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끼움벽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비선형해석

        김미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stocky한 끼움벽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골조에서 발생되는 취성적인 전단지배적 구조거동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로 제작된 끼움벽체로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보강하고 이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고인성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끼움벽으로 보강된 골조가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끼움벽으로 보강된 골조에 비하여 더욱 향상된 균열제어능력 및 변형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용이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여기에 수정된 longitudinal and diagonal line element model 을 삽입하여 끼움벽으로 보강된 골조의 해석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HPFRCC 벽체로 보강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 강도, 강성 및 파괴모드를 비교적 정확히 평가하였다. 아울러 끼움벽 보강 골조에 대한 비선형 정적해석을 수행하여 벽체 및 골조의 파괴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최대고려지진에 대하여 변위기반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고, 골조에 대한 벽체의 강성비와 내력비를 변수로 하여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성비와 내력비가 높아질수록 보강 골조의 항복강도와 에너지 흡수 능력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강성비가 커질수록, 내력비가 작을수록, 골조보다 벽체의 파괴가 선행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was strengthened with infilled wall made of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ment cement composite(HPFRCC) to complement the brittle, shear dominant struct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conventional ‘stocky’ infilled walls, a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rengthened structure was assessed through experiments.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showed the more enhanced crack control and deformation capability of the structure strengthened with the infilled wall made of HPFRCC compared with the structure strengthened with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infilled wall. Also, the methodology enabled the convenient model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as presented and further the modified longitudinal and diagonal line element model was inserted into the presented modeling to propose the analysis model for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HPFRCC walls.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cases of structures reinforced with HPFRCC walls besides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and the model showed comparatively accurate assessment on strength, stiffness, and failure mode of the specimen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failure mechanism of the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was strengthened with infilled wall can be investigated by conducting nonlinear static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parametric study, yield strength of the structure and energy absorption become higher with higher stiffness ratio and strength ratio of frame to wall. Also, failure of wall was preceded with higher stiffness ratio and lower strength ratio of frame to wall.

      • 도시텃밭 재배작물의 현황과 선택요인 분석-안양시, 과천시를 중심으로-

        김미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현재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도시텃밭의 재배작물의 현황과 재배하고 있는 작물의 선택요인을 분석하여 도시텃밭에 적절한 재배작물 선택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에 인접한 안양과 과천지역의 주말농장 3개소(안양 2, 과천 1)의 470구획을 대상으로 재배중인 작물을 직접 조사하고, 이용자 121명을 대상으로 재배작물과 선택요인을 2014년 6월 한달간 설문과 대면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재배중인 작물을 직접 조사한 결과는 채소 98%, 화훼 1.5%,곡류 0.5%의 순서로 나타났다. 채소는 다시 이용부위에 따라 엽경채류 53.4%, 과채류 37.8%, 근채류 8.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설문지를 통한 조사에서는 채소 94.4%, 곡류 2.6%, 화훼 2.5%, 과수 0.5%로 나타났고, 채소 중에서는 엽경채류가 45.5%, 과채류 41.2%, 근채류 7.6%로 실제조사와 설문조사가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상추의 선택 이유는 재배하기 용이해서라는 답변이 49.6%로 가장 많았다. 작물의 선택요인으로는 본인의 의지가 37.2%로 가장 높았고 주변에 작물을 참고해서가 19.8%로 나타났다. 씨앗이나 모종 확보는 모종가게 75.2%, 주말 농장 16.5%로 모종가게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텃밭 지구내 텃밭활동을 위한 도구, 자재, 모종 등을 판매하고 교육하는 종합센터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주요어: 도시텃밭, 모종, 씨앗, 작물, 채소, 허브 Summa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urban horticulture which has been active in recent yea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ropriate choice of the crops for urban farming.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personally examined crops that were growing in 470 sections at three weekend farms 2 located in Anyang(2) and Gwacheon(1) city areas adjacent to Seoul and analyzed the crops and their selection factors through a survey and face-to-face interviews with 121 users in June, 2014. The first-hand examination of crops that were growing at those farms showed that vegetables accounted for 98%, being followed by flowers 1.5% and grains 0.5%. Vegetables were further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arts usually used: leaf and stem vegetables 53.4% came in first, being followed by fruit vegetables 37.8% and root vegetables 8.8%. The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 indicate that vegetables accounted for 94.4%, being followed by grains 2.6%, flowers 2.5%, and fruit trees 0.5%. Of vegetables, leaf and stem vegetables accounted for 45.5%, being followed by fruit vegetables 41.2% and root vegetables 7.6%, and it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examination results and the survey results. The most popular leaf and stem vegetable on the farms was the lettuce, which was selected by the users 49.6% for easy growing arrangements. As for the selection factors of crops, the highest 37.2% answered that they chose a crop on their own will, and 19.8% said they consulted the crops growing nearby. As for the sources of seeds or seedlings, the highest 75.2% said they purchased them at a seedling store, and 16.5% said that their weekend farms would provide them or purchase them for them, which points to their high dependence on seedling stores. Those findings raise a need to establish and support a general center that sells tools, materials, and seedlings for urban farming activities at urban farming. Keywords: crop, herb, seed, seeding. urban farming. vegetable.

      • 미술-역사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적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미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한 후 거기에 알맞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모더니즘 패러다임 하의 산업시대에서 대량 생산, 획일성, 기능성, 효율성을 추구하던 사회적 경향 하에 교육에서도 ‘수단으로써의 교육’이 강조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러한 추세가 교육에서의 문제로 부각되게 되었다. 즉 지식 위주의 생산력과 직결되는 국어, 영어, 수학 등의 주지 교과만을 강조하고 그 나머지 과목들, 특히 예술 교과에 있어서, 수업시수가 대폭적으로 줄어드는 등, 균형이 맞지 않는 교육의 기형적 형태를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에 직면하여 미술교육계에서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상황에 걸 맞는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대안 제시의 방향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은 첫째 삶과 연관된 미술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이며, 둘째 과정적인 측면을 중시하며, 셋째 시각문화를 해석하고 소통하는 능력의 강화를 중시한다. 또한 학습자의 삶과 연관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주제로써 접근하며, 이러한 접근 방법은 여러 가지 학문들을 연결하고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합적인 교수학습의 방법이 권장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과간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을 교수‧학습의 전략으로 제시하고, 그 중에서도 미술과와 역사과를 한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하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 과정을 중시한다는 측면에서, ‘시각문화읽기-체험하기-작품제작’의 순환적인 3단계의 수업의 과정을 통해 이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역사과와 미술과의 통합의 제재로써 다큐멘터리 사진을 선택하여, 학생들이 역사적 내용을 담고 있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읽고, 직접 찍어보고, 마지막으로 꼴라쥬로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비주얼 리터러시를 획득하고, 과거의 이해를 통해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이러한 수업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암기과목으로 여기던 역사와 직접 대면하고, 그것을 자신과 연관시켜 해석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작품으로 재생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삶의 의미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생물농약에서 분리한 항진균성 물질에 대한 연구

        김미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Anthracnose is a serious disease affecting the production of peppers and caused by several species of the fungal genus Colletotrichum. Until now, chemical fungicides with negative side effects was used to control the disease. Recently, biological pesticides have been applied to control phytopathogenic fungi.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ntifungal effect of biological pesticide (Pang-yi-cheon-jeok, L-biotech, Korea). The biological pesticide was prepared by fermentation of a propolis-containing media. Major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broth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casei and Pichia membranifaciens. Butanol extract of the pesticide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ies on several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collectotrichum species. We fractionated the filtrate of culture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using DEAE cellulose resin. Filtrate of culture broth was loaded on diethylaminoethyl (DEAE) cellulose resin (Sigma) and washed out with sodium phosphate buffer (fraction 1-10). The compounds bound on resin were eluted with sodium acetate buffer (fraction 11). Only the fraction 11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ctotrichum species. Heat treatment of the filtrate did not affect the inhibitory activity of filtrate even at 100℃ for 30 min.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antifungal activity of culture filtrate is thermostable. Further study will focus on identifying chemical nature of the antifungal agent.

      • Histone acetyltransferase인 Tip60의 acetylation에 위한 Notch1 signaling의 negative regulator로써의 작용

        김미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Notch signaling pathway appears to perform an important function in a wide variety of organisms and cell types. In our present study, we provide evidence that UV irradiation-induced Tip60 proteins reduced Notch1 activity to a marked degree. Accumulated UV irradiation-induced Tip60 suppresses Notch1 transcriptional activity via the dissociation of the Notch1-IC-RBP-Jk complex. The binding between endogenous Tip60 and Notch1-IC in UV exposed cells was verified in this study by coimmunoprecipitation. Interestingly, the physical interaction of Tip60 with Notch1-IC occurs to a more profound degree in the presence of RBP-Jk, but does not exist in a trimeric complex. Using Notch1-IC and Tip60 deletion mutants, we also determined that the N-terminus, which harbors six ankyrin repeats of Notch1-IC, interacts with the Zinc-finger and Acetyl CoA domain of Tip60. Furthermore, here we report that Notch1-IC is a direct target of the acetyltransferase activity of Tip60. Collectively, our data suggest that Tip60 is an inhibitor of the Notch1 signaling pathway, and Tip60-dependent acetylation of Notch1-IC may be relevant to the mechanism by which Tip60 suppresses Notch1 signaling.

      • 교사 책무성·전문성에 기초한 교사평가준거 연구

        김미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standard of teacher evaluations based on the teacher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struction quality. The followings are the way and content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thesis. The method as the documentary research is based on the accountability of the teachers and the survey of the standard of the teacher evaluations and the area is based on the manual of the teacher evaluation. The content of the survey is as such following. First, why is the teacher evaluation needed? That is, is it right to classify this into the components of what teacher should do, goals of achievements and professional quality and encouragement of duty? I want to find out the rational components of the teacher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achieve that. Second, is it reasonable to evaluate what teachers should do in the school society as the field of teacher evaluation and what teachers should achieve and perform? For this I wanted to study the reasonable components of teacher evaluation by studying the teacher duties and roles. Third, what are the complements of the multi-evaluations that are currently suggested? I tried to supplement the current multi-evaluations by discussing the characters that socially and currently imply. After that, I studied the settlement of the model of teacher multi-evaluations based on the teacher accountability and the rationality and validity of professionalism. And I also studied into the standards and components of the teacher multi-evaluations through the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 recognized teacher accountability and rational components by considering the standard of the teacher evaluation.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high professionalism, moral character, duty sense and accountability because the purpose of the teaching job is raising human well. It means that teachers should be the self-evaluators who control themselves and lead the surroundings and result in the better achievements. When the processing evaluation is on the priority, the real purpose of the teacher evaluation can be achieved. When the evaluation is realized in this point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struction, the teachers themselves can use the evaluation as the wa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I incorporated the teacher's duty and valid components. That is, the components of the teacher evaluation related to the professional and moral accountability in the area of the accountability are revealed. It means that the teachers should seek and adapt a new methodology related to the teaching skill, class managem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 and develop their personal, systematic and social professionalism which have to be considered high in the evaluations. Third, I gave a full detail of standards and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as the supplements of the current multi-evaluation. In the area of the accountability,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training, studying, writing activities, volunteer work, self-evaluation ability, structuring the class activity, professional knowledge, autonomy of the instruction, managing skill of students, and the overall domain of class managements. Interpersonal relations, teaching skill, professional knowledge, attitude, autonomy, securing the position have to be supplemented in the teacher evaluations.

      • 어린이집교육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미연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육의 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교육실태에 대하여 내용들을 설립기관별로 자세하게 조사하고 분석하여 제대로 된 보육과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설립 주체별(국·공립, 법인, 사립) 어린이집의 운영 과정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설립주체별 어린이집 교사의 현황의 차이, 섯째, 설립주체별 어린이집의 교육과정의 차이, 넷째, 설립주체별 일반적인 시설 및 교육환경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설문조사는 춘천시에 있는 국·공립, 법인, 사립 어린이집기관에 있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에 응한 교사들은 총 72명으로,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를 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 통계치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중점 교육사항은 유아의 사회성 및 인성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사회성 및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고 교육한다고 응답이 나왔다. 물리적인 환경은 매우 좋은 환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기구, 양호관련 설비, 안전 및 소방시설 요인, 식단등 잘 갖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과정 외에 특별활동비와 교육비는 사립어린이집과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과 차이가 났는데, 이는 사립 어린이집이 좀더 높게 교육비와 특별활동비가 높게 책정되는 편이라 할 수 있겠다. 교사의 처우수준과 보수교육에 있어서는 아직도 매우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 법인 어린이집 교사의 보유 자격증은 유치원 정교사 2급이 가장 많고, 사립 어린이집은 보육교사 1급 자격증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어 점점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보육교사에 대한 적정한 보수 급여의 제공으로 우수한 보육교사의 확보가 요구된다. 설립 주체별 어린이집에서는 사립 어린이집 교사의 보수와 처우가 국·공립, 법인 보육교사들에 비해 적은 보수로 나타나고 특히 이러한 교사의 복지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정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즉 보육시설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여 보육교사의 처우를 개선함으로써 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기대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재교육과 보수교육의 확대 및 의무화가 필요하다.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의 질 향상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보수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와 원장에 대한 보수교육 의무화가 필요하다. 어린이집 교육의 실태는 국·공립, 법인, 사립 어린이집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내용들을 주기적으로 재검토하고 유아의 반응과 학부모의 욕구 등을 반영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보육교사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보편적인 프로그램과 시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중등학교 단어형성법 지도방안 연구

        김미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국어 단어 형성법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교육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여 단어 형성법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학습자들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다양한 조어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는 단어 형성 규칙을 가르침으로써 학습자들의 창의적인 조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렇기 때문에 단어 형성법 지도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어 형성법을 지도하는데 있어 기존의 암기식 수업 방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반감시키고 문법에 대한 경직된 태도를 갖게 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단어 형성법과 관련 지식을 의미 있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교수 · 학습 이론으로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문제중심학습모형(PBL)을 활용하여 단어 형성법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단어 형성법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는데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을 통해 풍부한 국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어 형성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에는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단어 형성법과 관련한 내용들이 충실히 반영되어 있었지만, 허점도 드러내 보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단어 형성법과 관련한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 관련 단원의 구성 체계에 반영된 양상을 비교· 검토하여 단어 형성법 지도내용인 파생법, 합성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과 교수· 학습 방법 측면에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Ⅴ장에서는 고등학교 <문법>교과서의 3단원을 대상으로 단어 형성법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지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한 후, Ⅱ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던 문제중심학습모형을 바탕으로 단어 형성법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 · 학습 과정의 단계를 재구성해보았다. 그리고 설계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단어 형성법 교수· 학습 지도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보았다. 이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단어 형성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루려고 노력하였지만, 한자어 형성법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못하였다. 또한 제시한 교수 · 학습 방안이 실제 교실 환경에서 적용되어 그 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제시하지 못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이다. 이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urriculum on word-formation rules of Korean and the material of Korean textbooks, indicate and complement problems, and suggest a teaching method of word-formation rules.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puts stress on the creative ability of learners to use Korean creatively. Actually, learners are forming and using new words using a variety of word formations in effective methods of communication. I expect that in school education, teachers can improve the creative word-formation ability of learners by teaching them the rules for word-formation. This is why I can say positively that the need for teaching word-formation rules is emphasized. But there was a limit to the traditional rote teaching method of word-formation rules, because it reduced th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by half, and made them have inflexible attitudes about grammar. To solve this, with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can help learners accept word-formation rules and knowledge about it well, I intended to suggest a word-formation teaching method, using Problem-Based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For this, first of all, I confirmed word-formation rules in the secondary curriculum, which showed that learn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use word-formation rules in order to lead a life with an abundant command of Korean vocabulary by improving their vocabulary. Though sufficient relevant material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 they exposed big shortcomings as well. More specifically, I compared the curriculum related to word-formation rules with the relevant unit in the textbook and examined them, and complemented problems found in derivation and compounding and those posed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in chapter V, I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of word-formation rules for three units of high school 'grammar textbook' in chapter V. I established an objective to suggest an improved teaching method, and chose a teaching material, and tried restructuring the stages of the learning process to teach word-formation rules based on PBL review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Ⅱ. And based on the planned material, I tried specifically suggesting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word-formation rules, actually using PBL.

      • 식품 중 유기인계 농약의 총체적 검출을 위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 개발

        김미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n immunochromatography-based strip assay for the class-specific detection of the organophosphorus (OP) pesticides. This immunochromatographic assay(ICGA) allows not the detection of a single OP pesticide but the class-specific determination of OP pesticides in general. The test strip consisted of three pads: sample, signal and absorption pad. The membrane used for the sample, signal and absorption pad were cellulose, nitrocellulose and cellulose membrane, respectively. The control line of the signal pad was made with anti-mouse IgG and test line made with a pesticide hapten-OVA conjugate(capture antigen). The control line was 0.5 cm above the test line. The monoclonal antibody to a pesticide hapten was conjugated to colloidal gold particle to be used as a probe. The pesticide haptens were those with a common functional group of phosphorothioate and phosphorodithioate OP pesticides with ethyl group and were suitable for the class-specific determination of these OP pesticides. The probe is applied to the top position of the sample pad and the test strip is soaked with the sample solution to elute the analyte. The principle of the assay is based on competition between the migrating pesticide in the sample and the capture antigen immobilized on the test strip for the binding sites of the colloidal gold-antibody (CG-Ab) conjugate migrating on the test strip. The color intensity at the test lin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nalyte in the sample solution. Two types(lateral and dipstick) of ICGA were used. For lateral type, the membrane was soaked by dropping sample solution on the test stirp. For dipstick type, the membrane was soaked by dipping the test strip in sample solution. Four nitrocelluolse membranes were tested for use as the detection zone of the test strip. They were evaluated based on the mobility of pesticides and CG-Ab. The result of the test indicated that unblocked immunopore SP membrane was most suitable and the most suitable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in elution solvent was 20% for both types(lateral, dipstick) of ICGA. The test strip was further optimized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Tween 20 in elution solvent, and 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capture antigen. The conditions selected were the Tween 20 concentration of 0.05% for both types, the position of the capture antigen of 0.4 cm from the bottom of the nitrocellulose membrane for both type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apture antigen of 1 and 0.25 mg per mL for lateral and dipstick type, respectively. The visual detection limit of the ICGA for OP pesticides standard(parathion, diazinon, chlorpyrifos) was 10-2 μg/mL in lateral type and 10-3 μg/mL in dipstick type assay. The detection limit of the assay for standard OP pesticides spiked into agricultural samples was 10-2 μg/mL in both types of ICGA. This ICGA showed considerable response to all of the phosphorothioate and phosphorodithioate OP pesticides although the degree of the response was not uniform. It showed negligible or weak cross-reactivity to an oxidized form of OP pesticide paraoxon-ethyl, other types of OP pesticides, and carbamate pesticides. Therefore, the developed ICGA is suitable for rapid and convenient on-site class-specific testing of phosphorothioate and phosphorodithioate OP pesticides

      • 도시철도 도면 관리에 관한 연구

        김미연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철도는 대도시 교통망의 한 축을 담당하는 중요한 대중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중요한 공공시설물이며, 도시철도의 운영기관은 지속적으로 도시철도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각종 도면들을 보유하고 이용하고 있다. 또한 도시철도의 도면들은 단순히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활용성 뿐만 아니라, 도시철도의 설계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기록물로서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하는 역사적인 가치를 가진 기록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도시철도의 도면들에 대한 보존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도시철도공사는 서울시 도시철도 5~8호선의 운영을 위해 서울시의 출자법인으로서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이하 ‘기록물관리법’이라 한다)에 따라 의무적으로 자료관을 설치하고 운영하여야 하는 공공기관이므로 도시철도공사가 생산·접수하는 도면들도 모두 기록물관리법의 적용대상에 속한다. 그러나 지방공기업인 도시철도공사는 자료관의 설치와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작성에 대한 권한이 기관 자체에 있으며 국가기록원에는 자료관과 기록물분류기준표에 대한 사안을 통보하기만 하면 되므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통제력이 적게 미치는 기관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철도공사를 중심으로 도시철도 도면의 보존·관리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도시철도 도면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도시철도공사는 자료관에 대한 인식이 아직 없었고 도면들을 기록물관리법에 따라 관리해야 할 기록물로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도시철도공사의 자료관은 설치계획만 잡혀있을 뿐이고 도면관리시스템에 대해서는 별도로 계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서울시와 도시철도공사의 현황을 전체 도시철도 시설물의 도면 관리 실태로 확대해석할 수는 없으나 자료관의 설치 현황은 다른 지방공사들도 대부분 비슷한 상황이다. 도시철도 도면이 기록물관리제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관리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도면을 위한 자료관으로 전문형 자료관 및 연합형 자료관을 제안하였다. 건설과 운영과정에서 생산 및 활용되는 도시철도 도면의 복잡하고 방대한 수량과 전문성,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설되어 운영되지만 전체적인 사업의 성격과 진행과정이 거의 비슷하다는 점, 도시철도 도면을 지방마다 보존관리하기 위해 드는 중복되는 노력과 시설비용 등을 고려할 때, 도시철도 도면은 보다 전문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전문형 자료관으로는 미국의 인사레코드센터를 참고할 만하다. 인사레코드센터는 다른 연방레코드센터와 달리 미국 전역 연방정부기관의 전현직 직원과 군인의 인사 관련 기록물을 모아서 전문적으로 보존·관리하는 레코드센터로서 연구자와 역사가, 정부기관, 퇴역군인, 전직 연방직원, 가족 등에게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합형 자료관의 예로는 중국의 연합당안실이 있는데 몇 개의 기관이나 조직이 공동으로 설립한 당안실로서 기록물의 통일적인 관리가 용의하고 인력과 물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도 도시철도 도면과 관련 기록물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관련기관 뿐 아니라 연구자와 일반인들에게 열람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된 형태의 전문적인 연합자료관을 설립하여 도면 관리의 전문성과 보존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를 줄여 기록물관리의 경제성을 높이는 방안을 구상해 볼만하다. 도시철도와 같은 대형 공사는 도면의 종류와 양이 방대하고 복잡하므로 구체적인 관리체계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시설물의 설계와 공사과정은 도면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동반되는 여러 종류의 문서도 함께 관리해야 하는데 본 연구는 도시철도 건설기록물이 아닌 도면 관리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다른 기록물과의 연계관리에 대한 부분은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 도시철도 도면의 관리현황을 전반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설 및 운영되고 있는 도시철도의 도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시설물의 도면 관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etropolitan rapid transit system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f any large city, and its managing agency is usually charg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storing and managing the design drawings of the system. The drawings are important and historically valuable documents that must be kept permanently because they contain comprehensive data that is used to manage and maintain the system. However, no study has been performed in Korea on how well agencies are preserving and managing these records.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SMRT) is the managing agency established by the city of Seoul to operate subway lines 5, 6, 7, and 8 more efficiently to serve its citizens. By the Act on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ARMPI), SMRT should establish a records center to manage its records. Furthermore, all drawings produced by SMRT and other third party entities should be in compliance with the Act. However, SMRT, as a form of local public corporation, can establish a records center by its own way. Accordingly,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NARS) has very little control over SM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in SMRT and is to find a desirable method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In the proces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 records center is being considered to manage only general official documents and not to manage the drawings as required by ARMPI. SMRT does not have a records center, and the environment of management on the drawings is very poor. Although there is a plan to develop a new management system for the drawings, it will be non-compliant of ARMPI. What's happening at SMRT does not reflect the state of all other cities' metropolitan rapid transit records management systems, but the state of creation of records center of local public corporation is the almost same state as SMRT. There should be continuous education and many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manage the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efficiently by records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records center based on both professional records centers and union records centers. Although metropolitan rapid transit is constructed and managed by each local public corporati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projects are similar in nature. In consideration of huge quantity, complexity and specialty of drawings produced and used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and overlap of each local public corporation's effort and cost of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rawings, they need to be managed in a professional and united way. As an example of professional records center, there is the National Personnel Records Center(NPRC) in St. Louis, Missouri. NPRC is one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largest operations and a central repository of personnel-related records on former and present federal employees and the military. It provides extensive information to government agencies, military veterans, former federal employees, family members, as well as researchers and historians. As an example of union records center, there is the Chinese Union Dangansil. It was established by seve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o united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performed and human efforts and facilities can be saved. We should establish a professional and united records center which manages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and provides service to researchers and the public as well as members of the related institutions. This study can be an impetus to improve interest on management of not only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but also drawings of various public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