서 모두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다중 인스턴스 학습 구조의 베이스로 삼은 AbMIL 모델은 어텐션이 가지는 시각화의 이점을 얻는다. 시각화는 이미지 모델에서 많이 사용되는 Gradient Class Activation Map(Grad-Cam)을 비교한다. 제안한 방법은 이미지 패치 크기만큼 특정 시퀀스의 영역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Grad-Cam의 모호한 결과에 비해 분석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패치 크기만큼 특정 시퀀스의 영역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전문가는 시퀀스를 분석할 경우 악성코드 분석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얻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중 인스턴스 학습 모델은 악성코드 분류와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da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awns a large number of new platforms. The proliferation of diverse platforms presents new opportunities for attackers, who leverage platforms as attack vectors and distribute mass-produced malware with automated tools. Analysts use machine learning to respond to large volumes of malware, but this method suffers from the drawbacks of performance variations depending on domain knowledge and process complexity. Therefore, a large amount of human and time costs are required to apply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in practice.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as a method for overcoming the drawbacks of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stacks different kinds of layers inside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automatically extract features from data. Such a deep learning method becomes a powerful classification model that automatically extracts and learns high-dimensional features without human manual work. Research using deep learning in malignant code classific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image-based deep learning technology, which has simpler preprocessing than other models, has been researched and has shown high performance in various environment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on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byte sequence into a two-dimensional image, if the structure of the one-dimensional sequence is distorted and the size of the malicious code sample exceeds the size allowed by the deep learning model, some of the samples will be Unacceptable Sizes Only You can transform the image using techniques such as loss or interpolation. When binary files are lost or distorted in this way, important sequences that distinguish malware disappear.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Multiple Instance Learning (MIL). In addition, by modifying the preprocessing structure of multi-instance learning, we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one-dimensional structure and transform it into data suitable for the proposed model. Multi-instance learning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elastic to the sample size, so i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of data distortion, deformation, and loss. The existing multi-instance model structure is not suitable for malware classification, so we modify the structure to suit malware classification. The malware classification dataset uses a multi-classification dataset provided by the authors who have experimented with deep learning-based models. Evaluate using different pretreatments and model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xisting machine learning method and the method proposed by the deep learning model show high performance in all five performance indicators. AbMIL models underlying multi-instance learning structures gain the visualization benefits of attention. The visualization compares the Gradient Class Activation Map (Grad-Cam) commonly used in image models. The proposed method only presents regions of a specific sequence that are the same as the image patch size, which is helpful for analysts compared to Grad-Cam's ambiguous results. Also, since only the region of the specific sequence is presented by the patch size, the expert will get useful information for malware analysis when analyzing the sequenc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multi-instanc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alwar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 한방병원 내 한방피부관리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시은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eauty industry, adding treatment of disease, is growing by combining Oriental medicine with skin care. And most of the consumer equate the concept of root treatment with the effect of treatment while using the oriental medicine as emerging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ystematic framework of the skin care center inside oriental medicine hospital by highlighting strong points and emphasizing the differences with other kinds of skin care room.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bove, data encoding(coding), cleaning process, SPSS v.18 statiscal package program have us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in consumers seem to be in 30’s, female, unmarried, graduated from the college, monthly income’s between 2,000,000 won to 3,000,000 won. Second, the motivation of usage is as follows ? first hospital member him/herself, second personal recommendation. And using period is less than 6 months.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people is currently using the skin care center. Primary reason for “nonuse” of the center is spare time. Usually for a single visit it takes 1 ~ 1.5 hours and it cost 50,000 ~ 100,000 won. They also take a oriental medicine on a doctor’s advice at the same time. People in 30’s was positive for taking oriental medicine while the other generation were hesitant. People started to feel the effect of skin care after 1 month of beginning and agreed with good prospect of oriental skin care. Third, to measure of consumer’s satisfaction for oriental skin care program, it was classified into 5 section (Oriental reproduction management, Hair loss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Meson-lifting the entire face, fat-burning acupuncture) and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t a problem or side effect from all the program which took a large proportion in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for overall satisfaction degree after having skin care treatment wa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with the gender, academic background, average income, jobs. For satisfaction level, female is higher than male and higher education /income amount also make it higher. In case of “job”, self-employed and specialized job seemed to be satisfied with oriental skin care center generally. As mentioned above, general analysis for main consumer of oriental skin care center inside the hospital is that who’s in 30’s, affordable financially, unmarried with professional job. And they take one program of oriental skin care with oriental medicine on a doctor’s advice for a period of 6 months, feeling high level of satisfaction. Therefore oriental skin care center inside the hospital has good future and possibility if it proce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medicine.

      •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김시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the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ge and gender on basic life habit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accurately examine the effects of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The subjects were 151 pairs of children aged 3 to 5 and mothers and grandmothers.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of the Parents Rating Scale for Basic Life Habits developed by Kim Myoung Soon, Byun Hye Weon, and Kim Gil Sook(2011).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of Robinson, Mandleco, Olsen, and Hart’s (2001) parenting styles questionnaire(PSDQ: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 -Short version). The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were investigated by revi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K-PAI: Korean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by Kim Jeong mee, Lim Hee sun and Heo Sung ho(2014).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formed at a high level, and grandmothers does most of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the mothers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were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grandparent'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and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ermissive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By subcategory, grand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manners habits,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habits total score and safety-rules and clean habits. Also, grandmother’s permissive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on clean habits. Grandmo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lean habits, and mother-grandmother’s consensus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rules, arrangements, manners and eating habits. In conclusion,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formed at a high level. Grandparents had the most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the mothers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s-grandmothers were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normal. In addition, the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had influenced children’s basic life habit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조모의 양육행동,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연령과 성별이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만 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조모 151쌍이었다.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변혜원과 김길숙(2011)이 개발한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조모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Robinson, Mandleco, Olsen과 Hart (2001)가 개발한 양육행동 도구(PSDQ;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Short version)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김정미, 임희선과 허성호(2014)의 한국판 배우자 양육협력 도구(K-PAI; Korean Parenting Alliance Inventory)를 조모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조모는 권위 있는 양육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유아의 어머니는 모-조모 간 양육협력을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조모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허용적 양육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조모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은 예절 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기본생활습관 총점과 안전 및 규칙, 청결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허용적 양육행동은 청결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어머니가 인식한 조모의 양육참여는 청결 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모-조모 간 의견일치는 안전 및 규칙, 정리정돈, 예절, 식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서 권위 있는 양육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유아의 어머니는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쳤다.

      • 2015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융합 교육의 방향성 모색 : 초등 5, 6학년 ‘연결’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ational curriculums have been improved incessa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K-12 education and to nurture students to become cultivated adults with competencies reflective of the need to be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Within the context of transformational shifts, being protuberant of the concepts including knowledge,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presents a new vista of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Connection’, the newly introduced imperative in the revised Art curriculum, is the most significant concept regards of alignment with the practice of the whole curriculum. The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enhances the learners’ interests and involvement by facilitating independent and creative thinking with respect to learning contents in various fields. Second, it promotes a well-rounded development through the active learning process in which learners engage for their consciousness of learning content as a problem to be solved. Despite these meaningful efficacies, previous studies, however, point out the limitation of applicability in actual practice. Thus, it is necessary for an examination of whether the newly developed learning cont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is as conducive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ies as the revised curriculum pursued. A textbook is a guide that supports the teachers to interpret and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by systematically materializing it, and also a learning material for the students deliver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For this reason, the most advantages that lie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are supporting teachers, the mediators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tudents, to select and reconstruct the textbook which is the tool for learner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allowing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re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ical changes and meaning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cerning convergence education, thu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which related to the ‘Connection’ in art tex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s to confirm their significance.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education, its improvement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s where the revision of the art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he unit related ‘Connection’ should head. Also, this study could be a reference for the teachers who are in the actual practice of elementary education to implement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upporting them to select and to reconstruct an art textbook. For this purpose,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xternal components and contents elements represented in six different art tex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tandard criteria for analyzing were adopted by the examin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e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By checking the art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nuals, the target units subjected to the analysis were mainly selected from which explicitly states the specific standard learning objective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regarding the core concept of ‘Connection’; [6Mi(미)01-05] To use the resources from other subject areas such as contents and methods on one’s art activ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substantiated by the units’ learning subjects and materials that is accentuating the authentic experiences of learning, the activities that could foster the well-rounded person who has intellect,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s a whole, and the learning contents ensued by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e meaningful integration, even in the unit that may overlook the art to be perfunctory and subsidiary, by inter-supplementation and subjectivity. Meanwhile, the limitation was revealed that it has been restricted or partially provided in order to scintillate the learners’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that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conception instruments of other subject areas, and supporting materials for the tasks. Working with peer review more proactively for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and developing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are also required. This study affords an implic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bout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he art textbook, derived from analysis on the external components and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art textbook. Quality education of convergence, expanding its dimensions, should not be complacent on the present implementation but keep reclaimed to correct its limitation to achieve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convergence competencies.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and to discuss the subject of ‘Connection’ in the asp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비전인 현재의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고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에 기초한 능력과 소양을 겸비한 국민의 양성을 위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지식’, ‘창의성’, ‘융합’과 같은 키워드가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조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현재 중요시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핵심 개념인 ‘연결’과 가장 큰 연관이 있다. 융합 교육의 특징은 첫째, 여러 분야의 학습 내용에 대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표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관심과 참여도를 높이며, 둘째,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내용을 해결해야 할 문제라 생각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각 분야를 자유자재로 연결해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고 전인적 성장을 이룰 수 있게 돕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 가치, 기대 효과가 꾸준히 제시됨에도 여러 선행 연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 개발된 융합 교육 내용이 정말로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재의 양성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구체화․체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과서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게 돕는 길잡이이자 학생에게 수업 내용을 안내, 심화해주는 자료이다. 이러한 교과서를 분석․비교하는 것은 교육과정과 학생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교사가, 학생이 교육과정의 목적을 올바르게 달성하도록 돕는 도구인 교과서를 능률적으로 선정 및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개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와 의의를 융합 교육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초등 5, 6학년 미술 교과서의 ‘연결’ 관련 단원에 융합 교육 관련 내용이 유의미하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개선 방안,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및 ‘연결’ 관련 단원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 초등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효율적인 융합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미술 교과서를 선택 및 재구성하는 데 참고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융합 교육과 교과서 분석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의 준거를 선정하고, 사회과학의 분석 기법인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토대로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 교과서 6종의 외형 요소와 내용 요소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인 ‘연결’ 관련 단원은, 미술 교과서나 지도서 내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 ‘연결’ 관련 성취 기준인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를 직접적으로 제시한 단원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 5, 6학년 미술 교과서 ‘연결’ 관련 단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융합 교육의 가능성으로 ‘체험’ 영역의 활동이 강조되며, 지성․인성․감성을 갖춘 전인을 길러낼 수 있는 활동과 과학․사회의 발달에 따른 새롭고 다양한 미술교육이 단원의 학습 주제 및 제재로써 활용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구적․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는 단원에서도 ‘미술’이 상보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유의미한 연결을 이뤄내기도 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법, 타 학문의 생각 도구, 과제 해결을 위해 활용될 재료와 방법은 다소 부족하거나 일부만 제시되었다는 한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 주체 중 동료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평가 방법 중 수행평가의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의 외형 요소와 내용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과정 개정과 미술 교과서 개발에 대한 융합 교육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제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가능성에 안주하지 않고 한계점을 계속 보완하며,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는 질 높은 융합 교육이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이후에도 융합 교육 및 미술 교과서 ‘연결’ 관련 단원에 대한 분석과 논의가 후속 연구로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