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영어학습 사이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3학년 6명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관한 연구

        김수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자는 수업 시간 이외의 시간을 적극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EBSe 영어학습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면소재지의 소규모 학교의 3학년 1개 학급 6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16주 동안 주 3회씩 컴퓨터실에서 아침활동과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EBSe 인터넷 영어학습 사이트를 활용한 개별학습을 하였다. 아동들은 스스로 일주일 단위로 학습할 프로그램 내용과 시간을 정하는 계획을 세웠고 계획에 따라 학습하며 학습일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학습일지에 매일 자기 평가를 하였으며 매주 소감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자는 학습일지를 구안하였고, 아동들의 학습을 안내하였고 학습활동을 도왔으며, 관찰·면담한 내용의 일지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모든 활동의 분석을 통해 각각의 아동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명의 아동 중 선경, 자은이, 혜민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였다. 이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학습을 하였으며 자기평가와 소감문 쓰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매주마다 잘 수행하였다. 즉 선경이와 자은이는 선의의 경쟁을 하면서 학습일지를 잘 작성하였고 후속활동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자신의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하여, 후속활동으로 우유팩 카드를 만들어 게임 활동을 하며 단어나 문장을 익혔다. 특히 본 연구 전에 자기 주도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혜민이는 ‘초등 3학년 영어’와 ‘SEL 2(Ⅱ)’ 프로그램을 매주 규칙적으로 학습하고자 계획을 세웠고 본인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끝까지 학습하기 위해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워 학습하는 점이 관찰되었다. 후속활동으로도 혜민이는 친구들과 달리 자신만의 단어 수첩을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바다는 자기 주도적 학습에 있어 중간적인 위치에 있었다. 영어학습 능력은 우수한 편은 아니었으나 계획에 의한 학습, 자기 평가는 잘 수행하였다. 그러나 면담 내용을 보면 선생님께 칭찬 받고 싶어서 열심히 하였다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내적 동기가 약함을 알 수 있었고 영어 공부하는 시간이나 양을 선생님이 정해주면 좋겠다는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수완이와 미라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완이는 학습계획을 세움에 있어서도 친구들이 하는대로 따라하는 경우가 많았고 학습활동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관찰되었다. 미라는 한글의 읽기, 쓰기에 어려움이 있어서 학습일지를 기록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영어학습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둘째, 아동들은 모두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정의적 영역의 향상을 보였다. 자기평가를 보면 아동들은 거의 ‘잘 했어요’에 표시하였고 ‘보통이에요’에는 가끔 표시하였으며 ‘노력할게요’에 표시한 경우는 한 번도 관찰되지 않았다. 소감문의 기록을 보면 아동들은 학습에 대한 재미, 더 많이 공부하고 싶은 욕구, 듣기, 읽기 등의 향상으로 자신감 상승 등의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혜민이의 경우 ‘앗싸~’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흥미를 표현하고 있고, 수완이의 경우 소감문의 내용이 항상 ‘재미있다’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인터넷 무료 영어학습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을 아동의 눈높이에 맞추어 개발되어 주기를 기대한다. 이는 사교육비의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며 우리나라 영어 교육 발전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how autonomously six Korean third graders learned English utilizing an English Internet site while their teacher guided them at a computer lab three times a week for sixteen weeks. Every week each child planned which content at the Internet site they would utilize and performed their study based on their own study plans, and kept learning diaries. The researcher helped them at the lab whenever they asked her, and wrote observation reports usually after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six performed their English studies various ways. Among the six children, Sun-gyeong, Jah-eun and Hye-min performed self-directed learning very actively. These children made their study plans and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evaluated their learning and kept learning diaries diligently every week. That is, they utilized the Internet site in self-directed ways. Sun-gyeong and Jah-eun competed with good intention and tried very hard to utilize the Internet site for their English study. In addition, they had suggested many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the words learned at the Internet site so that they could learn words and phrases while performing the activities. Particularly, Hye-min, who was not an active learner before the study, planned to learn ‘English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at the Internet site and chose ‘SEL 2(Ⅱ)’ programs for her English study every week on a regular basis. Hye-min wanted to make her own word cards in her own way writing four words in one page, while the others made word cards putting down one word each card. During the winter vacation, however, Sun-gyeong and Jah-eun performed their English study utilizing the Internet site as they planned, while Hye-min di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regularly as she had planned. Bada's self-directed learning at this study was less active than Sun-gyeong, Jah-eun or Hye-min. English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 was not very excellent, but she performed learning and self-evaluation as planned. Outside the class, she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quite actively such as repeating English words loudly and writing English words on the board during lunch time. However, she said that she studied English hard because she wanted to be praised by the teacher at an interview, and revealed her passive attitude towards her English learning. Although she had planned for self-directed learning during the winter vacation, it was observed that she put the plan into action. All in all, at this study Bada did not study English as ctively as Sun-gyeong, Jah-eun and Hye-min did. Su-wan and Mi-rah di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actively while they took part in the study. S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was rather passively performed at this study. They followed the process of this study well, but did not show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In many cases, Su-wan just imitated the friends for making plans for learning and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learning activities at the class. Since Mi-rah's learning ability of Hangul was behind, she had difficulties to read and write Hangul so that she could not perform the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due to difficulties in recording her learning at her learning diary Although she made words cards as her friends did, she did not seem to know how to utilize the word cards. She did not or could not utilize the internet site during the winter vacation. At individual interviews, Su-wan and Mi-rah said that they preferred teacher-directed English learning to self-directed English leaning. Second, all of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in affective domain while participating in the study. At their learning diaries, they evaluated their learning in three different ways: 'I did good job', 'My effort was average' or 'I need to try even harder'. All of the children marked 'I did good job' in the most cases, 'My effort was average' sometimes but never 'I need to try even harder'. It means that they were so confident about their trials and efforts to learn English while they took part in the study. At their learning diaries, they wrote their interests in learning, willingness to study more, increase in self-confidence and their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improvements. ‘The class was Interesting’, and ‘the class was good’ were the most frequently written in the learning diaries. In the case of Hye-min, she described her interests by using expressions like 'Wow~' and Su-wan always wrote 'the class was interesting' in his learning diary. In conclusion, the six third graders'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 Internet site was performed in self-directed ways. The Internet site helped them stimulate and promote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 current study was a good example to show that Internet-based English learning programs can be utilized successfully for elementary students. The current study results imply that more Internet-based English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who need to be helped regardless their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용을 위한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

        김수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hat can contribute improvement of clinical nursing competency by helping the build-up of systematic assessment capability and evaluate the protocol by applying it to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During the clinical training course of adult nursing held between August 29th and October 5th, 2022 in K university hospital, 23 students among 36 third-year students assigned to two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is protocol after implementation, changes in scores of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were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the Patient Rounding Scale was measured only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tocol.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comprised nine assessments and referral to a nurse if needed: level of consciousness, pain, personal needs, position, intravenous injection, oxygen supplying system, nasogastric/ nasoenteric tube, maintenance of urine bag, and environmental risk for fall. Participants did intentional rounding at least 2 times per da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communicational and interperson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hile score changes of empathy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evaluation, four main topics including relational growth, getting to know the practical field, becoming a nurse, and facing reality barriers were drawn. Conclusion: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encourages nursing students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nurses, an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linical training. It would be effective for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to nursing practice courses would be expected. This intentional rounding protocol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fostering of competent nurses who are essential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이루어지는 관찰 학습보다는 체계적 사정 능력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임상적 판단 능력 증진과 실무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도적 간호수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실습에 적용하여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개발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임상실습에 적용한 후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의도적 간호순회적용 전, 후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공감능력, 그리고 환자안전역량을 측정하여 점수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이며, 프로토콜 적용 이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순회 인식을 적용하였다. 2022년 8월 29일부터 10월 5일까지 K대학병원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중 내과계 간호단위이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두 곳에 배정된 3학년 36 명 중 23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정성적 평가로 초점집단면담을 5명에게 실시하였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의식수준 사정, 통증 사정, 개인요구 사정, 체위 사정, 말초정맥주입 사정, 산소 사정, 비위(장)관 사정, 소변주머니 사정, 낙상예방을 위한 환경 사정으로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토콜 수행 후 정량적 평가에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효능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공감능력과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에서 관계의 성장, 현장을 알아감, 간호사가 되어감, 현실에 부딪히는 장애(벽)의 4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로써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어 임상실습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하며, 또한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임상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의도적 간호순회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표준화된 간호순회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임상에서 요구되는 실무중심적인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형 엘리트의 탄생 : 동남아시아인 한국(어)학 전공 대학원생의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knowledge mobility in western-centric globalized academia, based on a qualitative survey of the experiences of Southeast Asi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tudents’ scholar/researcher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nd at their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policy aspect of Korea that involves attracting more foreign students and expand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is a compromise of their semi-global dreams. The mo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usually focuses on the US/West, the perceived center of economy and academics. Choosing Korea as the loc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jobs and trying to achieve the dream of becoming a knowledge elite through Korea not only requires compromises and rationalization but also affects students’ elite identity and attitude after studying abroad. Second, this thesis clarifies how Southeast Asian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void discrimination through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responses by intertwining their identity as a university student in Seoul with their identity as a Southeast Asian, which, on its own, often evokes low status connotations in Korean society. The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people of their country of origin by emphasizing their personal value and abilities and sometimes resort to agreeing with the assertions of discrimination in order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eir experience of neglect and alienation within the academic setting of Korean Studies (or language) is an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imperfection of the elite identity they pursue. Third, this thesis presents their elite identity as that of a “Koreanized elite.” This term implies an imperfect elite identity created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Korean academia that they have acquired while studying in Korea, in conjunction with the economic dependency rooted in the ongoing master-disciple relations and research grants affecting them even after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While they are professors of Korean Studies (and/or language) at their local universities, they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the realm of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As both beneficiaries and co-conspirators of Korea's national promotion, these Southeast Asian scholars maintain multifaceted and complex feelings for Korea. This thesis highlights knowledge mobility from the periphery to Korea, which has not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Southeast Asian students, whose aim is upward class mobility by studying abroa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lites, and how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 continues to affect their elite identities beyond their periods of academic exchange.

      •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김수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18~35학급 규모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겸임보직교사는 대규모 학교 보직교사 두 명이 나누어 하는 업무를 혼자서 담당하고 있다. 이들은 과중한 업무 때문에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겸임보직교사의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지도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게 되어 학교교육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겸임보직교사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겪는 직무스트레스의 실제와 대처방안을 밝혀봄으로써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경험은 보직교사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도에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겸임보직교사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1차 질문지를 작성하여 직무스트레스 빈도가 높은 항목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지를 작성하였다. 면담질문지는 초등학교 겸임보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실제, 영향, 대처방안에 관한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겸임보직교사들은 대부분 40대 초반부터 50대 후반의 연령층으로 이들은 가정의 가장이거나 초, 중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주부이다. 학교의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가정에서는 최소한의 역할밖에 할 수 없거나 학교업무에다 가정사 돌보기를 동시에 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겸임보직교사는 교장이나 교감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어려움, 동료 교사들의 비협조적인 태도 및 개인생활의 중시, 학부모의 직접적인 간섭과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기술을 익히지 못해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또한 겸임보직교사는 업무가 과중하기 때문에 교재연구, 학급 관리에 쏟을 시간이 부족하여 학부모들은 보직교사가 담임을 맡은 것을 기피하고 있으며 겸임보직교사는 이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 겸임보직교사는 처리해야 하는 업무의 절대적인 양이 많다. 겸임보직교사의 업무량이 많은 이유는 공문의 증가, 새로 시행되는 업무 증가, 전자문서 업무 처리의 까다로움 및 각 전자문서 프로그램별로 상호 연계가 되어 있지 않아 불편가중, 불합리한 업무 분배와 인사배정, 자료나 정보의 공유 부족으로 인해 불필요한 업무의 반복 때문이다. 겸임보직교사는 승진에 유리한 조건의 학교로 전보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조건의 학교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과 인사보강으로 전보할 경우 관례적인 답례 때문에 심적, 경제적으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겸임보직교사는 승진을 위한 연구 점수와 근평 점수 관리를 해야 한다. 많은 업무와 바쁜 생활 속에서 별도로 시간을 쪼개어 연구에 매진해야 하고 교장으로부터 근무 평정을 잘 받기 위해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힘들고 어려운 상황이 있어도 말 못하고 스트레스를 견디고 있었다. 소규모의 학교에 근무하는 겸임보직교사는 대규모의 학교에 근무하는 보직교사보다 일은 더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근평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불합리한 승진제도 때문에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둘째, 겸임보직교사에게 집중되는 과도한 업무와 업무를 효과적으로 조정, 중재하는데 겪는 어려움,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시간의 부족 등으로 인해 불면, 폭식으로 인한 체중 증가, 소화 장애, 고혈압, 피부질환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겪고 있었다. 또한 많은 교사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겸임보직교사는 대인관계가 원만해야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분노, 긴장감, 정서적인 고갈, 심리적인 위축, 자신감의 저하, 가슴 두근거림, 우울증, 무기력, 의욕 상실 등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부주의, 건망증, 과도한 쇼핑, 폭식, 종교적인 의지, 주의집중 방해 등과 같은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운동이나 단식, 명상, 단전호흡, 대화 나누기, 절 수련 쇼핑, 과식 등 신체 활동으로 스트레스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정신적인 긴장을 완화시키고 있었다. 그렇지만 교장이나 교감과의 갈등과 같이 해결하기 쉽지 않을 경우 정면으로 부딪쳐 갈등을 해결하기 보다는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로 오는 공문서의 양을 줄여야 한다. 전자문서제도가 도입된 후 공문시행이 용이해져 여러 단체 및 기관에서 학교로 오는 공문서의 양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심지어 지방교육행․재정시스템의 도입으로 과거 행정실에서 담당했던 업무까지 교사가 처리하고 있어 겸임보직교사는 점점 더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관계당국이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겸임보직교사는 업무의 늪에서 헤어날 수가 없다. 둘째, 과중한 업무량에 비해 근평 점수는 불리한 현행 근평점수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많은 보직교사가 대규모 학교에서 근무하고자하는 이유가 소규모학교에 비해 업무량은 적고 근평 점수면에서는 유리하기 때문이다. 셋째, 보직교사 배치 기준을 완화하여 소규모 학교에 보직교사의 수를 늘려야 한다. 학생 수의 감소 로 인해 학교의 규모는 작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겸임보직교사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학교에서 처리해야하는 업무의 양은 점점 증가하고 업무 처리의 절차도 까다로와지고 있어서 겸임보직교사의 업무 부담이 과중하다. 소규모 학교에서 근무하는 보직교사의 수를 늘려 그들의 업무 부담을 줄여 주어야 한다. 넷째, 승진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현행 승진제도는 점수가 너무 세분화되어 있고 교사들로 하여금 오랜 시간동안 과도한 노력을 요구하고 있어 이 기간 동안 정작 중요한 학생지도는 뒷전으로 밀려나는 경우가 많다. 승진 체제를 행정전문가와 교육전문가로 이원화할 필요가 절실하다. A head teacher who holds an additional post in an elementary school with 18 to 35 classes is in charge of duties that two head teachers take care of in a larger school.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are under heavy job stress due to their heavy workload, which results in detracting from their job efficiency, curbing their dedication to teaching and ultimately affecting the attainment of school objectives in a negative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patterns of head teachers holding an additional post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ways of relieving their job stress and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reality of the job stress of elementary school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2. What impact do their job stress experiences have on themselves? 3. How do they cope with job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selected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s of 2009. A semi- 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fter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prepared to select which factors provoked frequent job stress,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ased on that.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consisted of 15 items about the reality of job stress,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coping patterns. After the interview data were gathered,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ake an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were mostly in their early 40s and late 50s, and they were the heads of their families or homemakers whose children attended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They were under stress, since they were bound to perform just a minimum range of roles at home due to heavy workload or faced difficulties in taking care of school work and household chores at the same time.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were also stressed out because of inefficient communication with principals or assistant principals, the uncooperative attitude of colleagues, their excessive emphasis of personal life, and their own ability to properly respond to the firsthand intervention or demand of parents. They couldn't afford to make a case work study and manage their classes efficiently due to heavy workload. Therefore parents didn't want them to be their children's homeroom teachers, which puts another strain on the head teachers.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were overloaded with so much work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fficial documents to take care of, increasing new duties, troublesome electronic documentation, a lack of connection among e-document programs, irrational job division, irr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having to do unnecessary work repeatedly because of insufficient sharing of information or materials.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had to try to find out which school could give them a better chance for promotion before their transfer to another school. In case of being transferred to a new school due to an announcement of personnel changes, they faced psychological and financial pressure as they usually needed to do something in return for that.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had to get enough scores by making researches and improving their performance to get promotion. They needed to take time to make researches and endured their stress even in very tough circumstances without any complaint to get good scores from their principals in performance appraisal. Actually, the head teachers who held an additional post in small schools took care of more work than head teachers in large schools, and the irrational promotion system that was more disadvantageous to them in association with performance appraisal put lots of pressure on them. Second, they suffered physical symptoms such as insomnia, an increase in weight resulting from binge eating, digestive troubles, hypertension and skin diseases because of heavy workload, difficulties in work coordinating and po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riggered by time constraints. They had to interact with a lot of teachers to take care of their work, and they would have been able to go through less stress if they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thers. When they didn't have an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stress like anger, tension, emotional burnout, withdrawal, poor confidence, feeling nervous, depression, helplessness and demotivation, and such stress provoked carelessness, amnesia, binge shopping, binge eating, dependence on religion, and inattentiveness. Third, when they were stressed out, they made themselves relax by handling their stress by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like exercise, fasting, meditation, hypogastric breathing, talking, Buddhist training, shopping or overeating. But when it was not easy to resolve conflicts with principals or assistant principals, they just chose to avoid it rather than to confront i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there should be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official documents sent to each school. The introduction of the e-document system makes it easier to issue official documents, and there is a subsequent increase in the amount of official documents sent to school by different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education informatization system, teachers even have to handle work that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 took care of in the past, and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face more difficulties than ever. If the local authorities don't try to resolve this problem, they cannot find a way out of their increasing difficulties. Second, the curr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should be improved, since that puts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heavy workload. Many head teachers want to work in a large school, because the large school allows them to be responsible for less workload and offers them more benefit in terms of performance appraisal. Third, the head teacher placement criteria should be lightened to increase the number of head teachers in small schools. Every school is being downsized due to a reduction in the student population, but the number of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is consequently on the ris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ir workload is on the increase as well, and the procedure of work handling is being more complicated. Indeed, all the circumstances put a huge strain on head teachers who hold an additional post. So the number of head teachers who work in small schools should be increased to relieve their burden. Fourth, the promo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he grading of the current promotion system is overly segmented, and that system demands time-consuming, painstaking efforts from teachers, which often results in making them disregard student guidance. A dual promotion system that separately caters to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urgently required.

      • 자유학기제를 위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

        김수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ducational value of opera collage and to suggest a novel method of instruction for opera by research in the opera collage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free-semester music activity. The free-semester system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purposes of opera and opera collage are reviewed before the proposal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tion. A 14-class teaching/learning plan for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opera collage is suggested based on this section. The opera collage program consists of 3 stages. Students learn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pera and opera collage in the first introductory stage. The second developmental stage focuse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opera music. Students choose an opera song based on their preference and practices a drama performance founded on the chosen piece. The final stage concludes with a performance and review. All class content consists of student-participation focused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ypical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 grading method uses the free-semester system’s process-based grading and other various evaluation tools. To facilitate a link between the free-semester system and general semesters, the choice of opera pieces was limited to one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creative musical drama specified by the intent of its creator can be conceiv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opera. Seco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can be augmented by learning about the numerous opera music contained in textbooks. Third, a drama can be recreated based on students’ real life to be used as a musical tool to express their emotions. Fourth,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student-focused creative processes. Fifth, students are able to explore careers by roleplaying and experiencing positions in opera. The opera collage program allows a comprehensive experience in the broad artistic characteristic of opera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more, it will inspire intrinsic motivation in music, popularize opera in the public sphere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opera as being difficult and obscure, and provide a positive effect of students adopting opera in daily life. Thus, there is hope for this study to be actualized as a real class and for further research to continue developing opera collage. 본 논문의 목적은 오페라 콜라주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고 자유학기제 음악 활동에서 활용 가능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오페라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필자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자유학기제의 개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개념 및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를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 지도안 14차시를 제안하였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도입 단계는 오페라와 오페라 콜라주의 이론적 배경을 학습한다. 전개 단계는 오페라 제재곡을 학습하고 학생 참여 활동이 중심이 된다. 학생들은 선호에 따라 제재곡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극을 창작하며 오페라 콜라주 공연을 위한 연습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마무리 단계는 본 공연과 평가를 실시한다.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 활동의 주요 수업 내용은 자유학기제에 추구하는 협동 학습, 토론 등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평가 방식은 자유학기제의 과정 중심 평가와 다양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일반 학기와의 연계를 실천하기 위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제재곡을 선정한다. 본 연구를 통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페라의 종합 예술 특성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인 음악극을 창작할 수 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다양한 오페라 악곡을 학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로 극을 재창작하여 그들의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넷째, 학생 중심의 창작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고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오페라와 관련된 직업 탐구와 역할 체험을 통해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오페라 콜라주 프로그램은 오페라의 종합예술 특성을 포괄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내재적 동기를 고취시키고 오페라가 어려운 음악이라는 인식을 전환 시켜 오페라의 대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오페라를 생활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 되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오페라 콜라주의 다양한 발전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한일 초등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경제교육 내용변화에 관한 연구

        김수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경제교육 내용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 개정 내용에 대한 고찰은 사회교과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제교육의 내용 변화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분석은 교육과정 개정이 함의하고 있는 교육철학의 변화를 찾아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양국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비슷한 시기에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졌고 개정될 때마다 변화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는 각각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공민적 자질 함양이라는 목표 즉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경제교육은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복잡한 경제현상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개인에게 필요한 경제적 사고방식을 습득시켜 합리적인 경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능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 자료로는 우리나라 해방 이후 교수요목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상의 경제교육 내용과 같은 시기 일본의 1947년판 학습지도요령에서부터 2015년판 개정 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된 소학교 사회과 경제교육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한 양국 경제교육의 내용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경제교육 내용 변화의 특징은 첫째, 환경확대 원리의 기계적인 적용에서 탄력적 적용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학년별로 다루어지는 경제교육의 내용과 양에 대해서는 일관된 체계성을 갖지 못하고 특정 학년에 집중되어 왔으나 개정 교육과정에서 점차 탄력적 적용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경제교육의 측면에서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과 계열성이 추구되고 있다. 경제영역에서도 학습량 감축 및 내용 중복 해소를 통해 주제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고 학습량과 수준의 조정을 통한 핵심역량이 강화되었다. 셋째, 시장경제를 기초로 하는 경제학 개념 사용이 확대되면서 교과 내용의 소재가 추가되고 있다. 기존 교육과정의 유지나 재배치가 아닌 새로운 내용의 소재들을 추가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다. 넷째, 경제 개념과 경제 원리를 중시하여 경제학 이론 부분이 교육과정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미국의 경제교육 표준을 중핵으로 수용하여 경제개념의 원칙에 좀더 충실하게 구성하려고 하였다. 일본의 경제교육 내용 변화의 특징은 첫째, 학습자의 성장에 따라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배열하려는 원칙을 지키며 생산과 소비, 일본의 산업 그리고 자연 환경의 이용 등 지역사회 모습에서 광역도시, 국토환경으로 내용 확대를 통한 통합적 구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경제학적 접근이 아닌 생활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관심을 두게 하는 생활 밀착형 교육이다. 경제교육의 목표를 주로 지역 또는 국민 생활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 경제활동의 의의를 이해시키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학의 개념이나 이론의 학습보다는 지역이나 일본에서 실제 경제활동, 경제생활과 그 의의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일본의 초등경제교육이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지역 산업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현실 경제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방법과 함께 경제개념 이해와 경제사고력 육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경제교육은 자본주의의 구조적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사회 인식, 즉 현실의 노동·생산·산업에 대한 인식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노동자에 대한 사회 인식의 중요성과 노동관계의 개선, 사회복지의 증진에 필요한 태도 육성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초등 사회과 경제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경제교육이 경제학 교육이 아닌 경제교육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회과 교육에서 경제교육의 영역이 확대·심화 되면서 초등의 수준에 맞게 경제학 개념을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서술되고 있지만, 여전히 추상적 개념이 많은 편이다. 보다 효과적으로 사회과 목표인 민주시민의 책임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경제학 이론 중심의 개념 사용이 아닌 생활경험과 체험 위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활 중심의 체험학습 확대를 통하여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경제교육의 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를 끌고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계속성 및 계열성의 원리에 따라 학년별로 균형있게 배치되고 조직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 내용의 연계성과 영역 간 통합성을 지향하여 학습 내용의 적정화를 통해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경제교육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 일관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학년별로 다루어야 할 기본 경제개념 및 원리에 대한 표준안을 정립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경제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시급하다.

      • 라오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표현 수행양상 연구 : 비교문화 화용론의 관점에서

        김수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nalyzes Laotian KSL(Korean as Second Languag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in performing politeness expression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ts finding highlights cases both in pragmatic transfer and failure caused by Laotian linguistic cultural factors. To demonstrate this, this research adopts a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hich consists of seven situations and also considers Relative Power(P) and Social Distances(D) together.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imposition for each situation, subjects are requested to mark their responses in a five-point Likert Scale. Finally, it conducted follow-up interview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as a qualitative resear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Laotian and Korean students enrolled at Korean universities both in language schools and graduated schools.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 The Laotian KSL learners tend to use avoidance strategy when they encounter a 'Face' threatening situations.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they use several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Face Threatening Act(FTA). Firstly, they use endings with respectful expressions(honorific) such as '-haeyo' not only for superiors but also for friends; Secondly, they use apologetic expressions; Thirdly, the terms of address are used as a politeness marker; and Finally, they try to make literal translation from the Laotian language. Meanwhile, Laotian KSL learners often cause pragmatic failures when they use direct and conclusive utterances because of their lack of linguistic resources. Its result would provide good reference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particularly focusing on politeness expressions, which help Laotians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gether.

      • 박수근의 미술작품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김수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의 미술작품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특히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를 교수하는 것보다 문화 자체를 교수하여 학습자들이 한국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인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적인 정서와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미술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았던 한국을 대표하는 위대한 화가인 박수근의 미술작품을 가지고 구체적인 한국문화수업의 사례를 구성해보았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한국문화교육의 내용 선정과 분류를 위한 방법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능력 중심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박수근의 미술작품들을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적 관점을 가지고 분석하여 권오경(2006)의 성취 · 행동 · 관념문화로 분류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수업의 방법으로 플립 러닝과 온라인 수업을 적절하게 블렌딩하여 제시하였는데,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다수가 해외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에서 직접 교육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므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교수-학습 과정을 뒤집어서 거꾸로 수업을 진행하기에 학습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되어 학습 효과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플립 러닝을 적용하게 되었다. 3장에서 선정한 성취문화를 위한 한국문화수업의 내용은 ‘백의민족’과 ‘한복’, 행동문화를 위한 한국문화수업의 내용은 ‘집단 간 거리감’, 관념문화를 위한 한국문화수업의 내용은 ‘관용’과 ‘순리’였으며, 이러한 내용과 앞에서 제시한 연구 방법을 토대로 4장에서는 박수근의 미술작품을 활용한 한국문화수업에 대한 사례를 성취 · 행동 · 관념문화 순으로 각 문화 유형 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 수업을 함께 블렌딩한 한국문화수업의 사례를 제시하였기 때문에, 플립 러닝의 선 학습 후 활동의 원칙을 잘 따르고 있어 플립 러닝의 이점을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플립 러닝의 PARTNER 모형을 기반으로 수업의 절차를 사전과제 → 발표 · 토의 수업 → 핵심 요약 강의 → 성찰 순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미술작품을 통해 한국문화에 대한 이질감을 극복하고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게 되어 한국문화를 좀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문화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본고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한국문화수업의 최종적인 목표이기에, 이를 위해 각 문화 유형별로 다양한 학습 활동을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문화에 좀 더 흥미를 느끼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술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사전과제 및 발표 · 토의 활동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진행한 본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에게 ‘민족의 화가’로 일컬어지고 있는 박수근의 미술작품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해보았으며, 또한 이를 성취 · 행동 · 관념문화 각 문화 유형별로 내용을 선정하여 한국문화수업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사례를 구성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온라인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기에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더불어 주로 외국에 거주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고려했다는 점, 그리고 자칫하면 쉽게 지루해질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의 단점을 플립 러닝을 응용함으로써 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최근 한류열풍이 점점 더 고조되면서 한류 콘텐츠나 한국어를 넘어 다양한 한국문화 콘텐츠의 밑거름이 되는 한국의 역사 및 예술문화에도 관심을 가지는 외국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 시대적 트렌드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미술작품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미술작품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은 좀 더 흥미롭고 다채로운 한국문화를 접하고 학습하기를 원하는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며,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한류를 넘어 다양하고 수준 높은 한국문화를 접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주요어 : 박수근, 한국문화교육, 플립 러닝, 비대면 수업, 문화능력, 한국문화교육 교수 · 학습 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pecific measure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using Korean artworks. This study constructed detailed examples of Korean culture classes with the artworks of Park Soo-Keun, a great artist representing Korea who used Korean sentiment and everyday life as the main subjects of his works so that this study is able to suggest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hat allow learne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deeply and further cooperate with Koreans, rather than teaching cul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propose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need for culture education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selecting and classifying cont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Park Soo-Keun's artworks were analyzed with Iconology of Panofsky and classified into achievement culture, behavior culture and ideological culture of Kwon, Oh-Kyung (2006). Second, in this study, flipped learning and online classes were presented after appropriate blending as methods of Korean culture classes as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considering not only the importance of online classes recently emerged due to COVID-19, but also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live abroad so they cannot receive direct education in Korea. With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situations, flipped learning has also been appli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learner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lasses and further strengthen their learning effects because it reverses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Chapter 3 chose ‘people of white clothes’ and ‘hanbok’ as Korean culture classes for achievement culture, ‘intergroup distancing’ as Korean culture classes for behavioral culture, ‘tolerance’ and ‘submission to reason’ as Korean culture classes for ideological culture. Based on these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Chapter 4 presented examples of Korean culture classes using artworks of Park Soo-Keun in the order of achievement, behavior, and ideolog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an example of Korean culture classes as blended online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the procedures of class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flipped learning's PARTNER model in the order of prior assignment →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es → instruction → reflection to achieve the benefits of flipped learning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is to help learners overcome, understand, and accept the alien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artworks, thereby enhancing their cultural competence to view Korean culture more objectively. To this end, various prior assignment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activities related to artworks were also presented to help Korean learn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learn Korean culture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or each type of culture.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rtworks of Park Soo-Keun, who are referred to as ‘national artist’, were used to explore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and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that the contents of each culture type of achievement, behavior, and ideology were selected, and specific and practical examples of Korean culture classes were organized accordingly.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living overseas were considered as research o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has been actively being conducted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and it may be also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up with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for the shortcomings of online classes of learners being boring and distracted easily. Third, as Korean Wave has recently increased, more and more foreigners are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art culture, which serve as the basis for various Korean culture content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ways to educate Korean culture using Korean artworks in keeping with the current trend.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hese artworks will help many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ant to learn and experience more interesting and diverse Korean culture, as well as enable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to experience and recognize various and high-quality Korean culture beyond the Korean Wave. Key words: Park Soo-Keun, Korean culture education, flipped learning, non-face-to-face classes, cultural competence, Korean culture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죠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의 미사 <헤르쿨레스 둑스 페라리(Hercules dux Ferrarie)>에 관한 분석

        김수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르네상스 시기(Renaissance)는 음악사적으로 중세와 바로크 시기를 연결하는 시기로 15세기에서 16세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음악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게 된 중요한 시기로 이는 15세기 후반 요하네스 오케겜 (Johannes Ockeghem, 1470-1497)을 시작으로 나타난 플랑드르 악파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플랑드르 악파는 4성부를 중심으로 다성 음악을 작곡하였고 각 성부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대위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교회 음악과 함께 다양한 세속 음악을 작곡하였고 이전과 달리 가사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다. 이 시대 음악에서의 가사 표현을 중시한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플랑드르 악파의 절정을 이루어 놓은 죠스캥 데 프레(Josquin des Prez, 1440-1521)가 있다. 그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작곡가 겸 음악가로 미사, 모테트를 비롯한 교회 음악과 더불어 많은 세속 음악을 작곡하였다. 특히, 그의 미사 작품은 전통적인 음악 양식과 더불어 그만의 독창적인 창조성이 돋보이는 전형적인 음악 장르로 르네상스 음악의 전형을 보여준다. 그의 미사 작품은 작곡 기법에 의해 정선율 미사(Cantus Firmus Mass), 패러 프레이즈 미사(Paraphrase Mass), 패러디 미사(Parody Mass), 소제토 카바토 기법(Soggetto Cavato)에 의한 미사, 캐논 미사(Canonic Mass)로 분류된다. 죠스캥 데 프레의 대표적인 미사 작품인 <헤르쿨레스 둑스 페라리 (Hercules Dux Ferrarie)>는 그의 후원자인 페라라 공작의 이름을 소제토 카바토 기법에 적용하여 선율을 만들어 내었고 이를 정선율(Cantus Firmus)로 사용하고 있다. 이 작품은 미사 양식 중 소제토 카바토 기법에 의한 미사이자 정선율 미사에 해당한다. 이 작품은 키리에, 글로리아, 크레도, 쌍투스, 아뉴스 데이의 총 5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르네상스 시대 많이 사용된 대위적 기법을 비롯하여 밀접한 음악과 가사의 관계, 전위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3화음, 소제토 카바토의 사용 등 르네상스 음악의 특징과 함께 죠스캥만의 음악적 특징이 잘 나타난다. Renaissance music that had developed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made a spectacular growth in the history of music by Franco-Flemish school. Franco-Flemish school reached the acme at Josquin des Prez(1440-1521) after the pioneers, Johannes Ochkegem and Jacob Obrecht. Josquin des Prez, born in Belgium,isoneoftimelessgreatcomposersaswellastherepresentativeofrenaissancecomposers.He composed about 20 masses, 100 motets, secular music including chanson, and 10 instrumental works. Particularly, Josquin established important stylistic innovation in renaissance mass. His masses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by compositional technique: cantus firmus mass, paraphrase mass, parody mass, mass by soggetto cavato and canonic mass. Missa HerculesduxFerrarie,therepresentativeworkofhismasses,isnotonlycantusfirmusmassbutalsomassbysoggettocavato.Thisworkisusingthecantusfirmusmadebysoggettocavatothatreliesontheuseofsyllablesfromsolmization. The cantus firmus of this work almost found in tenor part is comprised of notes drawn from the musical syllables of Hercules dux Ferrarie. The cantus firmus is straight forward and is repeated three times in almost every section. Also the cantus firmus is transformed as retrograde and diminution in Credo, Agnus dei, and Sanctus of this work. The motive from the beginning of Kyrie is developed through all movements. In aspect of harmonic usage, triadic sounds are increased especially in cadence. This work reveals Josquin’s interest in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music. Josquin tried to express text effectively using melodic contour and syllabic progression. Josquin des Prez’s mass, HerculesduxFerrarieshowscharacteristicsofhisownmusicaswellasofrenaissance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