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홍수특성을 이용한 새만금호 비상대처계획 지표 개발

        김동주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Although large hydraulic facilities such as sea dike, breakwater bank and river bank, can protect a lot of lives and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from flood. The extreme weather events including changes in land use, localized heavy rains, extraordinary floods and earthquakes; rapid water discharge from upstream dams; and dam destruction may cause inundation damage like flood flow and debris flow. Such disasters by outburst floods result in not only loss of mass lives and property but also different social problems. In this regar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flood forecasting, warning and evacuation strategy for proper flood measures against such disasters. Organizations in charge of controlling reservoirs and sea dik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Emergency Action Plan (EAP) by scenarios of emergency situations caused by floods exceeding the design flood amount or unpredictable reasons such as earthquakes.EAP classifies emergency levels issued for emergency situations including collapse of reservoirs and sea dikes into 4 stages-Attention (Blue), Caution (Yellow), Alert (Orange), Serious (Red) - to determine and respond to the symptom by situation. For areas where EAP for sea dikes has been established,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situations or countermeasures are classified, while there is no index to separate them. In this case, if a manager conducts the phased measures with only “forecasting” in the situation stage, they are highly likely to have limitations to their active responses.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hydraulic and hydrologic safety review on sea dikes according to inflow of extraordinary floods from upstream of sea dikes and tributaries. Changes in water level flowing into the lake according to flood amount by frequency is used to investigate if it can be utilized as a disaster management index for EAP for sea dikes. For this, EAP index is developed by simulating flood level changes and time to reach flood level at the point of selected sea dikes from 100, 200 and 500-year and PMF flood amounts centering around the sea dikes. Targeting Saemangeum Lake, the study set the range required for numerical model, entered model composition and data using Delft3D numerical analysis model, verified the credibility of the model through calibration and established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model. Assuming that Saemangeum Master Plan had been completed, the study also conducted comprehensive operations. For inflow of floods by each frequency according to management water level in the lake, time to reach the flood level and flood stage were simulated. EAP index was established using the flood level and travel time. If the initial stage among the emergency levels, ‘Attention,’ was set as 『from extraordinary flood to management water level EL-1.5m』, it would be beneficial to respond to initial disasters. Also, it would be easier to set ‘Caution’ as 『from management water level EL-1.5m to management flood level inside the lake EL+1.5m』; ‘Alert’ as 『from management flood level inside the lake EL+1.5m to riprap protection flood level inside the bank』; and ‘Serious’ as 『flood level over riprap protection inside the bank (Mangyeong EL+4.5m, Dongjin EL+2.5m)』 for responding to initial disasters.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sea dike operators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by presenting index by emergency situation stage. The result, as hydraulic and hydrological data on flood level, travel time, etc.,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sea dikes with or without EAP as a response index required for disaster management of sea dikes.

      •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내폭력 노출이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과,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중학교 2, 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으로 총 528명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는 2002년 11월 22일부터 12월 5일일까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년간 청소년 자녀의 49.1%는 어떠한 형태로든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사하는 장면에 노출되었다. 이를 폭력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조사 대상자의 41.2%가 지난 1년간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언어적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에 노출되었고, 33.8%가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난 1년간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는 성별과 무관하게 그렇지 않은 청소년 자녀에 비해 높은 수준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 가운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우울/불안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난 1년 동안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는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면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난 1년 동안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가 사용하는 대처방식과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처방식 중에서 문제 지향적 대처는 우울/불안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정서 완화적 대처는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청소년 자녀가 경험한 신체적 아내폭력 노출과 적응 사이에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지난 1년간 심각한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의 우울/불안에 대해서는 문제 지향적 대처방식이 이를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 1년간 어떤 형태이든 신체적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대해서는 정서 완화적 대처방식이 이를 강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는다. 첫째, 기존의 아내폭력 피해여성 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아내폭력 노출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아내폭력 노출의 영향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예방 및 치료를 도울 수 있는 학교 사회사업 및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방안들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아내폭력에 노출된 아동 및 청소년 자녀의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에 있어서, 적절한 대처방식 대처방식에 대한 교육을 포함시켜 이들의 적응을 도와야 할 것이다. 동시에 적절한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대처 자원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실천적 개입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아내폭력 피해 여성 및 아내폭력 노출 자녀에 대한 제도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wife battering on adolescent's adjus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their adjustment. The study subject was 528 adolesc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5 in 200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49.1% of adolescent were exposed to at least one incident during the past one year, in which their fathers used any verbal or physical violence to their mothers. In detail, 41.2% of adolescent were exposed to at least one incident during the past one year, in which their fathers used verbal violence to their mothers. 33.8% reported the exposure to any form of wife battering during the last one year. Second, adolescents exposed to wife battering during the past one year exhibited high level of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than adolescents who were not exposed. The female adolescents exposed to wife battering exhibited a little high level of depression/anxiety than male adolescents. Third, the adolescents exposed to wife battering during the past one year used wishful thinking coping strategy the most. To be opposed, they use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the least. Fourth,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y adolescent use and adjustment,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anxiety. Meanwhil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Fifth, through the study about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between exposure to wife battering and adjustment, I find out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have a decreasing effect on depression/anxiety from exposure to serious wife battering. On the other hand, I can se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ve a increasing effect o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from exposure to any form of wife battering. Based on the study result abov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are like followings: First, current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xposed to wife battering conducted in shelters for battered women need to intensified. These programs can be more virtually effective through financial support and so 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hool and community social work programs for minimizing negative effects of exposure to wife battering, preventing and helping treatment. Second, programs for adjus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xposed to wife battering need to include education to guide proper coping strategy.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study on various resources for coping and social work services can provide coping resources to use proper coping strategy for them. The last, support on the policy level is needed to success these clinical practices. In order to expand the intervention for battered women and children exposed to wife battering, institutional support has to be carried out.

      • OECD 국가의 규제개혁에 관한 비교연구 : 최대유사체계분석모형(MSSD) 적용을 통한 규제영향분석(RIA) 제도의 국가별 사례분석

        김동주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 영국과 미국에서 나타는 규제개혁과 관련된 정책들의 파급효과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우리보다 앞서 규제개혁에 착수한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규제완화에 의한 규제 총량 감축과 규제의 품질관리가 동시에 이뤄지거나 혹은 순차적으로 이뤄진다고 해도 체계적인 수단을 이용해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규제개혁은 정부의 능동적인 변화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이뤄지지 못하고 IMF 금융위기라는 불가피한 사건을 기점으로 나타났으나 규제의 총량을 감축하는 규제완화의 단계적 측면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규제개혁 단계 중 규제완화의 단계에서 규제의 질적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규제품질단계로 이제 막 진입한 우리나라의 규제체계 상황에서 규제영향분석은 적실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규제영향분석은 규제과정의 개선, 기존 규제의 검토 그리고 효율적, 합리적인 양질의 규제 창출을 위한 개별규제의 질적 향상 추구를 위한 기본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규제영향분석은 OECD 회원 국가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국가들에서도 정책적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제도이다. 이러한 활용의 배경에는 규제개혁 단계의 정체 상황을 피하고 규제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기 위한 각 국가의 공통적인 노력이 있다. 이와 같은 영국, 미국, 독일과 한국의 규제영향분석을 최대유사체계분석모형으로 분석하기 위한 독립변수를 추출하는데 있어 몇 가지 전제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전제조건은 OECD의 2005년 보고서 '규제품질과 성과를 위한 원칙 지침서'와 2001년 EU 집행평의회의 '만델케른 최종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는 규제개혁의 원칙을 비교해 각 원칙의 공통점을 도출한 것이다. 비교결과 두 보고서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규제개혁 원칙의 성격은 포괄성, 책임성, 전문성 그리고 투명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제조건을 기반으로 최대유사체계분석모형의 독립변수가 설정되었는데 첫째, 규제법정주의의 입법화, 둘째, 규제영향분석 추진기구, 셋째, 규제영향분석 작성의 체계화 : RIA 작성기준지침 그리고 마지막으로 규제영향분석 제도의 체계화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개국의 규제영향분석 제도에서 나타나는 체계적 상이성은 한국의 경우 나머지 3개국과 달리 규제영향분석을 제도적으로 추진할 상설기구가 없다는 것이며 나머지 세 독립변수들은 체계적 유사성을 보였다. 영국, 미국, 독일의 경우 공통적으로 규제영향분석을 제도적으로 추진하는 주력 기구가 있고 그 외에 보조적인 측면 혹은 견제적인 측면에서 정부 외부의 위원회 형식 혹은 타 부처의 소속으로 존재하는 보조 추진기구가 확인되었다. 한국의 경우 규제영향분석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상설기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행정규제기본법 제7조제1항에 의해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규제를 신설 또는 강화하고자 할 때는 관련사항을 구비항목에 따라 상세하고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규제영향분석을 실시하고 해당 분석서를 작성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작성된 규제영향분석서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조언자적·감시자적 기구의 부재로 인해 한국에서의 규제영향분석은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하기 위한 까다로운 문서작업으로 인식될 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우선적으로 규제개혁의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규제개혁위원회를 현재의 공정거래위원회와 같은 상시적인 독립위원회로 변형시키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또는 법제처와의 통합을 통해 법안심사 및 규제심사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후에 외국의 체계처럼 규제개혁위원회의 후신 기구가 규제영향분석을 추진하는 주력기구가 되고 이를 견제·보조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수립해야 한다. 규제영향분석의 성공적인 착근 과정은 험한 바다를 헤쳐 나가는 배의 항해와 같다. 배의 틀은 규제법정주의의 입법화로 비유될 수 있으며 숙련된 선장과 선원들의 배출은 규제영향분석의 작성기준지침과 같은 훈련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항해의 체계적이며 안정적인 운영은 규제영향분석의 체계화와 같은 것이다. 그중에서도 규제영향분석의 추진 기구는 배의 엔진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현 시점에서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규제영향분석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주력기구와 보조기구의 창설이다. In late 1970's & early 1980's there was Regulatory Reform which was shown in U.K & U.S.A affected a lot to east asia include korea. There is one common thing that we can find in countries which have had a Regulatory Reform before we do is they are using systemic methods to approach even regulation sum deduction and quality control of regulation are happening at the same time or one after the other through Deregulation. However, Korean government didn't take active mutational expropriation of the Regulatory Reform with 'IMF financial crisis' but they reduce the total of Deregulation side it was considerably success. In our case this is an alternative plan for Regulatory Impact Analysis cause we just got through the Regulatory Quality Management which constructs the Regulatory as systemic control. Regulatory Impact Analysis could be a basic tool which improve the course of regulatory, examine the established regulatory and create regulatory effectively. These are being used widely not only OECD members but also the others. Behind the using of these tools there are huge efforts to avoid stagnation of Regulatory Reform in each country. Several preconditions are to be established in abstrac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of U.K, U.S.A, Germany, and Korea by means of the Most Similar Systems Design. The preconditions are deduced from common features by the comparison of the Regulatory Reform principles that 2005 OECD "Guiding Principles for Regulatory Quality and Performance" and 2001 EU Council "Mandelkern Group on Better Regulation Final Report" sugges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haracteristics of Regulatory Reform principles that the two reports commonly emphasize are comprehension, accountability, specialty, and transparency. On the basis of these preconditions, independent variables of MSSD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the legislation of no regulation without representation; 2) the RIA driving agency; 3) the systematization of RIA preparation: Guide for the Standard RIA preparation; 4) the systematization of institution of the RI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ystematic difference among the RIA institutions of the four countries was the fact tha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hree countries. Namely, Korea has no permanent agency that promotes the RIA institutionally and othe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re systematically similar. In the cases of U.K, U.S.A, Germany, they commonly have the main agency that promotes the RIA institutionally. Moreo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in supporting organizations in the form of committee outside government or supplementary committee which belongs to other department have existed. In the case of Korea, it seems difficult to expect actual accomplishment of the institution because there is no permanent organization that could promote RIA strongly. According to the Basic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clause 7 item 1, when the chief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plans to create or to strengthen a regulation, he/she should conduct the RIA, considering related facts in detail and totally according to the items equipped and should prepare an applicable analysis report.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the advisory, supervisory organization tha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port prepared like this, in Korea, the RIA is perceived just as tricky paperwork in order to pass the examination of the Regulatory Reform Committee. First of all transform Regulatory Reform Committee which rules the whole responsibility of Regulatory Reform into permanent committee like as Fair Trade Commission.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Ministry of Legislation can make a new organization that inspect a bill & Regulatory. After that like others system Regulatory Reform Committee lead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establish the organization which can subsidize and constraint Regulatory Reform Committee Successful settle down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is like a sailing of violent waves. Frame of ship is often compared the legislation of no-regulatory-without-representation and training many skilled captains & sailors is made from a framming standard guide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systemic stabilizing of sailing is like the systematization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Driving agency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is like an engine of the vessel. All we have to do is the establishment of RIA organization in the interest of substantial Regulatory Reform in Korea.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친밀감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김동주 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 두려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충청, 경상도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 ISS), 친밀감 두려움 척도(Fear of Intimacy Scale: FI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 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SPSS 22.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는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랩핑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 두려움, 정서표현 양가성은 각각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친밀감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fo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 of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Intimacy of university students. To assess this hypothesis, survey data were conducted from 415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Kyonggi, Chungcheong, and Gyeongsang.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bout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Fear of Intimacy Scale(FI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AEQ-K).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5.0.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ternalized shame, fear of intimac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ully mediated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intimac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후진타오 政府의 對韓半島 政策

        김동주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2년 8월 한· 중 수교 이후 中國의 對 韓半島 政策은 韓半島에서 평화적인 안보환경을 정착시키고, 韓半島의 비핵화, 북한에 대한 전통적 지정학적 이익의 확보, 그리고 한·중 교류를 통한 경제 이익의 확대를 추진하였으며 이에 부합되는 실리적인 차원에서 外交政策을 실행하였다. 중국은 한국과의 교류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군사․안보분야에 있어서도 중국은 북한을 의식해서 조심스럽게 접근하며 군사․안보분야에서도 꾸준히 점진적으로 고위급 인사들의 상호방문이 추진되었고 마침내 북경에서 한국전쟁이후 처음으로 양국 국방장관들이 공식회담을 가지는 등 한․중 관계가 짧은 기간안에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정쩌민 정부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정책이 변화되었기 때문이며 중국의 국익에 따라 양국과 정상적인 국가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중국이 한국과의 관계개선에서 교류협력을 확대 추진하여 미국이나 일본을 견제하고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과의 관계개선을 중시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2002년 10월의 중공 제16차 당대회와 2003년 3월의 제10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이루어진 지도체제의 개편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최대규모의 권력구조개편이며 그 결과 후진타오를 중심으로 한 상호분업적 집단지배체제가 확립되었다. 즉 중공 16대 대회에서 장쩌민으로부터 총서기직을 계승한 후진타오가 10기 전인대에서 다시 국가 주석직을 계승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지도체제의 핵심적 위치를 확보하였다. 세대교체라는 中國의 현 후진타오 중심의 집단지도 체제는 기본적으로, 대내외 政策에 있어서도 장쩌민 체제에서 확립된 政策路線을 그대로 계승할 것이 예견되었으며. 무엇보다도 中國의 신 지도층의 주류 세력으로 등장한 제 4세대로서는 급진적이고 과격한 政策보다는 점진적이고 합리적인 政策을 추구할 개연성이 높은 이상 기존의 外交政策에 대한 급진적 변화를 추진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中國의 신 지도층은 장쩌민 시기에 확립되고 추진되어온 개혁개방과 사회주의 現代化政策을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이다. 2003년 10월 11일~14일 기간 개최된 제 16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당내 민주화 지속방안과 향후 10년간의 경제개혁 방향을 확정했다. 3中全會는 개혁·개방 20여년이 지나면서 심화되어온 평등지향의 사회주의와 사적 자본의 영역을 계속 확장해온 시장경제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진력할 것을 결의하고 이를 위한 개혁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즉 제2의 경제개혁은 1) 국유기업 독점체제의 시장화로의 전환 2) 국유금융시스템의 개혁 3) 정부직능의 조정 4) 도시·농촌간의 균형 있는 공동발전이라는 대규모적인 개혁방안을 예고하였다. 2002년 말 中國共産黨 제 16차 전국대표회의에서 확정된 ‘전면적 샤오강(小康) 사회건설’이라는 대내정책방향과 함께 中國 지도부가 밝힌 「和平崛起」(평화적으로 우뚝 선다)의 선언은 앞으로 상당기간 中國 對外政策의 基調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韓半島에 대한 政策은 이념보다는 국익위주의 실리와 韓半島를 둘러싼 국제질서를 현상유지하기 위하여 수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政策은 한국과 외교의정서를 1992년 8월 24일에 조인하였으며, 한·중 국교정상화는 實用主義에 기반을 둔 中國의 독자 외교노선이 구체화된 산물로서 신지도층은 實用主義의 전통을 보다 정치, 경제 및 사회의 모든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향후의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 즉 후진타오(胡錦濤)등 신 지도층은 동북아시아에서의 국제관계와 국가 간의 역량이 현저히 변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곧 다양한 ‘세력전이(勢力轉移)’ 속에서 안정적인 외교, 경제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과의 원만한 관계유지는 물론 주변국가와의 관계발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동시에 韓半島에서 남·북 관계도 평화적인 해결과 남북 상호간의 관계개선이 中國의 장기적인 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면역세포 분리 및 뉴런칩 응용을 위한 실리콘 나노선 성장 및 특성 연구

        김동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dimensional (1D) nanostructure systems, such as nanowires, nanorods, and nanotubes have fascinating distinctive features. These nanostructures are essentially ideal building blocks for electronic, photonic devices, and sensor applications. Among semiconductor nanowires, especially silicon nanowires have been drawn much interests due to thei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These can be used as nanoscale devices such as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light-emitting diodes (LED), solar cells, gas-sensors, and thermoelectric devices, etc. These nanostructures can also be used in the field of bio-medical applications because of excellent biocompatibility. In this report, we studied immunocyte separation and neuron-chip applications with silicon nanowire. Also we developed unit processes, a modulation of doping concentration and a formation of nickel silicide for high performance silicon nanowire FET. First of all, we have synthesized the silicon nanowires using a vapor-liquid-solid method in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quartz-tube furnace with silicon tetrahydride (SiH4) as a silicon precursor and gold as a catalyst. The diameters of the silicon nanowire were normally in the range of 150 ~ 300 nm and the lengths are in the range of 3 ~ 10 um with high dense arrays. We also have discussed some of the material characterizations such as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Second, we developed unit processes, a modulation of doping concentration using ion implantation and a formation of nickel silicide for lower contact resistance at silicon-metal interface. We also performed a SILVACO simulation for optimization of ion implantation process. Then, we have demonstrated p-type silicon nanowire FET prepared by B-ion implantation with a dose of 1 ? 103 ions/cm2 and an energy of 10 keV, a carrier mobility and a concentration were estimated to be 2.9 cm2/V∙s and 1.1 ? 1019 /cm3 respectively. Using KOH solution for wet-etching process, we synthesized less than 100nm silicon nanowire diameter, performed a formation of nickel silicide, and studied its material characterization by FE-SEM and EDS analysis. Third, we have synthesized silicon nanowire arrays on the patterned silicon substrate for immunocyte separation. Then, a streptavidin, an APTES, a GA were coated continuously on the patterned silicon nanowire arrays. A CD4+ T cell was separated from a splenocyte in a mouse spleen using the streptavidin modified silicon nanowire arrays. Finally we estimated up to 93 % separation yield of the CD4+ T c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