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euristics에 기반한 정책행위자의 의사결정 과정분석

        김민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책과정은 정책행위자의 연속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의 과정이다. 정책행위자들은 정책과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정책과정은 공공의사결정의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의 과정에 비합리적인 부분이 존재한다고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그런 비합리적인 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공공적책을 다루는 정책행위자의 비합리적인 판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더욱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인지과정상의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편의(cognitive bias)가 정책행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함을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의사결정의 합리성 저해요인을 규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정책행위자를 전문가(expert)로 보았을 때 근속기간과 같은 경험요인에 따라 인지적 편의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Kahneman과 Tversky가 소개한 세 가지의 대표적인 휴리스틱스에 범위를 국한시켜 의사결정 상황에서의 실재여부와 그 영향력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정책행위자의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성 휴리스틱스(representativeness heuristics)와 가용성 휴리스틱스(availability heuristics) 그리고 앵커링과 조정 휴리스틱스(anchoring & adjustment heuristics)를 대상으로 의사결정상황에서 휴리스틱스가 어떻게 편의를 발생시키는가를 검토하였다. 휴리스틱스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Kahneman과 Tversky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조사설계 분석방법을 원용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실무자라 할 수 있는 중앙 부처의 4급에서 7급에 해당하는 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일반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반인의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휴리스틱스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공무원과 일반인의 인지적 편의 정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법으로는 χ²검증, t-검증,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사전확률에 대한 둔감성에 대한 검증에서 공무원과 일반인 모두 기존의 연구와 달리 사전확률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즉 사전확률을 무시하는 대표성 휴리스틱스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외 다른 검증은 이전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모집단의 특성을 그대로 표본에 적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우연사건에 관한 오해 역시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의 평가를 기준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경향이 발견되었고 평균으로의 회귀현상은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용성 휴리스틱스의 경우 탐색의 효율성과 상상가능성과 같은 인지적 편의가 존재하는 가를 살펴보았다. 탐색의 효율성과 상상력의 두 성질을 내포한 검증에서 공무원과 일반인 모두 기존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가용성 휴리스틱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각하기 쉽고 시각적으로 보기 쉬운 쪽의 응답에 치우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앵커링과 조정 휴리스틱스의 경우 결합사건에 있어서 휴리스틱스에 의해 확률을 판단할 경우 세부 요인의 확률에 앵커링하여 실현 확률을 과대 추정하는 경향이 존재함이 실증되었다. 또한 분리사건의 경우에서는 휴리스틱스에 의해 확률을 판단할 경우 세부 요인의 확률에 앵커링하여 실현 확률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존재함이 실증되었다. 휴리스틱스 유형에 따른 검증에서 공무원의 직급과 근속기간에 따른 판단의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공무원의 직급과 근속기간은 공무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과 일반인의 비교에서는 공무원과 일반인의 판단 경향이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응답의 빈도수 혹은 확률의 차이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찾을 수 없었다.

      •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MIH를 이용한 새로운 네트워크 선택 방법

        김민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무선네트워크간의 혼합서비스가 도래되고 있다. 무선네트워크의 급속적인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다양한 무선 응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WLAN과 WMAN간의 혼합 서비스를 예를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통신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서비스도 별도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하나의 단말로 여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기를 원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단말은 다양한 무선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는 멀티 인터페이스의 특징을 가져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것을 제공하기위한 무선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선택에 대해 기술하였다. 각각의 무선네트워크의 장단점을 살펴보며 최적의 네트워크 선택을 위한 방안과 특정 application에서 최선의 QoS를 지원할 수 있는 특징을 주기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무선네트워크 기술들이 중첩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기종간의 연동 방안과 Layer 3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안이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은 새로운 방안이 거의 발표 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여러 무선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이기종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를 선택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 하였다. 이기종간의 효율적 핸드오버를 위하여 IEEE의 MIH 기술과 제안한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이기종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Qual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네트워크와 유사한 네트워크 모델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대학병원 Sign System디자인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김민종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Concept of medical treatment's focuses are moved into Human being, Medical center has been changing an multi-cultural complex in this era with improving quality of life. Besides, User demands more higher quality of medical service than before, according to acquisition of medic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s, Hospital has been suffering one issue that lacking of space for installing high technology medical instrument as the needs arise. For these reasons, Medical Center want to make it larger or change. Therefore, Customers can feel uncomfortable. Especially, Some part of patient who need mental steadiness has possibility of causing more serious problem so far. Between public facilities, University Hospital has a variety of sign is in need that is easy to get perception-effect and build up comfortable environment. Through introducing "sign system" systematically, We could serve a better medical service to clients. This study's theoretical basis is about general situation and sign system in University Hospital on documentary records. In examples which object 4 sign systems in University Hospital, Daegu. We analyzed 8 items that are bellow. ① Layout ② A style of handwriting(space between the lines/space between the letters) ③ Multi-language marks avaliable or not ④ A color(color of letters/color of ground) ⑤ Pictogram ⑥ Lighting avaliable or not ⑦ Method of execution ⑧ Balance with surroundings The others object 3 sign systems in University Hospital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and 1 sign systems in University Hospital, Japan through direct visit and internet searching. Especially, we referred to questionnaires of satisfaction index in Dongsan Medical center. So that we tried to find out what situation regional university hospital facing in Daegu. On the basis of our studies, Introducing systematical sign system let the function of hospital works better. Users also feel more comfortable, get much pleasant experiences and go easily with the optimum circulation. Of course, our new medical center facilities that are going to build in the near future will have to consider it. Moreover, We hope that our study is helpful with new medical center. 오늘날 병원은 포괄적인 의료개념의 확산으로 의료는 철저히 인간중심으로 바뀌면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한 시대의 복합문화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이용자 또한 풍부한 의료지식의 습득으로 병원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높은 질의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병원은 진료가 세분화, 전문화되고 최첨단 의료장비의 도입으로 공간부족 현상이 심화되는 등 환경이 열악해 지고 있다. 이런 상황으로 병원은 잦은 증·개축으로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이용자들로 하여금 혼돈을 일으키면서 심리적 안정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불쾌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공공건물 중에서도 대학병원은 다양하고 많은 양의 사인이 필요한 곳으로 지각효과가 뛰어나고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하여 사인시스템(sign system)을 체계적으로 도입·적용시켜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서 사용 중인 사인시스템에 대한 실태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최선의 동선을 확보하여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갈 수 있도록 유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은 대구지역 4개 대학병원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① 레이아웃 ② 서체(행간/자간) ③ 다중언어 표기여부 ④ 색채(문자색/바탕색) ⑤ 픽토그램 ⑥ 조명사용 ⑦ 시공방법 ⑧ 주위환경과의 조화 등의 8개 항목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도권 대학병원과 일본의 대학병원에 대해서는 직접 방문 및 인터넷 자료를 통해 연구해 보았으며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인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참고하여 대구지역 대학병원들이 직면해 있는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위와 같이 연구된 자료를 토대로 사인시스템의 계획에 있어 병원의 기능과 특성에 맞게 사인시스템의 체계를 도입하여 병원 이용자에게 최선의 동선을 제공하여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갈 수 있도록 유도 할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논문은 앞으로 새롭게 건축되는 대학병원의 사인시스템 도입 시 작은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The study for FcεRI-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Defining CXCL10 as a novel activator, and therapeutic agents from natural compounds : FcεRI 매개 알레르기 염증에 대한 연구: 새로운 활성제로써의 CXCL10의 역할 정의 및 천연물 유래 치료제 발굴

        김민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Mast cells are derived from haematopoietic stem cells; cells in this lineage ordinarily circulate as immature progenitors that enter to the peripheral sites and then mature locally. In vertebrates, mast cell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vascularized tissues, particularly near surfaces those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cluding the skin, airways, and gastrointestinal tract [1, 2]. Along with the dendritic cells, mast cells are well-positioned to be one of the primary cells of the immune system to interact with environmental antigens (Ags), environmentally derived toxins, or invading pathogens. Mast cells constitutively express FcεRI, the high affinity receptor for immunoglobulin (Ig) E, on their surface and the number of surface FcεRI is positively regulated by ambient concentrations of IgE [3]. Ag- and IgE-dependent activation of mast cells occurs through aggregation of FcεRI when bi- or multi-valent Ag is recognized by the cells’ surface-FcεRI-bound IgE. These phenomena initiate the complex secretory responses in the mast cells. This FcεRI-dependent mast cell activation response includes the rapid release (in minutes) of cytoplasmic granule-associated mediators such as histamine, heparin and other proteoglycans, several proteases, and certain cytoplasmic-granule-associated cytokines, the secretion of de novo-synthesized lipid mediators (including cysteinyl leukotrienes and prostaglandins) and the production, with a prolonged kinetics, of many cytokines, chemokines and growth factors [1, 3, 4]. Aggregation of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mast cell’s FcεRI is sufficient to trigger mast cell activation and mediator secretion. As a result, individual mast cells can be simultaneously sensitized to respond to many different specific Ags [3]. The extent to which mast cells secrete various types of mediators can vary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activation signal, with release of some cytokines occurring at lower Ag concentrations than the concentration required to induce substantial degranulation and release of stored mediators [5]. The magnitude of mast cell activation in response to Ag and IgE can also be positively or negatively regulated by exposure to ligands for many other receptors expressed by this cell type [1, 4, 5]. Ag- and IgE-dependent mast cell activation is widely regarded to be the major initiator of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that are induced rapidly after the exposure to specific Ag. Anaphylaxis, a catastrophic and sometimes fatal systemic reaction to an innocuous Ag (such as components of foods), which can begin in a sensitized subject within moments of exposure to small amounts of Ag [3]. It is likely that basophils contribute importantly to the certain types of anaphylaxis, particularly that is mediated by IgG1 antibodies in the mouse [6]. In contrast, abundant evidence from both mice and humans indicates that Ag- and IgE-dependent activation of mast cells via aggregation of FcεRI is critical for the pathophysiological manifestations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IgE-dependent anaphylaxis [1, 3]. As referred to earlier, IgE primes mast cells to undergo antigen-dependent activation by binding to the FcεRI. In both humans and rodents, FcεRI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mast cells as a heterotetrameric complex composed of an IgE-binding α subunit, a four-transmembrane spanning β subunit (which serves as an important amplifier of IgE plus antigen-induced signaling events), and two identical disulfide-linked γ subunits (which are important for initiating signaling events), subsequently, activates the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 [1, 7]. IgE binds to FcεRI at a high affinity and this interaction has a slow rate of dissociation [7]. Thus, FcεRI binds IgE and retains it for long periods setting the stage for an immediate allergic or inflammatory response upon exposure to environmental antigen. Effective mast cell activation inhibitors that directly bind to these IgE/FceRI complexes or block internal signaling pathways can be found, and are expected to be able to regulate cell activation/inhibition by acting directly on α subunits having a binding sit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lassical FcεRI signaling pathway in mast cells, I discovered drugs capable of inhibiting intracellular molecules and synthesized a new compound that inhibits mast cell activation from receptors, not intracellular molecules. In addition, unlike the above candidates inhibiting mast cell activation and anaphylactic response by blocking some sub-signal in the FcεRI signaling pathway, I aimed to discover new activators by directly binding to FcεRI.

      • 四象體質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및 위험인자

        김민종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6년 7월 2일부터 8월 30일까지 원주시 지정면에서 시행된 코호트 사업에 참여한 40대 이상의 성인 남·여 666명 중, 고혈압에 해당되는 사람 263명을 추출하고, 성, 연령을 짝짓기한 무작위추출로 정상군 263명을 추출하여, 사상체질에 따른 고혈압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상체질 음성분석기와 망진, 설진, 설문지를 통한 사상체질분포는 태음인 293명(55.7%), 소음인 157명(29.8%), 소양인 76명(14.4%)이었다. 사상체질별 고혈압 유병률은 태음인 166명(63.1%), 소음인 59명(22.4%), 소양인 38명(14.4%)이었다. 2. 고혈압군과 정상군의 남·여 모두에서 체중, BMI,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는 태음인 집단이 다른 체질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정상군 남·여 모두의 수축기혈압이 태음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에서는 확장기혈압에서도 태음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고혈압군에서는 체질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고혈압 관련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사회심리학적 요인으로 사회적지지도와 A형행동유형을 분석한 결과,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과 상관성이 없었으며, 다만 여성 정상군에서 A형행동유형점수가 소양인과 소음인 집단이 태음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5. 고혈압 관련요인 중, 생물학적 지표요인을 분석한 결과, 고혈압군 중 소음인에서는 Adiponectin이, 여성 소양인군에서는 HDL콜레스테롤이, 태음인에서는 HOMA-IR이 다른 체질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은 태음인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6.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고혈압 위험인자를 분석해 본 결과, Crude OR에서는 소음인에 비해 태음인의 교차비가 2.18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 흡연, 총콜레스테롤, 공복혈당, HOMA-IR까지 보정했을 때에도 여전히 소음인에 비해 태음인의 교차비가 2.02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BMI를 보정했을 때, BMI가 23㎏/㎡ 미만군에 비해서 25㎏/㎡ 초과군의 교차비가 2.42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고, 체질별 교차비는 유의성이 사라졌다. 이로써 태음인과 BMI가 서로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보이며, BMI를 주요 위험인자로 여겨서 고혈압 관리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사상체질 중에서도 태음인 체질에 대한 양생 및 지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사상체질은 만성질환 특히 고혈압의 관리에 있어서 주요한 위험인자로 여겨지므로, 적정 체중관리를 하는 것과 더불어 사상체질 진단을 통한 체질적 고혈압 관리는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추후 만성질환 코호트 연구에서는 체질적 변수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라이시안 감쇄 채널에서의 위상오류 분포에 관한 연구

        김민종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라이시안(Rician) 감쇄가 존재하는 채널 환경에서 협대역 잡음이 더하여진 경우에 수신 신호가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한 후의 위상 오류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를 유도하고, 0차 모먼트가 1 이 됨을 보임으로써 확률 밀도 함수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라이시안 페이딩의 특별한 경우인 레일리(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의 수신 신호의 확률 밀도 함수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감쇄 환경에서 시스템의 오류 확률은 먼저 가산성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만이 존재할 때의 오류 확률을 구한 후, 그 결과식을 해당 감쇄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로 평균을 취하여 구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감쇄 환경에서의 수신 신호에 대한 위상 오류식을 구한 다음, 그 식을 한번의 이중 적분을 취함으로써 오류 확률을 구하게 된다. 새로 구하여진 라이시안 페이딩 채널에서 수신 신호의 위상 오류 분포를 고찰하면 직접파 신호 성분과 감쇄 신호 성분의 평균 전력의 비 K의 값이 일정할 경우에는 SNR 값이 클수록 0을 중심으로 더욱 첨예하게 모여 있고, SNR 값이 일정할 경우에는 K 값이 증가할수록 0을 중심으로 모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새로운 방법으로 구한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시스템의 오류 확률 그래프를 보면 K의 값이 커질수록 즉 페이딩 현상이 덜 심할수록 시스템의 성능이 더 좋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deriv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phase error of the received signal over Rician fading channel. And I also deriv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Rayleigh fading channel. Using the new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 calculate the error probability of BPSK system on Rician fading channel. And analyze the error probability of MPSK systems by numerical analysis.

      •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민종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성원의 조직몰입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관한 이론과 실증적 연구 결과들을 전제로 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구·경북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4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고찰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적 요인은 근무경력으로 나타났다. 5년 이내의 근무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조직몰입도가 높게 나타났고 특히, 1년 이내의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직무요인, 조직요인, 근무환경요인 모두가 조직몰입에 있어 통계적으로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요인 중에서는 기술다양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조직요인 중에서는 협동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근무환경요인에서는 조직 내에서의 신뢰관계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요인들 중에서는 근무환경요인 중 신뢰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근무환경의 보상체계, 조직요인의 협동적, 성취적 변인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고자 할 때는 리더, 동료와 조직에 대한 신뢰가 가장 우선되어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사회복지관의 가치와 신념을 자신과 일치를 이룰 수 있는 인프라를 최대한 제공하고 이러한 여건 속에서 조직에 몰입된 그 구성원은 조직구성원으로 존속하기를 희망하고 조직을 위하여 고도의 노력을 하고자 하는 의사를 가지게 하며 조직의 목표와 가치관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이를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도 높아질 수 있는 신뢰환경이 조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보완해 주고 있는데 조직몰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결과물로 근무환경요인을 최우선으로 한 조직요인의 강화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것은 조직요인의 기술다양성과 자율성에 대한 제고와 근무환경의 신뢰관계 제고를 위해 폭 넓은 표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더 세분화된 분석?연구를 준비하되, 근무환경과 조직요인의 폭 넓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근무경력 1~2년 미만의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preparing strategic alternative plans for improving social workers' organization involvement by investigating factors that they have an effect on its degree. Also this study is on the basis of theories and positive study results about affirmative effects on organization products in members' organization involvement. The study was done by polling 241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center in Daegu and Kyungpook province and analyzing and inquiring into the results. As follows, we see the conclusion. First, a career is the individual factor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 involvement. The social workers who have less than 5 years' career have high organization involvement. Especially, the social workers who have less than 1 year's career have the highest organization involvement. Second, a job factor, an organization factor and a work environment factor have a statistically great influence on organization involvement. Of the job factor, skill diversity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Of the organization factor, cooperation factor has the influencing power. Of the work environment, reliable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variable. Third, most of all, reliable relationship of the work environment factor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n comes remuneration system variable of work environment factor, cooperation variable and accomplishment variable of organization factor in that ord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he following scheme for improving social workers' organization involvement. Most of all, reliability to their leaders, co-workers and organization should be in the first place. And our society should let them harmonize with the value and belief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make infrastructures for them to do that. On this condition, the members involved in the organization hope to be the ones of it and they are willing to try to work hard. Also they receive the goal and their sense of values of the organization. For that reason we need to make reliable environment. This study shows that it makes up for the existing study results. It suggests that a work environment factor and an organization factor should be emphasized to increase organization involvemen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skill diversity of organization factor, self-regulation and reliable relationship should be increased. For these, the study proposes that we should prepare more subdivided analysis and investigation, and that the study about the organization involvement factors- in social workers' who have less than 1 year's career- be followed to construct infrastructures of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factor.

      • 적대적 생성 신경망과 순환 일관성을 이용한 표정 변환 얼굴 이미지 생성

        김민종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얼굴 이미지의 회전과 표정을 변형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적인 분야이다. 현재 관련 연구의 목표는 대부분 같은 환경과 다양한 각도에서 같은 시간에 동시에 촬영한 여러 개의 사진을 이용해 어떻게 사진을 다른 각도의 사진으로 자연스럽게 매핑 할 것인지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그러한 학습 데이터는 매우 구성하기 까다롭고 표정을 학습하는 것에도 한정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s)과 순환 일관성(Cycle Consistency)을 이용해 일반적인 얼굴 인식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 입력받은 얼굴 이미지를 다양한 방향에 대한 다양한 표정의 얼굴 이미지로 변형하고 또한 이미지가 촬영된 환경과 얼굴의 특징을 보존하여 생성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It is still challenging to transform a facial image with the desired facial expression using a single facial image. Currently, the goal of related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how to naturally map images using multiple photographs taken at the same environment and at various angles. However, such learning data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and it is very difficult to learn facial expressions.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input face image can be transformed into face images of various facial expressions in various directions by using Generative Adversrial Networks and cycle consistency. In addition, we propose a learning method that preserves the environment and facial features of the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