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해시 본산준공업지역에서 악취물질의 농도변화 연구

        김소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많은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물질 및 악취로 인한 민원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대상지점인 김해시 본산준공업지역은 도·농·공업의 복합지역으로 공단과 주거지역이 인접하여 있으며, 공단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하여 민원 발생이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산준공업지역의 인근 주거지역 1개 지점과 공단에 위치한 3개 지점을 선정하여 부지경계선에서 악취물질을 포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점들간의 악취물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산점도를 작성하였고, 산점도 결과를 바탕으로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지점간 발생한 악취의 산점도를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오후 보다 저녁에 분포도가 직선성을 가짐으로 보다 높은 상관관계로 조사되었다. 이를 토대로 지점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계수 분석결과 주거지역인 site3 지점과 공단지역인 site4지점은 오후와 저녁에 근사치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또한 공단지점인 site1지점과 site2지점도 근사치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반면 site1, site3/ site1, site4/ site2, site3/ site2, site4지점은 악취가 오후에 비해 저녁에 높은 상관계수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저녁시간에는 지점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Today a lot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the occurrence of air pollution and odor complaints are on the rise. This study survey point is complex(urban, industrial, rural) area, odor complaints are on the rise in industrial adjacent residential areas In this study, a residential area near the Industrial Area 1 in Industrial Area 3 points and the odor sampling poi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es of odor compounds between the branch correlation was to create a scatter plot, scatter plot based 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ints. Each point-to-point scatter plot analysis of odors caused overall in the evening than the afternoon having a linearity distribution correlation between the higher is the number. Based on this, the point-to-poi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site3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of east site4 point approximation in the afternoon and evening were correlated. Other hand site1, site3 / site1, site4 / site2, site3 / site2, site4 point in the evening than in the afternoon stink to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as investigated, if the forecast results over a point-to-point in the evening is expected to be highly influential.

      • 한반도 전장상황을 고려한 군수지원 발전방향

        김소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반도 전장상황을 고려한 군수지원 발전방향 국방정책학전공 김 소 희 지도교수 이 재 형 고대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전쟁사를 분석해보면 ‘전쟁은 군수지원의 뒷받침없이는 결코 승리를 쟁취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군수지원이 전쟁의 결과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해 왔으며, 특히 현대전은 첨단 무기체계의 발달로 화력과 기동성이 증가하여 이를 반영하는 군수지원 능력이 전쟁의 결과를 좌우하는 시대가 되었고 미래전에 있어서는 이러한 양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처럼 군수지원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군수지원에 대한 이해와 변화되는 전장환경의 이해를 통한 발전적인 군수지원의 모습을 제시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군의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군수지원체제가 향후 전쟁의 승패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한반도의 전장상황을 고려한 군수지원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군수에 대한 이론적 개념과 한반도 전장환경을 분석하고 과거 전쟁사의 교훈을 통해 현 군수지원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전장상황을 고려한 효율적인 군수지원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군의 군수지원의 문제점은 첫째, 군수지원체제 구성이 미흡하고 둘째, 자원의 관리가 비효율적이며 셋째, 근접정비지원 능력 미비와 넷째, 입체적인 수송능력 부족과 다섯째, 군수기능 중 민간자원활용이 가능한 부분에 대한 발굴과 실제로 그 활용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군의 군수지원 발전방향이 군수통합정보체계를 구축하여 고도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전군자산을 가시화하고, 이용가능한 민‧관 및 국외 기술과 자원의 사용을 확대하여 가용자산을 통합하여 운용하고, 군수지원부대와 장비를 현대화하여 전투현장에서 근접지원을 제공하여 최상의 전쟁지속능력을 확충한 가운데 적시‧적소‧적량의 군수지원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 군이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과 연계하여 미래전에 부합할 수 있는 정보 및 지식 중심의 군 구조와 저비용‧고효율의 운영체계로 개편하기 위해 군수지원 개념 및 체제 발전, 군수인력 관리 및 교육훈련 발전, 군수 8대기능 발전, 민간자원 활용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장에서 승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가 군수임을 인식하고 작전지속이 가능한 군수지원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ABSTRACT Suggestion of improved Logistics Support in consideration of Battlefield cond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o Hee Kim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policy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policy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Jae Hyung Lee The analysis of numerous military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war can never win the victory without the support of logistical support." The fact that it can be seen. Has to logistical support acts a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the outcome of the war, especially modern war was the era of the logistic support capability to reflect them in firepower and mobilit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weapons systems influence the outcome of the war in before future this aspect will be further deepened. I think this way because it means that one show to see the look of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logistical suppor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battlefield environment for the logistic support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importance of logistical support and increase day by day. This study is an efficient logistic support systems study on logistic suppor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n the outcome of the war recognize that the essential element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attlefield context of our group. Analysis of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the Korean Peninsula battlefield environment for the military and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lessons of the past military history had draw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ogistical support proposed an efficient logistic support development direction considering the battlefield situation based on this peninsula. Study problems of logistic support of Rok army first, logistic support system configuration is insufficient, and second, the management of resources is inefficient and third, Close-up maintenance support capability insufficient and fourth, three-dimensional transport capacity shortage and fifth, leveraging private sector resources of the logistics function that it is possible for the excavation part and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insufficient It integrates the available assets to build a logistics support development direction of military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our group to leverage a high degre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visualize the full force assets, and expand the use of civil ‧ tube and overseas technology and available resources management and suggests that ‧ troops and equipment to modernize its military support of one place ‧ timely expansion of the war continued ability to provide the best support close to the battle site should be able to achieve the proper amount of logistical support. Therefore, in these analyzes, curr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defense reform Korean military is promoting, structure and low cost, efficiency of the army of the center of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can be adapted to future war is to reform the operating system military support of the concept and system development for the development of military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munitions of functional evolution, was presen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use of private resources. Recognizing that the most important key elements to a military victory on the battlefield and should concentrate its efforts for logistical support sustainable development operations.

      • 하근찬 소설 연구

        김소희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하근찬은 한국전쟁이 한국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를 비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이 한국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와 그것을 극복해나가는 시골사람들의 삶의 강한 의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육체적 손상 을 그림으로써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 겪은 전쟁의 참상과 그것을 일상 속에서 극복해나가는 사람들의 모습, 그리고 전후 산업화와 분단 시대의 문학까지 확장하여 그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비극과 참담함과 함께 그것을 이겨나 가는 시골사람들의 건강하고 밝은 모습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당시 대부분 을 차지하던 시골 사람들을 등장인물로 하여 더욱 현실감 있게 전후 상황을 드러냈고 더욱 비극적으로 그려냈음을 알 수 있다. 그런 현실 앞에서 자신의 능력껏 처한 역경을 이겨내고, 현실 부정보다는 현실을 수용하면서 어떻게든 삶을 살아내려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미래를 암시한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전쟁이 끝난 후 폐허 속에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빚 어진 불합리와 모순,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비판, 그리고 전쟁으로 인한 분단 상황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요컨대, 하근찬은 전후 현실을 배경으로 한 작품부터, 분단에 대한 인식까지 따로 떼어내서 보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흐름으로 파악하여 시대의 현안들을 간과하지 않으면서 당대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민족의 수난을 파악하는 일관 된 태도를 보인다. 일관성 있게 작품을 형상화하고 굳건한 시대 의식에 바탕 을 둔 민족정신을 추구하는 특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novels of Ha Keun-chan intimately reflect that Korean War experiences have exerted Korean folks. Central to this study are three ideas: 1)his novels characterize the influences of Korean War on Korean folks, 2)the characters illustrate the will to overcome tragic scar caused by war and positively accept their reality, 3) the use of portraying physically impaired people conjures up the sufferings from war have filtered into the daily lives. Also, this study on his novels expands into the literary possibilities of novels during postwar and industrialization era. ChapterⅡ points the tragedy of Korean War and the acceptive attitude of Korean folks. Ha Keun-chan places the will to face reality in the figure of Korean folks in the country. They are the medium which represent the theme. It is symbolically relevant that actuality is accepted when people recognize their bitters. With rapid and constructive industrialization in the ruins of Korean peninsula, absurdity and contradic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daily lives of people. I elaborate Ha Keun-chan's recognition and criticism against these circumstances in ChapterⅢ. Finally, Ha Keun-chan can be said the author who recognizes the consecutive flow of incidents with historical view. The literary portrayal of Korean folks shows his specific ability to characterize people's sufferings led by Korean War. Nationalism, one of his themes, is not from narrow viewpoints, but from contemporar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themes of accepting and overcoming hard reality project his every works.

      • 한국어 교육 정책의 정책환경 분석 연구

        김소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국어 교육 정책의 정책환경 분석 연구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 정책에 영향을 준 환경 요인을 살펴보 고 현시점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 한국어 교육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은 정책 결정의 투입 요소로 작 용하는데 그동안 한국어 교육 정책의 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사회 전반 의 광범위한 요인들과 관련이 있음은 여러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 다. 그러나 어떤 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찾기가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정책환경 연구의 분석틀을 활 용하여 그동안 한국어 교육의 정책환경으로 작용한 요인들을 정리하고 현 시점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한국어 교육 정책의 방향성 모색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진행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선 행 연구로서 정책 관련 연구와 정책환경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은 이론적 논의로서 정책과 정책환경의 개념, 정책 산물과 정책환 경 요인 등의 개념을 정리한 뒤 정책환경 분석틀 정립을 위한 논의를 진 행하였다. 3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교육 정책이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쳐 형성되 었는가를 주요 정책 산물을 통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영향을 준 주요 한 정책환경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정책환경의 분석에 2장에서 논의 한 PEST 분석틀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 정책환경이 사회 전반에 폭넓게 걸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현시점의 한국어 교육 정책의 주요 사례와 정책환경을 분 석하였다. 3장과 마찬가지로 PEST 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한국어 교육 정책환경은 과거에 비하여 더욱 광범위하게 사회 전반에 걸쳐 있으며 정 책에 영향을 주는 수준 역시 전에 비하여 훨씬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육 정책환경과 관련하여 현시점의 이러한 특성은 미래 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몇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진행한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 정 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 정책 의 비전과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여 정책의 지향점과 실행 과제의 도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 교육 정책 환경의 특성상 사회 전반 과 관련이 있고 국내외를 아우르고 있는 만큼 관련 부처가 다양해질 수밖 에 없는 상황에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정책 결정 및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정책 추진 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여 성과 분석과 함께 정책 개선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해 교육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6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연구 내용을 종합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 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 정책환경과 관련한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진행한 본 연구는 여러 면에서 논의 진행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정 책환경 분석 및 정책 개발의 방향성 논의를 위한 전문가 의견 등이 요구 되었으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의견 수렴의 절차를 진행하지 못했다.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An Analysis of Policy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analyze current factors to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policy. In general, the environment acts as an input factor in policy decisions, an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several studies that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deci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re related to a wide range of factors in society as a who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full-scale discussion about what factors influenced how.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us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policy environment research to summarize the factors that have acted as the policy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 current environmental factor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eking the direction of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 This study, conducted with these research purposes and methods,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cope and method of the pilot study, and selects As a pilot study, we looked at policy-related research and policy environment-related research. Chapter 2 delves into theoretical discussions, organizing concepts related to policy, policy environment, policy product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hapter establishe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policy environment analysis. Chapter 3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alyzing major policy products and environmental factors shaping the policy formation. The PEST analysis framework discussed in Chapter 2 was used to analyze this policy environment,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is widespread throughout society. Chapter 4 analyzes major cases and policy environments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in Chapter 3, the PEST analysis framework was u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is more widespread throughout society than in the past, and the level of influence on policy is also much greater than before. Regard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these current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this study derived and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this. Chapter 5 present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content of the previous research, which is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must be clearly presented to enable the derivation of the policy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task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it is related to the overall society and encompasses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so in a situation where related ministries are bound to become more diverse, the efficiency of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must be improved through governance establishment. Third, policy improvement should be carried out efficiently along with performance analysis by developing a module that can analyze policy implementation results. Fourth, educational expertise should be improved to make a qualitative leap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6 concludes the study by summarizing research contents an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Despite the study's limitations, including the absence of extensive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and challenges in collecting expert opinions, the findings contribute to advancing discussions in the field. The study encourages further research to build upon its insights.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의 관계 : 배려와 충동성의 매개효과

        김소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의 관계에서 배려와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1, 2, 3학년 33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수용-거부, 자율-통제, 비과잉-과잉 모두 집단따돌림의 하위요인인 가해, 피해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수용-거부, 자율-통제, 비과잉-과잉은 배려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배려와 집단따돌림의 하위요인인 가해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충동성, 집단따돌림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수용-거부, 자율-통제, 비과잉-과잉 모두 충동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충동성은 집단따돌림의 하위요인인 가해, 피해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의 관계에서 배려와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 가해 사이에서 배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 피해 사이에서 배려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부모양육태도와 집단따돌림의 가해, 피해 모두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양육태도, 배려, 충동성, 집단따돌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려와 충동성은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에 따라 서로 다른 매개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ing and impul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bullying. For this purpose, 336 middle school students(1st grade∼3rd grade) in Seoul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cceptance-rejection, autonomy-control, non overreliance-overrelia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llying(bully, victim). All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ing and bullying(bully, victim). Second, parenting attitudes, impulsivity, bully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Acceptance-rejection, autonomy-control, non overreliance-overrelia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ity and bullying(bully, victim). Third, caring indicated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bully. Caring indicate non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victim. On the other hand, impulsivity indicated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bullying(bully, victi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ing and impulsivity were able to predict different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bully and victi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의 문학 문항 분석 연구 : 교육과정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소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행 13년째를 맞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학입시의 주요 전형요소로서 중등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그러나 학생 선발의 기능이 보다 강조되면서 학교 교육 정상화에는 기여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수학능력시험과 학교교육의 상관 정도를 분석해 보았다. 언어영역시험의 경우 통합교과적 제재를 활용하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교과는 국어, 사회, 과학, 예술 등 광범위하지만, ‘문학’만큼은 국어교과 고유의 영역이라 판단,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과목’과 언어영역의 ‘문학문항’에 한정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6차와 7차 문학과목 교육과정과 2003~2006학년도 4개년간의 언어영역 문학문항이다. 이렇게 대상을 한정한 것은 2005학년도부터 7차 교육과정으로 교육받은 학생들이 수학능력시험을 치르게 되면서 2005․2006학년도 2개년간의 자료가 누적되었기 때문에, 6차 교육과정기에 속하는 2003․2004학년도와 비교․분석해 보면 교육과정과 언어영역의 상관 정도를 보다 분명히 알 수 있으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구체적인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문학’ 교육의 변화양상을 살피기 위해 6차와 7차 문학교육과정을 비교했다. 어느 시기를 막론하고 국어과에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언어사용기능을 강조하였으며, 제4차부터는 크게 ‘언어 사용기능, 국어지식, 문학’의 3영역으로 나누어 제6차까지 그 위상을 지켜왔다. 현재의 제7차 교육과정은 국어과 전체의 위상이 약화된 가운데 보다 더 언어사용기능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문학교육의 위상이 그 이전 시기에 비해 크게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의 틀 속에서 ‘문학’ 문항의 위치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수학능력시험은 교과목별 학력고사와 학업적성검사를 통합한 형태의 시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중 언어영역은 대학에서의 원만하고 능률적인 수학을 위하여 요구되는 우리말 사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국어과 교육의 주된 내용인 국어사용능력을 평가 목표로 한다. 따라서 국어과와 완전히 동일한 범주일 수는 없으나 아주 밀접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읽기의 한 분야로 출제되는 문학문항은 그간 비문학문항과 1대 1 정도의 비중을 유지하다가, 최근 2년간의 시험에서는 눈에 띠게 비중이 낮아졌다. 이는 언어영역이 측정하는 독해 능력 중 문학 관련 능력의 비중이 낮아진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어교과 내에서 문학교육의 위상 변화와도 맥을 같이한다. Ⅳ장에서는 2003~2006학년도 4개년간의 문학문항에 대해 다양한 기준을 설정해 분석을 실시했다. 문항 수 면에서는 문학문항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이 변화는 고전시가 제재에서 나타났는데, 언어영역에서 문학, 그 중에서도 고전문학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학문항이 문학의 본질을 평가에 반영하지 못한 채 기본적인 언어능력만을 측정하고 있는 점, 같은 유형의 문항들을 반복 출제함으로써 문학을 가르치기보다 유형화된 패턴에 따른 문제풀이 요령을 가르치도록 조장하고 있는 점, 문학교육에 대한 고민과 합의에 의해 도출된 문학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점 등은, 최근 들어 문학 교과서의 작품을 반영하려는 긍정적인 시도에도 불구하고 문학교육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할 수 없게 했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 수학능력시험의 언어영역을 진단하고, 교육과정의 실효성을 높여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현재의 언어영역시험은 문학능력을 언어사용능력의 한 분야로 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문학교육이 차지하는 위상의 변화와 함께 비중이 낮아졌다. 하지만 그나마도 출제된 문항들이 문학평가로서의 질을 확보하지 못해 실질적인 위상 약화는 더 컸으며, 그로인해 학교 문학교육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영역 문학문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고등 사고 능력과 고급 언어사용 능력 및 문학이 담고 있는 문화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학 평가로서 차별성을 갖는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문항 형식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변신을 꾀해야 한다. 문항의 유형화는 문학 감상 활동 자체를 제한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문항 제작에 있어 기존의 원칙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부단한 해체와 재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평가 내용과 문학교육과정의 상관성을 높여 학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해야 한다. 고등 사고능력인 문학능력은 일련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했을 때 완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평가가 이것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지만 현실을 외면한 채 문학교육의 중요성만을 역설하는 것은 공허한 울림으로 되돌아 올 뿐이다. 따라서 더 늦기 전에 문학교육의 가치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거를 바탕으로, 선발의 편의를 도모해야 하는 입시라는 ‘현실’과 가치 있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 사이에서 우리 교육계가 어떻게 균형을 유지해야 할지에 대한 책임 있고 실효성 있는 논의를 시작하길 바란다.

      • 조기음악교육이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

        김소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면에서 유아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것은 음악적 능력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능력 가운데서 가장 기초적이며 또 다른 능력보다 우선해야 될 음악 감각력이 이 시기에 가장 빠르게 발달하기 때문이다. 감각기관으로서의 청각기능은 유아기말 즉 6세경이 되면 거의 성인과 같은 수준까지 발달되며 음의 고저의 판별력이나 리듬 감수능력도 유아기부터 아동기의 초기에 걸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한다. 이들 기초 감각력은 음악의 구성요소로서 기초가 되는 선율감, 리듬감에 깊이 연결된다는 의미에서 이 시기의 올바른 음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에 와서 각 방면에서 조기교육론이 주장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에서는 초등교육이 그 이전의 유아교육이 제대로 안될 경우 비능률적이라는 점에서 취학 전 1년을 의무교육화 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또 영국에서는 만 5세부터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래서 유치원교육을 특수교육이라고 보지 않게 되었는데 그것은 유치원교육이 사회성 도야에 커다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보편화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나라 교육계에서도 조기교육의 중요성이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음악을 비롯한 예능 부문의 조기교육의 필요성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유치원교육과 가정교육에서 유아기의 지적 발달의 중요성과 그 촉진 방법의 문제가 선진각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요즈음에 와서 조기음악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은 유아의 올바른 성장발육을 위해 반가운 현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부모들이 어린이들의 능력을 과신하거나 유행에 치우친 나머지 어린이의 흥미나 능력을 넘는 과도한 요구로 어린이들에게 부담감을 느끼게 한 결과 그들로 하여금 오히려 음악을 멀리하게 하거나 싫증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유아의 장래를 위해서나 음악의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감스러운 일로 여겨진다. 따라서 진정한 음악교육의 목표인 교양을 높이고 완전한 인격을 갖추게 하며, 풍부한 정서를 함양하여 아동들이 생활 속에서 음악미를 추구하며, 나아가 그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개발에 있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여야 하겠다. 따라서 아동들을 위한 조기음악교육이 구체적, 계획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그들의 잠재능력을 효율적으로 계발하여 나가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기교육의 필요성 및 인식도를 초등학교 2, 3학년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기교육을 받은 아동과 받지 않은 아동을 나눠 설문지를 통하고 그 의견과 반응을 수집하였고, 우리나라에서 조기음악교육이 아이들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usical ability in babyhood tends to develop earlier than that of others, therefore, that, the early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y in babyhood, is greatly important in the educational aspect. From this, this study examined their interests, responses, and originalities for music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 who was given artistic guidance in babyhood and those that not, in addition, investigated the musical position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observed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by each region, an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analyzed their thinkings about music. The results obtained are represented that most children take a great concerns and interests in music and that boys are more than girls in the ratio. Recently, the importance as early education has been raised in all the artistic fields including music, this means the parents interests have been increased. for examples, the places for realization of early education are as follows : kindergarten, private school for the study of music, or other special method for it, and so on. it is revealed that many children, completed kindergarten or private school and many others studied in the two course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the children given artistic guidance take a great enthusiasms and interests in music, that there are relatively higher interests in their responses for music lesson, and that the learning guidance in their hom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lesson in school. moreover, the children, who frequently kept in touch with music from babyhood, could be for higher in their ability of announcement or self-expression. The children's audience rating for TV music programs is higher, but as can be seen from above statistics,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that there are no special music programs in which children may enjoy them with a great interests.

      • 커피찌꺼기와 굴패각 분말을 혼합한 황토볼의 흡착효율에 관한 연구

        김소희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for the proper development of medias applied to non-spotted pollution-reducing facilities, Medias were manufactured using waste resources such as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as part of upcycling, and the adsorption of these medias was studied, and the proper mixing ratio was sought. The loess Ball, a mixture of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was manufactured by mixing ratio to perform a physical analysis and adsorption test. For compressive strength,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to be reduc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ontents of the coffee grounds. For the absorption ratio, the highest measured loess ball and the lowest measured loess ball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mpressive strength,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coffee grounds, the higher the absorption rate. In the case of non-surface area and total pore volume, the higher the coffee grounds content and oyster shell powder content, the more the non-surface area and pore volume were seen. Also, the non-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loess Ball, which contains both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were more likely to be found than the coffee grounds or oyster shell powder mixed alone. The results of the adsorption test, which is phosphoric acid by time,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In Group1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100kg/cm3, B-3(0:30:70)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rate, B-6(10:20:70)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efficiency in Group2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50 to 100kg/cm3, and B-10(20:20:60)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efficiency in Group3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50kg/cm3. Overall, the higher the content of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the higher the adsorption efficiency, which is phosphoric acid. For iodine adsorption experiments, the higher the oyster shell powder content, the lower the coffee grounds content, the higher the iodine adsorption 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methylene blue batch adsorption experiment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higher the coffee grounds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coffee grounds, the more the adsorption efficiency is shown.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Cd, Cu and Cr by mixing ratio showed a tendency to show higher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 as the content of oyster shell powder in the same coffee grounds content increases. SEM analysis shows that for B-2 with a 20% mixture of oyster shell powder, coffee grounds showed a completely different shape compared to B-8 with 20% mixture of coffee grounds, and for B-10 with 20% mixture of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the overall shape appears to be more homogenous, but this form of stomata is judged to be similar to the lower compressive strength. In each experiment, the unit price of B-10, B-13, both coffee grounds and oyster shell powder, was reduced by about 40% compared by calculating the unit price per kg of B-3(0:30:70), B-10(20:20:60), and B-13(30:10:60),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adsorption efficienc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all adsorption tests, the proper mixing ratio was determined to be B-10, with coffee grounds: oyster shell powder: loess and clay=20:20:60.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적용되는 여재의 적절한 개발을 위하여 업싸이클링의 일환으로 커피찌꺼기, 굴패각 분말 등의 폐자원을 이용하여 여재를 제조하였고, 이 여재가 갖는 흡착성을 연구하고, 적절한 혼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커피찌꺼기와 굴패각 분말을 혼합한 황토볼을 혼합비율별로 제조하여 물성분석과 흡착실험을 하였다. 압축강도의 경우, 커피찌꺼기의 함량과 반비례하여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흡수율의 경우, 가장 높게 측정된 황토볼과 가장 낮게 측정된 황토볼은 압축강도와 반비례하여 커피찌꺼기의 함량이 높을수록 흡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표면적과 기공부피의 경우, 커피찌꺼기 함량과 굴패각 분말 함량이 높아질수록 비표면적과 기공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커피찌꺼기나 굴패각 분말이 단독으로 혼합된 것보다 커피찌꺼기와 굴패각 분말이 모두 들어간 황토볼의 비표면적과 기공부피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시간별 인산인 흡착실험 결과는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압축강도가 100kg/cm3 이상인 Group1에서는 B-3(0:30:70)이 가장 높은 흡착율을 나타냈고, 압축강도가 50~100kg/cm3인 Group2에서는 B-6(10:20:70)이 가장 높은 흡착율을 나타냈고, 압축강도가 50kg/cm3 이하인 Group3에서는 B-10(20:20:60)이 가장 높은 흡착율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는 커피찌거기와 굴패각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산인 흡착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오드 흡착실험 결과는 굴패각 분말 함량이 높을수록, 커피찌꺼기 함량이 낮을수록 요오드 흡착량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메틸렌블루 회분식 흡착실험 결과는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고, 커피찌꺼기 함량이 높을수록 흡착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비율별 Cd, Cu, Cr의 흡착율은 같은 커피찌꺼기 함량에서 굴패각 분말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중금속의 제거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EM 분석 결과, 굴패각 분말이 20% 혼합된 B-2의 경우, 커피찌꺼기가 20% 혼합된 B-8과 비교했을 때 전혀 다른 형상을 나타냈으며, 커피찌꺼기와 굴패각 분말이 각각 20%씩 혼합된 B-10의 경우, 전체적인 형상은 B-8의 경우와 유사하나 기공의 형태가 좀 더 균질하게 보이며, 이러한 형태학적 특성이 낮은 압축강도와 양호한 흡착능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된다. 각각의 실험에서 비교적 높은 흡착율을 보인 B-3(0:30:70), B-10(20:20:60), B-13(30:10:60)의 kg당 단가를 계산하여 비교했을 때, 커피찌꺼기와 굴패각 분말이 모두 혼합된 B-10, B-13의 단가가 황토 및 점토만 혼합된 황토볼보다 약 40% 가량 감소하였다. 모든 흡착실험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적정 혼합비는 B-10으로 커피찌꺼기:굴패각 분말:황토 및 점토=20:20:60으로 판단되었다.

      •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김소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학습 목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국내 대학들도 외국인 학생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다양한 입학 전형 기준을 내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 대학의 입학 전형 기준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 3, 4급의 급수를 요구하거나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성적 혹은 일정 시간의 한국어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 입학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대학의 입학기준이 실제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업을 듣고 발표를 하는 데에 필요한 학습능력과 언어능력을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대학에 진학한 후 학업 수행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 중 하나는 대학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일 것이며 동시에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부분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자들의 필요성에 기반을 두어 강연 프로그램의 특성을 활용한 듣기 교육을 통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내용 지식을 높이고 대학 강의 이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듣기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한국어 듣기 교육의 연구는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 여러 영상매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해 왔다. 이러한 영상매체는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나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배경 지식이나 내용 지식 확장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에서는 주로 강의 듣기 전략이나 강의 주제, 담화 구조, 언어 형태 등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성 있는 듣기 교육 방안을 연구하여 대학 입학 이전의 단계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해 강의 듣기를 준비시키고자 하였다. 강연 프로그램은 실제 대학 강의와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는 만큼 듣기의 자료가 실제적이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듣기 후 활동으로 다양한 후속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강연을 선택하여 들음으로써 배경 지식을 확장시키고 내용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듣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현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증가 현황 및 이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안들을 보여주는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주요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고찰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문 목적 듣기 텍스트의 유형과 실제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후 여러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강연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의하고 실제 대학 강의의 특징과 강연의 특징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론적 검토를 마친 후에 3장에서는 강연 프로그램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 수업에서 사용할 수업용 강연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수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듣기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위의 강연 프로그램을 활용한 듣기 수업 모형을 작성한 후 타당도 점검을 위해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가르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듣기 수업 모형을 수정하였고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고 실제 수업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하고 연구 내용에 따라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강연 프로그램이라는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배경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anting to learn Korean increases, the purpose of learning is also diversifying. Among them, the number of academic learners to ente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s on a steady rise, and Korean universities are also putting forward various admission standards to enroll foreign students. Currently, Korean universities can be admitted by requiring grades 3 and 4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or completing the grades of a university-affili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or a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the learning and language skills required to go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o take classes and make presentations. One of the most basic parts for academic learners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after entering college will be the ability to listen to and understand lectures conducted in Korean at universities,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difficult part for learners. Based on the needs of these learners, this study will present a listening class model that can enhance the content knowledge of academic learn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university lectures through listening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lecture programs. Until now, the study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has attracted learners'interest by using various video media such as dramas, movies, and entertainment programs. Such video media may help interest learners or help learners understand Korean culture, but they may have been lacking in the expansion of background and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mainly analyzed lecture listening strategies, lecture topics, discourse structures, and language types. In response, the study studied practical listening education methods and looked at how to prepare lectures for academic learners at the stage before college entrance. As the lecture programs are similar to actual university lectures, the listening materials are realistic and can interest learners and provide a variety of follow-up activities after listening activities. Furthermore, you can expand your background knowledge and accumulate content knowledge by selecting and listening to lectures of various materials. I would like to present a listening education plan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by utilizing lecture programs with these characteristics. To this end, in Chapter 1, after reviewing prior studies showing the curr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academic learners and the need for listening education for them, the overall contents and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major studies. In Chapter 2, we then explored the types and practic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listening text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Later,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the concept of lecture programs was def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university lectures and lectures were compared. After the theoretical review,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lecture program was prepared, the lecture program for the class was selected, and the listening class model for use in the class was presented. In Chapter 4, after preparing the listening class model using the above lecture program, the listening class model was revised by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ho are teaching th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check the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class and looked at the par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actual clas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nd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class model was designed to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working in the actual field and that actual classe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study. Furthermore, we believe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improve the background knowledge of learners by utilizing the video media of lectur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