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nly one

        김수지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음반 ‘Only One’을 제작하는 과정은 필자에게 기적과도 같았다. 만들어질 음반을 상상하며 처음 가졌던 마음의 방향과 음반이 완성되어가는 지금 마음의 방향은 완전히 달라졌다. 필자의 성품을 잘 아시는 하나님이 ‘Only One’의 제작 과정동안 필자의 마음속에 감동을 주셔서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음반의 방향을 더 좋은 방향으로 가져갈 수 있게 되었다. 처음 정했던 ‘Only One’의 이야기는 지금과 달랐다. 부끄럽게도 이 음반을 통해서 필자가 이야기 하려던 것은 일종의 지적설교였다. 음반 진행이 더뎌지는 동안 그저 무식하게 ‘제 앨범 주제를 구체적으로 뭐로 할까요?’라고 기도하기 시작했는데, 그때 Plan.Z가 보내준 노래가 바로 ‘아이(I)’였다. 그 노래를 들으면서 필자는 인생 처음으로 제작하게 되는 이 음반을 좀 더 가치 있는 음반이 되게 해야겠다는 결심이 서게 되었다. 음반의 방향이 바뀌고 나서 쓰게 된 가사가 ‘Something special’이다. 사실 이 가사를 쓸 때 어떤 내용으로 쓰겠다는 생각이 없이 펜을 들었고, 쓰다 보니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를 발견했으면 좋겠다는 격려의 메시지를 적어 내려가고 있었다. Plan.Z에게 가사를 보내고 난 후 더 예쁘게 다듬어진 가사와 아름다운 노래로 탄생한 ‘Something special’을 들으면서 너무도 큰 행복을 느꼈다. 여호수아 1장 9절의 말씀으로 하나님의 마음을 풀어서 쓴 ‘We are one’의 가사를 완성했을 때도, 곡으로 받았을 때도 이루 말할 수 없이 감사하고 기쁘고 행복했다. 필자는 프로듀서 Plan.Z와 만나 곡에 대해 이야기 할 때마다 그 다음 작업이 어떻게 될지 항상 기대가 되었고, 실제로 녹음할 때도 즐거웠다. 좋은 프로듀서를 만나게 되어서 음반의 방향을 이야기 할 때도 피드백(feedback)이 좋았고 함께 공감할 수 있었으며 곡을 만든 Plan.Z에게도 필자에게도 위로가 되는 좋은 곡이 탄생했다. 녹음 할 때도 시작부터 끝나는 시간까지 내내 즐거운 분위기에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음반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필자인 ‘김수지’라는 사람에게도 하나님께로 만들어져가는 과정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모든 시간들이 무척 소중하다. 필자의 첫 음반 ‘Only One’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이 열매를 절대 잊지 못할 것이다.

      • 리스트의 단테를 읽고 (Apres une lecture de Dante) 분석연구

        김수지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프란츠 리스트(F. Liszt 1811-1886)의 화려한 기교로 독특한 개성을 엿볼 수 있는 그의 작품<순례의 연보>(Ann?es de p?lerinage)제 2권 이탈리아 중 제 7곡인 "단테를 읽고"(Apr?s une lecture de Dante)의 분석 연구를 통해 이 곡에 나타난 작품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연주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 작품은 빅토르 위고(Victor Hugo)의 시 “내부의 소리"(Les voix int?rieures)와 단테의 ”신곡"(La Divina Commedia)의 작품에 영감을 받아 천국과 지옥을 묘사해 상징적, 추상적으로 작곡된 표제음악 성격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단테를 읽고>를 분석하고 연주 기법을 연구한 결과 도입부-제시부-발전부-재현부-코다 의 형식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소나타형식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주제변형기법을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작품에 통일성을 주었으며 빠르기는 크게 나누어 느리게-빠르게-느리게-의 속도변화로 되어 있고, 전반적으로는 음량이 매우 크며 극단적으로 강약을 대비시켜 이곡이 추구하는 지옥의 모습을 표현하는데 충실하였다. 이 작품에서 표제적인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 그의 특징적 기법인 증4도 음정, 반음계, 극심한 셈여림과 옥타브의 관현악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지옥의 관념을 표현하였고, 트레몰로와 고음역에서의 옥타브 사용으로 천국의 아름다움을 묘사하였다. 리스트는 피아노 음악을 경이롭게 발전시켜 낭만주의는 물론 20세기의 작곡가들에게까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 이외에도 문학을 음악으로 승화시키고자 함은 그의 음악적 깊이와 작품성이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ill analyze「Apr?s une lecture de Dante」, the 7th piece of「Ann?es de p?lerinage : Annee」 No.2 Italia through which we can see Franz Liszt (F. Liszt, 1811-1886)’s splendid techniques and uniqueness in order to help players to understand the work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shown in this piece and play it better. He wrote this work inspired by Victor Hugo’s poem “Lex voix interieures" and Dante’s “La Divina Commedia". It well shows the features of program music describing Heaven and Hell symbolically as well as abstrac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Apr?s une L?cture de Dante」 and studying its performing techniques, it takes the free sonata form based on the pattern of Introduction-Exposition-Development-Recapitulation-Coda. And the work has unity in general by using the Thematic Transformation. The changes of its tempo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Andante-Allegro-Andante. The volume is very high in general, and he was faithful to describing Hell which was the pursuit of this song by contrasting dynamics extremely. To express programmatic characteristics in this work, he used his own distinct techniques like augmented 4th, the chromatic scale, excessive dynamics, or the octave’s orchestral effect and depicted the notion of Hell. By employing tremolos and the octave at the upper register, he described the beauty of Heaven. Liszt did develop piano music miraculously and has influenced composers in not only the Romantic era but the 20th century, too. Other than these musical features he had, he also attempted to sublimate literature into music as his musical depth and artistry were with artistic value.

      • 네트워킹 행동이 경력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성장기회의 매개효과

        김수지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s, organizations and members are also undergoing various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mployment instability increased, the concept of a lifelong workplace disappeared, and the need for members to develop their own careers increased. In the past, member worked as a means of survival, but in a modern career perspective, they pursue value. In addition, it is changing from a perspective that prioritizes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rather than organization. Therefore, the organization should understand the vision of its members,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to achieve career goals, and prevent them from leaving easily. * A thesis for the degree of Doctor in August 2022. In this study, it is purposed to establish a career development strategy to increase career satisfaction of members and reduce turnover intention. The intrinsic value cre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becomes a stepping stone for growing an individual's career, which can increase satisfaction in the current organization and prevent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variable networking behavior as a strategy in the relational aspect. Effects of networking behavior o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explored, and specifically, the role of career growth opportunity was demonst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focus on individual networking behavior as a strategy for career development, and to verify whether networking behavior can also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t is intended to verify the discriminatory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Third,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follow-up variable of networking behavior, a leading variable of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is verified in each effect on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networking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set to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is, we will examine whether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networking behavior can act as a factor to increase individual career satisfaction an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fter that, variables were operatively defined to conduct research,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who formed a team in domestic organiza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convenience caused by the same survey target, the survey was conducted first and second times at intervals of two weeks. In the first questionnair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were measured, and in the second questionnaire, parameter,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were measured. The final number of survey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was 406, and finally 382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growth opportunity. Second, career growth opportun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satisfaction. Career growth opportunity also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networking and turnove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use of networking behavior, which is social communication, as a career development strategy of members. Second, it demonstrated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growth opport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 and career outcome variables. Third, by verifying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and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related to relational aspects in recent turnover studies. As a practical implication, first, the necessity of supporting career requirements intensified in the organization was suggested so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could be recognized through network activities. Second,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it emphasized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in which networking behavior can be activated in an organiza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was demonstrated as a mechanism that can increase career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also consider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members and pay attention to the setting and achievement of career goals. 산업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조직과 구성원도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짐으로써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게 되며, 구성원 스스로가 경력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과거에는 생존 수단으로 일을 했다면, 현대적 경력관점에서는 가치를 추구하고, 조직보다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우선시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들의 비전을 파악하고, 경력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적 환경을 조성하고, 인력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경력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경력개발전략을 구축해보고자 한다.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만들어진 내재적 가치가 개인의 경력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발판이 되어 현 조직에서 만족감을 높이고, 조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측면의 전략으로 네트워킹 행동이라는 변수에 주목하였다.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만족, 이직의도 간의 각 영향관계에 대해 탐색하고,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라는 매개변수에 대한 역할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력개발의 전략으로 개인의 네트워킹 행동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네트워킹 행동이 조직성과에도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내·외부 네트워킹 행동의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현대의 고용환경에서는 어떠한 네트워킹이 효과적인가에 대해서 주목하고자 한다. 셋째,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만족, 네트워킹 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각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모형 종속변수는 경력만족과 이직의도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네트워킹 행동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개인의 경력만족과 조직차원에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국내의 조직에서 팀을 형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사무직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대상이 동일함으로써 발생하는 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문조사는 2주의 간격을 두고 1,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1차 설문에서는 본 연구모형의 독립변수, 2차 설문에서는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통제변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1, 2차 설문을 통해 최종 회수한 설문은 406부이며, 최종적으로는 382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내·외부 네트워킹 행동은 경력성장기회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성장기회는 경력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외부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 네트워킹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도 경력성장기회는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경력개발전략으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인 네트워킹 행동을 활용한 점이다. 둘째, 네트워킹 행동과 경력결과 변수간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매개역할에 대해 실증한 것이다. 셋째, 종속변수로서 경력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해 검증함으로써, 개인의 경력생애주기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해 측정하였고, 최근 이직연구에서 관계적 측면과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첫째, 내·외부 네트워킹 행동 모두 경력성장기회를 높이는 선행요인이므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경력변화를 수립하고, 조직 차원에서도 심화된 경력요건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네트워킹 행동이 활성화 될 수 있는 환경조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셋째, 경력만족을 높일 수 있는 매커니즘으로 내·외부 네트워킹 행동의 관계에 대해 실증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은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경력목표 설정과 달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 도시화가 청소년 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 국가수준 패널분석

        김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oug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adolescent obesity in urban areas, more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a substantial increase in obesity rates in rural area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nd explain these recent trends, this study addresses whether urbanization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dolescent obesity given the increased obesity rates in non-urban areas. Obesity in adolescents is a global health issue that needs urgent intervention. Despite the imperative global burden of diseases carried by adolescents, little attention is put on obesity issues at all. Worldwide, one in five adolescents is overweight or obese,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keep rising. In fact, the number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increased tenfold in the past four decades. Adolescence is a biologically critical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individuals at these ages are more susceptible to obesity–inducing(obesogenic) environmental factors. Because obesogenic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during adolescence, studying these environmental factor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increasing adolescent obesity. Previous studies have generally indicat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obesity. Due to the obesogenic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high obesity prevalence in urban areas, these studies concluded that there i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ult populations, the association was proven to be valid by studies conducting panel analysis at a cross-national level. Previous studies likewise showed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in adolescents living in urban areas compared to rural areas, implying the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olescents in addition to adults. However, unlike studies of past, recent studies report immense increase in obesity in rural areas and question the actual contribution of urbanization on population obesity. This study examines how urbanization, which was understoo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drives increase in obesity, impacts obesity in adolescents. This study relies on a balanced panel dataset, which was sourced from open data provi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Bank,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With compiled data from 2007 to 2016 in 164 countries, this study utilizes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to identify whether urbanization has an effect on obesity in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ational obesity rate of eac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roportion of urban population to total. The following control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caloric surplus;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annual population growth; and cereal yield.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 leading types of disease burden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Non-communicable disease predominant countries; Injury excess countries; and Multi-burdened countries. Summar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a global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olescents in injury excess countries(N=31) and multi-burdened countries(N=58).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olescents in only non-communicable disease predominant countries(N=75). However, previous discussions on the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obesity have focused solely on urban populations, leaving it difficult to explain higher body mass index levels in rural areas in many non-communicable disease predominant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ail to corroborate the claims of previous studies that urbanization is a cause of adolescent obes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olescents is either not significant or inexplicable based on the limited focus of previous studies and currently-available data set. Considering the resul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ever-increasing obesity in adolescents, obesogenic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 population should be explored both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 also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the nature of urbanization or the city itself rather than urbanization per se t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obesity. Concrete and detailed studi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urbanization should be conducted and political effort should be followed to address the increase of obesity in adolescent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our understanding is limited when expla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urbanization and obesity in adolescents living in non-communicable disease predominant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our understanding about urbanization and its impact on obesity in populations. Also, the concept of urbanization should be more clarified and its index should be revised. 국제적으로 청소년 보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촉구된다. 청소년 인구가 마주하는 주요 건강 위협중 하나는 비만으로, 1990년 이후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청소년 인구는 약 2.2배 증가하였으며, 그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비만 발생에서 결정적 시기이며, 비만 발생에서 환경적 요인에 성인보다 취약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인구 비만 문제에서 환경이 반드시 고려되어야하며 청소년 비만 또한 마찬가지로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의 검토가 필요하다. 도시화는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보고되며, 다른 인구집단에서 국가 도시화율과 인구 비만율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시화와 비만간의 관계는 비만을 유도하는 도시 환경과 이에 따른 높은 도시 비만율로 뒷받침되어 설명되었다. 하지만 지방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신체 측정지수와 같은 근간의 보고는 기존의 이해에 대한 검정의 필요성을 높인다. 청소년 비만에서도 국가 내 영향요인을 탐색한 선행 연구 결과 도시 청소년의 비만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국제적인 관점에서 도시화가 청소년 비만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는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인구 비만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이해되었던 도시화가 청소년 비만율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계보건기구, 세계은행,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에서 공개하는 국가별 관측치를 이용하여 2007년에서 2016년 사이 164개 국가에 대한 균형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도시화가 남녀 청소년 비만율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가 특성과 시간 효과를 고정한 이원고정효과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남녀 청소년 각각의 비만율로, 설명변수는 이전 년도 도시인구비율로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구성하였으며, 1인당 평균 칼로리 잉여량, 1인당 국가소득, 인구 증가율, 면적당 곡식 생산량으로 설정하였다. 국가별 주요 청소년 질병부담에 따라 3개 하위집단(비감염성 질병부담이 큰 집단, 외상 질병부담이 과도한 집단, 여러 질병부담을 동시에 가지는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외상 질병부담이 과도한 국가집단(31개 국가)과 여러 질병부담을 동시에 가지는 국가집단(58개 국가)에서 도시화는 국제적 관점에서 남녀 청소년 비만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감염성 질병부담이 큰 국가집단(75개 국가)에서 도시화는 청소년 비만율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졌다. 하지만, 기존에 이루어진 도시화와 비만 사이 관계에 대한 이해가 도시 인구에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고려했을 때, 기존의 이해를 통해 비감염성 질병부담이 큰 다수 국가에서 도시보다 지방의 평균 체질량지수가 높은 현상을 해석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도시화와 청소년 비만율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었으며, 도시화와 비만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유의성을 설명할 수 없었다. 연구 결과에 비추었을 때, 기존에 도시화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도시 청소년에 대한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국제적인 청소년 비만 인구 증가를 중재하기 위해서는 도시뿐 아니라 지방에 거주하는 청소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함께 탐구되어야 한다. 더불어 도시화 자체는 비만율로 연결되지 않으며, 도시의 특성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도시의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특성을 주목하고 정책적 접근을 통해 영향을 줄이려는 노력의 필요하다. 비감염성 질병부담이 큰 집단에서 도시화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이해 범위 내에서 해석이 어려웠던 점에 미루어 도시화가 인구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가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덧붙여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화를 탐구하는 보건학적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도시화의 개념이 보다 명확해지고 지표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김수지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화치료(cinematherapy)는 좁게는 영화를 감상하고 심리 치료에 활용하는 것부터 넓게는 심리 치료의 수단으로 영화를 활용하는 방법을 통칭하는 치료 기법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 형태의 상호작용적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일반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운용하여,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대학생 및 일반인 92명을 선발하여, 영화치료 집단 31명, 일반 상담 집단 26명, 통제 집단 35명으로 나누었고, 치료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2개월이었다. 연구 결과, 영화치료 집단과 일반 상담 집단을 통제집단과 비교해 볼 때, 영화치료 집단이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원형척도(KIIP-C)중 냉담, 사회적 억제, 비 주장성, 과순응성, 자기 희생 등의 척도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에 표준 점수가 감소했고, 특히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은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에도 치료 효과가 지속되었다.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성격장애척도(KIIP-PD)에서는 사회적 인정 욕구와 사회성 부족 등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에 표준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고, 사회성 부족은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이후 영화치료의 치료 요인을 확인한 결과, 영화치료 집단이 과정 척도인 감정적 자각 및 통찰, 집단 내 대인관계, 타인 및 자기 이해, 문제 정의 및 해결 등의 요인에서 일반 상담 집단에 비해 상담 초기에서 중기와 후기로 갈 수록 치료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이 지지 되었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는 행동적인 면을 제외하고 인지적 정서적인 측면의 치료 요인에서 일반 집단상담과 차이가 나고, 영화치료가 일반 집단상담보다 대인관계 증진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적어도 영화치료가 일반 집단상담만큼 대인관계 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Movies, like books, can be useful and inexpensive interventions in psychotherapy. Cinematherapy involves assigning clients commercial movies to view between sessions of therap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cinematherapy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For these purposes, the outcome of cinematherapy compared with general group counselimg(traditional group counseling for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92 students and persons who is suffer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inematherapy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or eight consecutive sessions and additional two post-sessions. General group counseling held concurrently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at of cinematherapy. KIIP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loblem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right after the 8 sessions, one month later, and two month later, to see the effectiveness and it's consistency. It was found that KIIP mean scores of the cinematherapy group significantly lowered than control group in coldness, social repression, non assertiveness, exploitableness, over nurturant, need for social approval, lack of sociability after the program applied. It was also found that KIIP mean scores of the general group counseling were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coldness, social repression, non assertiveness, exploitableness, over nurturant, interpersonal unacceptance and lack of sociability. The results imply that both cinematherapy group and general group counseling sessions are effective in reducing cold emotion and client's inner repression and keeped open mind and got some useful social skills. It can be noted that during therapy process cinematherapy can help the clients to increase emotinal insight, the ability of empathy and feel intimacy in gruop members and understand other people.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cautious generalization is recommended, as a systematic series of empirical investigations should be undertaken to utilize more effective cinematherapy practices for various subjects.

      •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에 따른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job characteristics in female emotional labor workers.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call-center workers, sales service workers of department stores, hotel workers, and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0.0 version. Out of all, call-center workers showed highest in job demand, lowest in job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nd significantly affected by customers. Moreover call-center workers performed surface acting regularly and consisted with highest level of job stress.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job demand, job authority, job responsibility,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 conclusion,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emotional labor workers shown as follows: job demand, job authority, job responsibility,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본 연구는 텔레마케터, 백화점 판매서비스직, 호텔서비스직, 의료서비스직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직무특성,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있는 콜센터, 백화점, 호텔, 병원에서 일하는 감정노동 여성근로자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근로조건, 감정노동, 직무특성,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수준의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직종을 살펴보면 텔레마케터 50명, 백화점 판매서비스직 61명, 호텔서비스직 43명, 의료서비스직이 46명이었다. 직종에 따른 주요변인을 살펴보았을 때 텔레마케터가 업무량이 가장 높고, 직무재량권과 책임감이 가장 낮았으며, 고객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의 표면화 행위를 가장 많이 하고, 직무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높았다. 감정노동과 직무특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직무특성의 업무량과 고객의 상호작용 통제력은 표면행위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내면화행위는 업무량, 직무재량권, 그리고 고객의 상호작용 통제력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량, 직무재량권, 직무책임감, 표면행위, 내면화행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4%이었다. 감정노동 근로자의 업무량이 높을수록, 직무에 대한 자율성이 낮을수록, 직무에 대한 책임감이 없다고 느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높게 나타났다. 감정노동은 스스로 느끼는 감정을 숨기고 표면적으로만 조직이 요구하는 표현규범을 나타낼수록, 고객에게 보여야 하는 조직의 표현규범과 스스로의 감정을 동일시키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직종 중 텔레마케터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는 감정노동 근로자의 감정노동 수준을 낮추기 위한 텔레마케터들의 직무특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여 그에 맞는 조직수준의 개선책이 제시되어야 하며, 감정노동과 직무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척도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SNS이용이 청소년들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how the use of SNS which is the easy and frequent media source for teenagers impacts on political efficacy in the diversified era of the 21th century. Since the distribution of SNS media and its utilization of teenagers gives influences on social system, knowledge, function, value system and attitude, the social studies that aim to foster citizenship should pay attention to it. This paper particularly classified the research target teenagers into the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es of law and politics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and it explored how the intensity and motive of the SNS use impacted on political efficacy per each group. The research methods of questionnaires as quantitative study and interviews as qualitative study to supplement it were co-conducted. A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tudy of conducting questionnaires from total 300 high school students, the intensity and motive of the SNS use of teenagers who are not the gener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does not gi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olitical efficacy. However,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y of conducting interviews showed that SNS gives significant changes and influences on the actions and recognitions of teenager through approaching political issue and various political events in the period of elections in which a variety of political issues are emphasized, which was not perceived through the survey. Suc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tensity and motive of the SNS use of teenager is still focused on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so it does not give much influences enough to satisfy political efficacy. However, it also acts as a medium that can enhance the interest in politics for teenagers. In order to make the SNS use of teenager contribute positively to political efficacy and take communicative role to view the society in the future, the guide education for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of SNS and the education on various political issue approaching through SNS is required to be the students’ path of participation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They should be utilized in the social studies classes by considering the qualitative aspects. 본 연구는 21세기 다변화하는 시대 속에 청소년들이 쉽고 자주 접하는 언론매체인 SNS의 이용이 정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SNS미디어 보급과 이에 대한 청소년들의 활용은 사회의 체계나 지식과 기능, 가치관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 교육이 주목해야 할 점이다. 특히 본 연구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청소년을 법과정치영역을 수강하는 학생과 수강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이 집단들에 대한 SNS의 이용강도와 이용동기가 각각 정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위한 설문조사와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방법인 인터뷰 조사를 병행되었다. 총 300 명의 고등학생을 양적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직 정치참여세대가 아닌 청소년들의 SNS의 이용강도 및 이용동기는 정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 연구인 인터뷰조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정치적 이슈접근과 경로와 SNS를 통한 다양한 정치적 이슈가 주목을 받는 선거철과 각종 정치적 사건을 통해 SNS가 청소년들의 행동과 의식에 의미 있는 변화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직까지 청소년들의 SNS의 이용강도 및 이용동기가 친교 및 오락에 집중되어있어 정치효능감에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청소년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SNS의 청소년들의 이용이 정치효능감에 긍정적 역할을 미치고 청소년들이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SNS의 정보추구활동에 대한 가이드교육과 SNS를 통한 다양한 정치적 이슈접근교육 및 학생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는 참여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사회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오토캠핑객의 개인적 가치, 기후변화 문제인식이 친환경적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후변화 문제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지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는 18세기 산업혁명 시기의 산업화를 통해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었지만, 교통 및 산업 전 분야에서 과도한 화석 연료의 사용으로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해 지구의 기후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UNTWO(2007)의 자료에 의하면 관광부문 역시 온실가스 배출에 자유스럽지 못하며, 관광은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는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에 일정부분 책임이 있는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산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관광부문 역시 지구온난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친환경적인 행동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김현정․유광민․김남조, 2014). 그러나 공급자 측면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관광산업의 특성상 대부분의 이산화탄소가 수요자 측면인 관광객에 의해 발생되므로 관광객이 노력하지 않으면 직접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원인을 줄일 수 없다(김현정 외, 2014). 이에 따라 관광객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자발적으로 줄이려는 친환경적 관광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문제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기후변화 문제인식 정도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행동에 대해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증조사를 위해 오토캠핑장을 2년 이내에 이용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 응답 및 결측치가 다수인 설문지를 제외한 총 25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WIN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변수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들의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서 다중회귀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첫째, 개인적 가치를 구성하는 2개의 하위 요인 생태적 가치지향과 사회 이타적 가치지향은 기후변화 문제인식을 구성하는 2가지 하위요인 기후변화 위협인식과 기후변화 가능성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 문제인식을 구성하는 2개의 하위 요인 기후변화 위협인식과 기후변화 발생가능성인식은 친환경적 관광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개인적 가치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생태적 가치지향, 사회 이타적 가치지향과 친환경적 관광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후변화 문제인식의 하위요인인 기후변화 위협인식은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후변화 발생가능성인식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기후변화 발생가능성을 비교적 높게 인지한다고 해서 관광객의 관광행동이 친화경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나와 가족, 사회 등에 직접적으로 결부되어 위협을 인지하게 될 때 관광행동이 친환경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인포그래픽, 대중매체를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관광객의 관광행동을 친환경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

        김수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떠오른 의료관광은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이후 시장개방을 통한 국경 없는 무한경쟁 속에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의료산업이 경쟁 분야로 떠오르고 각국의 의료산업이 국제적으로 교류되면서 환자 역시 저렴한 비용의 의료서비스 또는 현대적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국제적 이동을 하여 주체적인 선택을 하는 양상을 보이며 의료산업의 세계화가 도래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국내 의료서비스를 세계화의 흐름 속에 산업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2009년 국가신성장동력산업의 일환으로 ‘글로벌헬스케어’가 선정, 그 해 5월 1일 의료법을 개정하면서 본격화 되었다. 최근 성형 및 미용에 집중 된 해외환자 유치보다는 장기적인 의료관광산업 성장을 위하여 진료 수익 측면에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증질환 환자를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대한민국의 선진화 된 의료기술 홍보를 위해서도 중증질환 치료에 대한 집중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도출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은 대형화 및 전문화되어 국내 환자들의 수요 및 선호도 또한 매우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의료관광산업에 자원 및 인력을 투입하고 적극적인 해외환자 유치를 하는 데에는 일정부분 견제와 우려가 따른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로부터의 현황 분석을 통해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현재 해외환자 유치 및 국내 환자 의료 보장에 대해 자각하는 현황을 분석한 후에 향후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관광산업 필요성을 도출하여 의료관광산업에서 가지는 역할을 분명히 인지하고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역 내 상급종합병원 24곳을 대상으로 각 기관 종사자의 259개의 표본을 얻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구성의 요인분석을,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병원규모, 소속, 전담기구 설치 여부에 따라 의료관광의 필요성, 현황, 국내 수요, 활성화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료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변수 간 다중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의료관광 활성화의 하위영역별로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종사자들은 전반적으로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해외환자진료경험 또한 많았다. 평균적으로 대한민국 의료관광 수준 및 해당 기관 의료관광 수준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료관광산업의 대외적인 홍보 기능을 위한 필요도가 높았다. 의료관광 활성화 조건에 대하여 현재까지도 전문 인력 필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해외 의료기관과의 협력관계 및 해외환자 분쟁 대응책이 다음으로 제시되었다. 기관별 특징에 따라 병상수가 많은 대규모 기관일수록 국내환자의 수요정도는 높았으나 의료관광산업의 필요성 또한 높게 평가되었고 의료관광 현황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았다. 또한 소속에 따라서는 의사 및 행정직이 간호사보다 해당 병원 의료관광 현황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관광이 활성화되고 체계화 된 진료프로세스가 부서별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선진화된 의료기술 및 체계화된 의료프로세스를 통해 의료관광산업의 활성화가 유리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으며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관광이 활성화될 경우 한국 의료기술의 인지도 상승과 중증환자치료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기대하는 인식이 높았다. 이를 통해 상급종합병원은 해외환자유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의료관광산업에서 선진의료기술을 통해 대외적인 홍보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를 알 수 있었다. 기관 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 교육 필요와 의료분쟁에 대한 제도적 장치도 요구되었다. 기관 규모에 따른 활성화 정도가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나는 만큼 기관별 해외환자 유치의 기능적인 특성에 따라 해외환자 유치에 관한 규제를 완화 또는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환자 의료보장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상급종합병원의 현황을 분석하는 자료가 됨에 의의가 있지만 여전히 많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에 향후 규모적인 실태조사 및 기관의 분류에 따른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medical tour which emerged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of the 21st century was accelerated through the limitless competition without borde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WTO. As the medical industry emerged as a competitive industry and was exchanged among countries, patients made independent decisions to travel internationally for inexpensive or advanced medical services, resulting in the glottalization of the medical industry. South Korea also implemented a policy to industrialize its medic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with the ‘Global Health Care’ selected as the Industry for National Developmental Force in 2009 and the revision of the Health Law on May 1st of the same year, the industrialization of medical service became official. Recently, opinions that rather than foreign patients requiring plastic surgery or beauty treatment,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s who can create high profits should be attracted for long-term growth of the medical tour industry are rising, and thoughts that strategic focus on the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s is needed to advertise the advanced medical services of South Korea are being deducted. Advanced general hospitals of South Korea are oversized and specialized, and domestic patients’ demands and preference for those hospitals are high. In a situation like this,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s have some restriction and worries in investing resources into medical tour industry and attracting foreign patien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from the workers of medical institution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workers of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s on the medical tour,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securing medical services for domestic patients and deduct the necessity of the medical tour industry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to recognize the role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the medical tour industry and examine the strategies and policies. 259 workers of 24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the capital area were interviewed and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The main methods for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use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need for medical tour, present condition, domestic demands, in relation to the size of hospitals, departments, and the presence of organization exclusive to medical tour, variance analysis an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medical tour,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ub-categories of medical tour activation. , The result showed that workers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were highly aware of medical tour industry and they had much experience in treating foreign patients. On average, the quality of medical tour of South Korea and of corresponding organization were considered high, and the need for advertising the medical tour industry to foreign countries was high. Among the conditions for activating medical tour, the need for the health professionals was the highest, and the need for the cooperation with foreign medical organizations and for the countermeasures for disputes of foreign patients were the nex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s the number of beds increase for an institution, the demands for domestic patients for the institution was high, but the need for medical tour industry was also evaluated as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 for the present conditions for medical tour was also high. Doctors and administrato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ospitals’ medical tour conditions than nurses showing that the systemized treatment process where medical tour is activated are different from departments to departments.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it is advantageous to activate medical tour industry through the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and systemized medical process, and when the medical tour is activated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medical technologies would increase, and South Korea would have a competitive edge in treating patients with serious disease. Through this, advanced general hospitals are actively working to attract foreign patients, and they expect to participate in advertising to foreign countries with advanced medical services. Educating worker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medical dispute were also needed. Since the relation between the organ-scale and the level of activation was positive appear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ttracting foreign patients, it was needed to relieve or supplement the restrictions on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the strategy for securing the medical service for domestic patients was also needed.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for activation of medical tour industry, but still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and that implies that scalar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and analysi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