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근속간호사의 근무형태, 직위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김봉희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 보건 의료 산업 분야에서 종사하는 인구는 약 587,000명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병원은 여러 분야의 전문 인력이 모여 환자의 진료와 병원 자체의 존립을 위해 높은 상황 의존성을 가지고 운영하는 조직으로 전문직 인력 자원의 확보 및 유지가 병원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의 의료 환경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의 빠른 속도로 급변하고 있고 국민의 권리 의식 향상과 질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증가하므로 병원 조직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기이며, 차별화된 서비스로 경쟁 우위 확보, 영역 능력 향상과 효율성 증대, 살아 있는 병원 문화 창출 등으로 병원 환경을 주도할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병원 조직 구성원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로 병원 간호사 중에서도 특히, 한 병원에서 오래 동안 근무를 한 10년이상 된 장기근속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함으로써 병원 경영진에게 장기근속 간호사들의 직무만족 관련 요인의 중요성을 재인식시켜 보다 깊은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장기근속 간호사들의 인적자원 관리 및 병원의 효율적인 경영 전략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 특성인 연령은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사정책, 경제보상,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결혼여부는 인사정책, 경제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사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력에 있어서는 인사정책, 동료관계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사와의 관계, 경제보상,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금수준은 상사와의 관계, 인사정책, 동료관계, 업무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제보상, 직무자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조직 환경적 특성인 현 병원 근무기간에 따라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사정책, 경제보상,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현 부서 근무기간에 따라 상사와의 관계, 인사정책, 동료관계,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제보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병원 총 근무기간에 따라 상사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사정책, 경제보상, 동료관계,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상사와의 관계, 경제보상, 동료관계, 업무만족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사정책, 직무자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직위에 따라 상사와의 관계, 경제보상, 동료관계, 업무만족에서는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사정책, 직무자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직무자체는 상사와의 관계, 인사정책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경제보상, 동료관계, 업무만족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제보상은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인사정책, 직무자체, 업무만족에서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장기근속 간호사들의 근무형태와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업무에 있어서 보다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근무형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고려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기초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10년이상 된 장기근속 간호사들 중 일반 간호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승진 기회가 누구에게나 공정하게 주어지기를 기대해 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병원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인사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까타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요가적 탐구

        김봉희 원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Until the early of Upaniṣad the ritual was a means toward the heavenly world connecting God and the human beings. The true, however was faded due to the absurdity of the sacrifice which is occurred by human desire. The 'Naciketā story' of the Kāṭha Upaniṣad, which corresponds to the mid-term Upaniṣad, beings with the absurd background on the ritual. Naciketā was a boy who pursued the essence and source of human beings. The reason why Naciketā started on journey and confronted by Yama is the antipathy toward his father who had offered an absurd sacrifice. The wise boy Naciketā acquires three wishes from Yama, the Deathly God. In his first wish, Naciketā wishe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m and his father. This restoration was about the true obligations and father-son-relationships. The Naciketā story emphasizes the obligations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and suggests the relationship of society for the ultimate truth. In the second wish, Naciketā acquires the knowledge of Agni. One who knows the symbolism of Agni performs a ritual without desire and then he can escape the cause of the reincarnation. In the third wish, persistently asking Yama about the knowledge beyond death, Naciketā obtains the secret of knowledge about Brahman. Kāṭha Upaniṣad evolves from the realm of life of desire and ignorance to the realm of knowing through the sacrificial ritual of 'Nāciketa agni'. Through this, it reaches the epitome of the process of yogic inquiry which is the liberation from death which is transcending a knowledge. This is a mārga of yoga that transcends the external pursuit and moves to the inside, and begins by turning the outward senses and mind into the inner. The Ātman is not known by a simple teaching and learning, but is revealed when the prepared person desperately explores it. There is nothing that is determined by Karma in Kāṭha Upaniṣad and everything depends on his own decision, therefore it repeats that you do not miss the ultimate purpose and directio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is life, Kāṭha Upaniṣad suggests a concrete methodology that transforms the extroverted human tendencies into the inner ones through ''adhyātma-yoga''. Yoga starts from his own divided consciousness and reaches Ātman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which means change, growth, and unity. Kāṭha Upaniṣad, as Nāciketa realized the wisdom and was liberated from death, points to the path of the yogic inquiry that the one who realizes the ultimate 'knowing' beyond secular desire and death reaches the liberation. 우빠니샤드 초기까지 제사 의식은 신과 인간을 연결하여 천상세계로 가는 수단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의는 인간의 욕망에 의하여 희생제의 부조리가 나타나면서 진정한 제의의 의미가 퇴색되었다. 중기 우빠니샤드에 해당하는 까타 우빠니샤드의 ‘나찌께따스 이야기’는 제의에 대한 부조리한 배경으로 시작된다. 나찌께따스는 인간의 본질과 근원에 대한 것을 추구하는 소년이었다. 나찌께따스가 길을 떠나 야마와 대면하게 된 이유는 부조리한 희생제물을 바치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반감에서 기인한다. 지혜로운 소년 나찌께따스는 죽음의 신 야마에게서 세 가지 소원을 획득한다. 첫 번째 소원에서 나찌께따스는 아버지와의 관계회복을 소원한다. 나찌께따스와 아버지의 관계회복은 진정한 의무(dharma)와 부자관계에 대한 이야기다. 나찌께따스 이야기는 궁극의 진리를 구하기 위하여 개인과 사회에서의 의무를 강조하고 사회에 대한 관계성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소원에서 나찌께따스는 ‘아그니를 아는 지식’을 획득한다. 아그니 상징성을 아는 사람은 욕망이 없이 제례의식을 행하여 윤회의 인과에서 벗어나게 된다. 세 번째 소원에서 나찌께따스는 야마에게 죽음을 넘어서는 앎에 대해 끈질기게 질문하여 브라흐만에 대한 지식의 비밀을 얻는다. 까타 우빠니샤드는 욕망과 무지라는 삶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나찌께따스 아그니’라는 제례의식을 통한 앎의 영역으로 진화한다. 그것을 통해 앎을 초월하는 영역인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요가적 탐구과정의 전형에 이른다. 이것은 외형적 추구를 벗어나 내면으로 이행하는 요가의 길(mārga)로, 밖으로 향해 있는 감각과 마음을 내면으로 전환함으로써 시작된다. 아뜨만은 단순한 가르침과 배움이 아닌, 준비된 자의 절실한 탐구로 드러난다. 까타 우빠니샤드에서는 자신의 까르마에 의해 정해진 것은 없으며, 스스로의 결정에 달려 있으므로, 궁극적 목적과 방향을 놓치지 말라고 반복하여 강조한다. 이런 삶의 방향에 대한 제시와 함께, 까타 우빠니샤드는 ‘내면의 요가(adhyātma-yoga)’를 통해 외향적 인간 경향성을 내면으로 전환시키는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요가는 자신의 분열된 의식에서 출발하여 변화와 성장, 통합이라는 자기 초월을 통해 아뜨만에 이른다. 까타 우빠니샤드는 나찌께따스가 이 지혜를 깨달아 죽음으로부터 해방되었듯, 세속적 욕망과 죽음을 넘어서는 ‘궁극적인 앎’을 깨닫는 자가 해탈에 이른다는 요가적 탐구의 길을 가리키고 있다.

      •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김봉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by Kim, bong he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anti-bias education and current anti-bias edu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teachers' previous experience on anti-bias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how they differ from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2. What is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state and how it differs from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of the teachers, types of preschool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n the anti-bias education? To achieve such goals, 300 preschool teachers were subjected in this study who work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s well as at public, incorporate, private,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a scale used in previous studies (Kim, Rae-gyeong, 2001; Kim, Hee-sook, 2008; and Jo, Mi-hyeon, 2005) based on the 'areas of bias' which were originally presented by Hall and Rhomberg (1995),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with two preschool education expert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preschool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interests in and knowledge on the anti-bias education, and felt it necessary to conduct anti-bias education. However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was 'more or less' indicating relatively low satisfaction level. In all areas of the questions,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had high interests in, perceptions on, necessity and satisfaction for the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reasons for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interaction with empathy'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As for the aims of the anti-bias education, 'respect within community, role of collaboration' scored the highest in answers. Such results were shown high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ha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As for the contents of the anti-bias education, 'culture' and 'gender role' contents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culture' became.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had the higher perceptions on the contents of 'gender role.' As for the role of a teacher, 'interaction with preschoole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 high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onger their work experience was, and those with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ir perceptions on the interaction role of a teacher became. Regarding the activity subjects, 'family and neighbor' was the most favorite subject by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anti-bias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ent anti-bias education in preschool institution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the anti-bias education was 'implementation by necessity' and the most common implementation method was 'integrative implementation with other teaching are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the following variables of the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The anti-bias education was alloted mostly to a 'sharing stories' segment in daily schedule in preschool. 'Visual medium' was used the most as a teaching medium,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Manual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used the most commonly as a reference material, and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previous experience of the anti-bias education. Regarding the teacher training, 'no participation yet' answer was the most comm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y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institutions and previous work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ethod of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anti-bias education was mostly 'autonomous trainin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eachers' work experience and previous experience with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problem of the teacher training was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which also significantly varied by teachers'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s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The most common suggestion for improvement was 'diverse and specific teaching method.' The most common culprit of the lack of anti-bias education was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recourses'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work experience of the preschool teachers. As for the suggestions for an activation plan, 'encouraging teachers to understand education contents and scope' was emphasized the most,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vious experience in anti-bias education of the teachers. ※ Key Words : Preschool Education, Preschool Teacher, Anti-bias Education 국문초록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실태가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유아교사의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경력, 기관유형 및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를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과 국공립·법인·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반편견 교육에 대한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편견의 영역을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김래경, 2001; 김희숙, 2008; 조미현, 2005)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아 내용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반편견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관련 지식정도는 ‘있다’가 많았고, 필요성 인식은 ‘필요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만족도는 ‘보통’으로 반편견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모두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와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관심, 인식, 필요성 인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편견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감정이입적인 상호작용’ 항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반편견 교육에 대한 목표로는 ‘공동체 속 존중, 협동하는 역할 인식’ 항목을 가장 큰 목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관한 교육내용으로는 ‘문화’와 ‘성역할’에 관한 내용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는데, ‘문화’에 관한 내용은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으며, ‘성역할’에 관한 내용은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왔다. 활동주제는 ‘가족과 이웃’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사, 학력이 높은 교사, 유치원, 반편견 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반편견 교육의 현장실태를 알아본 결과, 실시정도는 ‘필요시 마다’가 가장 높게 나왔고, 실시방법으로는 ‘모든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이 이루어지는 일과로는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매체로는 ‘시각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참고자료로는 ‘교육부 지도 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데, 이는 유아교사의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에 대한 참가 정도는 ‘참가한 적 없음’이 가장 많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반편견 교육의 연수방법은 ‘자율적 연수’가 주로 이루어졌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문제점으로는 ‘연수기회의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고,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 반편견 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보완점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다. 반편견 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교수 학습자료 및 자원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활성화 방안으로 ‘교육내용과 범위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모’를 가장 강조하였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반편견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주요어 : 유아교육, 유아교사, 반편견 교육

      • 종이 조형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력결핍과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봉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which paper formative activity, which was a skill of artistic therapy, made on the Feduction of attention-deficit and impulsiveness of the children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fuestions were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did faper formative activity make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attention-deficit of the children with ADHD? Second, did paper formative actlvity make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impulsiyeness of the children with ADHD? Third, what change of attention-deficit and impulsiveness by the session did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cause to the activities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objects of the this were 2 boys and a girl, who were decided as ADHD children in 'DSM-IV's diagnostic criteria for the child with attention-deficit and over behavioral disorder'and'Conners's simple criteria for the use of teacher', at M elementary school in Daegu. They practiced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program for 18 sessions twice or three times a week and their change was examined by Yale's criteria for children behavior to look through the resuft which the paper formative program caused. The behavioral change was compared and analysis by observation and fualitative ana]ysis by the session. The conclusions which result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made an effect on reduction of attention-deficit of the children with ADHD. As the program made the children concentrate on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attention-deficit of the children with ABHD, who had kept moving without ceasing, was reduced. Second,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made an effect on reduction of impulsiveness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paper formative program, a skill of art therapy, could help to control the impulsive behavior and to reduce their careress behaviors that they made a noise, bother and disturb their friends, and didn't wait for their turn. Third, the paper formative activity by the session caused the reduction of attention-deficit and impulsiveness of the children with ADHD. Even though the behavioral change of each child, A, 13 and C was relatively different by the researcher's direct observation, their attention-deficit and impulsiveness were reduced while heir attention- intensiveness was increased.

      • 초등학생의 일탈행동 관련 변인 분석

        김봉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탈행동과 관련 변인으로서 인간관계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도덕적 이탈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2개 초등학교 6학년생 총 339명(남 193, 여 146)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0)이 제작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 중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부적 관계에 있으며, 부모의 무관심, 거부, 갈등과는 정적관계에 있었다. 교사학생관계 중에서 교사의 정서적 지원은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부적 관계에, 교사의 적대는 정적 관계에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조절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부모자녀관계효능감은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부적 관계에 있었다. 셋째, 스트레스는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정적 관계에 있었다. 넷째, 도덕적 이탈은 총점이나 하위변인들에서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정적 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도덕적 이탈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등학생들이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학업성취도는 초등학생의 일탈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 美國.日本의 對 韓國 直接投資 特性과 經濟成長 및 貿易效果

        김봉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직접투자의 미시적 특성과 한국에 미치는 거시 경제적 효과 중에서 경제성장효과와 무역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각 장으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내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 중 미국과 일본의 직접투자 비중은 1970년대 83.5%, 1980년대 77.7%, 1990년대 44.9%, 2000년대 31.4%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한편 2000년대(2000~2012) 신고기준액 대비 평균 도착율은 미국직접투자는 44.9%로 일본직접투자 70.4%에 비하여 매우 저조하다. 둘째, 업종별 구성 비중에서 미국직접투자는 서비스업(59.3%)이 제조업(36.4%)보다 높았고 일본 직접투자는 제조업(58.4%)이 서비스업(41.3%) 보다 높았다. 제조업에서는 미국과 일본 모두 전기?전자와 화공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서비스업에서는 미국은 금융?보험과 도소매업이 일본은 음식?숙박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당 투자금액은 신고 누적기준(1962-2012)으로 미국은 일본의 약 1.9배이다. 셋째, 한국 내 소재 미국투자 기업과 일본투자 기업의 미시적 특성의 유의적 차이점은 투자기간은 제조업에서 일본이 미국보다 길었고 노동집약도를 나타내는 기업체 당 종업원 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에서 일본이 미국보다 많아 고용효과가 크게 나타나 노동집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비중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미국기업이 일본기업 보다 수출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국직접투자와 일본직접투자의 한국 경제성장(GDP)에 미치는 효과는 시계열회귀분석(1970-2012)과 벡터오차수정모형에서 정(+)의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은 총고정자본, 노동, 수출에 비하여 크지 않았고 미국직접투자가 일본직접투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소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국. 일본 직접투자 유입과 대 미국. 일본 무역효과에 있어서 한국의 대 미국 총수출. 수입 간의 상관계수는 낮게 나타났지만 대 일본 총수출?수입 간의 상관계수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업종별(MTI) 상관계수는 한?미 간에는 전자. 전기업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 미국 수입 상관계수(0.636)가 대 미국 수출 상관계수(0.501)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편 대 미국 한국 직접투자 유출과 전기. 전자 업종의 한국의 대 미국 수출과의 상관계수(0.860)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 간 업종별 상관계수는 기계, 장비, 운송용 기계 업종에서 대 일본 수출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0.729)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자? 전기 업종에서 대 일본 무역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입상관계수(0.604)가 수출상관계수(0.581)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한편 산업내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측면인 기계류 제품과 전자. 전기 업종에서 대 일본 한국 직접투자와 대 일본 수출. 수입 간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들이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미국과 일본의 직접투자 유입 비중이 한국 내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는 있지만 연도별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물론 투자국 입장에서는 한국 외에도 중국 등 동남아 국가들의 투자입지가 선호되어지는 원인도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내 외국인 투자 환경을 개선하여 미국. 일본의 직접투자 유입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외국인직접투자 신고기준 대비 실제 도착유입액을 나타내는 도착율이 미국이 일본에 비하여 매우 낮다. 이는 미국 투자자들이 투자 신고 이후 예상치 않은 투자환경의 애로사항을 발견하고 투자의사를 철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 내 투자를 신고한 미국 투자자를 대상으로 보다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2) 투자 특성면에서 한국 내 미국 직접투자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고 일본의 직접투자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았으나, 한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국이 일본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 서비업 투자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금융? 보험 부분의 투자가 제조업 부문에 영향을 미쳐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체산업의 직접투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업종별 직접투자의 경제성장 효과 분석이 보다 정확히 이루어져 규명되어질 필요성은 있다. 3) 미국 직접투자는 수출지향적이고 일본 직접투자는 노동집약적으로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내 투자기간이 제조업에서 미국기업이 일본기업 보다 짧았다. 따라서 우리 정부 당국은 수출지향적인 미국기업과 고용창출이 높은 일본 기업에 대하여 투자 후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그 효과를 제고시키는 정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또 투자기간에서 미국 제조업체가 일본 제조업체 보다 짧은 원인을 파악하여 그 원인이 만약 투자환경의 애로 사항에 있다면 개선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4) 미국?일본의 대 한국 직접투자의 산업 내 무역효과에서 전자. 전기업종에서 한국의 대 미국. 일본 수입이 수출 보다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고 기계, 장비, 운송류에서는 대 일본 수출 상관계수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대 일본 기계, 장비, 운송류 수출의 증가는 한?일 간 무역구조상 상당히 고무적이다. 따라서 기계, 장비, 운송류 업종에서 일본 직접투자를 적극 유치할 필요성이 있다. 반면 전자, 전기 업종에서의 직접투자가 대 미국?일본 부품 수입의 증가를 초래함으로 한 국내 국산 부품의 대체 또는 개발에 관심을 가져 수입의 비중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