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Instruc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Kim Bo-kyung Advisor : Prof. Kim Hye-young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Seventh Curriculum 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ncourages rewriting and imitating writing aiming at creative acceptance and active cre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 most common instructional method of specific creative activities is rewriting.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writing and rewriting are limited to presenting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methods to improve creative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methods to improve descriptive writing ability of learners using rewriting of narratives. This study developed programs to rewrite simple narratives to find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s. Chapter Ⅱ examines studies on existing narrative structures and based on the results and identifies structures of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to develop standards to analyse subjects' rewriting. Then educational meaning of rewriting was examined to prepare an instructional foundation of narrative rewriting. Chapter Ⅲ asked subjects to rewrite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and analysed what they creatively rewrote according to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Then the results were analysed and problems in rewriting were found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Chapter Ⅳ organized the concepts and purposes of rewriting based on what the subjects rewrote and re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st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activity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narra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sked subjects to rewrite narratives as a whole rather than segmentally and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are able to write creatively with this wa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epared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comprehensive writing beyond creative writing though it has a limit that it was not able to develop better instructional methods. ABSTRACT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지도교수 : 김혜영 국어교육 전공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학교육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문학 수용과 창작을 목표로 다양한 개작과 모작 활동들을 장려하여 문학창작의 생활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문학 활동의 구체적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다시쓰기이다. 서사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와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창작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국한되어, 문학적 글쓰기와 연관시킬 수 있는 방안과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의 모색을 위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설화를 활용하여 다시쓰기를 실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기존의 설화 구조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다음 이를 바탕으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의 구조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모색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을 학생들이에게 다시쓰기하도록 한 다음 인물, 사건, 배경으로 나누어 창의적으로 다시 쓰인 부분을 구체적으로 찾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중학교, 고등학교로 나누어 통계치를 나타내봄으로써 학생들 글에서 나타난 다시쓰기의 문제점들을 찾아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실제로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과 교과서에 제시된 다시쓰기 활동들을 토대로 다시쓰기의 개념과 목적을 정리한 다음,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활동이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임을 밝혔다. 그리고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다시쓰기 활동들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글을 쪼개보는 것이 아닌 전체 보기로써의 설화 다시쓰기 활동을 통해 한편의 서사적 글을 쓸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지도를 하였을 때 실제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서사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은 지도 방안을 모색해가는 연구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는 점이 이 논문의 한계라고 할 수 있겠으나 다시쓰기를 기존의 부분적인 변용으로써의 창의적인 지도방법으로만 활용하기보다 전체적인 서사적 글쓰기를 지도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들이 나오기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를 둘 수 있다고 보겠다.

      •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수업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김보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o improve the level of supervising and the quality of classes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by surveying the standards of teachers awareness and operating progress.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by deploying 30 questionnaires related to operating progress, awareness, and improvements of supervision to 280 teachers from 9 differen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field supervision progress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type of supervision was mostly the fellow supervising and most often hosted by the director of the board. Two sessions of supervision were conducted at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during 2011. Supervision classes were processed primarily by the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and class research council is being held by the classroom observers.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and social studies preferred the supervising sessions the most, whereas the teachers in subjects like Korean and math showed the lower affinity with it. In addition, teachers at special schools had a tendency to neglect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 from supervision to improve the future curricula.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referred attending to the experimental lessons as a measur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perception on supervision at special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and stated that attending to lessons by other teachers c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acquire information on teaching skills therefore to improve teaching quality. Teachers were participating to the supervising sessions in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and trying to the extent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 areas that teachers want to be supervised through those sessions include overall teaching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s caused by the students’ disabilities.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improvements in real-life teaching was accepted as medium or not so high. Teachers were equipped with the general information about supervision sessions however they were not popular enough for them to actually be participate in.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opportunities of supervision sessions for current teachers must be provided. The significance and needs of the supervision sessions are well-understood by many teachers but it puts them under pressure to present new creative lessons that are much different from the ordinary ones. Third,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must be thoroughly structured and systematic and class research council should be centered on classroom analysis for the efficient supervision. Class research is most effective when disclosed open lecture for specific classes and for the entire unit classes to resolve issues in classrooms. Also, video recording or partial disclosure of the lecture should be avoided. For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for supervision sessions it is the most desirable to mix experts, teachers, and care takers and the representative must have ample experi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order to activate supervision sessions,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 to reinforce current teaching workforce of proper understanding in supervision. Especially for the supervision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t has to move toward a direction that can improve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ing skill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 few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supervision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First, the outcome of the supervision sessions should not end as a formal procedure but expand to the mean of development by feedbacks of fellow teachers as forming a culture of supervision for the community. Second,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 of the impact of supervision activities by special-education teachers and expertise development in the special schools to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or the students as well as studies of supervision progress. Third, studies which can gather data from the generalized region or broaden target subjects are needed in order to identify trends. Finally, advanced study that can analyze the inner problems and the real-world problems of supervision managers and teachers must be performed as well as the analysis of supervision procedures by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 <고씨본 한양가> 연구

        김보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역사가류 한양가의 이본인 <고씨본 한양가>를 소개함과 동시에 나아가 <한양가>가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역사가류 한양가를 사공본, 우강본, 조애영본의 세 가지 계열로 나누어, 이들 세 가지 이본 계열들을 비교하였다. 사공본 계열의 작품은 야사·설화 등의 요소가 많이 첨가되어 史實을 재구성한 모습으로 보여주고 있어 주로 서민들 사이에서 향유되어 왔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우강 본 계열의 경우 어려운 한문투의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사실위주의 서술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반가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애영본은 위 두 계열과는 달리 일제 강점기와 광복 후의 사적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자신이 체험한 사적에 관하여서는 서술의 분량이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본 계열간의 검토를 바탕으로 <고씨본 한양가>의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史實의 객관적 저술 부분이다. 이는 서술의 분량이 짧은 특징을 가지며 재위 기간이 짧았거나 폐위된 왕 등의 사적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설화적으로 윤색한 부분은 다른 부분들에 비하여 서술의 분량이 대폭 확대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을 전달함에 있어 허구적인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사실성과 생동감 그리고 흥미를 불어넣어 향유자의 확대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史實의 전달과 함께 그 사건에 대한 평가를 덧붙이고 있는 부분이 있다. 역대 왕들의 善·不善을 평가하고 망국의 불운을 되풀이하지 않아야 한다는 <한양가>의 찬술 목적에 따라 충신들의 행적에 대한 찬양과 왕과 왕비를 비롯한 위정자들의 반윤리적인 행동과 실정에 있어서는 거침없는 비판을 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으로 <고씨본 한양가>의 의식 세계를 살펴보면, 먼저 유교적 질서의식을 들 수 있다. 이는 <한양가>의 주요 의식으로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도 忠, 孝에 대한 부분은 특히 강조되어 있다. 또한 인간 평등 의식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반상의 구분이 철폐된 것을 환영하고 여성의 입장을 옹호하고 있는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고씨본 한양가>에서는 현실 비판 의식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향유자의 史評을 통하여 역사적 사건에 대한 비판 의식을 견지함은 물론이거니와 결사 부분의 향유자 개인적 사설의 첨가 부분에서는 자신이 평소 생활하면서 불합리하고 모순된 점에 대하여 느낀 바를 소박하게 그려냄으로써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한양가>는 산문 문학의 전유물이라 여기던 영사작품을 서민에게까지 확대시키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작품일 뿐만 아니라 다른 시가 문학 장르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역사의 음영을 통한 시가 장르간의 교섭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한양가>는 망국민에게 역사적 지식을 통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있고 있으며, 이러한 정신은 이후 국문 영사작품 등으로 이어져 가사가 계속 창작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가사문학이 근자에까지 향유될 수 있도록 기여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introducing <Gossibon HanyangGa>, an alternative version of HanyangGa, which is a sort of traditional word of songs, and at showing the significance of HanyangGa in the literary history. First of all, this paper divides HanyangGa into three sorts of alternative versions including Sagongbon, Wookangbon and Joaeyoungbon, and compares them. Works of Sagongbon version is regarded as having recomposed historical facts including much of unofficial historical elements and tales. Against this background, it was sure that the works were popular among the common people. On the other hand, works of Wookangbon were written in much of unintelligible Chinese capitals, and mainly consist of narrations based on facts, which show they were noblemens words of songs. Different with those two versions, works of Joaeyoungbon include even historical traces of Korea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after its independence from Japan. In particular, the sphere of narrations about writers own experience was extended. Based on the comparison among those alternative versions, the aspect of <Gossibon HanyangGa> in its written process is that, at first, it narrates objectively historical facts during that time. It has feature the sphere of its narration is short, and is used in a way that describes traces of kings who had short terms of office or was dethroned and so on. Another feature it has is that part of having been embellished like tales has much more extended and longer narrations than other parts. In doing so, it drew more people by providing them realities of life, a sense of vividness, and interest, adding fictitious elements in its process of transmitting historical facts. At last, some parts in <Gossibon HanyangGa> not only transmit historical facts but also evaluate them. In accordance with the writing purposes of <HanyangGa> that evaluates the good and the bad of successive kings, saying the repetition of ruin of country must be stopped, <Gossibon HanyangGa> makes a harsh criticism on the anti-moral conducts and misrules of those who govern people including king and queen, praising faithful retainers performances. The next thing that this paper refers is the thoughts that appear in <Gossibon HanyangGa>. The first thought is Confucian order, which is a main idea in <HanyangGa> and places emphasis on loyalty for their country and obedience to parents. The equality of human rights is another main idea. This song welcomes abolition of the system classifying between the noblemen and the lower people and backs the womens rights. Additionally, it harshly criticizes the realities of life: it does not only digest the historical incidents through readers comments on them but also simply comment absorbed situations writers suffered in the end of it. <HanyangGa> expanded a work tracing out historical facts to the common people. During that time, the works took a sole position in prose literature. In addition to that, this song is meaningful in the light of its having built up a bridge among genre of poetry through commenting the good and bad aspects of historical facts. And it encouraged people who lost their country national consciousness with the intelligences on the history of their country. This kind of trend paved a way that new words of songs could keep going on. And it meaningfully contributed that the literature such as <HanyangGa> has been popular until now.

      • 토종 종계 부계의 텔로미어 길이와 자식의 생산 능력 간의 연관성 및 텔로미어 길이의 유전전이 양상에 관한 연구

        김보경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텔로미어는 진핵생물의 염색체 말단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세포 분열이 진행될 때마다 텔로미어 길이는 점점 짧아지므로 텔로미어는 노화와 개체의 생리활성도를 나타내는 표지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 토종닭을 대상으로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이 수정 능력 및 배아 발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자식의 생산 능력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부계와 자식 간 텔로미어 함량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 텔로미어 함량에 대한 유전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닭은 토종 종계 수컷 22수와 이들로부터 생산된 자식 329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부계의 번식 능력으로는 수정율, 배자발육중지율 및 부화율을 조사하였고, 자손의 생산 능력으로는 생존율, 체중 및 증체량을 분석하였다. 텔로미어 함량은 34주령 부계와 12주령 자식의 백혈구 세포 내 telomeric DNA 함량을 양적 형광접합보인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에 따른 수정율, 배자발육중지율 및 부화율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수정률 및 배자발육중지율 간에는 낮은 부(-)의 상관을, 부화율과는 낮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이들의 상관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자식의 생존율 간의 상관계수는 0.17로 유의하지 않은 낮은 정의 상관이 추정되었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에 따른 자식의 성장 능력 분석에서 부계 텔로미어 함량이 긴 집단의 자식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 능력을 보이고 이들 간의 상관은 거의 모든 주령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 계수가 추정되었다(P<0.05).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자식의 텔로미어 함량 간의 상관 계수는 0.075로 추정되어 부계와 자식 간 텔로미어 함량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유전력은 0.20∼0.29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번식 능력, 자식의 초기 생존율 및 자식의 텔로미어 함량 간에는 거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여지고, 부계의 텔로미어 함량과 자식의 성장 능력 간에는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텔로미어 길이에 대한 유전력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배아 초기 단계에서 텔로미어의 reprogramming에 의해 발생 시 모든 개체의 텔로미어 함량이 재 신장되고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축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고 감축의 영향은 유전적 요인보다 환경적 요인이 더욱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elomeres are the ends of chromosomes in eukaryotes and serve to protect chromosomes. However, as telomere length shortens as cell division progresses, telomere length roles as an indicator of aging and biological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ternal telomere length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production performance in Korean native chicken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offspring telomere length, and estimated the heritability of telomere length. Fertility, embryonic death rate, and hatchability were analyzed as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survival rate, body weight, and weight gain were measured as offspring production performance in 22 paternal chickens and 329 offspring. Telomere length was analyzed via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method using the lymphocy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rtility, embryonic death rate, and hatchability according to the paternal telomere length (P<0.05).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as a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fertility and embryonic mortality, while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hatch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survival rates was estimated to be r=0.17 (P>0.05). The offspring with long paternal telomere length showed relatively low growth performance,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estimated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growth performance (P<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aternal and offspring telomere length was estimated to be r=0.075 (P>0.05). In addition, the heritability of telomere length in 12 weeks old chickens was estimated to be 0.20∼0.29. In conclusion, there is little association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early offspring survival rates and telomere length, wherea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telomere length and offspring growth performance. The telomere length was a low heritable trait.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telomere length is re-extended by telomere reprogramming in the early embryonic stage, and then the telomere attrition rates vary with age and rearing environment.

      • 군 장병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보경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 on the subjects of soldiers of a regiment in a P area ? on the reduction of stress from soldiers' lives in the arm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2 to June 4, 2009 in the orders of the selection of subjects, the conception of art therapy programs for the reduction of stress, pre-tests,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ose programs, post-tests, and the analysis of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5 soldiers with a lot of stress from army lives in a unit of a P area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battalion commander, and the study was done totally 11 times, 90 minutes each time. For quantitative tests, the measure developed by Ko Kyoung-bong, Park Jung-kyu, and Kim Chan-young (2002) was used after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For qualitative tests, K-Army Life Drawing applying K-HTP was used.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as tested through t-tests about the differences after pre-tests and post-test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s of pre-tests and post-tests after art therapy programs are significant. It shows that art therapy reduces the stress of the soldiers. Second, in the sessional process of the changes of soldier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Third, in the pre- and post-changes of the drawings of soldiers about their army live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It is shown that the soldier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released stress and solved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art activities, and furthermore show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oldiers' stress. 본 연구는 P지역 K부대 소속 장병을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군 장병의 부대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2009년 2월 12일부터 6월 4일에 걸쳐 대상자 선정,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상, 사전 검사,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 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P지역 K부대에서 군 생활에 많은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있는 장병 5명이 대대장의 추천에 의해 구성되어, 90분씩 총 11회기의 스트레스 감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양적검사로는 스트레스 검사로 고경봉, 박중규, 김찬영(2002)이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는 K-HTP를 적용시킨 K-부대생활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ㆍ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하여 각각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ㆍ사후의 점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보아,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회기별 변화과정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군부대 생활그림의 사전ㆍ사후 변화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군 장병들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내면에 있는 스트레스를 분출하여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였고,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미술치료가 군 장병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군 장병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보경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P지역 K부대 소속 장병을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군 장병의 부대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2009년 2월 12일부터 6월 4일에 걸쳐 대상자 선정,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상, 사전 검사,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 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P지역 K부대에서 군 생활에 많은 스트레스를 나타내고 있는 장병 5명이 대대장의 추천에 의해 구성되어, 90분씩 총 11회기의 스트레스 감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양적검사로는 스트레스 검사로 고경봉, 박중규, 김찬영(2002)이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는 K-HTP를 적용시킨 K-부대생활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ㆍ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하여 각각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ㆍ사후의 점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보아,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회기별 변화과정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군 장병들의 군부대 생활그림의 사전ㆍ사후 변화에서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군 장병들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내면에 있는 스트레스를 분출하여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였고,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미술치료가 군 장병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 on the subjects of soldiers of a regiment in a P area ? on the reduction of stress from soldiers' lives in the arm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2 to June 4, 2009 in the orders of the selection of subjects, the conception of art therapy programs for the reduction of stress, pre-tests, the practice and application of those programs, post-tests, and the analysis of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5 soldiers with a lot of stress from army lives in a unit of a P area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battalion commander, and the study was done totally 11 times, 90 minutes each time. For quantitative tests, the measure developed by Ko Kyoung-bong, Park Jung-kyu, and Kim Chan-young (2002) was used after it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For qualitative tests, K-Army Life Drawing applying K-HTP was used.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as tested through t-tests about the differences after pre-tests and post-test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s of pre-tests and post-tests after art therapy programs are significant. It shows that art therapy reduces the stress of the soldiers. Second, in the sessional process of the changes of soldier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Third, in the pre- and post-changes of the drawings of soldiers about their army lives after art therapy programs, their stress was reduced. It is shown that the soldier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released stress and solved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art activities, and furthermore show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oldiers'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