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의 효과 분석

        김문기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물리적인 노후화를 억제하고, 기능의 개선을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주택의 질적 향상 등의 다양한 사회적 주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입된 리모델링 정책에 대한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즉, 우리나라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의 효과성에 기여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리모델링 정책이 되기 위해 필요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본 주제인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먼저 리모델링의 개념, 필요성, 기대효과, 추진절차 등을 설명을 하였고, 정책의 효과성 평가의 틀을 마련하고자 효과성평가에 대한 보다 넓은 의미의 정책평가 개념과 기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반적 정책의 효과성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 또한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이들을 가지고 크게 제도적ㆍ경제적ㆍ환경적 측면으로 분류한 연구의 개념적 틀을 개발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의 연혁을 살펴보고 현재의 리모델링 시장의 실태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정책 변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사례를 연구하고자 서울에서 강남ㆍ북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각각의 리모델링 추진단지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국내사례와 더불어 일본ㆍ미국ㆍ유럽과 같은 외국의 리모델링 정책사례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리모델링 정책의 효과분석을 위한 요인들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친 후 앞서 개발된 연구의 틀 구성인 제도적ㆍ경제적ㆍ환경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설계가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의 틀에 따라 분석의 대상이 될 각각의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은 설문지의 개발과정과 구성을 살펴보았고, 사용될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에 관련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크게 공무원집단과 전문가집단이 그 조사대상이 되었다. 제5장은 앞에서 개발한 변수들을 가지고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제도적 측면에 관련된 변수를 관련법 체계화정도 요인, 주택산업으로서의 역할요인, 주택정책으로서의 인식요인으로, 경제적 측면과 관련된 변수들을 개인적 경제효과 요인, 사회적 경제효과요인으로, 환경적 측면에 관련된 변수들을 개인적 주거환경 개선요인, 사회적 주거환경 개선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 공무원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 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사용된 변수들이 본 연구자가 분류한 요인별로 통계적으로 분류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리적인 문제가 있는 변수를 제외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몇 개의 변수를 제외하고 연구자가 분류한 요인별로 요인이 묶여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묶여진 요인들과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에 대한 효과정도에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나,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없음이 밝혀졌다. 이는 정책에 대한 효과정도의 인식이 일관되게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제6장에서는 현 우리나라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여기에서는 본 연구자가 이론적 고찰, 선행연구, 사례분석에서 발견한 문제와 관련하여 개발한 개선방안들을 개념적 분석 틀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 개선방안들은 설문을 통해 공무원들과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묻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개선방안들은 앞서 연구된 효과 분석과 동일하게 연구의 기본적 틀 구성인 제도적ㆍ경제적ㆍ환경적 측면으로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특히 본 장에서는 개선방안의 결론을 통해 공무원집단과 전문가집단의 의견과 더불어 본 연구자가 지향하는 개선방안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였다. 제7장에서는 앞서 연구된 효과분석과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요약하여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정책적 변동에 도움이 되고자 정책결정자가 현재 평가된 수준에서 정책을 축소할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 활성화를 모색할 것인지, 확대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해야할 시점으로 설명하고 제언하였다.

      • 풍속에 따른 송전철탑 구조안전성 평가

        김문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ased on the current design standards of transmission tow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finite elements using SAP2000 and MIDAS, which are 316 transmission towers and 500kV transmission towers that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Gyeongbuk and Poha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oment, shear force, and axial force using the wind speed of each 154kV transmission tower installation location as a variable is as follows: When the wind speed is 70m/s, the moment is 36.30%, 29.21%, shear force is 20.29%, 11.10%, respectively, and axial force is 13.80%, 5.90% respectively less, contributing to safety during desig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oment, shear force, and axial force using the wind speed of each 345kV transmission tower installation location as a variable is as follows: When the wind speed is 70m/s, the moment is 26.63%, 23.20%, shear force is 24.41%, 13.87%, respectively, and axial force is 30.12%, 20.89% respectively less, contributing to safety during design. In order to smoothly cope with long-term power supply and demand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in-depth pract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structure for transmission towers.

      • 초등학교 화장실 겨울철 열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

        김문기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겨울철 초등학교 화장실의 경우 주로 동파방지의 관점에서 화장실 내부에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장실의 경우 겨울철 및 환절기에 초등생에게 있어 화장실 내부는 춥거나 서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장실 대변기 관련 설문조사 결과 화장실에 대한 이미지로서 “어둡고 춥고 악취 풍기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화장실 대변기 설치 공간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설계자료 및 기존 화장실 개.보수 시 초등학교 현황을 반영하여 화장실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화장실의 환경 개선을 위해 부산시내에 있는 신설 초등학교 2개교, 노후 초등학교 2개교를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신설 및 노후 초등학교 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또한 화장실 대변기 주변 및 교실의 온도 및 습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화장실 내부의 열환경 개선을 위하여 화장실 대변기 주변을 모델링하여 방열패널 위치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적의 온열환경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 화장실을 이용하는 비율은 높았지만 , 소변기에 비해 대변기의 사용비율은 낮았다. 이는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지만, 화장실 환경개선이라는 측면에서 대변공간의 냄새와 서늘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신설 및 노후학교의 교실, 화장실, 대변기 주위 공간을 실측한 결과 노 후 학교쪽이 신설에 비해 실내온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후화된 학 교가 신설학교에 비해 열환경이 열악함을 알 수 있고, 향후 리모델링시 이러한 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화장실 대변기 공간의 온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방열기 최적위치에 관 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0.1m 높이에 대변기 좌우로 방열기(표면온도 50℃)를 설치한 결과 대변 주변공간의 열환경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담수 남조류 기원 독소 마이크로시스틴의 금강 하구역 다매체 시료 내 분포 및 생물농축 특성

        김문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and bioaccumulation characteristics of freshwater cyanobacterial toxins, such as microcystins (MCs) in the Geum River Estuary,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during summer. Environmental multimedia samples (water,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and sediments) and tidal flat organisms (polychaetes, decapods, amphipods, and bivalves) were collected from regions inside and outside of the estuary dam for MCs analysis.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eum River (freshwater) and estuarine area (brackish water) were also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MCs concentrations. Seasonal variation in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as detected in the Geum River, with a relatively high density of Cyanophyta in summer. MC concentrations were strongly correlated to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 a, and cyanobacterial density. MC-LR was the most abundant MC variants in environmental samples. Dissolved MCs remained for longer periods and were mo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environments compared to particulate MCs. The distribution coefficients between water and SPM (Kd-SPM) and between water and sediments (Kd-sediment) of MCs showed that the phase shift of MCs in the environmental samples occurred in the estuary. Kd-SPM declined from the inside to outside regions of the estuary dam, and was mainly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half-lives of MCs in dissolved (4.7 d for MC-LR) and particulate phases (0.44–0.52 d for MC-LR). Species-specific bioaccumulation of MCs occurred in tidal flat organisms, with relatively high bioaccumulation factors of MCs being detected in polychaetes and decapods compared to amphipods and bivalves. Overall, this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n the distribution, transport, fate, and bioaccumulation of MCs i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 테마파크 이용자 행태분석 : 우리 나라 3대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김문기 漢陽大學校 都市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은 개인소득의 증가와 생활의 여유를 가져다 주었고 도시인들은 자신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가활동의 공간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득의 증가는 도시인들은 여가를 즐기기 위한 중요요소인 시간과 비용이 해결되었으나 여가를 즐기기 위한 장소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여가를 위해서 외국으로 관광을 함으로써 대안을 찾게 되었고 이에 자극을 받아 건설하게 된 것이 테마파크라고 할 수 있다. 테마파크는 급증하는 관광객들을 국내에서 수용하면서 관광의 형태를 생활관광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즉, 여가를 즐기기 위한 세가지의 중요한 요소인 시간, 비용, 장소가 어느정도 해결이 됨으로써 우리나라의 테마파크는 급성장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에버랜드와 롯데월드, 서울랜드는 입지특성에 따라 도심형(롯데월드), 도시근교형(서울랜드), 도시외곽형(에버랜드)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용객의 취향에 따라서 방문하는 테마파크의 형태도 달라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테마파크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테마파크가 입지형태별로 이용자들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테마파크의 기본적인 개념 및 이론을 기존의 연구논문과 문헌들을 통하여 검토해 보았고, 각종 통계연보와 내부자료를 이용하여 테마파크의 현황을 살펴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실증분석은 설문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이들이 일반적인 상황하에서 어떠한 이용행태를 보이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테마파크별로 이용행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테마파크를 이용하는 이용객들로 연령대는 10대이상에서 50대미만으로 선정하여 무작위 추출법에 의하여 각 100부씩 총 300부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조사기간은 1999년 10월18에서 10월 25일까지 7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객 연령별 특성에 맞는 시설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테마파크가 이용객들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놀이시설이 단조롭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시설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별로 뚜렷한 특성을 보이고 있지 않다고 조사대상자들은 응답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본 페스티발게이트의 롤러코스트와 같이 동일한 롤러코스트라도 특별한 차이점을 부각하는 시설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10대중반에서 20대초반이 주로 즐길 수 있는 X-sports시설(롤러보드 시설)의 개발이나 아동과 청소년 사이의 twin generations이 즐길 수 있는 시설의 개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테마파크를 방문하는 가족단위의 의사결정은 대부분이 이들의 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둘째, 재방문 유도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에는 평균이용횟수가 10회이상인 것을 보면 본 조사에서 나타난 재방문횟수는 4회이하로 매우 적은 것이 현실이다. 이용객들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한번 방문한 고객들이 테마파크에 입장하기 전부터 시작해서 테마파크를 떠날때까지 전혀 불편함으로 느끼지 않도록 이용자들의 시설이용흐름을 분석하여 이용자의 이동에 맞는 이벤트성 음악이나 거리공연, 대형T.V의 방송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동하는데 지루하다거나 힘들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간배치를 통한 이용자의 즐거움을 향상시켜야 한다. 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사항중의 하나가 놀이시설간의 이동시 힘이 들고 휴식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설간의 연속성이나 이용자들이 잠깐동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배치가 이용자들이 놀이시설을 즐기고 난 이후에 이들이 이동하는 적정한 보행거리를 계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이용자 측면의 시설배치는 이용자들은 테마파크를 방문하면서 불편한 점을 인상에 남기고 떠나기 보다는 즐거웠던 점을 인상에 남길 수 있을 것이다.

      • 음식물 탈리액의 열가수분해 최적조건 특성 및 이에 따른 UASB 공정 효율평가에 관한 연구

        김문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득수준의 향상과 음식물 분리수거 확산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음식물 탈리액(Food waste leachate:FWL) 처리의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탈리액의 육상처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탈리액 특성평가 및 성상에 맞는 처리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폐기물(Food waste) 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탈리액(FWL)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혐기소화 공정의 전처리로써 열가용화(Thermal solubilization) 공정을 적용하여 탈리액에 포함된 고농도 고형물을 감량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열가용화를 통해 고형물을 가용화시켜 생분해성(biodegradability)을 향상시킴으로써 합리적인 탈리액 처리방안을 수립하고, 열가용화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탈리액 처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수립을 위하여 음식물 자원화 시설에 Pilot plant를 설치, 운전(Mode1 : 산발효 + 혐기소화, Mode2 : 열가용화 + 혐기소화) 하였다. 음식물 탈리액 열가용화 최적 반응조건 분석결과 가용화율(Solubilization rate)은 반응온도와 시간변화에 따라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압력과의 관계는 미미하여 최적 가용화 조건은 200℃, 90분으로 도출되었다. 감량화 속도평가를 위하여 시간에 따른 고형물 농도를 측정한 결과 80분 까지 빠른 속도로 감량화가 진행되었으며 이후 감량화속도가 천천히 감소하였다. 또한 용존성 유기물 측정결과 SCOD는 100분까지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초기 급격한 가용화 반응으로 SCOD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반응에 의해 유기물분해가 일어나 SCOD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최적 열가용화 조건에서 열가용화 시스템의 연속운전을 실시하여 고형물의 가용화 정도를 평가한 결과 38.74%의 유기물 가용화율과 62.41%의 고형물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탈리액을 열가용화 한 결과, 고형물이 감소되고 용존성 유기물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가용화에 의한 탈리액내의 고형물 특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열가용화 전후의 고형물의 SEM-EDX 표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형물의 입자크기는 가용화전 15.16 ㎛에서 가용화후 2.27 ㎛으로 감소하였으며, 탄소함량은 66.94%에서 75.51%로 증가되었다. 열가용화를 통한 입자크기 감소는 표면적 증가에 따른 반응속도 개선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함량 변화가 발열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열량 측정결과 가용화전 4,594 Kcal/Kg 에서 가용화후 6,381 Kcal/Kg으로 증가 하였다. 가용화에 따른 고형물의 탄소함량 증가는 가용화 반응 중 고정탄소 함량이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발열량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열가용화가 음식물 탈리액 혐기소화 효율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test를 실시하였으며, 가용화 적용에 따른 메탄발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바이오가스 발생량(가용화전 : 405 ml/g COD, 가용화후 : 465 ml/g COD)과 발생속도(가용화전 : 0.075/day, 가용화후 : 0.124/day)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혐기성소화조 운전결과 고형물을 열가용화 한 경우 바이오가스 발생량(산발효 : 0.24 m3/Kg COD, 열가용화 : 0.32 m3/Kg COD)과 메탄순도(산발효 : 64%, 열가용화 : 68.3%)가 향상되었다. 상기 기술한 내용을 고려할 때, 열가용화는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탈리액 처리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우렁색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 양상 연구

        김문기 아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소설의 설화에 대한 수용은 과거 우리의 전통적 정서와 삶의 모습을 현대 사회로 이양시키고 있다. 이를 우리는 과거를 통해 우리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화가 현대소설에서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재구성되어 쓰이는지 그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방대한 설화를 검토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일뿐더러 그런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해도 결국에는 씨가 없는 껍질만을 벗겨내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렁색시> 설화로 그 대상을 한정하여 현대소설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렁색시> 설화는 현대에 이르러 매우 활발하게 재구성되고 있는 설화이며 전래동화로도 쓰여져 어린 독자층부터 성인에 이르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보편적인 설화이기 때문에 이 연구 대상으로써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우렁색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 양상을 알아보기에 앞서 <우렁색시> 설화 그 자체를 검토해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기에 우선 설화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설화도 수많은 각편이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분석이 가능하려면 유형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판단으로 기존에 존재하던 연구자료를 대상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하였다. <우렁색시> 설화의 유형은 크게 단순형과 복합형으로 나누어진다. 단순형의 경우 우렁색시와 총각이 만나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는 해피엔딩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단순한 이야기인 만큼 금기는 나타나지 않으며, 혹 나타나더라도 대부분 금기가 파괴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복합형의 경우에는 단순형에서 더 나아가 금기가 깨짐으로 해서 여러 가지의 설화소가 결합되는 양상으로 전개되는데, 이 또한 크게 아내내기 시합형, 새털옷형, 원혼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아내내기 시합형에서는 우렁색시를 놓고 원님(임금)과 내기시합을 하여, 총각의 능력 또는 아내의 조력으로 이 시련을 극복하고 다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새털옷형에서는 우렁색시를 원님(임금)에게 빼앗기게 되고 아내를 찾기 위해 총각은 아내가 남기고 간 시험을 모두 완수하고 원님을 찾아가게 된다. 새털옷을 입는 총각을 본 아내는 그때까지 웃지 않던 웃음을 터트리고 이를 본 원님은 총각과 옷을 바꿔입음으로 해서 계층의 뒤바뀜 현상이 일어난다. 원혼형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르게 비극적인 결말을 가지고 있는데, 우렁색시를 원님(임금)에게 빼앗기고 난 후 총각은 슬픔에 잠기게 되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거나, 원님을 찾아가 아내를 돌려줄 것을 간청하지만 끝내 이루지 못하고 죽게 되어 원님(임금)에게 죽어서라도 복수하는 모습이 보여지거나, 총각의 죽음을 본 우렁색시도 결국 죽음을 택하여 각각 새와 나무로 환생하여 저승에서나마 만남을 지속하려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에서는 한 가지 중요한 금기가 존재하는데 이는 우렁색시가 혼기가 차지 않았다는 이유로 총각에게 기다려달라는 말이 그것이다. 이 금기는 결국 깨지게 되고 매우 다양한 시련 양상을 불러오게 된다. 이는 위의 유형에서 보여지듯이 내기시합을 하거나, 새털옷을 입거나 원혼이 되어 복수 또는 만남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은 크게 여성인 우렁색시와 시어머니, 그리고 남성인 총각과 원님이 등장한다. 우렁색시는 달동물로 상징되는 우렁과 여성으로써의 색시가 결합하여 생생력과 풍요, 재생과 부활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시어머니는 다른 작품들과 다르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비취지고 있다. 시어머니는 우렁색시와는 반대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어 총각으로 하여금 결핍의 대상이 되고 있다. 총각는 대부분 농부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땅을 일구는 존재로 등장한다. 농경을 한다는 것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이러한 의미는 우렁색시가 가지고 있는 생생력과 일치하여 이 둘의 만남이 필연적인 만남임을 확인시켜 준다. 원님은 시어머니와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대상으로 등장하는데 원님의 등장으로 인하여 계층간의 불화,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인 차원으로의 확대되는 역할을 해 주고 있다. 이러한 설화의 내용들은 각각 민중들의 바람을 대변해주고 있는데 새털옷을 입힘으로해서 지배계층에 대해 풍자의 시선을 보낸다던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일을 저승에서 복수하는 원혼형의 모습을 전승한다거나, 계층을 동등하게 바라보며 내기 시합을 벌이는 등, 민중들이 당대의 사회의 모습에 대한 자신들의 목소리를 설화를 통해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구현해내고 있다. <우렁색시>설화는 현대에 와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구성되는데 본고에서는 그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권지예의 <우렁각시는 어디로 갔나>, 송경아의 <나의 우렁 총각 이야기>, 이동하의 <우렁각시는 알까>, 최인석의 <서커스 서커스>를 중심으로 논의해보았다. 우렁색시의 모습은 권지예에서는 남편에게 폭행을 당하는 석이엄마가 등장하며, 송경아에서는 여성이 아닌 남성의 모습으로, 또는 인간이 아닌 상품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이동하는 부잣집의 딸로, 최인석은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우렁색시임을 드러내었다. 이들은 어딘가 결핍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며, 이 결핍으로 인하여 자신의 존재를 찾으려 통과의례를 겪는다. 이 반대편에는 총각의 모습이 있는데, 권지예의 경우에는 총각이라기 보다는 원님에 가까운 가정폭력을 일삼는 변호사와, 송경아에서는 독신을 선호하는 이소현, 이동하는 혼기를 놓치고 노모까지 부양하고 있는 볼품없는 택시기사 황보만석이, 최인석에서는 장꾼이 등장한다. 이들은 우렁색시에게 시련의 대상이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움직임에 촉매역할을 하고 있다. <우렁색시> 설화의 유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 네 작품의 경우에는 새털옷형이나 원혼형의 모습과 근접한 내용이 많았는데, 이는 현실을 좀 더 깊이 있고 가깝게 다루고자 하는 작가의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권지예의 경우에는 새털옷형과 근접하여 행복한 결말로 끝나는 모습을 보이지만 나머지 세 작품은 모두 죽음이나 다른 사람에게 팔려가는 모습등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내포하고 있다. 금기의 설정은 송경아와 권지예의 경우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데 송경아의 경우에는 직접 마주치지 말라와 권지예의 경우에는 남편에게 들키지 말라라는 금기 사항이 존재한다. 이러한 금기는 결국 깨어지게 되고 이들은 시련을 겪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련은 통과의례로 작용하여 이들이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계기로 제시되게 된다. <우렁색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의 의미를 살피기 위해 타자화된 주인공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주인공들은 각각 대상에 대해 자신을 투사함으로써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게 된다. 권지예에서는 가정폭력에서 벗어나 행복한 재혼 생활을 하는 석이엄마를 통해, 송경아의 경우는 항상 부러워하던 지영 언니의 이혼결심으로 인해, 이동하는 황보만석을 대상으로 하여 동네사람들의 소문으로, 최인석은 장꾼과 우렁색시 이야기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있다. 설화 속의 내용이 민중들의 욕구를 반영하고 이에 맞추어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그 욕구를 구현하였다면, 현대의 작품들 속에서는 개개인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설화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그 뿌리를 찾으려는 모습이 엿보인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우리는 <우렁색시> 설화를 고찰하고 그에 따라 현대적 변용 양상을 살펴봄으로 해서 과거를 되짚어 보고 현대를 재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아쉬움 점이라면, <우렁색시> 설화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과 현대의 작품이 대부분 최근의 것이라 분석하는데 있어 자칫 독선적인 내용을 내포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앞으로 설화에 대한 현대적인 변용 양상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어 과거를 소중히 간직하고 현대에 나아갈 길을 재조명하는 작업이 계속되기를 소망한다.

      • 17세기 江南의 氣候變動과 明淸交替

        김문기 釜慶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江南社會에 대한 분석을 통해, 17세기 氣候變動이 明淸交替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는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경제적 침체, 인구의 감소, 기근·역병·전쟁 등의 대변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세계적 위기의 거의 유일한 원인은 小氷期(Little Ice Age)라는 기후변동이었다. 본 연구는 기후변동의 영향을 天時·地利·人和라는 유기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시에 氣候·災害, 지리에 農業, 인화에 民間信仰·荒政이라는 5가지 주제를 설정했다. 기후변동이 명청교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기후변동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일이었다. 당시의 사료들을 분석해 보면 17세기 강남의 기후는 이전의 그 어느 때보다 한랭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예컨대 太湖나 黃浦는 여러 차례 결빙했다. 여름에 눈이나 서리가 내리는 이상저온현상도 현저했다. 이러한 강남의 기후변동은 세계적인 소빙기 현상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소빙기 기후변동의 영향으로 16세기 말부터 빈번한 재해가 발생했다. 명말의 재해 중 주목되는 것은 1640~1642년의 3년간에 발생한 대기근이었다. 필자는 이를 ‘崇禎 14년의 奇荒’으로 명명했다. 숭정 14년의 기황은 소빙기의 한랭하고 건조한 기후의 한 정점에서 발생했다. 괴멸상태에 들어갔던 농민반란군이 세력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숭정 14년의 기황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숭정 14년의 기황이야말로 “明朝의 覆滅을 결정”한 한 배경인 것이다. 소빙기의 기후변동은 17세기 후반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 문제는 姚廷?의 농업경영에 대한 분석에서 살펴보았다. 17세기 후반의 기후조건이 매우 좋지 못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실제로 그의 농업생산에서 작황이 좋았던 해는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다만 농업생산의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명말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명말의 극단적인 대기근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런 사실은 청조의 대응이 효과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소빙기의 기후변동과 빈번한 재해는 당시 사람들의 심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빈번한 재해로 인한 불안과 공포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광란의 숭배로 표출되었다. 劉猛將信仰이 驅蝗神으로 정착해 가는 과정은 명말 기후 건조화로 인한 旱災, 蝗災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蝗蟲에 대한 두려움이 유맹장을 구황신으로 변모하게 한 것이다. 소빙기라는 관점에서 明朝의 멸망과 淸朝의 성공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명말, 명조는 재정의 악화와 萬曆帝의 怠政으로 국가의 황정 시스템이 붕괴된 상태였다. 명조는 기민들을 구제해야 할 때에 오히려 가혹하게 착취하면서 극심한 民心離反을 초래했다. 이에 반해 청조는 재정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황정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황정 시스템을 회복하고, 파격적인 ?免과 賑濟를 통해 국가의 존립 이유를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康乾盛世”는 청조가 소빙기의 재해를 극복하고 이룬 것이다. 그런 면에서 청조는 세계 어떤 나라보다도 17세기의 위기를 잘 극복했다고 할 수 있다. 通過江南社會的分析, 考察十七世紀的氣候變動對明淸兩朝接替的影響, 乃是本硏究的目的. 不僅在中國, 而且在世界範圍內, 發生了十七世紀的危機, 如經濟蕭條, 人口減少, 饑饉?瘟疫?戰爭等大動亂. 本硏究以爲, 這種世界性危機的幾乎唯一原因, 則爲所謂“小氷期(Little Ice Age)”的氣候變動. 本硏究從天時, 地利, 人和的有機關係網中, 將要鳥瞰當時氣候變動對中國社會的影響. 于是, 本硏究對天時, 地利, 人和三箇方面, 又劃分爲五大主題, 如: 天時方面包括氣候和災害, 地利方面包括農業, 人和方面包括民間信仰和荒政. 在考察氣候變動對明淸接替的影響中, 筆者以爲, 首要的課題則爲具體描寫氣候變動的實狀. 通過分析一些當時的史料, 可知十七世紀江南地區的氣候, 比以前任何時期更寒冷. 例如, 太湖和黃浦在十七世紀全期, 發生幾度結氷; 異常低溫現象也顯著, 如下雪降霜于夏天. 筆者以爲, 這些江南的氣候變動, 與世界性小氷期同軌. 十六世紀末以來, 因爲小氷期氣候變動的影響, 頻繁發生自然災害. 在明朝末期的災害中, 筆者注意到, 一六四零到一六四二年發生連三年的大饑荒. 筆者把?命名爲‘崇禎十四年大奇荒’. 崇禎十四年大奇荒, 發生于小氷期的寒冷乾燥氣候的一箇頂點. 之所以當時幾近壞滅狀態的農民起義能恢復勢力, 則因爲崇禎十四年大奇荒. 因此, 崇禎十四年大奇荒, 則爲“決定明朝覆滅”的大背景. 小氷期的氣候變動對十七世紀後半葉, 如何影響? 筆者分析姚廷?的農業經營, 考察此問題. 與以前時期同樣, 十七世紀後半葉的氣候條件明確不好. 在姚廷?的農業生産過程中, 年成較好的年頭, 實不過屈指. 雖然農業生産如此不穩, 但是與明朝末期狀況顯然對比, 卽在十七世紀後半葉, 沒有發生像明朝末期的極端大饑荒. 由此可知, 淸朝的對應明白有效. 小氷期的氣候變動和經常發生的災害, 影響到當時人的心性方面. 由經常發生的災害所起的不安和恐怖心態, 表現爲對超自然存在的狂亂崇拜. 例如, 在劉猛將信仰中, 劉猛將漸變爲驅蝗神, 其與明朝末期以來氣候乾燥化所因起的旱災和蝗災, 息息相關. 人們對蝗蟲的恐怖心態, 將劉猛將變爲驅蝗神. 在十七世紀同樣的條件下, ??說明明朝的滅亡和淸朝的成功不同結果? 這可以說明淸接替期的大問題. 筆者以爲, 我們若以持小氷期的觀點, 可以圓滿其說. 在明朝末期, 明朝政府面臨到, 財政惡化和萬曆帝的怠政兩大問題. 因此, 國家的荒政體系處于崩壞狀態. 明朝在救濟饑民時, 却苛酷剝削百姓而招來極甚的民心離反. 與此相反, 淸朝雖然有財政的界限, 積極推行荒政. 淸朝恢復國家的荒政體系, 通過破例?免和賑濟, 向百姓明確揭示國家的存立理由. 所謂“康乾盛世”, 則因爲淸朝克服小氷期的災害而成就的. 筆者可以說, 淸朝比世界任何國家, 更好地克服十七世紀的大危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