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셜네트워크 공간빅데이터를 이용한 활동기반 교통모형 분석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김승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 인터넷 사용의 급격한 증가, 스마트폰 보급,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활성화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 등으로 인해 우리 주변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의 시대가 도래 했으며,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교통분야에서는 오랜시간동안 우세를 점하고 있었고 도시교통개발에 효과적인 추정 방법으로 여겨졌던 전통적인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인 4단계 교통수요추정법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을 이용한 수요 추정 방법이 교통계획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교통은 사람이나 물류의 공간상의 시간적 이동을 의미한다고 봤을 때 공간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Spatial Big Data)와 접목될 수 있는 분야이다. 따라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상의 공간빅데이터를 추출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의 특성과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의 분석자료를 구축하여 공간빅데이터와 활동기반교통모형을 접목시킨다면 매우 큰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NS를 대상으로 시계열적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의 OD와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의 분석자료를 구축하여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제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활동기반 교통모형 분석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고, 교통수요추정 시뮬레이터인 MATSim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인해 교통분야에 있어 빅데이터 활용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The era of Big Data has come with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smart pho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Also, the importance of Big Data has been rapidly growing. The Four-Step Travel Demand Model(FSTDM), a traditional Trip-Based Model(TBM) for effective urban transportation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planning, reaches its limit. In recent years, a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using the Activity-Based Model(ABM) emerged as a new paradigm with the rapid growth of new computer technologies. As a result,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on it. Given that transportation means the spatial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in a certain period of time, transportation could be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spatial data. Thus, if transportation planning can be linked to Spatial Big Data, which has grown rapidly in these days, that would be very valuable data. In order to connect these two, first, I mined Spatial Big Data from SNS, such as Twitter. Next, I analyzed these data and the attributes of TBM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from SNS. After that, I built a database from SNS to manipulate an ABM simulator. During the research, there were institutional constraints on policies, such as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imit policy. However, through this research, I was successfully able to create a spatial database from SNS to control an ABM simulator, Multi-Agent Transport Simulation(MATSim).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possibilities to overcome technical limitations on using Spatial Big Data in the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seek ways of further research development.

      •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용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의 비대칭 제어에 관한 연구

        김승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일반적으로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회로는 AC-DC 변환장치, 대형 모터의 가역속도 조정, 에너지 저장 장치 등 전압, 전류 제어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가지 대용량 에너지 저장 장치들 중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 (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저장용량이 크고 응답속도가 빨라서 오랜 시간동안 잦은 충·방전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사이리스터 브리지를 대칭 제어하는 대신에 비대칭 제어를 하면 상대적으로 평균 출력전압은 감소하지만 유효전력을 최대화하면서 무효전력을 최소화하여 역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SMES용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회로에서 사이리스터가 점호되는 각을 대칭 또는 비대칭 제어함으로써 특징을 분석하였고 에너지를 SMES에 저장하고 회생 시에는 저장된 에너지를 입력 전원 측에 공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SMES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전력변환기인 3상 사이리스터에서 비대칭 제어를 함으로써 무효전력을 최소화 시켜 역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EY WORD: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대칭 제어, 비대칭 제어 In this paper, in general three-phase thyristor bridge circui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of voltage and current control such as AC-DC converter, reversible speed adjustment of large motors, and energy storage devices. Among the various energy storage devices developed so far, superconducting energy storage devices have a relatively large energy storage capacity and high response speed, which is suitable for a system requiring frequent charge and discharge of a long time. In the SMES three-phase thyristor bridge circuit, energy is stored in the SMES by symmetrical or asymmetrical control of the alpha angles at which thyristors are turned on, and reverse voltage is generated during regeneration period in which to regenerate energy is supplied on the power supply side. This paper describes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power converters for SME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 method to increase the power factor by minimizing reactive power by asymmetric control in a 3-phase thyristor, which is a power converter for storing energy in SMES. KEY WORD: 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 3-phase thyristor bridge, Symmetrical control, Asymmetrical control

      • 하둡에서 태그를 이용한 빅데이터의 동적 분류에 관한 연구

        김승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last years, Hadoop has become a basic data processing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Big data processing. Due to design limitations of Hadoop,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lassify for real-time processing and identify information of data. File in HDFS modification is not possible due to a feature of WORM-based. Also a very large block size is inefficient to process a small file. MapReduce to perform parallel analysis on a cluster is not suitable for real-time processing because the analysis proceeds around the batch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ethod of real-time processing and dynamic classification of Big data using tags. The tagged data can be used to the real-time processing. In addition, it can assist batch processing of MapReduce. The proposed method to lower memory usage of Hadoop name node, and when performed MapReduce, it was effective to reducing the number of mappers genera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ags that are useful for real-time processing and dynamic classification.

      • 신경분화과정에서 Go와 Rit의 역활 규명

        김승현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Heterotrimeric GTP binding proteins (G proteins) transduce signals initiated by a variety of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Among G proteins, Go is one of the most abundant G proteins expressed in the brain and is classified as a member of the Gi/Go family due to its sequence homology to Gi proteins.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alpha subunit of Go in brain, We searched for Goα-interacting partners from human fetal cDNA library using yeast two hybrid screening. We identified a cDNA encoding 219 amino acids of Ras like protein in all tissue (Rit). We confirmed Goα::Rit interaction employing several biochemical analysis. Rit also preferentially bind the GoαQ205L, constitutively active form of Goα than wild type Goα.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oα::Rit interaction on neuronal differentiation, we transfected expression vector for Goα or/and RitDN, dominant negative form of Rit. While the expression of GoαQ205L alone induced neurite outgrowth, coexpression of GoαQ205L and RitDN did not show such effect. To investigate the downstream signaling of Rit in neuronal differentiation, we search Ral-stat3 and ERK pathway. As results, Rit could not activate Ral-stat3 pathway and rather stimulated ERK phosphorylation. ERK phospholyrlation was increased by expression of GoαQ205L but decreased by coexpression of GoαQ205L and RitD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tivation of Goα increase the function by Rit as a ERK-dependent neuronal differentiation inducer.

      •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

        김승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중학생 총 330명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김병준 등, 2004), 신체적 자기개념(김병준, 2001), 류동훈(1999), 박래근(2005) 등의 연구에 사용된 학교생활만족도 등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성실히 응답한 3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운동행동변화단계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중학생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운동행동변화단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실천, 유지단계의 비율이 높았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무관심, 관심, 준비단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체지방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운동행동변화단계가 높은 단계일수록 모든 요인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신체 전반이, 여학생의 경우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외모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운동행동변화단계에 차이를 보였고, 운동행동변화단계가 상승할수록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이 상승할수록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활동으로 인한 운동행동변화단계 상승으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상승효과로 이어져 중학생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o improve and maintain adolesc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3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ith questionnaires including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were previously used in earlier studies regarding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Kim Byung-joon et al., 2004) and physical self-concept(Kim Byung-joon, 2001) and other studies conducted by Ryu Dong-hoon(1999) and Park Lae-keun(2005). And a total of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while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χ²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sex of middle school student whi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nd moreover, the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hoc test.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shown below. Firstly, the analysis result of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sex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male student had a higher proportion of action stage, maintenance stage than fe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proportion of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preparation stage in comparison to the 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 male student’s proportion were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Secondly, the analysis result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iscovered that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 male students were likely to have physical self-concept in every factor. For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y were likely to have physical self-concept in all factors except body fat factor. Thirdly,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high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ll factors. Fourthl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 revealed that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significantly affected; especially, the whole body and appearance among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most affecte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respectively fo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o sum up the research findings, there was difference in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epend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ex and moreover, the higher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the physical self-concept increased,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varied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Therefore, as the increase of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due to the physical activity led to an increase in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s expected to se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ccordingly.

      • 장애성인의 自我受容 연구

        김승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parts from inquiry about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pt self disabilities and problem awareness about the opinion and preference on the meanings that various value, attitude, cultural experi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give to themselves. For achievement of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elf-accept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ed and what the self-acceptance factors were. For solution of this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applied Q research methods to 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subjective awareness that self experience and various thinking were combined, targeting adult physical disabilities and sensory disabilities who graduated secondary school over. This study proceeded among methods and orders below. Step1, this study took 'purposive sampling' on the five people of physical disabilities, three blinds, two deafness for selection of 'Q population' and deep-interviewed by open-questionnaire. Step2, this study got thirty seven Q statements of seventeen areas on the transcriptions. Step3, We made thirty seven Q statements to '6×10cm cards‘, and wrote ’Q sample distribution chart‘ and 'manual of Q classification'. Step4, thirty three P persons were twenty two physical disabilities, six blinds, five deafness. Thirty three participants classified Q statements on the nine-point scale by constrained normal distribution method. Step5, this study extracted the three factors as carrying out factorial analysis on the subjectivity of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ypeⅠ appeared as form of positive acceptance. This study showed that adults with disabilities thought they were little slow and uncomfortable but they were not different from normal person and they had high self-respects.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ought if convenient facilities and right of mobility for them were secured, they could live without inconvenience in community. Because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think other person's encouragement and support as the result of their insufficiency, equal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like as various education, employment, volunteer, should been povided to them. Social effort and consideration need for security of these activities and for maximal reduction of inconvenience. TypeⅡ appeared as form of dependent acceptance. This study showe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made value evaluation about themselves lowly and had low expectation on their capability and the success. So they need emotional support and consideration that they can love, admit and accept themselves. And many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empowerment,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should been given to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and asserting self-protectio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 should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to them through lifelong education program. TypeⅢ appeared as passive acceptance. Mos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epted their disabilities. But they could not afford to look around them and didn't overcome their psychological problem sufficiently, because they were absorbed in their problems. They needed friends and wanted to be concerned and encouraged from their community. So the community and influential people should supports and encourage them consistently. We should support them so that they relate to others in harmony, believe in others of community, assert their right, help to have self-confidence and take the lead at their lives. At comparison between types, the participants answered as 'very good' on the overcoming will of disabilities, belief about themselves, self-confidence, thinking on the prejudic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others, positive acceptance on the inclusion and marriage. They answered as 'no' on the dependent acceptance, and answered as 'normal' on the passive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types. Purpose of special education and welfare for disabilities of 21 century is to live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happy human through adaptation in their society.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complete their self-acceptance when they can live as a human but not disabled person by appropriate supporting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e completed when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ccept their disabilities positively, can live happily, and lifelong learning for disabilities also will be completed where the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e completed. 이 연구는 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본인들이 체험하는 다양한 가치, 태도, 문화적 경험이 각자에게 다가오는 의미와 그에 대한 의견과 선호를 파악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자아수용은 어떠한지 알아본 후 장애인의 자아수용 요인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등교육 이상을 받은 성인 지체장애인과 감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자신의 경험과 다양한 생각들이 결합된 주관적인 인식과, 사람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아내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1단계로, Q-모집단 선정을 위해 2012년 6월 19일~ 2012년 8월 20일까지 지체장애인 5명, 시각장애인 3명, 청각장애인 2명을 목적표집하여 개방형 질문지에 의해 심층면담 하였다. 2단계, 전사한 내용을 17개 범주로 분류하여 37개의 Q-진술문을 확보하였다. 3단계, 37개의 진술문을 6×10cm 카드로 만들고, Q-표본 분포도와 Q-분류 설명서를 작성하였다. 4단계, 33명의 P-person은 지체장애인 22명, 시각장애인 6명, 청각장애인 5명이다. 준비된 Q-표본 분포도에 33명의 연구참여자가 강제 정상분포 방식으로 9점 척도 상에 Q-진술문을 분류하였다. 5단계, PQMethod(2.11) 프로그램으로 장애성인의 자아수용에 대한 주관성을 요인분석하여 3개의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별 특성 및 요인 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Ⅰ은 적극적 수용형태이다. 자신이 좀 느리고 불편하기는 하지만,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서 일반인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여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볼 수 있다. 사회통합을 위하여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환경과 여건이 자신들을 힘들게 하므로 편의시설이나 이동권이 확보된다면 불편함 없이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격려가 힘이 된다는 것은 자신이 남들보다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다양한 배움, 취업, 봉사활동 등 활발하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활동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생활하면서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최대한 줄여주려는 사회의 노력과 믿고 기다려주는 배려가 필요하다. 유형 Ⅱ는 의존적 수용형태이다. 사람들은 자기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낮고, 자신의 능력과 성공에 대한 기대도 낮음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자신을 사랑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정서적 지지와 배려가 필요하다.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 학습자로서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신과 환경간의 차이를 적절하게 융화시킬 수 있도록 사회의 지원과 격려와 배려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주장, 자기존중에 대한 계속적인 배움의 길을 열어주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며, 기쁜 마음으로 배움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장애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유형 Ⅲ은 소극적 수용형태이다.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였으나 자신의 문제에만 몰두해 있기 때문에 아직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고, 심리적으로 완전히 극복되지는 못한 모습이다. 진정한 친구가 필요하고 이웃이나 사회의 관심과 격려받기를 원한다.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고,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격려가 있어야 한다. 자기옹호 교육을 통해,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타인을 믿고 그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으며 자기의 권익과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넓은 사회로 나갈 수 있는 자신감을 길러주어야 한다. 유형간 비교에서 장애극복 의지와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감, 환경요인과 타인들의 선입견에 대한 생각, 통합과 결혼에 대해 적극적 수용형태는 매우 그렇다고 답을 했으며 의존적 수용형태는 아니라고 답하였고, 소극적 수용형태는 중간정도의 답을 함으로써 유형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미래의 특수교육과 장애인복지의 목적은 장애인이 사회에 적응하여 한 사람의 인간으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각 유형별로 적당한 지원을 함으로써 장애인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이 사회에서의 삶을 윤택하게 살아갈 수 있을 때, 전 생애에 걸친 장애인의 자아수용을 완성할 수 있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한 장애인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때 장애인복지는 완성되고, 장애인복지가 완성되는 곳에 장애인평생학습은 완성될 수 있다.

      • 수중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UUV의 제어 연구

        김승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ged port facilities and water tanks require inspection and diagnosis to check for damage. Previously, A diver dived underwater and inspected offshore structures, but recently, the inspection of offshore structures using UUV is increasing.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 one of the types of UUV(Unmanned Undersea Vehicle), can be controlled and inspected in real time using tether cable, but the tethered cable may be twisted or bent when used in an environment with complex and dense offshore structures. This limits the behavior of the ROV.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ether cables, we propose a system equipped with an underwat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in UUV. UUV used a transparent acrylic housing to attach the underwat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and placed two vertical thrusters and two horizontal thrusters. UUV is equipped with AHRS(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and Depth sensors inside to enable attitude and water depth control. The underwate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is divided into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PCB(Printed Circuit Board) is designed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the light source of the transmitter, LED(light-emitting diode) are arranged in a circle to expand the range of UUV activity, and the LED driver is designed for power supply and stable switching of LEDs. For communication stability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data waveforms were compared using OOK(On-off keying) and RZ(Return to Zero) modulation, and RZ modulation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high-speed communication. There are PIN and APD(Avalanche Photo Diode) photodiodes constituting the receiver, and the PIN photodiode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UUV internal space and driving voltage. A signal processor was designed to convert the current of the photodiode sensing the light of the transmitter into data. Finally, a UUV equipped with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was tested in a water tank,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attitude control.

      • 극수변환 변속형 단상 유도전동기의 구동 안정성 향상을 위한 설계에 관한 연구

        김승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극수변환장치를 통해 속도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극수변환 단상 유도전동기를 제안하였다. 현재 단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 중에는 주파수변환과 극수변환이 있으며 주파수변환은 단상 유도전동기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나 인버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전동기 구동 전체 시스템이 복잡해지며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극수변환법은 인버터나 다른 복잡한 구동 시스템 없이 간단한 극수변환회로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극수변환법을 채택하여 4극과 2극으로 가변속 및 출력점을 확장 시킬 수 있는 단상 유도전동기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강제 극 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공극자속밀도 파형을 개선할 수 있는 고정자 권선배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주권선의 결선방식을 극수별로 변환하여 주권선의 유입전류를 증가시켜 4극보다 높은 최대토크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극수변환이 가능한 최대 부하점를 증가시켜 4극에서 2극으로 극수변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직병렬 극수변환 회로를 제안하였다. 극수변환 단상 유도전동기의 특성분석을 위해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기반 전자계 해석 툴인 Maxwell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자계 구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시제품 제작 및 실험을 통하여 실제 전동기의 출력 및 효율 등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a pole chang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that can easily control speed through a simple pole change device without using an inverter is proposed. Currently, among the speed control methods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there are frequency conversion and pole change, and frequency conversion allows precise speed control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However, the use of an inverter complicates the entire motor drive system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n the other hand, the pole change method uses only a simple pole change circuit without an inverter of other complicated driving system, so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is very simple. In this paper, a single-phase induction motor capable of extending the variable speed and output point to 4 poles and 2 poles was studied by adopting the pole change method, and a stator winding arrangement that can improve the air gap flux density waveform by using the forced pole formation technique was proposed. In addition, by changing the wiring method of the main winding by the number of poles, the inrush current of the main winding can be increase to have a maximum torque characteristic higher than that of 4 poles, and a series-parallel pole change circuit that can stably perform pole change from 4 poles to 2 poles is proposed by increasing the maximum load capable of pole change. Maxwell, an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tool base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e chang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and through this,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structure was carried out, and output and efficiency of the actual motor were measured and verified through prototype production and experiments.

      • 의료진단 기기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SCRUM 방법론의 적용 사례 연구

        김승현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소프트웨어 개발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팀의 생산성을 높이며 제품을 적기에 출시하기 위해 Agile 기법과 같은 변화 수용이 수월한 개발 방법론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웹 서비스, 임베디드, 게임 등의 개발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나 일반 프로젝트 관리에도 Agile 기법을 적용 하고 있다. 의료진단 기기의 개발과 같은 정형성을 요구하는 프로젝트는 문서화, 품질관리 및 위험관리 등의 요구 때문에 폭포수 모델과 같은 정형적이고 순차적인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폭포수 모델을 적용하는 경우 과도한 문서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른 개발자들의 부담이 가중되어 개발 업무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폭포수 모델에서는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과 최종 결과물이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확인 시점이 늦어질 수 밖에 없어, 프로젝트에 상당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Agile 기법의 장점과 순차적인 프로세스의 장점을 어떻게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의료진단 기기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이러한 프로세스에 Agile 실무를 통합하기 위해 어떻게 기존 프로세스를 적응해야 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로서 실제 의료진단 기기 개발 프로젝트에 Agile 방법론의 하나인 SCRUM을 통합하여 그 성과를 파악하였다. SCRUM 방법론을 사례연구에 적용한 연구 결과로서 개발자의 능력 향상 및 관리자의 인식 개선과 같은 정성적 및 정량적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