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리산조 비교 분석 연구 : 지영희류, 박범훈류를 중심으로

        김성두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어 널리 연주되고 있는 박범훈의 피리산조와 그 틀이 되었던 지영희의 피리산조를 비교분석하여 구음으로 전해진 가락을 고수하는 산조와 새로운 가락을 창작하고 첨가하여 변화와 발전을 추구하는 산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리산조를 지키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두 류(流)파에 나타난 선법적 특징(음계의 구조)과 종지형태, 시김새, 반음사용과 미부음적인 요소들을 비교함을 연구한 결과로는 첫째, 두 산조에 나타나는 악곡형태로 지영희류에서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 겸 살푸리-굿거리-자진모리의 5개의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범훈류에서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의 4개의 장단으로 구성되었고 지영희류에서는 굿거리 장단의 악곡형태가 더 첨가되었다. 둘째, 선법과 안공법에 있어서 지영희 산조에서는 5관과 6관의 안공법에서 대부분의 가락이 구성되며 우주 및 계면조, 경기시나위제의 선법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박범훈류에서는 2관, 3관, 5관, 6관의 안공법과 우조, 평우조, 계면조, 진계면조, 남도계면조, 메나리조, 경드롬, 대풍류조. 덜렁제, 경기시자위제, 변청등로 다양한 선법과 안공법으로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셋째, 반음과 미분음적 요소의 사용에 있어 지영희 산조의 특징으로 온음계적인 반음의 사용보다 반음계적 반음이 사용이 많이 나타난다. 보조음적인 반음의 진행도 나타마녀 붙임줄을 사용하여 강박의 위치를 이동 시켜 약박에 변화된 반음이 사용되면서 미분음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박범훈 산조에서는 반음과 미분음적인 요소의 사용은 지영희류에 비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부분 온음계적 반음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분음적 요소의 사용으로는 주로 부호로써의 미분음적 사용을 들 수 있다. 넷째, 종지형태로 지영희 산조에는 진양과 중모리, 자진모리에서 4도 상행하는 종지형태가 많이 나타나며 중중모리에서는 계단식 하강하는 종지형태, 굿거리에서는 변형된 종지형태로 되어 있다. 박범훈 산조 진양에서는 4도 상행하는 종지형, 중모리와 중중모리에서는 계단식 하강하는 종지형태를 취하고 있다. 자진모리에서는 주음으로 시작하여 주음으로 마치는 종지형태가 나타나며 두 류파의 종지형태로 볼 때 지영희 산조의 종지형이 좀더 짧은 악곡에 비하여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는 두 산조에 악곡의 형태와, 선법과, 안공법, 반음의 사용과 미분음적 요소, 종지형태로 결론를 유추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ark, Beomhoon's Piri Sanjo which are widely spreaded and performed and Park, Beomhoon's Piri Sanjo which is a forerunner of Park, Beomhoon's Piri Sanjo. Therefore, I try to fine out a way to develop and preserve the Piri Sanjo by comparing and analyzing Sanjo which sticks to the tune handed over by oral sound and other Sanjo which pursues changes and development by creating and adding new tunes. One of the methods to study is to compare the modal characteristic the system of scale, cadence, sikimsae, the use of chromatic scale, the factor of microtone which two kinds of Sanjo hav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style of Chi, younghui is comprised of five cretics such as jinyangjo - jungmori - junjungmori and salpuri - gookgury - jajinmori and has gookgury and the style of Park, Beomhoon is composed of four cretics like jinyangjo-jungmori-junjungmori-jajinmori. Second, when it comes to the mode and fingering, the style of Park, Beomhoon are composed of most of tunes at fingering of 5position and 6position and use woojo, kyemyonjo, the mode of gyeonggi-sinawije, on the other hand, the style of Park, Beomhoon has fingering of 3position, 5position, and 6position and various modes such as woojo, pyongwoojo, kyemyeonjo, jinkyemyeonjo, namdo kyemyeonjo, Menarijo, Gyeong deureum, deapyungryujo, dulrungje, gyeonggi sinawije, and byunchong. Third, concerning to the use of chromatic scale and microtone, the style of Chi, younghui uses semi-tone of chromatic scale more than semi-tone of diatonic scale. We can fine semi-tone with auxiliary scale and the factor of microtone by using changed semi-tone with upbeat by changing the location of downbeat withe tie. The Sanjo of Park, Beomhoon style uses semi-tone and the factor of microtone less than the Chi, younhui style. Most of the Sanjo of Park, Beomhoon style use semi-tone of diatonic scale and use the factor of microtone mostly with codes. Fourth, relating to cadence, the Chi, younhui style has cadence that 4 degrees go up at jinyang, jungmori, jajinmori, tunes go down stepwise at junjungmori and tunes change at gookgury. The sanjo of Park, Beomhoon style takes a cadence that 4 degrees go up at jinyang and tune go down stepwise at jungmori and junjungmori. And also there is a cadence that begins with keynote and ends with keynote at jajinmori. When it comes to a cadence of two styles of sanjo, Chi, younghui style has various cadences despite its short tunes. As a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styles of Sanjo referring to the mode of music, the mode and fingering, use of semi-tone and the factor of microtone, and the style of cadence.

      • GIS와 EPANET을 이용한 상수관망 해석

        김성두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erformed in the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the local waterworks of pipe network computerization and GIS construction. Analysis of pipe network model uses the EPANET program of the USEPA. And the pipe network GIS construction for the integrated maintenance management for the computerization of the pipe network which is deficient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existing constant pipe network.

      • 다중이용업소 비상구 추락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 발코니 및 부속실형 비상구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김성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ultiple-use establishments have caused severe casualties by a single fire or repeated large fires. In order to prevent these casualties, a special law was enacted known as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LY USED ESTABLISHMENTS」. Howev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frequent falls occur from emergency exits which installed for evacuation purposes, this has became a social issue among the public. A total of 17 such accidents occurred between 2005 and March 2022 including 8 deaths and 21 injuries. Although this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asualties caused by fires, it is an accident that should not happen in the first place. Also related to accidents in revising laws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an accident scene investigation is an essential part.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 to provide important data for preparing various countermeasures by analyzing accident ca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s of accident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examining various internet outlets such as news articles, press releases and precedent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emergency exit falling accidents. Afte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exit falling accidents, the accident cases is analyzed by employing the 5Why analysis technique among the root cause analysis(RCA). The government's falling accident prevention policies were also analyzed.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window-type emergency exit the current syst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emergency exit crashes and accident cases from the time of establishment until recently problems with equipment and facilities were drawn. Finally,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solution is to install a safety handrail above a certain height. Specifically to prevent falls, a handrail of 1m or more should be installed, and a handrail less than 10cm wide should be installed vertically. Second, in the case of a balcony-type emergency exit, a structural invoice prepared by a building structural engineer should be attached. The design load must satisfy the 1.5 times or more of the live load of the entrance floor of the balcony and meet the standards of 5.0 kN/㎡ or more. Third, as a treatment method to prevent corrosion of iron balconies, hot-dip galvanizing method, which has the greatest advantage of corrosion prevention, should be appl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install lighting facilities to secure safety and visibility inside the evacuation space­type emergency exit, windows should be installed to provide an outside view. Fifth, fire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raise interest in emergency exits. Finally, the existing inspection and monitoring system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remove or minimize the risk factors for falling emergency exits.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status of emergency exit falling accidents in multi-use business facilities is limited to mainly news articles and press releases by the fire departments, accidents that are not reported to the fire department cannot be analyzed and reviewed. In addition, the structural calculation figures for balcony-type emergency exits a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as actual efficacy and safety cannot be verified by citing data. Finall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반복되는 대형화재, 한번의 화재로 많은 인명피해를 유발 최근 5년간 다중이용업소 대형화재 : ‘17년 12월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9명 사망, 37명 부상), ‘18년 6월 군산 유흥주점 화재(5명 사망, 28명 부상), ‘18년 11월 서울 고시원 화재(7명 사망, 11명 부상) 하는 다중이용업소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제정되어, 비상구 등 안전시설을 더 강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 등 재난발생시 피난목적으로 설치된 비상구에서 빈번하게 추락사고가 발생하여 여론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추락사고는 2005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총 17건이 발생해 8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는 화재로 인한 사상자보다는 현저히 적지만, 생명을 살리는 비상구에서 발생해서는 안되는 사고이다. 또한 사고와 관련된 법령개정 및 대책마련에 있어, 사고현황 조사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본 논문 저자는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각 종 대책마련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비상구 추락사고 현황은 언론 보도자료, 법원 판례 등 각종 포털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추락사고 현황을 파악한 이후에는 사고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분석하고, 근본원인분석(RCA) 중 5Why 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정부의 추락사고 예방정책을 분석 및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창문형 비상구가 설치된 이후부터 최근까지 비상구 추락사고 현황 및 사고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현행 제도적·설비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 번째, 1차적인 해결방안으로는 일정 높이 이상의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를 위해 1m이상의 난간을 설치하고, 10cm이하 너비의 난간살을 세로로 설치해야 한다. 두 번째, 발코니형 비상구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구조기술사가 작성한 구조계산서를 첨부하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철제 발코니의 부식방지를 위해 용융아연도금 방법을 적용한다. 다중이용업소 설치된 철제 발코니는 외부에 설치되어 환경적으로 매우 취약하고, 부식으로 난간의 탈락 등으로 추락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철제 발코니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방법으로는 부식방지의 가장 큰 장점을 가진 용융아연도금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네 번째, 부속실형 비상구의 내부에 안전과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시설을 설치하거나, 밖이 보이는 창호를 설치하여 채광을 확보해야 한다. 다섯 번째, 비상구 관심도 제고를 위한 소방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비상구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비상구를 시공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의 안전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상구 추락 위해요소 제거를 위해 기존 점검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 부식된 발코니·앵커볼트 체결불량, 시공상 불량 등 위험요소를 하나하나 속아내다 보면, 기존에 설치된 노후 비상구를 교체하거나 보강할 수 있고, 아울러 관계자에 대한 안전의식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 점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논문 한계점으로는 다중이용업소 비상구 추락사고 현황을 각종 포털자료로 한정하여, 인터넷에 노출되지 않거나 소방서에 보고되지 않은 사고는 통계 데이터로 분석하지 못해 연구자료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 또한 발코니형 비상구의 구조계산서 수치는 건축관계법령에 있는 자료를 인용하여 실제 효용성 및 안전성을 입증하지 못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논문의 비상구 추락사고 현황 및 조사분석 자료를 시발점으로 추가적인 연구 및 추락사고 예방 대책마련에 활용되길 바라며, 아울러 제시된 개선방안이 법제화되고 적용이 된다면 비상구 추락사고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백내장 수정체의 상피세포에 있어 TGF-βisoform mRNA 발현의 정량분석

        김성두 인제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는 백내장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 수정체에서 TGF-β isoform mRNA의 발현을 정량분석하여 각각의 TGF-β isoform과 백내장 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체 30명, 30안에서 추출한 수정체상피세포조직을 이용하여 real-time SYBR Gree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TGF-β1, β2와 β3 mRNA의 발현을 정량하여 백내장의 종류(노인성 25안, 초로성 5안)와 당뇨병의 유무(당뇨 17안, 비당뇨 13안)에 따라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TGF-β3 mRNA는 30안 모두에서, TGF-β1 mRNA는 당뇨 노인성 백내장 1 안을 제외한 29안(96.7%)에서, TGF-β mRNA는 9안(당뇨 노인성 3/14안, 21.4%; 비당뇨 노인성 2/11안, 18.2%; 당뇨 초로성 2/3안, 66.7%; 비당뇨 초로성 2/2안, 100%)에서 발현되었다. TGF-β1 mRNA의 발현양은 당뇨 노인성 백내장에서 비당뇨 노인성 백내장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O.056). 결론: TGF-β는 백내장의 발생과 연관이 있으며, TGF-β2는 초로성보다는 노인성 백내장에서, TGF-β1은 노인성 백내장에 있어 당뇨가 있는 경우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 듯 하다 Objectives: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0 has been accepted to be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I quantitated the mRNA expression of TGF-0 isoforms in cataractous crystalline len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soforms on cataractogenesis. Methods: With lens epithelial cells of total thirty eyes in thirty patients, mRNA expression of TGF-D1, D2 and )33 were quantitated by real-time SYBR Gree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ypes of cataract (senile, 25 eyes vs. presenile, 5 eyes) and presence of diabetus mellitus (diabetic, 17 eyes vs. non-diabetic, 13 eyes). Results: Each isoforms mRNA of TGF-0 were expressed; TGF-03 in all thirty eyes, TGF-01 in 29 eyes (96.7%) except one diabetic senile cataract and TGF-02 in 9 eyes (3/14 eyes of diabetic senile, 21.4%; 2/11 eyes of non-diabetic senile, 18.2%; 2/3 eyes of dabetic presenile, 66.7%; 2/2 eyes of non-diabetic presenile, 100%). The amount of TGF-Dl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 the diabetic senile cataract compared to the non-diabetic senile cataract (P = 0.056). Conclusions: TGF-D would be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TGF-02 might be more meaningful in the senile cataract than in the presenile and TGF-01 in the diabetic condition of the senile cataract than in the non-diabetic.

      • 클로피도그렐에 의한 효과 판정에 평가방법 및 채혈시간이 미치는 영향

        김성두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rious measures at each sampling time for defining clopidogrel response variability, and select optimal measure and sampling time for the assessment of platelet response to clopidogrel. Background: Clopidogrel, a potent antiplatelet agent, is used widely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therothrombotic diseases. There is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platelet response to clopidogrel. Also, the standardized measure and sampling time to assess platelet response to clopidogrel are not established. In pharmacokinetics, Area under the curve (AUC) is best indicator of total drug exposure. We suggest platelet aggregation-inhibition-time curve (area under the effect curve, AUEC) over a dosing interval can be an indicator of overall platelet aggregation-inhibition status with clopidogrel. Methods: Forty-three subjects received clopidogrel as a single 300-mg oral loading dose followed by 75 mg once daily for the following 5 days. The platelet aggregation responses to 5 μmol/L adenosine diphosphate were serially measured by light transmittance aggregometry during 300-mg-dosing period (day 1) and maintenance-dosing period (day 6). AUEC was calculated by noncompartmental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UEC and three measures - maximal platelet aggregation (MPA), absolute change in aggregation (△MPA), and relative change in aggregati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IPA) - at each time point, were evaluated by simple linear regression.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was validated by the leave-one-out cross-validation using mean relative prediction error (bias), and root mean squared relative error (precision). The optimal measure and sampling time were determined with acceptable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bias and precision. Results: AUE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intenance-dosing period (1436.8 ± 225.9 %·h) than in 300- mg-dosing period (1247.9 ± 233.0 %·h, p < 0.001), and the AUEC values between two perio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 = 0.78, p < 0.001). MPAs at 12 h post-dosing (MPA_(12) and MPA_(132)) were the optimal time measure to predict AUECs (AUEC_(0-24) and AUEC_(120-144));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s (R² = 0.76 and 0.77, respectively), lowest bias (0.96 and 0.74 %, respectively) and highest precision (9.87 and 8.23 %,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study, MPA at 12 h post-dosing would be the optimal method to measure clopidogrel-induced platelet inhibition. This validated algorithm for the prediction of AUEC provides an effective approach for the standardization of method to assess platelet response to clopidogrel. 목적: 본 연구는 각 채혈시점 별로 클로피도그렐 복용 후 혈소판 억제 상태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는 3가지 평가지표와 혈소판 응집억제반응-시간 곡선하면적 (area under the effect curve, AUEC)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아 클로피도그렐 복용 후 전반적인 혈소판 응집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최적의 평가지표 및 채혈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배경: 클로피도그렐은 강력한 항혈소판 제제로서 말초혈관질환, 뇌혈관질환,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의 치료 및 스텐트 혈전 예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클로피도그렐의 혈소판 억제 효과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용량을 복용 받은 4 ~ 30%의 환자에서 적절한 혈소판 응집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클로피도그렐의 약물 효과를 대변하는 평가지표 및 판정을 위한 채혈 시간은 임상시험마다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경험에 기초하였다. 약물의 전체 노출 정도를 대변하는 약물농도-시간하곡선 (area under the curve, AUC)와 마찬가지로 클로피도그렐의 복용 후의 전체 혈소판 응집억제상태 또한 AUEC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혈소판 억제 상태를 평가하는 중간 지표가 될 수 있다. AUC를 예측하는 최소의 채혈시간을 찾는limited sampling strategy를 AUEC에 적용해 볼 수 있다. 방법: 본 연구는 43명의 건강한 피험자에게300mg 부하 용량 후 5일간 75 mg을 투여 받은 제 1상 임상시험의 결과를 재분석하였다. 24시간 일중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던 300mg 투여기 (제1일) 및 유지용량투여기 (제6일) 동안 5 μmol/L ADP에 대한 혈소판 응집반응을 혈소판 응집측정기로 측정하였다. AUEC는 비구획화 분석으로 계산하였다. 각 채혈 시간대별 세가지 평가지표 - 최대혈소판 응집반응 (MPA), 최대 혈소판 응집반응의 기저치 대비 절대차 (ΔMPA), 그리고 최대 혈소판 응집반응의 기저치 대비 상대차 (IPA) - 는 AUEC를 예측하는 선형 회귀모형을 구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모형은 leave-one-out 교차타당법을 이용하여 평균상대예측오차 (MPE)와 제곱근 평균제곱상대오차 (RMSE)를 구하여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유지용량 투여기간 동안의AUEC (1436.8 ± 225.9 %·h)는 300mg 투여기간(1247.9 ± 233.0 %·h)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으며 (p < 0.001) 두 지표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r = 0.78, p < 0.001). 약물 투여 12시간 후에 측정한 MPA (각각 MPA_(12) 및 MPA_(132))는 AUEC (AUEC_(0-24) 및 AUEC_(120-144))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² = 0.76 및 0.77). MPE 및 RMSE로 검증하였을 때에도 약물 투여 12시간 후에 측정한 MPA (각각 MPA_(12) 및 MPA_(132))가 가장 치우침이 적었고 정밀도가 컸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약물 투여 12시간 후 측정된 MPA 가 클로피도그렐 복용 후의 혈소판 응집억제 상태를 가장 잘 예측하였다. AUEC를 이용한 혈소판 응집반응 측정 시기 및 평가지표 최적화 방법은 클로피도그렐 복용 후의 형소판 응집억제상태 평가의 표준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공공시설에 따른 공동주택 가격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 : 부산시 행정동 단위 중심으로

        김성두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ould exist price changes and residential unbalance not only by zone but also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Busan City. In Busan, one or two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the largest number of apartments are distributed were selected in a bid to present an analysis - as of April 2009 - of apartment price changes by zone, apartment price chang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partment prices by availability of public facilities in Busan. This examination was intend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ould be a residential unbalance not only by zone, but also by administrative district. For research methodologies, the initial sale prices of apartments were surveyed, and prices were analyz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occupancy time,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size of apartment in a bid to identify how the prices of apartments changed i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same zones.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apartment prices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public facilities in Busan,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classified into transport facilities (subway station), distribution and supply facilities (large marts) administrative unit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with such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those without such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reby identifying changes in prices of apartments.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and without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transport facilities (subway station), distribution and supply facilities (large marts)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ale prices and the increased prices in the entire apartments, Dongbusan-gu increased in prices by the largest margin by zone, while, by administrative district, Jwa-dong in Haeundae-gu increased in prices by the largest margin. By size of apartments, medium-sized apartments increased in prices by the largest margin by occupancy time, the earlier, the higher; and by total number of households, the greater the number, the more the increase. The price increase patterns were found to be similar between by zone and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initial sale prices and the increased prices in the entire apartments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public facilities, there was an average 1~3%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uch facilities. Lastly, in the comparison between changes in apartment prices in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dministrative zones with similar location conditions, there was more than 15% difference on average, and there was a residential unbalance not only by zone, but also by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similar location conditions. Keywords: Price changes, Public facilities, Infrastructure facilities, Multi-family housing, Administrative zones

      • CRT와 Division Chain을 이용한 하이래딕스 RSA 모듈로 멱승 처리기의 구현

        김성두 광운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 암호 시스템 중 RSA 암호 시스템의 주요연산인 모듈로 멱승 연산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지수 E 는 이진 제곱형태로 표현되어 binary method 에 의해 계산되거나 래딕스(radix) me로 계속 나누어 그 나머지 r과 me을 이용한 m-ary method 에 의해 계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논문에서는 제수(divisor) d = 2또는 d = 2i + 1과 그에 따른 나머지 r을 이용하여 E 를 새롭게 변형하는 방법으로 전체멱승 연산이 평균 약 1.4log2 E 번의 곱셈으로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것은 일반 binary method가 하드웨어 구현 시 최악의 경우인 2log2 E의 계산량이 필요한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성능개선이다. 전체 구조는 성능향상을 위해 파이프 라인 동작이 가능한 선형 시스톨릭 어레이 구조로 설계하였다. 또한, k 비트의 키 사이즈에 대해 두 개의 k 비트 프레임이 (k /(2 * 4)) + 3 개의 PE(Processing Element)로 구성된 두 개의 곱셈기 모듈을 통해 병렬로 동시에 처리되도록 하여 100% 처리율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ASIC 구현을 위해 삼성 0.5 mm CMOS 스탠다드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합성한 결과 binary method 의 적용 시 200MHz 의 클럭이 가능하며, 하나의 1024 비트 데이터 프레임을 약 140Kbps 의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필요한 클럭의 횟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하이래딕스(high-radix) 연산방식을 적용하여 440Kbps 의 처리속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복호화 시에는 CRT(Chinese Remainder Theorem)를 적용하여 처리속도를 1.8Mbps 로 향상시켰다. 전자서명의 검증과정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암호화 과정을 수행할 때 공개키 E 는 E = 3, 17혹은 216 + 1의 사용이 권장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17비트로 제한할 경우 26.77Mbps 의 빠른 처리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thesis, we proposed a new hardware architecture that can efficiently compute modular exponentiation, a core arithmetic in RSA cryptography algorithm. By recoding an exponent E as a mixed form of multiplication and addition with divisors d = 2 or d = 2i + 1 and respective remainders r , the proposed hardware can calculate modular exponentiation in about 1.4log2 E multiplications on average which is much less iterations than 2log2 E of conventional method. To enhance the performance, we designed a linear systolic array multiplier with pipelining. When assuming radix-16 multiplication for a k –bit key, two k -bit data frames can be inputted simultaneously and two modular multipliers, each consisting of (k /(2 * 4)) + 3 processing elements, can operate in parallel to accomplish 100% throughput. Upon synthesizing it for ASIC using Samsung 0.5 mm CMOS standard cell library, resulting performance was estimated about 140 Kbps for a 1024-bit data frame at 200Mhz clock. Adapting radix-16 arithmetic method for modular multiplication, we can acquire performance of 440Kps with random 1024-bit E . In decryption process, the speed can be enhanced up to 1.8Mbps using CRT(Chinese Remainder Theorem). When we choose a small public exponent E , such as 3,17, 216 + 1, for encryption and verification proceses, the resulting performance can reach 26.77Mb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