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도시 지역 재생의 성공요인 분석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동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지 이 연구에서는 우수권역과 부진권역의 비교분석을 통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비도시 지역의 재생사업에 있어서 중점을 둬야할 요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성공적인 지역개발사업인 새마을운동, 강원도 새농어촌건설운동, 지역축제, 농촌관광사업 등에 대한 성공요인을 문헌 조사를 통해 도출하여, 주민요인, 외부요인, 입지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압축할 수 있었다. 주민요인은 지도자 리더십, 지역공동체 활성화, 소득사업의 활성화, 외부요인은 재원의 확보, 연계사업 유치, 외부네트워크 형성, 입지요인은 접근성, 잠재고객, 지역자원 활용 등의 세부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들 세부요인으로 분석틀을 갖추고 각 요인별 측정기준을 정하여 우수권역과 부진권역의 비교 검토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요인은 사업의 입안, 결정, 추진, 운영·관리자로서 주민의 태도가 사업 성공을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요인으로 지도자 리더십은 우수권역 공통적으로 권역 전체를 선도하는 리더가 있다는 점이다. 지역 리더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업 발굴로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고, 리더의 선도로 주민을 사업에 동참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서 주민참여를 유도하고 있었다. 지역공동체 활성화는 지역축제를 준비하고 집행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주민들 간의 유대가 강화되며 공동체 의식을 형성한다는 전제하에 마을축제 유무를 분석하였다. 우수권역은 농촌관광의 수단으로써 마을축제를 개최 외부 방문객을 권역으로 유도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특히 화천 토고미권역의 논두렁 재즈 콘테스트는 다양한 문화공연을 통해 권역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문화축제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소득사업 활성화는 실질적인 소득 및 고용창출로 권역이 활성화 되고, 향후 시설유지관리의 재원이 되고 있었는데, 소득사업의 활성화는 주민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이어지고, 사업추진 동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외부요인은 사업의 실행수단으로써 외부의 지원 부분인데,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재원의 특성상 국고지원 사업이므로 재원의 확보나 연계사업의 유치보다는 외부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한 요인 있었다. 예산확보는 규모의 차이는 보이나 확보율은 우수권역과 부진권역 모두 100%이상이었으며, 연계사업 유치는 화천 토고미가 다양한 지역개발 사업을 유치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었다. 외부 네트워크는 자매결연과 외부전문가의 지원을 검토하였는데 자매결연은 외부 소비자와 신뢰와 협력을 확보하는 계기로 농산물의 직거래와 도농교류를 활성화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었다. 외부 전문가는 농촌지역의 인적 구성을 감안할 때 인적자원의 확대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권역이 보유한 다양한 자원을 연구, 개발, 홍보하는데 네트워크는 권역의 총체적인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입지요인은 전통적 농업소득 외에 농외소득의 수단으로써 농촌관광의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접근성, 잠재고객, 지역자원 활용을 분석하였는데, 지역자원 활용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접근성이나 잠재고객은 모도시와 인근대도시와 시간거리 및 인구규모를 분석하였는데 오히려 부진권역이 좋은 입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입지요인으로서 고유의 장소자산은 어디에 위치하는가라는 입지보다는 주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가 중요한 성공요인 이었다. 결론적으로 우수권역과 부진권역의 사례분석을 통해 비도시 지역 재생의 성공요인을 도출한 결과 외부요인 및 입지요인 보다는 주민요인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수권역은 리더가 주도적 역할로 주민의 동기를 유발시켜 주민참여를 이끌어 내고, 지역의 장소자산을 적극 활용하며, 외부지원을 이끌어 내어 사업을 성공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도시 지역 재생은 계획에 대한 단순동의 수준의 소극적 주민참여 형태를 보이는 도시지역 재생과 다르게 사업 전 단계에서 사업을 발굴하고, 주민참여를 이끌어 내는 리더의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비도시 지역의 재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예처럼 선제적인 주민교육을 통한 리더의 육성과 주민들의 사업 참여 동기를 유발함이 바람직하고, 지역의 장소자산을 소득화하는 시장지향적인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지역의 전반적인 역량을 높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재생, 리더, 주민참여, 네트워크, 장소자산

      •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호 연구 : TV 3사(KBS, MBC, SBS)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동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 분야에서 시장세분화 전략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개념을 빌려, 대학생의 시청 행태 및 선호프로그램 유형을 파악하여 시청 행위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데 있다.$$a$$a다변화된 사회에서 개인의 취향도 다양해짐에 따라 마케팅 전략에서는 이른바 시장세분화 전략이 일반화되었다. 이러한 전략은 시청 행위 분석에도 상당한 유용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라이프스타일 변수를 텔레비전 시청 행위 연구에 적용시킴으로서, 기존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근간으로 한 연구에 세분화된 설명을 더할 수 있다.$$a$$a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더불어 라이프스타일 변수들이 대학생의 텔레비전 시청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해 탐색했다. 대상 프로그램은 전체 편성에서 차지하고 있는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연구가 미흡한 장르인 오락프로그램으로 한정했다. 이를 위해 LOV 접근법에 토대를 두어 대학생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규명했다. 또한 각 라이프스타일 유형 집단별로 TV 시청행동 및 프로그램 선호 유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했다.$$a$$a연구문제1: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형별 오락 프로그램 시 청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a$$a연구문제2: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하는 오락프로그램 간에는 어 떤 관계가 있는가?$$a$$a연구문제3: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오락프로그램 시청동기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a$$a연구를 위하여 전국 13개 대학교 학생 2백명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강의 시간을 이용해 질문지를 돌려 자료를 수집했다. 인터넷 조사 그룹과 강의시간 조사 그룹 간에는 T-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두 그룹의 표본을 모두 사용하였다. 2005년 10월 20일, 21일 이틀에 걸쳐 조사했으며, 2백장의 설문지 중 149장(응답률 74.5%)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최종분석에 포함된 시청자는 모두 149명이며, 남성은 79명(53%), 여성은 70명(47%)이다. 시청 행태는 시청량의 경우 3개월 평균 시청량과 주로 보는 시청요일, 시청 시 환경을 묻고, 많이 보는 오락 프로그램을 물었다. 시청 동기는 그린버그(Greenberg 1974)와 카츠(Katz) 외(1974), 박은희(1982)가 조사한 시청 동기로부터 정보추구 동기설문, 현실도피와 친교동기 설문, 오락과 시간 소비 동기설문을 사용하여 조사했다.$$a$$a라이프스타일 구성을 위한 가치 문항은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2004)의 연구를 토대로, 소비자의 기본적인 생활에 대한 가치를 측정하는 문항을 선별하여 9개 가치 지향성을 포함한 총 32개의 진술문을 사용했고, 각각의 진술문은 5점 척도로 구성했다. 프로그램 장르는 현행 방송법의 분류기준 상의 오락 프로그램 중에서 드라마, 영화, 만화, 스포츠를 제외한, 코미디, 버라이어티쇼, 오락성 토크쇼를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a$$a첫째, 남녀 성별에 따른 오락프로그램 시청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그형 프로그램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그형 프로그램을 더 많이 시청했다. 학년별 오락프로그램의 유형별 시청에서는 음악형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에서만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4학년보다 음악형 프로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a$$a둘째, 라이프스타일과 오락프로그램의 유형별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관계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 교류 지향형의 대학생은 개그형 프로그램 시청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별에 따른 오락프로그램 시청의 차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그형 프로그램을 더 많이 시청하는 것으로 나온 결과 역시 남학생들의 사회교류지향적인 성향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패션 지향형 스타일의 대학생은 토크형 프로그램을, 적극 주류 지향형의 학생들은 음악형 프로그램, 토크형 프로그램을 주로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a$$a셋째, 라이프스타일과 대학생의 오락프로그램 시청동기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적극적인 삶을 사는 패션 지향형, 적극 주류 지향형 학생들이 토크형 프로그램을 잘 시청하지 않는다는 점, 건강 추구형, 여가 지향형의 대학생들이 토크형 프로그램 시청 동기로 현재의 고민을 잊기 위해서라는 이유를 든 점으로 말미암아, 시청자들은 토크형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나 휴식과 같은 여가시간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a결과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더불어 라이프스타일 변수는 대학생의 오락 프로그램 시청 행위와 시청 동기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시청자를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세분화된 목표 수용자를 겨냥한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a$$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ing patterns and program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us comprehend the different aspects of viewing behaviors, by employing the concept of lifestyle, which is often used as a market segmentation strategy.$$a$$aWith the diversity of society and variety of personal preferences, the so-called market segmentation has become a popular strategy. This strategy is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analyzing viewing behaviors. As a key variable, the concept of lifestyles, in particular, will better explain viewing behaviors,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ocio-demographic approach.$$a$$aThis study explores the presumed implications of the variables of lifestyle, along with those of socio-demography, on the behaviors of college-level TV viewers. Target areas are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have gained little attention as a research topic despite their high occupancy in TV scheduling. Based on the LOV(List of Value) approach,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viewing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determine if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 groups and their program preferences, the following hypothesis are posed:$$a$$aHypothesis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ll have an effect on their choice of TV entertainment programs.$$a$$aHypothesis 2: There will b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and preferred entertainment programs.$$a$$aHypothesis 3: Lifestyles will motivate the viewers to watch particular entertainment programs.$$a$$aFor the success of this study, a total of 200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during the month of October, 2005. Of the 200, 149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ith response-rate of 74.5%. Of the final 149 respondents, 79 of them (53%) were men, and 70 (47%), women. Viewing pattern categories included the average viewing time of the past three months, major viewing days, the viewing environment, and most frequently watched entertainment programs. As to viewer motivation, such categories as the desire for information, escapism and socialization, entertainment and killing-time were borrowed from the study of Greenberg(1974), Katz et al.(1974), and Park Eun-hee(1982). The questions used to construct different lifestyle groups were 32 itemized statements, which included 9 value-oriented questions selected from the ones commonly used to measure consumer needs. (Sim Mi-sun, Lee Jun-woong(2004)). Each statement had a five-scale measurement. Program genre ''entertainment'' was defined in compliance with the criteria stipulated in the current broadcasting codes, which includes comedies, variety shows, talk shows, with the exclusion of dramas, movies, cartoons, and sports.$$a$$aBased on the data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a$$aFirst, the analysis of gender-difference in the choice of entertainment programs has shown that only comedy programs have a significant meaning: Male viewers were more likely to watch comedy programs that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the study of grade-level and program choice, only music programs had any justifiable meaning, with more freshmen viewing music programs that seniors.$$a$$aSeco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onducted to measure the preference of different lifestyle groups, has indicated that those who are socially-oriented students favor comedy programs. This is only natural judging from the fact that more male students, who are more socially-oriented, prefer to watch comedy programs that the female counterparts. Meanwhile, fashion-oriented students shun talk show programs, as active mainstream-oriented ones turn away from music and talk show programs.$$a$$aThird, there has been a meaningful difference in lifestyles and viewer motivation. The fact that socially assertive fashion-conscious and mainstream-oriented people turn away from talk shows, and that those who are health and leisure-conscious prefer talk shows largely motivated by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troubles they are faced, well justifies the argument that the viewers regard talk shows as a form of leisure activities.$$a$$aThis study has positively confirmed the fact that the various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 highly reliable predictor in their choice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 viewer motivation. This analysis provide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elevision viewe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programs targeted for specific segments of the audience.$$a$$a

      • Nb가 첨가된 SrTiO3 입계절연 유전체에서의 Bi2O3-Na2CO3 침투효과 및 유전특성

        김동기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5G 고속 통신과 전자기기의 발달에 따라 고유전율 재료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입계 절연형 캐패시터 (Grain Boundary Barrier Layer Capacitor: 이하 GBBLC)가 개발된 이후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성 SrTiO3에 입계의 효과적 제어와 고유전율 확보를 위하여 Nb2O5 (0.4~1.6mol%)를 첨가한 후 1450℃ 이상의 5H2-95N2 환원분위기에서 8시간 이상 소결하였고,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해 Bi2O3-Na2CO3계 액상 산화물을 도포하여 대기 중에서 2차 열처리하였다.제조된 시편은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으며 Bi2O3-Na2CO3 조성비에 따른 유전율과 절연 파괴 전압을 변화를 측정하였다. Nb2O5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전상수는 상승하는데 0.6~1.0mol% 일 때 10,000 이상 상승하였다. 반면 절연 파괴 전압은 Nb2O5 첨가량이 0.4~0.6mol% 일 때 평균 240V로 유사하지만 0.8~1.6mol% 에서는 124~52V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절연 파괴 전압은 Bi2O3-Na2CO3 침투 깊이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i2O3-Na2CO3에서 Na2CO3 함량이 5, 10, 30wt%로 증가하면 절연파괴전압은 각각 100, 210, 490V 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유전 상수는 Nb2O5 30wt% 일 때 11,000~5,900으로 약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첨가된 Nb2O5 함량이 0.4~0.6mol% 일 때 Bi2O3-Na2CO3 의 침투 깊이는 시편의 두께인 500㎛에 이르렀지만, 0.8mol% 이상일 때 침투 깊이는 약 60㎛~100㎛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r the recent development of 5G high-spee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the need of dielectric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is increasing. Research on high-k materials has been continued since the development of Grain Boundary Barrier Layer Capacitor (GBBLC). In this study, we prepared 0.4 ~ 1.6 mol% of Nb2O5 dopped SrTiO3 and sintered for at least 8 hours in a 95N2-5H2 atmosphere of 1450℃ or higher. In order to form an insulating layer, liquid oxide system (Bi2O3-Na2CO3) was applied, and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air. When the Na2CO3 content in Bi2O3:Na2CO3 increased by 5,10,30wt%,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increased to 100,210,490V.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decreased by about 50% from 11,000 to 5900 when Na2CO3 was 30wt%. According to the amount of Nb2O5 addition, the penetration depth of Bi2O3-Na2CO3 was observed. When Nb2O5 content was 0.4~0.6mol%, it penetrated more than 500㎛, 0.8 mol% or more, the penetration depth was lowered by about 60μm to 100μm.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s as the amount of Nb2O5 added increases. When it was 0.6 to 1.0 mol%, it increased more than 10,000. On the other hand,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was similar when the amount of Nb2O5 added was 0.4~0.6 mol%. And it decreased 124V to 52V in 0.8 to 1.6 mol%.

      • 공공기관의 생물안전연구시설에 설치된 폐수멸균시스템의 냉각효율향상에 관한 연구

        김동기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importance of biosafety laboratories is embossed because of the COVID-19 virus disease. Although the Korea government is investing a college fund into biosafety laboratories, effluent decontamination systems built in biosafety laboratories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foreign-made equipment. So the innovation of effluent decontamination systems which made in Korea has a special connotation. After heating decontamination process, the cooling process time can be reduced if the high pressure steam in the kill tank is removed. However the HEPA Filter erected in the end of ventilation system should be protected for applying to the innovated cooling system. So the pressure reducing equipment is necessary between the kill tank and the HEPA filter. Test model is selected as the pressure reducing equipment which is subject to the theory of loss due to abrupt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cross section in hydromechanics. And design, installation and test of the test model were performed. In the result of an experiment, the figure of the pressure reducing test was 77% and the application of pressure reducing equipment was verified. The process time of effluent decontamination systems which is applied to the test model is expected to decrease in 35%. In the calculation result the innovated effluent decontamination systems can help developing the Korea biosafety laboratory. 최근에 발생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의 여파로 병원성 미생물 연구를 위한 생물안전연구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생물안전연구시설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생물안전연구시설에 설치된 폐수멸균시스템의 외산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국산 폐수멸균시스템이 적용된 공공기관의 폐수멸균시스템의 개선은 폐수멸균시스템의 국산화의 관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가열멸균과정 이후 탱크내에 고압의 증기를 통기관을 통해 배출시키면, 냉각시간단축이 예상된다. 하지만 개선 냉각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탱크내 증가가 분출될 때 통기말단부에 설치된 제균필터가 파손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통기제균필터와 멸균탱크 사이 압력강하장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실험모델은 유체역학의 돌연확대축소관의 원리를 적용한 압력강하장치로 설정하고 설계 및 제작하여 감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감압치는 77%로 폐수멸균시스템 적용이 검증되었다. 실험모델을 적용한 폐수멸균시스템의 처리시간은 35% 감소가 예상되었다. 산출된 결과는 국산 폐수멸균시스템의 처리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국산 폐수멸균시스템의 시장경쟁력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VaR 추정의 실증적 연구 : 만기가 다른 한국 국고채를 중심으로

        김동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VaR는 금리, 주가, 환율 등 기초적 시장가격에 대한 미래 분포를 예측하여, 향후 불리한 시장가격변동이 특정 신뢰구간에 나타나는 경우에 최대 손실규모를 산출하는 기법이다.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여기서 계산된 결과를 분석하여 포트폴리오의 위험노출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험에 대한 헤지 전략을 구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관리 시스템들 중에서 VaR의 측정을 기본으로 이자율의 변동이 위험의 기본요인인 고정 수입 채권에 대한 VaR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분산-공분산 방법, 역사적 시뮬레이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통계적 기법인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 한다. 주성분분석 방법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 때 유용하며, 원자료에서 나타나지 않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상품으로 구성된 자산보다는 여러 가지 상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자산에 더 효과적이다. 그래서 주성분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자율의 동적 구조를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주성분을 이용하여 만기가 다른 채권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VaR를 추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자율의 변동을 모형화하는 방법으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해 몇 개의 주성분을 찾고, 이러한 주성분만을 이용하여 이자율의 변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방법이 사후검증 결과 다른 방법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많은 상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VaR를 추정하고 싶을 때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이자율이 위험의 기본 요인인 채권이나 채권 관련 파생상품들은 주성분 분석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유용할 것이며, 다양한 주식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경우에도 유용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실증분석 데이터의 양과 사후검증 데이터의 양이 너무 적었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경우 여러 가지 이자율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또한, 향후에는 EVT, GPD, GARCH 모형 등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위기분석(stress test)을 이용하여 최대 손실액을 추정하지 못 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영문초록:VaR is the method which can measure a possible maximum loss scale in the case of unfavorable fluctuations of market prices appear during a particular trust period, expecting the future distribution of basic market prices such as interests, stock prices, exchange rates etc. Corporations and financial organizations which analyse the counted results and calculate the risk-exposure of the portfolio, may make the hedging strategies against the risks on these tasks. This thesis is primarily focused on VaR measurements. The study of evaluating VaR about korean treasury bond whose basic element of risk is interest fluctuations consists of comparing a conventional method with a statistical method such a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It also aims at extracting principal which may help to explain active structures of interest rates with analysing principal components and estimating VaR of bonds with extracted principal components. This study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we can find several principal components through modeling fluctuations of interest rates by using these chief elements. We also expect to explain change of interest rates adequately. We can see that the analysing principal analysis method has results of good verification as well as other methods. This method can be used more easily than others since it does not assume the underly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Because of no connected calculation in the method it has also a merit which reduce the number of parameters to be estimated. It will be very effective when those who want to estimate portfolio VaR consisted with abundant goods. When it comes to bonds whose basic element of risk is interest fluctuations or derived goods from the bonds and portfolios consisted with various stocks, the method may be useful. Despite several strong points, this study has too much quantity of actual poof analysis data, too little back testing data. It also needs actual poof analysis through the interest rate model in the case of Monte-Carlo simulation. Regretfully, this thesis does not contain other methods such as EVT, GPD, GARCH which may get better results and it needs to measure maximum loss scale with stress test

      • 學生의 心理的 特性과 工夫活動과의 關係

        김동기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 educational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nteractional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Its theoretical background has been mostly cognitive and humanistic psychology, Especially, studying, that is, student autonomous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rom the educational research field. Study activities has been reporte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stud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eral intelligence, prior achievement, self-concept, test anxie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egre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m. Subject were 120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yung-gi province. They were fifth grade male and females students. Instruments were those that have been used widely in the academic field except one which aimed to measure prior achievement in reading and math. The latter was teacher-made.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correlation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correlation. The computer program was SPS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y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cond, female students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rd, for male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was the most reliable predictor of their study activities. Fourth, for female students, both academic self-concept and study activities. These research results implied that student study activities would be affected by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such as academic self-concept and prior achievemen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se characteristics among those people who lack them. Mostly conclusions are precarious, however. Much research is need in this field.

      • 韓國 工藝敎育의 役割과 位置

        김동기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보화 사회의 가속화로 인해 사회는 여러 분야에 걸쳐 급격하게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의 미술(美術)에 있어서도 변화에 대한 자각을 일으키고 있다. 즉 과거의 관념적인 미술관에서 벗어나 실생활에 적용하며, 기능미(機能美)를 창조하여야 하는 단계에 접근하게 만든다. 이러한 기능미를 목적으로 하는 공예(工藝)는 미래사회의 화두(話頭)로 부각 될 것이다. 과거 산업혁명이후 공예와 공업의 분열화(分列化)와 디자인의 대두는 인간성 회복이라는 문제를 낳게 되었고,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분열화와 무분별한 디자인의 영역확대는 공예의 퇴진과 공업의 낙후를 부추기는 현상을 낳았다. 이러한 결과로 다시금 이들의 통합이 요구되는바 모체로써의 공예의 역할(役割)과 위치(位置)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어진다. 이에 공예와 공업의 협조는 필연적이며, 더욱이 공예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공예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미래사회의 비젼으로써 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인간교육의 관점에서 감수성(感受性), 창의성(創意成), 심미성(審美成), 품성(品性)을 기를 수 있는 미술교육은 미적인 표현이나 기술만을 가르치는 단순한 기능교육이 아니라, 조형활동(造型活動)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상을 구현하는 중요한 인간교육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공예교육은 모체로써 역할보다는 디자인의 제작 단계로 인식되어져 가고 있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육 내용 안에서 확연히 드러나는데, 제품디자인을 제작하는 과정으로써의 공예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공예는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미술교육(美術敎育)에 있어서 본 연구는 공예교육(工藝敎育)분야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현 실태에 따른 지향점을 파악하여 시대적 요구에 따른 공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 공예의 전반적인 의의와 공예교육의 흐름 그리고 학교교육의 실태에 따른 학생들의 생각을 연구 내용으로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 첫째, 수업비중에 있어서 학생들의 공예학습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학교수업은 학생들의 만족도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다. 둘째, 공예수업 과정에 있어서 실습기자제의 부족 등, 열악한 시설에 인한 제작의 어려움을 겪는다. 셋째, 재료의 연구 부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흥미 유발 저하와 두 번째 문제점과 맞물려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또한 사회인으로서도 공예의 관심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넷째, 공예수업이 생활과 동떨어진 수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예의 역할상 실생활에 놓여졌을 때 진정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공예의 참 의미를 깨닫지 못한다.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는 공예의 새로운 도약기를 준비하게 하며, 그 시발점은 공예교육의 질적 향상, 그 중요성인식,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를 요구한다. 이 논문은 한국 공예교육을 조명하는 이론적 출발점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이론적 진척이 있기를 기대한다. Today's society is experiencing rapid change in various areas, because of scientific technics development and information-oriented environmental acceleration. This is raising self-consciosness for a change in nowadays' art. That is, we are to approach to apply to our everyday life and to create the functionional beauty, escaping from past's idealogical art concept. Industrial arts that do these function beauty by purpose may be embossed by topic of society the future. Industrial arts and polarization anger of industry and large-size dry measure of design resulted problem that is human nature recovery after industrial revolution Lee past, and polarization anger by fast economic growth and area extension of indiscreet design resulted phenomenon that instigate decampment of industrial arts and falling behind of industry. Their integration is required again at present age that is such, role and position of industrial arts as mother's body are embossed more heftily. Industrial arts and cooperation of industry are necessary hereupon, and moreover, role of industrial arts design occupies important position. As vision of society the future, education does function that plan 'Aforethought change of human action'.Specially, art education that can foster sensibility, initiative,, character in vantage point of human education is not simple technical education that teach expression or description that is Mijeok, it is important human education that embody desirable image of man through modeling activity.But, nowaday industrial arts education is recognized by manufacture step of design than role as mother's body. This is detected certainly in art education contents of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is realized technologically as process that produce product design, and industrial arts is reading Seoljari. This research in these art education investigated students' ideas by general sense of industrial arts and flowing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school education to research contents to grasp intention point by function and role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field and present actual conditions. This treatise is grasping some problems through question investigation. First, while interest of industrial arts studying in class weight is high, but school class is not filling students' satisfaction. Second, the tribe of heat wicked fellow industrial arts manufacture equipment problems and material research causes result that lower interest of industrial arts as member of society furthermore rise by Gohaknyeon. Third, to class process contents that industrial arts class itself is far from life, basic role and distance of industrial arts that can feel genuine value when was put in real life are far. We which prepare the future do to prepare new spring of industrial arts, and the starting point requires qualitative upgrade of industrial arts education, the importance awareness, and in reply research. Expect that this treatise that do feeble power is lively research and theoretical progress about these field as theoretical starting point that illuminate South Korea industrial arts education.

      • 外部空間 構成要素로서의 基壇에 관한 硏究 : 忠南地域 寺刹 建築의 基壇을 中心으로

        김동기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은 내·외부 공간과 이들 사이에 놓여지는 건축물로 구성되는 건축 환경이다. 많은 외부 공간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건축 환경은 이들 구성 요소들에 의해 공간이 한정되어지고 그 영역이 구성되며, 건축물과 그 외부 공간의 성격이 나타나게 된다. 건축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외부 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에서 기단은 건축 계획에서는 물론 배치 계획에서 초기에 디자인되어지는 요소이며 전통 건축의 외부 공간을 한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보여진다. 또한, 기단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도 건축 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사찰 건축의 많은 구성 요소 중에서 기단에 의한 공간의 영역성과 위계성 등을 분석하여 기단이 가지고 있는 건축적 성향을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전통 건축 중 충남 지역에 소재하고 시대적, 역사적으로 보존의 가치가 있다고 보여지는 사찰을 중심으로 기단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기단이 갖는 건축적 역할을 분석하였다. 공간 구성상 기단이 차지하는 경계성, 영역성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공간이 갖는 위계성도 분석하였다. 전통 건축은 목조 문화에 기초한 형식이며, 동시에 내부와 외부가 총체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으로부터 분석되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내부 공간은 내부 공간만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외부 공간은 건물의 여백으로서 남겨진 것이 아니라 서로 의도된 관계로서 짝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기단의 역할은 분단된 두 면을 연결하면서 상승성과 방향성을 연출하는 물리적 통로로서의 역할과 움직임의 시각화 및 표현이라는 체험의 과정으로서의 역할이다. 즉, 기단은 단락된 공간을 적절히 분절시키고, 정지된 공간에 운동성을 주어 시간성을 부여해주는 요소로서 인식될 수 있다. 건물이 들어서기 전 경사진 대지에는 몇 개의 단이 형성되고 평탄한 대지라 할지라도 건물이 들어설 경우 인위적인 단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리적 요소로서의 단을 통하여 하나의 영역을 한정하고 계단을 통해 주변과 관계를 맺는다. 이 계단들은 축성이 강조되면서 중심성이 위축되기도 하고 또는 축성의 우위에 놓여지기도 하면서 하나의 건축물 및 전체로서의 건축물군 내에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면서 공존한다. 공간에서 영역을 설정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레벨 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공간의 변화는 단절이 아닌 연속이라는 점에서 기단은 건축 요소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기단은 공간에서 영역의 경계로서 역할을 하며 동시에 내·외부 공간의 전이역할도 하고, 레벨에 의해 위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건축 구성 요소로서의 기단은 한정적 요소로서 영역성을 확보하고 내·외부의 경계를 지어주며(물론, 단절이 아닌 연속의 의미에서), 건물과 공간의 위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석 대상 사찰은 갑사, 개심사, 마곡사, 무량사, 보석사, 비암사, 수덕사, 신안사, 신원사, 쌍계사, 장곡사, 흥주사이며, 각각 주요 마당의 폭과 너비, 마당을 둘러싼 전각들의 기단 높이 등을 실측하였다. 각 기단들이 마당을 둘러싸고 있는 정도에 따른 영역의 한정성과 마당의 폭이나 너비, 그리고 각 기단의 높이에 의한 주요 전각의 위계성을 분석하였다. 사찰이 위치한 지형적 형태에 의해 마당의 폭이나 너비가 다양하게 나타났고, 정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의 마당공간이 많이 나타났다. 기단의 높이와 마당의 너비 관계에서는 그 비례가 낮을수록 시각적인 위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각 사찰의 주요 전각과 다른 전각의 기단 높이의 분석 결과는 주요 전각이 다른 전각에 비해 기단의 높이가 높아 그 위계성을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물의 배치나 영역을 구성하고 성격을 부여하는 것에는 기단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위계가 높은 건물은 시각적 두각을 위한 장치로서 기단의 높이를 부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당의 넓이와 마당을 둘러싼 기단들의 높이 관계에 따라서 마당을 한정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기단은 단순한 건물의 초석을 놓기 위한 기능적 장치를 떠나서 건물의 성격과 특성을 반영하는 역할과 놓여지는 마당의 성격 또한 규정짓는 역할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의 경계 및 영역을 한정하는 요소로서 또한, 공간적 위계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계되는 요소이므로 주변환경과 연계하여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더욱 많은 연구가 있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석축, 계단, 기단 등이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분적 요소이지만 전체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몫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construction is the environment composed of buildings posed between both in interior and exterior. A constructional environment with many exterior spatial components is limited in the terms of space and arranged, characterizing the construction itself and outside space. There can be a lot of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structional environment. Especially among various factors, Kidan, designed in the early stage of the construction plan, seems to be the very important one in limiting external space of the traditional buildings.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Kidan and its surrounding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in the arrangement of construction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the constructional characters of Kidan among numerous parts of the old temples by analyzing its ranking and spatial roles. The constructional role Kidan has been analyzed through general study that was done through the Korean typical temples located in ChungNam area and worthy of conservation for their historical value. The ranking in space has been studied together with the bordering and limiting roles of Kindan in the space arrangement. It must be understood that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are based on wood culture and their exterior and interior are not dividable. That is to say that the interior does not exist as only interior and the outer space doesn't mean just simple space. They co-exist as one of a set each other. The general functions of Kidan are a physical passage joining two separated sides and the expression and visualizing the dynamics in the procedure. In short, Kidan can be considered a factor that divides the parts properly and allows flow of time by giving momentum in the static space. Before a building is constructed, some Dans are made on the uneven level. Even on the flat land, there could be some artificial Dans as a physical element through which one space is defined and connected with its ambience by steps. These steps decentralize the center, being fortified and laid on the fortification, and exist as an assisting element in the cluster of buildings. The easiest way of limiting space is using the level. Kidan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levels in space is connected not discontinued. And It plays a role as a boundary, a transmitter between in and out, and a ranker of the levels. Kidan, as a part of construction, has a bordering character, divides inside and outside (in the sense of connection) and plays a role of raking the space in the building. The studied temples are Kapsa, Kaesimsa, Makoksa, Muryangsa, Bosuksa, Bisamsa, Suducksa, Sinansa, Sinwonsa, Ssangkaesa, Jangkoksa, and Hungjusa. Width and Perimeter of the major fields and the height of Kidan surrounding them were measured. Major forelegs were analyzed by the extent of each Kidans height and field. There is variety of sizes of the field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emples. The fields are almost square. It is found that the less proposition of the height of Kidan to the width of the field, the higher visual level. Analysis on the heights of major Kidans and other Kidans led a decision that major Kidans are higher than others, implying ranks of them. Thus, It can be said that Kida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rranging, bordering, and characterizing the buildings. And higher ranking buildings were visualized by high Kidans. The extent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field and the height of Kidans. Its found that Kidan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the character and properties of the building and characterizing the field on which it is posed as well as the function as a corner stone supporter. It is known that Kidan has also a spatial ranking function as a limiter in boundary and space. The study should be done through it environment since all of these factors are interacted. It is believed that further study is required and stone walls, steps, and Kidan, even minor parts of construction, have their unique and important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