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색고구마 한과의 시장성에 관한 연구 : 서동한과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남희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urvey on the Marketability of the Purple Sweet Potato Korean Traditional Cookies - Focused on the Brand of Se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Administration & Cultive if Woosuk University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rketing Kim Nam Hee Korean economy has been sharply developed for 60years due to a factor in the circumstances of outside, which has led to improving national income and changing a personal life style, so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has changed.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s has been changing from a serious view of consumption into human desire for serenity of mind in the age of Well-being and LOHAS. As the Koreans' social trend has changed, to find a wa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e should build a strategy to export our own brand after checking any possibility of a market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product, an improvement in quality which apply to marketing and making a business's image. The manufacturer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have been sold only in Korean Traditional holidays have come down while our tradition has recovered. As a kind of marketing strategy, we need to make people think Korean Traditional Cookies well-being food and also to develop new products which consumers are likely to enjoy. Korean Traditional Cookies have various tastes, shapes, booming color and aroma, and manufacturing process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y are much enough to be world food. I think We should produce special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are suitable for Korean emotion with lasting challenges to them, let the world know Koreans' taste which is becoming as western taste and succeed to cultural worth of our traditional food. So with Se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as the central figure, this study has produced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de from purple sweet potatoes to get market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Through the percep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Korean Traditional Cookies of other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propensity to consum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and to build a marketing strategy for popularization of them. As the process of this study, I observed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by comparing them with western cookies through the document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and surveyed marketability of manufactures and branches by Internet Research and preceeding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after establishing the study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e have developed the various kind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de from purple sweet potatoes, have compared the price of them with other manufactures and have analysed the price to stud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m and functionality, productivity and marketability of purple sweet potatoes. We chose three manufacturers, Gy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in Kangwon Province, Shinku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in Kyunggi Province, Damya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in Cheonbuk Province as the most qualified manufacturers of all in Korea, and then compared the character and image of each manufacturer's product. We analyzed STP and 4P's of the products for a marketing strategy and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As the result, Se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have suggested that we should change consumers' knowledge to Korean Traditional Cookies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new products. With Se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as the center figure, we observed the vis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brand and the image of the enterprise of the other manufactures for brand launching. The result is as below. 1. Since Korean Traditional Cookies didn't have various kinds of products than European Cookies, so that we developed new products made from well-being purple sweet potatoes for children. 2. There are many manufacture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price and we will make all people ,old people and young people, have lasting attention to Korean traditional Cookies. 3. Through the activ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in order to reclaim new markets and improv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to find larger markets abroad, we will try to approach the customers. 4. We will try to have consumers see Korean Traditional Cookies in new light which have been thought as only traditional food and will to carry out to add small packing set sale to the existing sale way. This result showed us it is possible to reclaim laten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markets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so that we could knew that we should study and develop strategically with improving standardization of the way of manufacturing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products, developing new products which are worth the price, product sales for globalization of the circulation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and an advertisement for sales improvement If advertising the excellency of effect of Seodo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product in Iksan city, building service quality for consumers and the image of brand, and then looking for and carry out the way of sales promotion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s based on a marketing strategy, we could expect the possibility of markets of purple sweet potatoes Korean Traditional Cookies will be a chance to succeed as a business. 국 문 초 록 자색고구마 한과의 시장성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김남희 한국전통 식문화는 60여년 동안 외부의 환경적 요인으로 한국경제가 급변해지고 발전되어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되어왔다. 소비자의식은 소비를 중시하는 것보다 ‘안녕과 건강’이 강조되는 ‘웰빙(Well-being)과 로하스(LOHAS)시대’를 맞아 여유로움을 선호하는 인간의 욕구로 바뀌고 있다. 국민의 사회적인 트렌드가 변화됨에 따라 한국 전통음식인 한과의 세계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전통한과제품의 시장가능성을 파악하고, 마케팅에 적용되는 품질의 향상과 기업의 브랜드이미지를 갖추어 고유 브랜드를 수출하는데 전략을 세워야한다. 현재, 우리나라 한과제조업체는 명절에만 단기간의 판매형태가 되었던 것이 한과의 전통성이 살아나면서 맥을 이어왔다. 전통한과는 마케팅전략 산업으로서 웰빙의 바른 먹거리로 부각시키고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신제품개발이 필요하다. 한과제품은 다양한 맛과 모양, 은은한 색과 향, 그리고 제조과정이 발전되어 세계음식으로 손색이 없다. 그래서 전통한과의 끊임없는 도전정신과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색다른 한과를 생산하고, 서구화의 형태로 변모하는 소비자의 입맛을 세계적으로 알려서 전통식품의 문화적인 가치를 계승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익산지역의 특산품인 서동한과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식품의 시장성을 확보하고자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한과를 제조하였다. 타 지역의 한과와 차별화된 제품의 인지도를 통해서 전통한과의 소비형태를 바꾸고, 다양성과 기능성이 있는 전통한과의 대중화를 목표로 마켓전략을 세우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과정은 한국전통한과의 문헌을 통해 서양과자와 다른 한과의 특징으로 한과의 종류와 우수성을 살펴보고, 자색고구마 한과의 연구방향 전개모형을 설정하여 한과업체의 시장동향과 시사점들을 인터넷 리서치와 한과제품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한과제품의 제조과정과 자색고구마의 기능성, 생산성, 시장성을 연구하기 위해 자색고구마 한과의 다양한 성상을 개발하고, 타 업체와 서동한과제품과의 가격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대표적인 한과업체로서 강원도 교동한과, 경기도 신궁전통한과, 전라도 담양한과 3개 업체를 선정하여 서동한과와 각 업체의 제품의 특징과 종류에 따른 제품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셋째, 서동한과의 마케팅 전략을 위해 제품의 STP와 4P's를 분석하고, 한과제품의 문제점을 비교 조사해서 서동한과가 지역특산물로서 소비자에게 한과의 인식을 재현하여 신제품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서동한과를 중심으로 타 업체의 한과브랜드의 비전과 기업이미지, 브랜드 런칭을 위해 제품의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첫째. 양과자에 비해 한과는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성상의 제품이 미흡하여 서동한과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건강식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성상을 개발하였다. 둘째. 소비자가격이 한과업체 과다출현으로 경쟁이 높아져 연간 탄력적인 가격인하와 고령층과 신세대를 포함한 다연령층의 고객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한다. 셋째. 다양한 한과제품개발이 부족하므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위해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와 한과의 세계화의 모색으로 해외진출을 위한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고객에게 접근한다. 넷째. 소비자에게 명절음식으로 인식되어진 한과의 정체성을 재인식시켜 상시 판매되는 다품종 대량생산 및 판매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의식변화와 소포장세트 판매를 실행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로서 한과제품은 잠재적인 국내외시장 개척이 가능하여 한과제품에 대한 제조방법의 표준화개선, 한과가격에 대한 브랜드에 맞는 신제품개발, 한과유통에 대한 세계화를 위한 제품판촉, 한과촉진에 대한 매출향상을 위한 홍보와 함께 전략적으로 연구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자색고구마 한과의 시장가능성은 익산지역 서동한과제품의 효능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하여 마케팅전략에 따른 한과제품의 판매촉진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면 기업으로서 성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교과 연계 독서과제 탐구학습을 적용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사례 연구

        김남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new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by adapting course-related reading to social studies classes in middle school, introducing real teaching examples,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ourse-related reading class with the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learning approach of students . The stag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 in the theoretical stage of this study, this study explored the definition and principles on reading education in school and its curriculum, and the significance on reading in social studies and the teaching instruction recommended bysocial studies education. In addition, an ideal learning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gainst teacher-focused and standardized education of social studies recommended for a while was deeply examined. Also, achievement of previous studies on reading curriculums was thoroughly analyzed. Second, in the teaching method development stage, an ideal learning model for students with a use of various reading materials was examined after analyzing documentary research, survey, and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an educational model by utilizing reading materials with inquiry learning tasks has been developed, which will help to select a unit in textbook appropriately and study with various activities such as historical newspaper making, mock trial, writing on history and deep discussion. Third, a total of seven practical classes were held over eight weeks from March 8, 2010 to May 3, 2010 on 85 eighth graders of two classes in middle school. In order the classes to be effectively held, students’ reading conditions, reading tendency, interest in the subject, self-directed learning approach, and course-related reading conditions were thoroughly analyzed, whose result was used to develop the new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 materials for reading inquiry learning. Fourth, in the analyzing stage dealing with the results of the classes, reading conditions, reading tendency, interests in the subject, self-directed learning approach were analyzed based on survey, class observation, students’ reports and materials during lessons. As for surveys, a total of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e survey was carried out over three days from March 8th, 2010. In this first survey conducted before starting the classes, a total of 8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ll of them were successfully collected. As for the after-class survey, other 8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tween April 3, 2010 and May 3, 2010 in the two classes and all of them were successfully collected. The analysis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rawing students’ attention in social studies by letting them learn various studying methods and have active studying activities, not using one-sided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textbooks and teachers-centered approach. Second, through reading education associated with social studies, students could feel the impression of lives and improve the power of imagination by dealing witha range of reading materials which they normally could not learn in school, which also improved the power of thought as well as reading habit. Third, with continuous encouragement when their doing the inquiry learning tasks, students could find successfully find appropriate books to resolve the tasks and useful information by themselves even when the answers were not given to them. Accordingl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remarkably improved. Fourth, there has been a huge change in terms of the conception of reading. Reading lessons with inquiry learning tasks led a reader to read a book in an attentive and careful manner with a distinct goal, because the reader has tasks to resolve. Since this new teaching method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ading instruction forcing a student to write a book report after reading an educational book,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activity better through the new teaching method. Fifth, course-related leading lessons led students who only used to read fantasy novels and comic books in the past to get interested in reading recommended books for adolescence and educational books. Also, students started to select and read books with a new and upgraded criterion. Sixth, students’basic learning skills were highly improved through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basic learning skills, variously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were used during each lesson, which stimulated students’ interest and desire toward learning. Also, students could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extensive reading, which would help them to understand other subjects betterwhile teachers would feel easier to teach and understand them. Seventh,students could learn how to discuss logically and critically and how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various group activities in resolving learning inquiry tasks. In addition, students voluntarily went to library to read books which were given to them and they acquired active learning approach and learned respect for others and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There were lots of difficulties in proceeding to the reading lesson with inquiry leaning at first with lack of confidence on the new teaching method, giving the teacher lots of burdens when preparing for the lesson. However, if a teacher patiently observes how students resolve the tasks and helps them, the teacher will be able to make more efficient educational atmosphere with a feeling of reward and satisfaction as an academic adviser as well as a learning organizer. Moreover, this new teaching approach will help students who are going to lead the future to become lifelong active readers. 본 연구는 독서를 수업의 공간에 끌어들여, 교과 학습 내용과 독서 활동을 연계하고, 교과 학습 능력 및 독서 태도 형성을 목적으로 교과연계 독서 과제 탐구학습을 적용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사례 제시와 수업 과정에서의 학습 반응을 비교해 교과 독서를 활용한 사회 수업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연구 단계로 교과 독서의 개념과 교과 독서 프로그램의 구성 방향 및 구성 원리, 사회과 교과 독서의 의의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사회과 교수․학습법에서 강조한 교사 획일주의 수업에서 벗어난 자기 주도적 학습의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과 독서 수업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고찰하였다. 둘째, 수업안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조사, 설문조사, 교과서 분석을 기반으로 독서과제를 활용한 탐구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기반으로 학습 단원을 선정하고 단원 내용에 따라 역사신문 만들기, 모의재판, 역사글쓰기, 찬반 토론을 적용한 독서 과제 탐구학습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수업의 실제 단계에서는 중학교 2학년 2개반 85명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효율적인 수업을 위하여 사전에 교과흥미도, 독서실태, 독서경향, 학습독서, 자기주도적 학습 등 학습자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교수․학습과정안 및 독서과제 탐구학습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넷째, 수업 결과의 분석 단계에서는 설문조사, 수업관찰, 학생들의 보고서 및 탐구 학습지를 기반으로 독서실태, 독서경향, 교과흥미도, 자기 주도적 학습 측면, 교과연계독서교육 측면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설문조사는 사전조사의 경우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11일까지 총 85부를 배부하여 총 85부를 회수(회수율 100%)하였고, 수업 후 설문조사는 수업을 적용한 2개 반 8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3일까지 총 85부를 배부하여 100% 회수하였다. 수업 결과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과제 탐구학습에 의한 수업은 지금까지 일방적인 교과서 중심, 교사 중심의 수업의 틀을 과감하게 벗어나 학생들에게 지루하게 설명만 듣는 수업이 아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탐구 방법의 습득과 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전개해 사회 교과 흥미를 높이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 하였다. 둘째, 사회 교과 학습과 연계한 학생 활동 중심 독서교육을 통하여 삶의 감동을 느끼고 상상의 힘을 길러 주며 수업 시간외 배우지 못한 부분을 폭 넓게 접함으로서 사고력의 향상과 독서에 대한 습관을 길러 줄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과제 해결을 위한 학습 도서를 찾아 읽고 다양한 정보 자료를 스스로 찾아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과제에 대한 직접적인 해답을 제공하지 않고, 학생들의 과제 탐구 과정을 격려해 줌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 되었다. 넷째, 독서 대한 기존 인식이 변화되었다. 지금까지 독서는 교양을 쌓는 교양 도서를 읽은 후 독후감쓰기 중심이었다면 과제 학습으로서의 독서는 교과 학습이 지니고 있는 과제 의식 밑에서 책을 읽기 때문에 읽기의 목적이 뚜렷한 독서 활동이므로 그 중요성이 더 크게 인식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환타지 소설이나 만화책을 주로 읽던 것에서 교과와 연계한 독서 지도로 청소년 권장 도서 및 학습과 관련된 책을 읽는 등 도서선정에 대한 학생들의 기준도 크게 달라졌다. 여섯째, 다양한 독서 활동을 통해 기본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각종 자료를 수업 과정에 투입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불러 일으켰으며, 다양한 독서를 통한 배경 지식이 활성화되어 교수․학습 활동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일곱째, 모둠 협력 탐구 학습의 기회를 통해서 자신의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 책임감 있게 수행하고 민주적인 토론과 협동심을 높이는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과제도서를 읽기 위해 자연스럽게 도서관을 찾게 되었고 적극적인 학습 태도와 동료애, 타인을 존중하는 자세를 기를 수 있었다. 처음 독서과제 탐구수업을 시도했을 때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적응하지 못하여 의도 했던 학습 목표 달성에 어려움도 많았다. 그러나 점차 독서를 통해 과제를 탐구하고 학습 내용에도 반영하여 성취감을 느낀 학생들은 점차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독서는 더 이상 교과 공부나 숙제와 별도로 시간을 내서 하는 것이 아닌 독서가 곧 학습 활동으로 이어졌다. 독서과제 탐구수업이 교사에겐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준비와 실천에 큰 부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끈기를 갖고 학생들의 과제 해결 과정을 지켜보며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 과정을 도울 수 있는 학습 환경 설계자이며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면 보람을 갖고 새로운 교육 여건을 선도할 수 있는 수업이라 생각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우리의 미래인 학생들을 평생 적극적인 독서가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김남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日文抄錄 朝鮮末期の聞慶観音里望同窯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高麗大學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敎授指導 方 炳 善 本研究は、1800年から1910年までを中心に、聞慶観音里望同窯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にした。具体的に当時の分院(ウンウォン)の性格と変遷、朝鮮時代の分室窯と連室窯の性格、望同(マンドン)窯の起源と伝播、聞慶観音里望同窯の現況と当時匠人の製作技術、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の遺作の様式変遷分析が主な内容である。 研究方法として分院と沙器匠関連の文献資料を分析し、分院の制度変遷と背景、分院貢所の廃止と変化、匠人の構成と特徴などについて調べてみた。また、分室窯と連室窯を分ける基準を提示し、朝鮮18世紀以後の連室窯の出現と連室窯としての望同窯の特性をより明らかにした。聞慶観音里望同窯と同一時期の朝鮮の他の地域の望同窯はもちろん、中国と日本の窯と比較し、これらから聞慶望同窯の独特な地理的・工学的特徴についての調べてみた。更に、最先端装備といわれる3Dスキャニングを動員して窯の全般的大きさを測定し、望同窯再現のための正確なデータを作成した。金備安の孫である沙器匠の金正玉と曽孫の金璟植の協力で望同窯を築造し、望同窯の工学的優秀性と窯も耐久性について調べてみた。また、望同窯を実際に使用した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たちの製作技術を道具と原料、製作過程に分けて考察し、その沙器匠たちの遺物を分類し、様式的に分析してみた。 このような研究を通じて、望同窯は聞慶地域の独特な窯で、類似している形式が全羅南道一帯と忠清道に残ってあるが、窯の底の形が異なり、時期的にも聞慶望同窯は早いという結論を出した。また、朝鮮の望同窯を中国や日本の鷄籠窯と比較し、朝鮮の望同窯が独特な材料と築造方式の釜であることを確認した。最後に、金備安(雲熙)、金敎壽沙器匠の遺作を分析し、朝鮮末期から日帝強占期にかけた時代様式だけでなく、地方沙器匠の個人様式の内容も考察した。 ABSTRACT A Study on the Mangdong(望同) Kiln of Munkyung(聞慶) Kwanyin-ri(觀音里) in the Late Joseon Dynasty(1800-1910) Kim, Namhee Master Thesis Department of Archeology & Art Histor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 Bang, Byungs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Gyungsang Province in Korea, which had been in use for approximately 160 years from 1843 to 1999. A Mangdong Kiln is a traditional Korean kiln built with Mangdangyi(a name of clay material used for building a porcelain kiln of Korea), a conical clay. A Mangdong kiln was recorded in the year of 1903 to be built by the potter, Kim bi-an(Wunhee, 金備安) in the Diary(荷齋日記) of Ji Gyu-sik(池圭植) who, as a government official tribute manager, directed Bunwon tribute kiln(分院貢所) of Joseon dynasty, had written it for 20 years from 1890 to 1910. This research literature is the very first find related to Mangdong Kiln. Then who is Kim bi-an? Kim bi-an had made porcelains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for generations, which was known to be built by his grandfather, Kim young-su(金永洙) in 1843, and the grandson of Kim bi-an is Kim jeong-ok(金正玉), a kore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05. For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documents, in the period of 1800 to 1910, about producing royal porcelains and the tribute system of porcelain to inquire into the nature and change of Bunwon, a Royal kiln of Joseon dynasty. And to look into the origin of Mangdong Kiln, I used 3D scanning to measure the accurate sizes of the kiln of Munkyung Kwanyin-ri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a divided kiln and a continuous kiln during Joseon dynasty(1392-1910) and compared it with Chinese and Japanese continuous kiln, JIlong(鷄籠) kiln. Investigating other Mangdong kilns, so far, excavated in Korea and comparing each other including Munkyung Kwanyin-ri kiln in whole length, the form of chambers, a degree of slope, etc, I attempted to find the origin and characterize the local style of Mangdong kiln in Korea. Recreating a modern type of Mangdong Kiln in the potter's work place of Kim Jeong-ok and actually surveying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with the detailed directions by Kim Jeong-ok, a grandson of Kim bi-an(Wunhee), I tried to feature the operating merits of Mangdong Kiln in production and the potte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porcelains of craftsmen produced in Munkyung Kwanyin-ri Mangdong Kil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 examin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local artisans such as Kim bi-an and his son Kim gyo-su(金敎壽) who worked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Finally I concluded that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was a unique and prime local kiln which was firstly recorded to be built in 1843, comparing with other Mangdong kilns of Jeolla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Its type of firing chambers and the technique of building kiln was different from others. And I supposed on the resonable research basis that a Mangdong Kiln of Korea was a independently developed continuous kiln built with special material, Mangdangyi which was, so far, never found to be used neither in China nor Japan. And I found not only individual styles of Korean local potters such as Kim bi-an and Kim gyo-su who worked in Mangdong Kiln of Munkyung Kwanyin-ri but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and periodic local styles of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中文抄錄 朝鲜末期闻庆观音里望同窑研究 金 南 姬 碩士學位論文 高麗大學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美術史專攻 敎授指導 方 炳 善 本研究以朝鲜末期分院贡所的匠人池圭植写作《荷斋日记》记载中,从1903年4月10日‘破窑处 使闻庆金备安 筑 望同窑 二间’记录中而来,考察从1800年至1910年以闻庆观音里望同窑为中心。为了本研究主要分析当时分院(Bunwon)的特色及变迁、朝鲜时代分室窑与联合室窑的特色、望同窑(Mangdong Kiln)的起源与传播、闻庆观音里望同窑的现状与当时匠人的制作技术、金备安(云熙)与他的子金教寿沙器匠遗作的样式变迁。 研究方法,首先用来分析分院和沙器匠人相关文献资料,从司饔院分院的制度变迁和该背景、分院贡所的革除及变化、匠人的组成等特点可以看出。接下提出分室窑和联室窑的区分标准,因此可明确了解朝鲜18世纪以后出现联室窑和属于联室窑的望同窑的特点。并且有比较出包括与闻庆观音里望同窑同一时期朝鲜其他地区的望同窑、中国及日本的窑(kiln),透过比较结果,考察出闻庆望同窑独特的地理以及工程特点。 此外,为了重现望同窑,使用了被称之为最顶尖设备的3D扫描仪器所测量的正确数据。亦以金备安的孙沙器匠金正玉和曾孙金璟植所帮助而筑造望同窑,因此得知望同窑工程方面的优秀性、窑的耐久性及经济性。接著将望同窑实际使用过的沙器匠金备安、金教寿之制作技术,以工具和原料、制作过程而来考察,从沙器匠他们的遗物进行分类和样式分析。 透过这些研究可得知以下的结论;望同窑作为闻庆地区独特的窑,即便在全罗南道一带与忠清道还遗留类似形式的窑,但依据文献记载及窑床的平面形状有所不同,因此认為闻庆望同窑可能先于其他望同窑。进而朝鲜望同窑与中国、日本的鸡笼窑相比,可发觉朝鲜的望同窑在材料和筑造方式方面具有独特性,即是朝鲜自生的窑。最后,分析金备安、金教寿沙器匠的遗作, 不仅考察以朝鲜末期到日治时期为止的时代样式,还考察地方沙器匠个人的样式。 조선 말기 聞慶 觀音里 望同窯 연구 김남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전공 지도교수 방병선 본 연구는 조선 말기 分院貢所의 공인이었던 池圭植이 1890년부터 1910년까지 20여 년간 쓴『荷齋日記』1903년 4월 10일에‘破窯處 使聞慶金備安 築 望同窯 二間’이라는 기록에 착안하여 1800년 이후부터 1910년까지를 중심으로 聞慶 觀音里 望同窯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分院의 성격과 변천, 조선시대 분실요와 연실요의 성격, 望同窯의 기원과 전파, 문경 관음리 망동요의 현황과 당시 匠人의 제작기술, 金備安과 그의 아들 金敎壽 沙器匠 유작의 양식 변천 분석을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분원과 사기장인 관련 문헌 자료를 분석하여 사옹원 분원의 제도 변천과 배경, 분원공소의 혁파와 변화, 장인의 구성과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실요와 연실요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조선 18세기 이후 연실요의 출현과 연실요로서 망동요의 특성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문경 관음리 망동요와 동일 시기 조선 다른 지역의 망동요는 물론, 중국과 일본 가마와의 비교를 통해 문경 망동요의 독특한 지리적·공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첨단 장비로 불리는 3D 스캐닝을 동원해서 가마의 제반 크기를 측정하여 망동요 재현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김비안의 손자 김정옥(중요무형문화재 105호 사기장)과 증손자 김경식(사기장 전수조교)의 도움으로 망동요를 축조하여, 망동요의 공학적 우수성과 가마의 내구성 및 경제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망동요를 실제 사용했던 김비안과 그의 아들 김교수 사기장의 제작기술을 도구와 원료, 제작 과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들 사기장의 유물들을 분류하여 양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망동요는 문경 지역의 독특한 가마로, 유사한 형식이 전라남도 일대와 충청도에도 남아 있지만, 가마 소성실 바닥의 평면형태가 다르고 문헌자료와 출토유물을 근거로 시기적으로도 문경 망동요가 앞선 것으로 결론지었다. 또한 조선의 망동요와 중국과 일본의 鷄籠窯를 비교하여, 조선의 망동요가 자생한 것으로 독특한 재료와 축조 방식의 가마임을 밝혀내었다. 끝으로 김비안, 김교수 사기장의 유작을 양식 분석하여, 조선 말기에서 일제시대에 걸친 시대 양식 뿐 아니라 지방 사기장 개인 양식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김남희 중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전공 김남희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1명(남: 161, 여: 37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다문화역량과 관련된 변인 간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형이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초기에 설정한 연구모형에 비해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경로를 제거한 경쟁모형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은 타인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 대한 신뢰, 적극적인 사회참여, 호혜적 규범 등의 총합으로서 그 사회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을 둔 개념이다.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결국 국내 이주민과 내국인을 포함한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호혜적 규범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이 다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교육적 지원을 수행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적 풍토가 형성될 수 있도록 실천적 교육과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수용성은 타 문화권과 국내 이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및 차별적 요소를 배제할 때 상호교류 행동의지가 발현된다. 이러한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질수록 다문화감수성(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과 다문화역량(지식, 태도)을 함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류 문화사의 관점에서 대학생이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가질 수 있도록 대학은 충실히 지원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은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 사회자본과 다문화감수성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역량이 높으며,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이 유의미하게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각 변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성찰과 교육적 처치를 실행할 수 있는 사회와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사회자본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여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예비교사 대학생이나 특정 학문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는 대학생 대상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수도권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비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실시하여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집을 확대하는 동시에 층화추출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써 사회자본의 역할을 중요시하여 다문화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였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다문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커다란 사회구조와의 맥락 속에서 다문화 변인의 영향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또 다른 변인 발굴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실태에 관한 국가적 조사와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초․중등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접근이 비교적 상세히 진행되어왔으나 대학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대학 실태조사를 통한 다문화 관련 교육 로드맵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공익광고디자인 지도방안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김남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 시대에 자국 문화에 대한 정체성이 강조되면서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교육과정의 성격에서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자긍심을 길러 전통 미술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미술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자국문화를 이해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수업지도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서구문화에 편중된 교육과정의 구성과 자국문화에 관한 구체적 교육 프로그램의 미비 등으로 인해 전통 미술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지도방안의 부재로 교육현장에서 일반화되는데 어려움을 격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공익광고디자인으로 제작해 보는 수업 지도 방안을 통해 학습자들이 민족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고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6대 분야를 중심으로 공익광고디자인의 주제를 설정하고 민족문화에 대한 탐색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둘째, 공익광고디자인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민족문화 상징을 시각화시켜 표현 해본다. 셋째,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공익광고디자인을 주제로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6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중학생 남・여 140명에게 적용하고 수업과정과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공익광고디자인의 사전․사후 검사와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수업적용 전・후의 설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공익광고디자인 지도방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디자인 분야에 적용하여 공익광고디자인으로 제작함으로써 자국문화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수업지도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민족문화상징을 스스로 조사하고 탐구하는 준비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민족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아이디어 발상의 계기를 마련 할 수 있었다. 셋째, 같은 문화상징이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공익광고디자인으로 제작되는 것을 통해 하나의 문화상징이 다양하게 접근되어 표현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수업 전・후의 설문 결과와 수업과정 관찰을 통해 중학생들에게 자국의 문화에 대해 체험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이 본시 학습에 임하기에 앞서 민족문화 상징이라는 용어 자체를 생소하게 받아들였으나 자료조사과정을 통해 자신이 선정한 민족문화 상징에 대해 차츰 알아가게 되고 모둠별로 6대 분야를 두루 살펴 봄으로써 서로의 문화상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학습자들이 민족문화상징의 우수성을 공익광고디자인 형식으로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고민하고 자신만의 표현의 결과로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고 관련 미술교과 내에서 다양한 수업지도 방안으로 구체화시켜 나가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교과에서 한국 민족문화상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자국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탐구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 로웰 리버만의 『어린이를 위한 앨범, Op.43』 연구 분석

        김남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음악보다는 고전과 낭만시대 작품이 연주회의 주류를 이루는 요즘, 현대 곡의 연구와 연주를 통하여 작품을 널리 알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대표적인 미국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인 로웰 리버만(Lowell Liebermann, 1961~ )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는 신고전주의와 신낭만주의의 영향을 모두 받았으며, 끊임없는 음악적 시도를 하며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추구하였다. 그의 피아노곡인『어린이를 위한 앨범(Album for the young, Op. 43)』은 리버만의 작곡 경향을 잘 보여주는 피아노곡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웰 리버만의 생애와 전반적인 곡 경향을 통해 리버만의 음악적 세계를 알아보고『어린이를 위한 앨범(Album for the young, Op. 43)』을 분석하였다. 이 곡은 제목처럼 어린이를 위한 앨범이고 18개의 모두 다른 제목으로 이루어진 성격 소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각각의 제목을 살펴보면, 음악적 해석에 대한 영감과 상상력을 얻을 수 있다. 연주 기교적 측면을 살펴보면 이 곡은 기본적이고 쉬운 곡부터 어려운 테크닉을 요구하는 곡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린 피아니스트들을 가르치기에 적절한 곡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곡은 어린이를 위한 앨범이지만 어른들에게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통해 향수를 불러일으킨다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리버만의 『어린이를 위한 앨범(Album for the young, Op. 43)』를 통하여 그의 음악적 특징, 작품세계를 연구하여 이 작품을 연주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t is important that the present work become known as playing and studying the work because the Classicism and Romanticism works are frequently played more than the modern works in the concert. In this paper we studying about Lowell Liebermann who is one of the famous American composers in present age. His composing style is impressed by the Neo-classicism and Neo-Romanticism, and he constantly try to make a music and pursued himself music through again analysis regarding works of other composers. And can be discovered for his piano album,『Album for the young, Op. 43』. In this paper, we study Lowell Liebermann's the musical style in through his musical life and analyze his piano album,『Album for the young, Op. 43』. His album is for young pianist like album title, and consists of 18 titles which show his inspection and imagination for music. In technical aspects, this album is sufficient for teaching young pianist because it is composed of musics with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Also this album is not only for young but for adult who can feel a nostalgia about their childhood. This thesis purpos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nd playing Liebermann's works.

      • 정보과학 영재 교사 양성에 관한 연구

        김남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이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 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의 능력과 자질, 흥미에 따라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창의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 및 나아가 국가의 발전과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일 것이다. 정보과학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활성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보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양성과 연수 프로그램의 실시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준 높은 정보과학 영재 교육이 실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재교육을 담당할 전문적 자질을 갖춘 교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양성하고 임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정보과학 영재 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가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기존의 영재교육 담당 교사에게 영재교육연수를 실시하여 전문적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과학 영재교사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 나라 영재교육의 문제점을 최소화하여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and problems faced by teachers when instructing exceptional students. So, The intent of this is to eliminate any major obstacle that may impede the progress of these students and thus allow them to fully realize their potential. The challenge posed by this study us to identify individuals who poses an exceptional amount of potential in regards to a specific field of study and provide them with a more systematic education that best fits their abilities. The program design should be geared towards personal growth or determinating the best ways that the nation can benefit from the individual abilities through creative thinking. One of the main criteria of these teachers is to improve upon their ability to instruct such exceptional students. Such an improvement in the teachers should lead to a direct rise in the capabilities of those in the information sciences. Korea must place more focus on gifted education and offer the resources necessary to utilize these assets to their full potential. Legistation should be past that would create on education system that will offer gifted students more practical experience in their field of study.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hat will be best suited to training prosectiv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proceed with advanced gifted education programs, it was requested that the government develop such programs using a select group of specialty teachers from the prese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