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의 조직건강과의 관계 연구 : 부천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선환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교의 조직건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 중에서 학교의 중간 관리자인 교감의 역할수행에 대해 교사들이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으며, 교감의 역할 수행과 학교의 조직건강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교감의 역할 수행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에서 제시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교감의 역할 수행을 어느 정도 지각하고있으며 둘째, 교사들이 학교의 조직건강을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셋째, 교감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과 학교의 조직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으로 부천시내 공·사립고등학교 17개교 교사 34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326명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이용된 자료로는 신뢰성과 적절성이 증명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였고, 학교조직건강을 측정하기 위하여 왕기항(1993)의 조직건강진단을 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PC통계처리 프로그램과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거기에서 얻어진 퍼센트에 의한 변인사이의 차이점을 분석 조사하였다. 다음은 바람직한 교감의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가. 일반적으로 부천지역 공·사립고등학교 교사들은 교감들이 자신들의 역할을 적절 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보았고, 학교조직도 비교적 건강하다고 보고 있다 나. 교감의 역할수행 변인을 살펴볼 때 전체적인 통계에서 부천지역의 공·사립고등학 교 교사들은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어 학생생활 지도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교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 학교조직건강 변인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통계에서 동조성이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어 교감은 교사들이 학교조직에 잘 적응하고 지시에 합리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 록 관심을 가지고 제 규정에 맞는 조치를 적절히 취함으로써 학교분위기가 원활하 게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라.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조직건강에 관하여 낮게 인식된 것으 로 보아 여교사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면서 여교사들에 대해 더욱 관심과 배 려를 하여야 한다. 마. 일반교사가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조직건강에 관하여 부장교사보다 낮게 인식된 것으로 보아 일반교사를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시키고 배려하는 교감의 역할이 필요하다. 바. 경력이 적은 교사일수록 낮게 인식된 것으로 보아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조직건 강에 관하여 교감은 경력이 적은 교사들에 대하여 원만한 인간관계와 적절한 대화 의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사. 학교규모면에서는 교감의 역할수행에는 별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 러한 대규모학급에서 교감의 역할과 학교조직건강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 급을 소규모로 운영하는 문제와 복수 교감제를 택하는 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아.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는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 다. 교감은 교감의 역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공정하고 성실하게 역할을 수행할 때 학교조직은 더욱 건강해진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교감의 역할수행과 학교조직건강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teachers recognize a vice principal's role performance a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of a school organization, and to suggest materials for the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a vice principal. The details of achieving these study goal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s of teachers recognize a vice principal.'s role performance, second, what teachers think of school health, and the third, a relation between a vice principal's role performance and school health. To perform these purpose and goals, I use 326 copies of questionnaires returned from 340 teachers working at 17 private and public high schools located in Bucheon. The tool of collecting materials for this study is a questionnaire that I made base on the precedent studies whose credibility and propriety is prove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school health, I used Wang Ki-hang's scale for diagnosing the health of an organization. The materials collected are treated by the SPSS/PC statistics program, and the five-step frequency is used as a study tool. Also, I analyzed and inspected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by getting a percentage. As the role of a vice principal is not defined in the law, the recognition of his/her ro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le can influence school health.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desirable role performance of a vice principal. 1. Generally, the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 in Bucheon find it that their vice-principals think they work properly and that their school systems are relatively fine. 2. According to the general statistics, of the factors of change in vice-principals' functions, their interests in directing students' school life is very low and negative so they need to try to get involved in this factor. 3. In the factors of change of school system's health, alignment is the lowest in the whole statistics, and the vice-principals should work hard to maintain a healthy atmosphere of their school by keeping interest in the matter and cope with in doing so teachers of the school can fit in well and follow directions reasonably. 4. In the evaluation of the vice-principals' functions and the health of school system by sex, female teachers show negative results, so the vice-principals should respect female teachers' opinion and care about them more. 5. Since general teachers are more negative about the health of school system than directing teachers, it is needed that the vice-principal include general teachers when they make important decisions on school matters. 6. The vice-principals of less serving years received low points in their functions and the health of school system, so they need to maintain proper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with teachers of less years. 7. In the size of schools, the comparing subjects of schools with more than 48 classes and schools with less than 48 classes both have more than 45 classes so they are relatively positive. But there's no big difference in the vice-principals' functions in that those subject schools are all over-crowded. However, there's limitation in the vice-principals' functions and the health of school system so it's required to introduce managing small-sized classes and dual vice-principal system. 8. There's a considerable amount of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principals' functions and the health of school system. School systems can be more healthy when the vice-principals work sincerely and fairly with professional knowledges. After all, when all factors are considered, one can find there's much relationship between vice-principals' functions and the health of school system.

      • 사회적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환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세계시장에서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높은 소비자의식과 함께 윤리경영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의 제품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측정하고 사회적 책임활동을 수행하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s)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 재구매 요인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첫째, 사회적 기업 이론적 배경 및 동향을 고찰을 정리하였으며, 둘째, 소비자 윤리 개념과 사회적 기업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선행연구를 고찰한 뒤 그 관계성의 체계화를 정리하였다. 셋째, 상기 연구목적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을 위하여 조사 연구 자료와 객관적인 검증을 통하여 기본적인 연구모델(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 (사회적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사회적 기업의 선진 경영활동, 사회적 기업의 소비자보호활동,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활동, 사회적 기업의 환경보호활동 이 적극적일수록 소비자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를 세우고 이를 검증하고자 표본설계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조사 기간은 2013년 10월 14일부터 11월 16일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남․여 학생 및 직장인들에게 각 1부씩 배포하여, 총 회수한 200부를 분석하여 통계자료로 이용하였다. 사전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설문지(인구 사회적, 연령, 소득, 지출)가 최종 조사 대상들에게 배부 되었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결과 사회적 기업의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 응답자는 88명(45.6%), 여성 응답자는 105명(54.4%)으로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관해서는 20대 이하인 응답자가 121명(62.4%)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50대 이상인 응답자가 14명(7.2%)으로 가장 적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학력에 관해서는 대학교 졸업인 응답자가 169명(87.1%)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고졸 이하인 응답자가 15명(7.7%)으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대학원 재학 이상인 응답자는 10명(5.2%)으로 가장 적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다. 넷째, 연평균 소득에 따른 분류에서는 연평균 소득이 2,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인 응답자가 91명(47.6%)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3,000만원 이상 4,000만원 미만인 응답자(36명, 18.8%)와 4,000만원 이상인 응답자(35명, 18.3%), 2,000만원 미만인 응답자(29명, 15.2%)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월평균 소비지출에 따른 분류를 보면 월평균 소비지출 범위가 3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인 응답자가 66명(34.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50만원 이상 70만원 미만인 응답자가 62명(32.0%)으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월 평균 30만원 미만의 소비지출을 하는 응답자의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12.4%(24명)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선진경영활동이 종속변수인 소비자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사회적 기업의 선진경영활동이 1단위 증가하면 소비자태도는 0.339만큼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선진경영활동이 적극적일수록 소비자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소비자보호활동이 종속변수인 소비자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사회적 기업의 소비자보호활동이 1단위 증가하면 소비자태도가 0.402만큼 증가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소비자보호활동이 적극적일수록 소비자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p<.01). 또한 환경보호활동이 소비자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사회적 기업의 환경보호활동이 1단위 증가하면 소비자태도는 0.111만큼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의 환경보호활동이 적극적일수록 소비자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가설 5>역시 채택되었다(p<.01). 즉, 사회적 기업이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고 환경보호운동에 앞장서는 것보다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권익을 보호해주는 활동이 우호적인 소비자태도 형성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연구결과는 향후 제조업을 근간으로 하는 기업들 뿐 만 아니라 소비재 기업들까지 포괄하는 소비자 태도에 대한 설문내용 결과로 기업은 이윤창출에만 주력하기 보다는 사회적인 책임 활동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시사점을 보여주었으며 이 연구 결과는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인들 또는 앞으로 사업을 시작하

      • 저사양 장치를 위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색인 자료 구조와 관리 기법

        김선환 嶺南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저사양 임베디드 장치를 위해 색인 자료 구조와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들은 메모리의 제한으로 FTL를 적용하기 어려운 장치에서 색인 자료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업데이트 파생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메모리 소모를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한다. 제안 기법들은 색인 자료 구조와 플래시 메모리의 관리 기법인 가비지 컬렉션, 마모도 평준화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첫 번째, 색인 자료 구조를 위해 제안하는 페이지 매핑 로그(PML: Page Mapping Log)를 이용한 B⁺-트리는 업데이트 파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코드 연산에서 색인 노드의 갱신으로 변경되는 플래시 메모리의 페이지 위치를 PML 테이블에 저장하고 색인 노드 탐색 시 PML 테이블에 저장된 위치를 활용한다. 두 번째, 가비지 컬렉션을 위해 제안하는 대리 블록 기반 가비지 컬렉션(PBGC: Proxy Block-based Garbage Collection)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 색인 자료 구조에서 업데이트 파생 문제가 레코드의 연산뿐만 아니라 가비지 컬렉션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위해 대리 블록을 이용한다. 대리 블록은 가비지 컬렉션에 의해 선택된 희생 블록과 함께 하나의 가상 블록처럼 동작하여 가비지 컬렉션에서 발생하는 업데이트 파생 문제를 해결한다. 세 번째, 마모도 평준화를 위해 제안하는 라운드 로빈 기반 BET를 이용한 마모도 평준화 기법(RRBET: Round Robin-based Block Erase Table)은 메모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비트 배열로 구성된 BET(Block Erase Table)를 사용하는 기존의 BET 기법을 개선하였다. RRBET는 BET 기법에서 하나의 비트에 여러 개의 블록을 대응시킬 경우 콜드 블록의 정보가 누락되어 마모도 평준화의 성능이 낮아진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ET의 비트 수가 전체 블록 수보다 적을 경우 라운드 로빈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비트가 하나의 블록에 대응되는 일대일 방식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실험 환경에서 PML를 이용한 B⁺-트리는 레코드의 삽입 시 발생하는 페이지 읽기 횟수를 다른 기법들과 비교할 때 최대 약 61% 줄일 수 있었고, 페이지 쓰기 횟수를 최대 약 31% 줄일 수 있었다. PBGC를 적용한 결과, μ-Tree에서 시간 오버헤드를 GA(Greedy Algorithm) 기법보다 약 39% 줄였다. 그리고 RRBET를 적용한 결과 BET 기법보다는 최대 80%, BST(Bit Set Threshold) 기법보다 최대 53% 더 수명을 연장한다는 것을 보였다.

      •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김선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 기관이라는 조직에 속해 사회화되고 전문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 정체성 확립 및 결정, 준비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복지 교육의 중요한 교과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사회복지현장실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성을 밝히는 연구만 조금씩 진행되어 왔을 뿐, 졸업 후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배출될 예비 사회복지사들인 사회복지전공생들과 사회복지현장실습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볼 기회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실천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직으로서의 사회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실제로 사회복지학을 배우고 있는 사회복지 전공생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습의 주요요인들이라고 밝혀지고 있는 학생요인, 수퍼비전요인, 기관요인, 학교 요인들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의식 및 행동의 차이를 나타내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성 여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 및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첫째, 사회복지전공생들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전반적인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6개 학교에 총 38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350부였으며,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누락된 사례가 많은 20부를 제외한 총 33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의 실습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3학년 겨울방학에, 사회복지직접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많이 하였으며, 실습기관선정에 대한 만족도 및 실습 커리큘럼 충실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여학생이 많고, 대부분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며 사회복지학문에 대한 관심 때문에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전공생 본인 및 부모의 전공선택 만족도는 대체로 높으며, 전공 교과내용 및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 실습관련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경험하였으며, 사회복지현장실습 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에 대한 확신은 부족한 편이며, 진로계획 달성을 위한 준비에도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의 실습환경 수준 및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실습환경 수준에 대해서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91점, 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해서는 평균 2.85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의 일반적 특성 및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수퍼비전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수퍼바이저의 성별은 대부분 여자이며 사회복지를 전공하였다. 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많으며 직위는 과장, 실무경력은 5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수퍼비전의 횟수는 정기적인 경우가 많으며, 시기는 기관에서 정해준 실습지도 시간에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형식은 집단 수퍼비전을 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수퍼바이저와 실습생과의 관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3.06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이며, 수퍼비전 만족도는 평균 2.81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교수, 실습수업의 일반적 특성 및 학교 실습수업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지도교수 지위는 교수가 가장 많으며, 학생들은 대부분 지도교수의 임상경력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수업은 실습 후 다음 학기에 많이 하며, 실습이전에 실습관련 교과목을 일부만 받은 경우가 약간 많으며, 실습수업의 수강인원은 20-30명 사이가 가장 많았다. 셋째, 학교의 실습기관 정보제공방법은 지침서 배부나 아예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72점으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정체감의 경우 0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고, 1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낮은데 평균 .47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총 4점 만점에 평균 2.6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40점으로 보통수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습생 개인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실습기관 선정시 개인의사가 많이 반영될수록, 남자 실습생일수록, 기타 개인적인 계기로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실습생일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에 확신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 달성을 위해 준비를 시작한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실습생 본인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실습생 부모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곱째, 실습관련 자원봉사경험 정도와 진로준비행동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관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실습기관의 실습환경수준과 실습기관의 실습내용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퍼비전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남자 수퍼바이저에게 실습지도를 받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석사, 박사 학력의 수퍼바이저에게 실습 지도를 받은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기, 비정기적 등 수퍼바이저로부터 복합적으로 수퍼비전을 받은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준이 높을수록 실습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교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교수의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일수록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만족도이다. 둘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이다. 셋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에서는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 수퍼비전 요인 중에서는 수퍼바이저 학력(대졸이상)과 수퍼비전 만족도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개인전공 선택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전반에, 실습 수퍼바이저 학력, 수퍼비전 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전공생의 긍정적인 진로발달 지원을 위해 실습생들이 어느 정도 표준화되고 체계화된 기준에 의거하여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실습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실습 지도자 교육 및 지침서 배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그 수준을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이 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좀 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천현장의 실습기관 및 수퍼바이저, 실습전반에 대한 학교의 지원뿐 아니라, 실습과정을 자신의 이론적 지식과 정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학력, 수퍼비전 만족감이 실습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관의 지원과 적절한 훈련기회의 제공, 수퍼바이저의 올바른 역할인식, 수퍼비전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강화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는 사회복지실천현장과 학교교육이 적절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습 선수과목 지도 및 학생들의 실습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부정적인 실습경험을 감소시키고, 실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지원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pplies the value, knowledge, theory of social welfare to reality through social work practicum. From the practicum, he/she learns practical works in the field and cultivates professional ability in his/her work. Furthermore, he/she tries to find his/her fitness for the work by continuously questioning his/her own qualifications as a social worker. Therefore, social work practicum not onl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field, but also it could work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imself as a social worker. Whil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e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social work, there has been few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nd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we need to identify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one's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cultivate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practicum by examining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crete, I would like to notice the factors considered of affecting social work practicum such as students, supervision, institution, and college. I also would li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development that explain career awareness and behavior differences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By the method mentioned above, I tried to establish factors considerably important in the education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one's career. There are four main questions o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like? Second, how does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 develop his/her career? Third, how does social work practicum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Finally, what is the main factor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that influence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Responden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four-year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380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 colleges, and selected 33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om the study, I could notice the following facts. Frist, most of the students experience the social work practicum in their third year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not only major itself but also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they estimated the curriculum offered in the college was bellow the expectation. The interesting fact was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 career plan as a social worker, but they were relatively passive in the preparation for the achievement of the plan. Regarding social work practicum in particular, students evaluated practicum environment as 2.91/4 and practicum curriculum as 2.85/4, which means it wa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relation to supervisors, most of them were female, holding Master of social welfare. Besides, majority of them were positioned in head of a department, and had more than 5years of career at work. The frequency of the supervision were regular, and supervision was offered mainly in the form of group at determined practicum guiding perio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tudents was evaluated as 3.06/4, supervis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as only 2.81/4. In regard to satisfaction measuremen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acticum curriculum, students evaluated it as 2.72/4. Enough information on the practicum institutions was not provided, and considerable students even did not know their adviser's career experience. Curriculum offered prior to practicum was not enough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took the curriculum were mostly between 20 and 30. The study showed that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having had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did not show high level of career development. Vocational identity is higher as it closes to 1, and lower as it goes to 0. Respondents showed the average of 0.47.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2.65/4,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2.40.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finished social work practicum showed the average level in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vocational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career development is shown as following.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and career development, it was reveal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higher for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chose in social welfare as their major. Students who had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as social worker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have direct connection with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the selection of its own major, and frequency of volunteering. When it comes to practicum institution, practicum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for practicum contents did not directly affect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career development, students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hen they were instructed by male supervisor. Besides,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they were educated by supervisor who had degree of higher than Master. As the level of supervision of supervisor goes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scored higher. In particula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students had by supervisors, and it was relatively high when supervised by college advisor who had less than 5years of experience. There were some meaningful factors that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maj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mostly affected by satisfaction measurements of selection of major, supervision, and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whil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influences on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and large,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upervision positive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 suggest that since measurements for supporting positiv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ere not enough, a minimum of systematic criteria on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Second, not only the support of supervisor and college, but also personal effort is important to obtain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Third, in order to improve specialty of supervisor, social work institution needs to offer appropriate education opportun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measurement of supervision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Finally, systematic curriculum for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and it leads to positive career development.

      • Al 6061-T651 합금의 마찰교반용접 용접성연구

        김선환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들어 지구 환경보호와 에너지절감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항공기, 철도차량, 선박 등 각종 수송기계의 경량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건축 토목 분야에서도 Al, Mg 등과 같은 경량 합금의 도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경량합금 중에서도 Al(알루미늄) 합금은 경량으로 비강도가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Al합금을 용융 용접하여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용접 열에 의한 변형 및 기공,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우며 접합부의 강도저하가 비교적 쉽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981년 영국의 용접연구소(TWI)에서는 비용융 고상용접인 Friction Stir Welding(FSW:마찰교반접합) 방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FSW기술은 마찰용접에서 유래되어 용접에 의한 변경이 적고 비소모성 접합방법일 뿐만 아니라 용접결함, 흄, 소음 및 유해광선의 발생 없이 고품질의 접합부를 얻을 수 있는 접합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 합금의 용융 용접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서 Friction Stir Welding(FSW)의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여, Al합금의 여러 종류 중에서도 Al6061-T651합금의 Friction Stir Welding(FSW)의 용접성의 원리 및 특징을 연구, 분석하는데 있다. 실험방법은 ALCOA EUROPE 사에서 제조된 3㎜ 두께의 Al6061 -T651합금판재를 핀의 길이가 2.5, 2.7, 3.0㎜의 툴(Tool)에 용접조건 교반속도 1800rpm, 용접속도는 핀의 길이 2.5, 2.7㎜는 300㎜/min으로 실험하였으며, 핀의 길이 3.0㎜는 200, 300, 400㎜/min으로 각각 조건을 변화시켜 마찰용접실험을 하여 총 5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용접실험 후 각 조건별 용접성의 원리 및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시적 조직검사, 미시적 조직검사, 인장강도, 경도를 실험 및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SW로 Al 합금의 접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2. 핀의 길이에 따라 너깃의 결함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핀의 길이가 2.5㎜일 때 가장 양호한 접합성을 보였다. 3. 핀 현태상의 문제로 인하여 연화된 재료의 주출이 결함의 원인으로 사료되며, 연화된 재료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툴의 설계 및 공정을 보안하야 한다고 판단된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로 Friction Stir Welding(FSW)기술을 이용한 Al 접합 시 우수한 용접을 갖는 작업조건을 만드는데 기초하여 쓰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urrently, as the demand of earth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reduction of energy use increases,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making vehicles, aircrafts, trains, and ships light has been made rapid progress and increases introduction of light alloys in field of constructions and civil engineering. Therefore, light alloys such as Cu, Al, Mg and Zn are introduced rapidly. Among light alloys, compound metal of aluminum has been applied widely on account of light weight and specific strength, but the aluminum alloy can bring about deformation by welding heat and defects such as porosity and crack easily in case of manufacturing structure by melting welding. In addition, intensity of joint can be deteriorated easily, so new technology is demanded. In 1981, TWI developed Friction Stir Welding, non-melting 고정상 progress and this progress has been expanded into various industries widely. FSW technology, originated from friction welding, is in the limelight of a welding method which causes little deformation, is non-consumable, and supplies high quality joint without welding defection, fume, noise and harmful light. In this study,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FSW with Al6061-T651 alloy among various aluminum alloy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us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FSW as a new method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melting welding of aluminum alloy.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with Al6061-T651 made by ALCOA EUROPE with thickness of 3㎜, tool which has pins 2.5, 2.7, 3.0 ㎜ in length with stirring speed for 1,800rpm, pins 2.5 and 2.7㎜ long with welding speed for 300㎜/min and pins 3.0 ㎜ in length with 200,300,400㎜/min speed. 5 specimen was produced after friction welding experiments, changing each condition. After welding experiments, macroscopic test, microscopic test ,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experiment is as follows. 1. Posibility of welding aluminum alloy by FSW is tested. 2. The length of pins causes differentiation of friction of nugget. 2.5㎜ pin in length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welding condition. 3. Leakage of softening material due to pin shape problems seems to bring about defects. Tool design and complement of process are required to prevent from leakage of softening materi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a source mateiral in all fields which need FSW technology.

      • 정상인 및 당뇨병 환자에서의 혈청 H. D. L.-cholesterol치에 관한 연구

        김선환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l persons and diabetic patients in serum H. D. L. -Cholesterol levels. Serum H. D. L. -Cholesterol was measured in 97 normal persons and 39 diabetic patients by modified phosphotungstate magnesium precipitation method(enzyme metho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ean serum H. D. L. -Cholesterol in normal person was 46.5±7.5 mg%, reveal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female (49.5±6.4mg%) than in male(48.9±7.6mg%). 2. H. D. L. -Cholesterol increased gradually by aging from 20 to 39 years, however it was not consistent among the groups over 40 years. 3. H. D. L. -Cholesterol in diabetic patients was 36.1±6.1mg% (32.1±3.9mg% in male, 40.9±4.6mg% in female)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normal subjects. 4. In the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serum H. D. L. -Cholesterol concentration decreased inversely according to elevation of fasting blood glucose level.

      • 통합교육에 대한 초·중·고등학생의 수용태도

        김선환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초·중·고 학생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수용태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들을 알아봄으로써 특수학급 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의 학교과정별, 성별, 통합교육 경험 유·무, 가족이나 친지 중 장애인 포함 유·무에 따라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힌다. 둘째, 일반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수용태도를 설명해 주는 변인을 밝힌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동두천시와 포천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2개교, 고등학교 2개교, 총 6개 학교에 24개 학급을 무선표집하여 한진숙(2003)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태도를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PC+를 사용하여 T-test와 ANOVA(변량분석),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통합교육의 수용태도를 설명해 주는 변인을 찾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전체적으로 약간 높은 수준(M=3.06)의 수용 태도를 갖고 있다. 둘째, 학교과정별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수용태도에서 중학교 학생들의 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전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수용태도를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가족이나 친지 중 장애인 포함 유·무는 통합교육의 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이나 친지 중 장애인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수용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통합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수용 태도에는 가족이나 친지 중 장애인 포함 유·무, 성별, 학교과정별의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일반학생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인 수용태도 변인 연구가 이루어져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들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통합교육을 위한 인간의 존엄성 및 올바른 가치관의 지도를 위해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들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students in special class by the investigating the acceptance attitude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and several factor which can be effective to it. And the detailed purpose of this study follows. First, clarifi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acceptance attitude or not according to the class, the gender, the experience of the inclusive education, and having the disabled family members or the relative in the normal class. Second, clarified the factor which could explain the acceptance attitude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in the normal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ly 24 classes randomly selected from 2 elementary schools, 2 middle schools, and 2 high schools totally 6 schools by using the questionnaire which Han Jin-sook adapted. To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of normal students' the acceptance attitude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T-test, ANOVA, Tukey HSD were conducted. And to found out the factor which could explain the acceptance attitude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by this study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a high acceptance attitude(M=3.06)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Second, students in middle school have the highest acceptance attitude of the inclusive education in terms of the school grade. And it has meaningful difference. Third, female students have higher acceptance attitude than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gender. Forth, having the handicapped family member or the relative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ceptance attitude. And the group which has the handicapped in the family or the relative showed higher acceptance attitude. Fifth, the order in the acceptance attitude is middle, elementary, and high school's students in terms of the experience of the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grade. And it has meaningful difference. Sixth, the order in the factor which is effective to the total acceptance attitude is having the handicapped family menber or the relative, the gender, and the school grade. Ultimately, the investigation should be focused on that the inclusive education program helps the normal and the handicapped students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by a continuous study about the factor of the acceptance attitude to boost the rate of normal students' acceptance attitude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teachers and parents' role should be strengthened to teach them a human dignity and guide them through good sense of values.

      •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시공간적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

        김선환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시공간적 보행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6명을 선정하였고,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13명씩 무작위 배정한 후 4주간, 주 5회, 1일 1회, 30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일어나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측정하였고, 보행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10미터 걷기 검사(10m Walk Test; 10MW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보행변수는 무선 3축 가속계(G-Walk, BTS Bioengineering, Italy)를 이용하여 보행 분속수, 보행 걸음거리, 보행 대칭성을 측정하였다. 종속변수들의 그룹 내 중재 전·후 변화 및 그룹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일어나 걷기 검사의 이동성과 동적균형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에서 10미터 걷기 검사의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다(p<.05). 셋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의 보행 분속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다(p<.05). 넷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은 모두 보행 걸음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다섯째,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의 보행 대칭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는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다(p<.01). 이상의 결과로 종합해 볼 때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속도 및 보행 분속수, 보행 대칭성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대상자 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중재의 기간을 증가시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기능적 전기자극 보행훈련의 효과를 규명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