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반악기 환상곡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C. P. E. Bach의 영향 연구 : C. P. E. Bach 《환상곡 Wq. 117》 중심으로

        김민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historical role of the Fantasia, which prominently displays the Empfindsamer Stil of Carl Philipp Emanuel Bach (1714-1788), who was an important composer of the Pre-classical period. For this purpose, I studied the history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keyboard instrument Fantasia, as well a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period and composer. Also, I looked at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realized in various ways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Fantasia by analyzing the C. P. E. Bach's Fantasia Wq. 117. The music of the Pre-classical period was universal and expressed the subjective emotions of the composer by deviating from the ornate and contrapuntal style and the principle of objective single-emotional expression of the Baroque period. The representative musical form here was the fantasy. In the Fantasia, bars were not used, and these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chromatic progression of melody and harmony, contrasting elements, and instrumental recitative. Fantasias were composed in a strictly imitative counterpoint form in the Renaissance, and then they began to be composed with free themes. In the Baroque period, they began to take on the form of improvisation by using ornate scales and arpeggios, but they only served as a prelude to the fugue part. Eventually, fantasias were established as improvisational and independent pieces of music in the Pre-classical period. Fantasia of the Classical period inherited the musical phraseology of C. P. E. Bach and were enlarged in scale by Mozart and Beethoven. In the Romantic era, the genre of fantasias were broadened by incorporating fantasias into sonatas, variations, character pieces and others. Also in the 20th century, fantasias were composed by using new modern techniques such as 12-tone music of serialism. Lastly, through analysis of C. P. E. Bach's Fantasia Wq. 117, I realized that C. P. E. Bach used improvisatory figures, which were used in the Baroque Period. And he already attempted to use the enharmonic modulation and the chromatic modulation of the diminished seventh chords, which were used in th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In addition, he used the progression of chromatic harmonics, the augmented sixth chord and the neapolitan sixth chord, which was often used in the Romantic period. Therefore, C. P. E. Bach's Fantas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with th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And through this thesis, performers can better understand C. P. E. Bach's Fantasy and learn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period. I expect to help performers achieve a performance that is academic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performance style. 본 논문은 전고전주의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인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Carl Philipp Emanuel Bach, 1714-1788)의 작품 중 감정과다 양식이 두 드러지게 나타나는 환상곡(fantasia)이 역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건반악기 환상곡의 역사 및 변천과정과 시대·작곡가별로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연구하였으며, C. P. E. 바흐의《환상곡 Wq. 117》 분석을 통해 여러 방식으로 구현되는 특징들이 환상곡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전고전주의 시대의 음악은 바로크 시대의 화려하고 대위법적인 양식과 객관적인 단일 감정표현의 원칙에서 벗어나 보편성을 띄며, 작곡가의 주관적인 감정을 표출하였다. C. P. E. 바흐는 주관적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기 위해 환상곡에서 마디를 사용하지 않았고, 선율 및 화성의 반음계적 진행과 셈여림의 대조, 기악적 레치타티보 등을 사용하였다. 건반악기 환상곡의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르네상스 시대의 환상곡은 엄격한 모방 대위법적 형식으로 만들어졌고, 이후에 자유로운 주제로 작곡되기 시작하여 바로크 시대에는 화려한 음계와 아르페지오 음형이 사용되면서 즉흥적인 형식의 모습을 띄기 시작하였다. 푸가(fuga) 부분의 서주 역할에서 벗어나 전고전주의 시대에서는 즉흥적이고 독립적인 악곡으로 확립되었고, 고전주의 시대에서는 환상곡은 C. P. E. 바흐의 음악적 어법을 이어받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vig van Beethoven, 1770-1827)에 의해 규모가 확장되었다. 낭만주의 환상곡은 소나타(sonata)와 변주곡 (variation), 성격소품(character piece) 등에 접목되어 장르의 폭이 넓어졌으며 20세기, 현대에 이르러 새로운 현대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작곡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 P. E. 바흐《환상곡 Wq. 117》의 분석을 통해 바로크 시대에 사용하였던 즉흥적인 음형들을 사용하고 고전주의 시대와 낭만주 의 시대에서 사용된 증 6화음, 네아폴리탄 6화음과 이명동음을 통한 전조, 감 7화음을 통한 반음계적 전조 등을 C. P. E. 바흐가 자신의 환상곡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C. P. E. 바흐의 환상곡은 건반악기 환상곡의 변천 과정에서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와 고전·낭만주의 시대를 잇는 역할을 했으며, 본 논문을 통해 연주자들이 C. P. E. 바흐의 환상곡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시대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주 양식에 잘 접목하여 학구적이고 시대적 특성을 살린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봉합사 복합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연구

        김민주 청주대학교 융합신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Lifting thread’, currently used as cosmetic surgical thread, is a absorbable suture that is inserted subcutaneously to pull sagging skin, removing wrinkles. It also induces biological response from the skin tissue to form collagen capsule and express myofibroblastic cells around the suture to complement aged tissue, ultimately showing anti-aging response of preventing sagging of skin and enhancing skin elasticity. Amongst the commonly used threads used for ‘lifting thread’, Polydioxanone(PDO) shows great elasticity as it has been developed for suture of soft tissue with its advantage of cheap cost and short absorption period due to its low melting point. But it only lasts 6 months, which makes it impractical for long-term wrinkle removal. Poly L-Lactic acid(PLLA) is suitable for long-term wrinkle removal as its disintegration occurs over long period 2~4 years, but its low elasticity and high crystallization point and melting point debilitates its machinability and its commercially high cost also works as a disadvantage. The current study has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DO/PLLA thread composed in a certain ratio of PDO and PLLA to improve short life of PDO and low elasticity of PLLA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their respective disadvantage and fulfill its intention as ‘lifting thread’. PDO/PLLA composite showed more homeogenous crystallization with higher content of PLLA, but its crystallization point, melting point, and pyrolysis point increased, worsening its machinability. However, small addition of PLLA into PDO showed much lower crystallization point, melting point, and pyrolysis point than pure PDO100, increasing its machinability. 현재 미용 성형사로 적용되고 있는 ‘리프팅 실’은 흡수성 봉합사를 피하조직에 삽입하여 처진 피부를 당겨 주름 개선 효과와 동시에 피부조직의 생 자극 반응을 유도해 봉합사 주변으로 콜라겐 피막을 형성과 근섬유모세포가 발현되어 노화된 조직을 보완하여 피부의 처짐을 막아주고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항노화 반응이 나타낸다. ‘리프팅 실’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봉합사 중 Polydioxanone(PDO)는 낮은 용융온도(Melting point)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분해기간이 짧다는 장점으로 연조직 봉합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지만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약 6개월로 지속시간이 낮아 장기간의 피부 주름 개선이 어려우며, Poly L-Lactic acid(PLLA)은 체내 분해 기간이 약 2년~4년의 장기간에 걸쳐 분해가 일어나 장기간의 피부 주름 개선 목적으로 적합하지만, 낮은 유연성과 높은 결정화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와 용융 온도(Melting point)로 인해 가공성이 떨어져 제조비용이 높아 상업적으로 고가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Polydioxanone(PDO)의 낮은 분해기간과 Poly L-Lactic acid(PLLA)의 낮은 유연성을 향상시켜 ‘리프팅 실’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PDO/PLLA 봉합사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PDO/PLA 혼합물의 분석결과 L-Lactic acid(PLLA)의 함량이 높을수록 결정구조는 균질화되었고 결정화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용융온도(Melting point), 열분해온도(thermal decomposition)는 높아져 가공성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다만 Polydioxanone(PDO)에 소량의 L-Lactic acid(PLLA)가 조성될 경우 순수한 PDO100 보다 오히려 결정화 온도나 용융온도, 열분해 온도가 낮아져 오히려 가공성은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 염기에 오염된 지문의 훼손에 관한 연구

        김민주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범죄 현장에서 흔히 남겨질 수 있는 흔적 중 하나로 지문이 있는데, 범인은 범죄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자신의 흔적 및 증거물을 지우려고 한다. 이때 토양에 매장하거나, 밀가루를 뿌리거나, 물과 같은 여러 액체에 담그는 등의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비누와 같이 염기가 포함된 물질을 사용해 씻어내려고 할 수도 있다. 염기는 부식성을 띠며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물, 양이온, 수산화 이온으로 구성된다. 인체 분비물, 주변의 먼지나 오염물질 등으로 구성된 지문이 염기와 접촉하게 되면 염기의 특성으로 인해 지문이 훼손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염기성 물질을 사용했을 때 접할 수 있는 농도를 고려하여 염기와 접촉한 지문이 얼마나 훼손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0.1 M, 0.25 M, 0.5 M, 0.75 M, 1.0 M의 염기(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로 오염시킨 지문을 CA 훈증법으로 현출하여 지문의 훼손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염기 수용액의 구성 성분인 물, 양이온, 수산화 이온 중 지문을 훼손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물, 염기, 염화물(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로 오염시킨 지문을 CA 훈증법으로 현출하여 지문의 훼손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염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문의 훼손 정도는 커졌으며, 약염기로 오염시킨 지문보다 강염기로 오염시킨 지문이 훼손 정도가 더 컸다. 물과 염화물에 오염된 지문은 비슷한 훼손 정도를 보였으며, 강염기에 오염된 지문이 물 또는 염화물에 오염된 지문보다 훼손 정도가 컸다. 이를 통해 염기의 구성 성분 중 지문을 가장 많이 훼손시키는 성분은 수산화 이온이며, 수산화 이온의 해리 정도와 해리되는 양이 지문의 훼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ngerprints are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evidence deposited in the crime scene, and criminals try to remove their traces and evidences in order to conceal the facts of the crime. There are various methods that can be used at this time, such as burying in the soil, sprinkling with flour, soaking in various liquids such as water, etc., but sometimes they can try to wash it off using a substance containing a base, such as soap. Bases have strong corrosive properties, and when present in aqueous solution, consist of water, cations and hydroxide ions. Fingerprint is a mixture of some or all of the human secretions, dust and pollutants, so it is believed that fingerprints in contact with bases will be damaged.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s that can be diluted when using substances containing bases in real life, the fingerprints were contaminated with 0.1 M, 0.25 M, 0.5 M, 0.75 M, 1.0 M bases(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aqueous ammonia) to determine how much the fingerprint is damaged in contact with the base. Afterwards, in order to check the degree of damage to the fingerprint, the fingerprint was developed by CA fuming method. In addition, the degree of damage to the fingerprints contaminated with water or base or chloride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and ammonium chloride) was compared to identify the main components that damage the fingerprints among water, cations, and hydroxide ions, which are the compositions of aqueous base solutions. As a result, the degree of damage to the fingerprin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base incereased, and fingerprints contaminated with strong bases were damaged more than fingerprints contaminated with weak base. The fingerprint contaminated with water and chloride showed a similar degree of damage, and strong base-contaminated fingerprints were more damaged than water- or chloride- contaminated fingerpri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base, hydroxide ions were the most damaging components of fingerprint, and the dissociation degree and amount of hydroxide ions affect the damage to fingerprints.

      •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강조한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강조한 자기조절학습 방법으로 학생틀이 자신 의 학습 장/단점을 선정하여 스스로 관리해 나가게 하는 ‘장/단점 관리 활 통’ 과 문제해결 과정을 스스로 통제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 ‘메타인지 학습노트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 다. 이런 활동에 참여한 학생틀에게 어떤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섯 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정성연구를 진행하 는 한편, 33명으로 구성된 중학교 3학년 한 반을 대상으로 정량연구를 병행하였다. 정성연구와 정량연구 접근법이 모두 활용되어서 이 연구는 혼합적 연구 접근법을취하고있지만 전체적으로는7。d λ。f 「셔접근법에 의존하고 정성적 자료 분석 결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목적으로 정량적 접근법이 활용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성적 연구접근법이 주가 되고 정량적 연구 접근법이 부가 되는 주,부 설계 방식을 한 연구참여자는 초등학생 2명, 중학생 활용한 셈이다. 정성적 연구에 참여 2명, 고등학생 1명 등 모두 다섯명 이며 정량적 연구는 중학교 3학년 1개 반 33명을 정성적 연구어l 참여한 연구참여자틀과 정량적대상으로 진행되었다.연구의 연구대상자틀에게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학습 활동을 일정 기간 투입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 활동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활동에 참여한 연구참여자틀의 활동 과정을 면말히 관찰하는 한편, 그들의 활동이 갖는 의미를 을 실시하였다. 면담 과정은 모두 녹음되어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면담 전사함으로써 이 연구의 활동이 그들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된 문서자료와 연계하여 활용되었다. 분석하는 과정에서그들로부터 한편, 중학교 3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살시된 정량적 석하기 위해 이 연구의 활동을 투입하기 전과 후에 그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이 때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가 활용되였다. 효과를 분 실시하여 이 연구정성적 접근법에 의해 수집된 정성적 자료와 정량적 접근법에 의해 수집 된 정량적 자료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메타인지학습노트를 활용한문제해결학습은 학생들이 문제의 의미까­ 。1 2=나 구조를 갚이 있게이해하고논리적으로 사고할-「 /ν、'-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 둘째, 메타인지 학습노트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은 문제해결에 팔요한 수경Lχ}--, ←1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잘못된 문제해결 습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장/단점 관리 방법은 학생의 학습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제 공할 뿐 아니라 학생 스스로 새로운 학습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준다. 넷째, 메타인지 학습노트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능동적으로 바뀌게 할 뿐만 아니라 학엽성취감을 느길 수 있게 한다. 다섯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학습에 대한 인식과 신념 등을 긍정적으로 바꾸는데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 불안감을 해소하고 수학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메타인지 영역보다 정의 적 특성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여닮 째, 메타인지적 자기조절학습 활동은 정의적 특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신념과 태도 중 특히,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용접 유해인자 노출량에 따른 관련법 개정 및 작업환경측정 제도 의무화 : -특성화 고등학교 용접 실습 사례 중심으로-

        김민주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mandatory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exposure to harmful welding factors -Focusing on cas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welding practice- Kim, Min Ju Department of Health and Safety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dvisor : Professor Kim, Hwa il.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n the lab and promote safety and health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welding labs in Jeollanam-do by identifying the amount of exposure to harmful factors during welding practice and the corresponding students' awareness, and presenting data that can be used for partial revisions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School Health Act or for establishing basic polic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we looked at the situation of students who were defenselessly exposed to harmful factors during the welding training cours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elding process at industrial sites. Second, the provisions on work environment management were reviewed by compar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School Health Act. Third, we reviewed the carcinogenicity information, effects on the human body when exposed, and exposure standards for harmful agents to which high school students are exposed without protection,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s. Fourth, through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the degree of exposure of students to harmful factors generated during welding training was evaluated numerically, and compared with the exposure amount of harmful factors generated during welding processes at industrial sites. Fifth, we considered the exposure amount of students by applying exposure standards stipulated in foreign countries. As a final step, we structu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in which welding is conducted, and the perception of industrial health into a total of 10 questions and inquired about them to students in the welding practice room and workers in small workplaces. And after comparing the result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firmed.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practice welding are exposed to 'harmful factors subject to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listed in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ppendix 21] for an average of 280 minutes a day, but since they are not workers, they are subject to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nd special health examinations. It is in a blind spot where it is legally excluded. In the School Health Act, there was no clause requiring protection for students exposed to harmful factors listed in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ppendix 21]. Second, the order of exposure to harmful factors occurring in the welding laboratory was in the same order as the order of exposure to harmful factors occurring in the welding process at industrial sites in Korea, and Welding Fume and Fe2O3 were found to be at a higher level than in industrial sites.Third, if the exposure standards for harmful factors stipul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in Korea are applied, all harmful factors are evaluated as below the exposure standards, bu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xposure standards stipulated in foreign countries, some students exceed the exposure standards for some harmful factors. was exposed as Fourth, in the survey question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rmfulness and risk of welding' an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al health'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industrial sites, which is the control group, and their awareness of harmful factors occurring during welding practice is low. Through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we were able to confirm statistically that students were hoping to have their health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ppendix Table 21],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for students exposed to harmful factors will help students who will work in the future to be aware of occupational health and the correct selection of protective gear at an early stag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dustrial accidents and accidents in our country. It is useful in that it can be used in basic polici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diseases, and on the other h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make students at Korea's specialized high schools aware of the effects that harmful factors, which they did not learn about professionally in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on the human body. Keywords: welding, specialized high school, school health law,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용접 유해인자 노출량에 따른 관련법 개정 및 작업환경측정제도 의무화 -특성화 고등학교 용접 실습 사례 중심으로- 안전보건학과 김민주 지도교수 김화일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위치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용접실습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용접 실습 과정 중 발생하는 유해인자 노출량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 산업안전보건법, 학교보건법 일부 개정에 활용 또는 기초 정책 수립 시 열람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여, 실습실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더불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안전 및 보건 인지력을 증진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사전 조사를 통하여 용접 실습 과정 중 유해인자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학생들의 상황과 산업현장의 용접공정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산업안전보건법과 학교보건법을 대조하여 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조항들을 검토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있는 유해인자에 대한 발암성 정보와 노출되었을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 노출기준을 국내와 국외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넷째, 작업환경측정을 통해 용접 실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학생들이 노출되는 정도를 수치로 평가하고, 산업현장의 용접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노출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다섯째, 외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출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노출량을 고찰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용접실습실의 학생들과 영세 사업장 근로자에게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용접이 진행되는 실습환경 실태, 산업보건에 대한 인식도를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조화하여 비교 후 이에 대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용접 실습을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은 하루 평균 280분 동안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에 나열된 ‘작업환경측정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나, 근로자가 아니므로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 건강진단 대상에서 법적으로 제외되는 사각지대에 있다. 학교보건법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에 나열된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학생들에 대해 보호해야 한다는 구절은 없었다. 둘째, 용접실습실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노출량의 순서는 우리나라 산업현장의 용접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의 노출량 순서와 동일한 순서대로 나타났으며 Welding Fume, Fe2O3은 산업현장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노동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인자 노출 기준을 적용하면 모든 유해인자가 노출 기준 미만으로 평가되지만, 외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출 기준을 적용한 결과 일부 학생들은 일부 유해인자에 대하여 노출 기준을 초과하는 수치로 노출되고 있었다. 넷째, 설문 문항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용접의 유해성 및 위험성’, ‘안전보건교육 수준과 산업보건’에 대한 인식은 대조군인 일반 산업현장에 비해 저조하며, 용접 실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작업환경측정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을 보장받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것을 통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에 따라,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작업환경측정 의무화 도입은 향후 산업현장으로 나아갈 학생들에게 산업보건과 올바른 보호구 선정 등을 조기에 인식하게 하여 우리나라 산업재해 및 직업병 발생 예방의 기초 정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가지며, 한편으로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전문적으로 배우지 못하였던 유해인자가 인체에 노출되었을 때 미치는 영향을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용접, 특성화 고등학교, 학교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 작업환경측정

      • 행태유형화를 통한 공공공지와 공개공지 공공성 분석 : 서울시 특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김민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공공공지(公共空地, Publicly-Owned Public Open Spaces)와 공개공지(公開空地, Privately-Owned Public Open Spaces)는 도시에서 공공성 확보의 대상 중 하나이다. 공개공지는 민간이 소유하면서 공익을 위해 이용권을 제공함으로써 용적률 인센티브 상승에 따른 연면적 증가수익으로 민간은 사익을 극대화하는 반면 공공공지는 민간이 조성 후 공공에게 기부채납으로써 소유권을 관/행정주체에게 이전하고 공공은 이용권을 가짐으로써 공익을 확보한다. 현행 제도상 공공공지는 공개공지보다 용적률 인센티브 폭이 큰 반면에 제공되는 면적이 작고 접근성이 낮은 위치지정으로 이용이 공개공지만큼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지구단위계획제도에 따라 공개공지는 건축법상 의무조성면적 이상의 추가 조성한 면적에 대해 완화비율식이 정해져 운용되는 반면 공공공지는 다른 기부채납대상과 통합적으로 기부채납면적을 기준으로 상한용적률 비율이 정해진다. 이와 같이 현행 인센티브제도 틀 속에서 공공성은 양적확보만 이루어지고 있고 공공공지는 도로와 같은 공공성 대상을 지정하고 남은 부지에 면적 채우기식의 공공공지 지정으로 토지의 가치를 충분히 발현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용적률을 받기 위한 하나의 대상으로서 인식되므로 진정 공공성의 수혜주체인 이용자 측면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질적 차원의 공공성 실현이 필요한 시점이며 제도적 반영에 필요한 기초연구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특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하여 공공공지와 공개공지의 공공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연구대상인 공공공지와 공개공지의 용적률 인센티브 완화량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준공된 특별계획구역의 공공공지와 공개공지를 대상으로 일어나는 활동을 중심으로 행태를 유형화하고 셋째, 각 행태유형별 특성을 해석하고 공공성 분석요소를 적용하여 질적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차원에서 공공성 분석을 통해 공공공지 100㎡ 조성 시 용적률 완화연면적은 523㎡이며 공개공지 100㎡ 조성 시 용적률 완화연면적은 311㎡로 나타났다. 공공공지가 공개공지보다 100㎡ 제공시 1.6배 정도 용적률 인센티브 완화량 폭이 높음을 알았다. 둘째, 활동 차원에서 공공성 분석한 결과 서울시 특별계획구역의 공공공지와 공개공지에서 일어나는 활동은 크게 3가지 행태유형을 도출 할 수 있다: ‘다양한 행태유형’, ‘휴식 행태유형’, 그리고 ‘대화 행태유형’이다. 다양한 행태유형은 공공공지 2개소(은평불광, 성북월곡1)와 공개공지 3개소(서초양재, 광진자양4, 서대문충정2)에서 나타났으며, 휴식 행태유형은 공공공지 5개소(서초이수1, 강북미아, 종로궁안, 서대문충정2, 서초양재1)에서 나타났으며, 대화 행태유형은 공개공지 5개소(강북미아, 종로궁안, 성북월곡1, 은평불광, 서초이수1)와 공공공지 2개소(서대문충정2, 광진자양4)에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행태유형’은 음악 듣기의 유희적 활동, 대화의 교류적 활동, 전화하기와 버스기다리기 등의 일상적 활동, 흡연과 쉬기의 휴식의 활동이 공지에서 다양하게 일어나는 유형이다. 공공성의 접근성 분석요소 중에서 ‘공지규모’가 가장 중요한 물리적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공지의 규모가 500㎡이상으로 클수록 다양한 행태 특성이 나타났다. 넷째, ‘휴식 행태유형’은 흡연을 중심으로 하는 휴식의 활동이 공지에서 주로 일어나는 유형이다. 공공성의 분석요소 중에서 접근성의 ‘공지규모’, ‘공지위치’, ‘공지접도수’가 가장 중요한 물리적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공지의 규모가 500㎡ 보다 작은 공간이고 또는 공지의 위치가 전면보다는 후면/측면 또는 대지와 독립적인 곳에 위치해 있을수록 휴식의 행태 특성이 나타났다. 다섯째, ‘대화 행태유형’은 대화의 교류적 활동이 공지에서 주로 일어나는 유형이다. 공공성의 분석요소 중에서 접근성의 ‘공지위치’와 ‘인접건물저층부용도’, 가시성의 ‘시각적 개방도’가 가장 중요한 물리적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공지의 위치가 전면에 있고, 인접건물저층부용도가 상업시설이거나 또는 시각적 개방도가 50%이상으로 양호할수록 대화의 행태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행태조사가 한 계절에 한정되어 사계절의 이용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현행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에서 공공성 확보수단으로 공공공지와 공개공지를 양적으로 제공하지만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이용의 관점에서 준공된 사례구역을 대상으로 행태특성을 밝히고 유형화함으로써 공공성을 분석하고 질적 특성을 밝히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공공공지가 실생활과 가깝게 조성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가 많지 않았으나 준공사례를 가지고 실증적으로 분석한 자료로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detail, we examined how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First,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will the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will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ourth, will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llege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a department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s of 2023, and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600 copies to 6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Daejeon. Participa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ssessment method, and 579 copies, excluding questionnaires from unfaithful respondents such as non-response or incorrect information,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ffected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n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fluenc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the major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venth,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s and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se programs will help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areers and build their confidence in making career decision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 complex approach that considers these factors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llow-up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study ways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for career preparation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ith different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by expanding the size and diversity of the research subjects.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민주 평생교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전공만족 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체육전공 대학 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전공만족 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 가?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전공 관련 학과에 2023년 현재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서울, 경기, 충청, 대전에 있는 6개 대학의 600부를 배포하여 자료 를 수집하였다. 참여 대상자들은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 였으며 무응답, 오기입 등 불성실 응답자의 설문지를 제외한 579부를 분 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신뢰도 분석과 구조방적식 모형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 다. 둘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 각한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여섯째, 체육전공 대 학생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 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미쳤다. 일곱번째,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진 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이중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 에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복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체육전공 학생들의 진로준비를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을 달리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연구 대상의 규 모와 다양성을 확대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EBS강좌를 활용한 거꾸로 학습이 중학생들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T unit which is in the high school course, by applying it to the middle school to the 3rd grade students in Korea from July to August 2017. The participants were five 16-year-old students and they resided in S, K and I city. The class was prepa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preliminary interview for the students. A concept video on EBS platform was shown in advance using SNS(Kakao Talk) during the class. At the beginning of the lesson, the teacher checked and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the concepts that students had learned on their own. Afterward, classes were held individually or in pairs by solving the prepared handout and conducting additional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lesson, the teacher gave the questionnaires to the student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the flipped lear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Finally,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and format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when all classes were finished. This study is carried out using EBS platform to reduce the burden of video production to the teacher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tud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learner traits and treatment interac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study SET unit by flipped learning with EBS lecture. Seco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to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study by flipped learning with EBS lecture. We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ents reacted positively to the atmosphere in which they were able to talk and share the opinions freely in class. As mentioned above, the unconstrained atmosphere of the academic class induced discussions naturally and also created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learning activities. However,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is not as efficient as the formal education for top-ranked students and it took a long time to understand the concept exactly. The flipped learning gave the students a chance to think about a concept or problem more deeply so the expansion of learning led to the expansion of thinking. The concept was elaborated or expanded by each students. And they were able to think not only logically, also creatively in many situations. The edited EBS lecture made easy to access for students and they become active learners. Especially al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nswered that providing the videos was helpful for them to study. Sincere students who is enthusiastic about studying showed efficient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it was not easy for the students who did not attend to see the videos in each class. The remarkable changes or influences of the flipped learning o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Confidence in mathematics has risen. The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resulted that not the interest in mathematics but the confidence was changed. The students evaluated more positively on themselves because they can have their own thoughts to exchange opinions and interacted with the peers. The students who correctly learned the concept video were able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class and received high scores in formative evaluation.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e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 by watching the video. If they did not,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join. There was overall difficulty in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new concept of the SET unit in the class. The students had no chance to learn about the SET unit before. So it was more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was verified flipped learning is not effective to acquire the new concept such as symbols which is never learned before. When they study cooperative flipped learning, procedural knowledge such as problem solving technique or strategy would be effective to learn by interacting more often rather than propositional knowledge.

      • 카메라 트래핑을 이용한 예산군 산림 지역의 포유류상과 그 주요종의 행동 특성

        김민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 1일부터 2021년 10월 13일까지 예산 산림 지역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야생 포유류의 사진 및 영상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종 다양성, 상대 풍부도, 활동 및 행동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종의 서식 유무, 서식하는 종의 생태적 특성, 종간 상호 작용, 활동 및 행동 패턴을 파악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2086개의 데이터 중 포유류는 1143개, 미출현은 769개, 조류는 107개, 기타(타 분류군, 사람, 오류 등)는 67개로 나타났다. 이 중 포유류의 데이터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출현종은 오소리, 고라니, 등줄쥐, 멧돼지, 다람쥐, 너구리, 삵, 청설모로 나타났다. 포유류의 시간대별 출현 빈도는 20시(58회)가 가장 높고 13시가 가장 낮았으며, 야간(417회)이 주간(179회)보다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 빈도는 9월(187회)이 가장 높고 2월(9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풍부도 지수는 오소리 63.0, 고라니 33.0, 등줄쥐 8.0, 멧돼지 5.6, 다람쥐 4.8, 너구리 2.4, 삵 2.0, 청설모 0.4로 나타났다. 한편, 생태계에서 분장의 중요성과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포유류의 특이적 행동이 관찰되었다. 너구리의 경우 오소리의 분장에서 배변 활동을 하고 냄새를 맡는 모습이 수차례 관찰되었으며, 소형 설치류(다람쥐, 등줄쥐)는 분변 및 분변에 모여든 곤충 등을 섭식하며 먹이터로 이용하는 모습이 다수 포착되었다. 또한, 등줄쥐와 삵은 세 곳의 연구 지점 중 분장이 있는 곳에서만 출현하였다. 배설물이 등줄쥐의 섭식 활동을 유도함에 따라 등줄쥐를 먹이원으로 하는 삵의 출현율이 간접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분장은 생태계에서 다양한 종의 활동을 주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 연구 및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등에서 고려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 동물의 분장 이용에 집중한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하여 국내 산림지역 포유류의 다양한 기초 생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는 추후 야생 동물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In this study, from June 1, 2020 to October 13, 2021, sensor camera was installed in the Yesan Forest area to secure photos and videos data of wild mammals.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derived through this to identify species habitat,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terspecies interaction, activities,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2086 data collected through sensor camera during the study period, 1143 mammals, 769 non-appearance, 107 birds, and 67 others(other classification groups, people, errors, etc.). Among them, mammalian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Appearance species were Meles leucurus, Hydropotes inermis, Apodemus agrarius, Sus scrofa, Eutamias sibiricus, Nyctereutes procyonoide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Sciurus vulgaris. Appearance frequency of mammals by time zone, 20 o'clock(58 times) was the highest and 13 o'clock was the lowest, and night(417 times) was about 2.3 times higher than day(179 times). As for the monthly appearance frequency, september(187 times) was the highest and February(9 times) was the lowest. elk 33.0, backline mouse 8.0, wild boar 5.6, squirrel 4.8, raccoon 2.4, wildcat 2.0, and red squirrel 0.4. The relative abundance index was lower in the order of Meles leucurus(63.0), Hydropotes inermis(33.0), Apodemus agrarius(8.0), Sus scrofa(5.6), Eutamias sibiricus(4.8), Nyctereutes procyonoides(2.4), Prionailurus bengalensis(2.0) and Sciurus vulgaris(0.4). Meanwhile, specific behaviors of mammals that can confirm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latrine in the ecosystem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raccoons, defecation activities and smelling were observed several times in the latrine of badgers. Apodemus agrarius and Eutamias sibiricus were seen eating feces or insects gathered in feces and using them as food sources. In addition, Apodemus agrarius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appeared only in site with latrine among the three research sites. It is believed that excrement induced the eating activity of Apodemus agrarius, and accordingly, the rate of appearance of Prionailurus bengalensis as a food source for Apodemus agrarius also indirectly increased. Since latrine has the potential to lead the activities of various species in the ecosystem, it is judged to be a factor that can be considered in ecosystem research and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projects. Therefore, ecolog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use of latrine by wild animals will need to be undeertaken. In this study, various basic ecological data of mammals in domestic forest areas were collected using camera trapping, which could be useful for further wildlif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