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 하남산업단지 사업장별 악취물질 관리방안 연구

        김난희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was analyzed substances that high contribute to odor strength degree which emitted from the painting, the plating, the casting, the rubber manufacturing , and the used oil refining facilities in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In order to this, we analyzed two types of nitrogen compounds, five types of sulfur compounds, thirteen types of the aldehyde, and ten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charged from an outlet for antipollution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high contribution rate sustances to odor strenth was ordered butylaldehyde(73.8%)>acetaldehyde(17.7%)>propionaldehyde(4.9%) at painting facilities. At pla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59.0%)> ammonia(19.1)>hydrogen sulfide(13.1%). At cas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Hydrogen sulfide(65.9%)>acetaldehyde(17.2%)> sulfur dioxide(5.2%). At rubber manufactur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i-valeraldehyde(35.0%)> butylaldehyde(32.0%)>n-valeraldehyde(13.3%) and at used oil refinery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36.8%)> butylaldehyde(33.6%)> sulfur dioxide(14.5%). Key Words :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painting facilities, plating facilities, casting facilities, rubber manufacturing facilities, used oil refinery facilities, odor contribution rate. 본 연구에서는 광주 하남산업단지 내 도장, 도금, 주물·주조, 고무제조, 폐유정제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장별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지시설 배출구에서 질소화합물 2종, 황화합물 5종, 알데하이드류 13종, 휘발성유기화합물 10종, 총30 항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은 도장사업장에서는 뷰틸알데하이드(73.8%)〉아세트알데하이드(17.7%)〉프로피온알데하이드(4.9%) 순으로 나타났고, 도금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59%)>암모니아(19.1%)>황화수소(13.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물·주조사업장에서는 황화수소(65.9%)>아세트알데하이드(17.2%)>이산화황(5.2%)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무제조사업장에서는 I-발레르알데하이드(35.0%)>뷰틸알데하이드(32.0%)>n-발레르알데하이드(13.3%)으로 나타났다. 폐유정제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36.8%)>뷰틸알데하이드(33.6%)>이산화황(14.5%)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광주 하남산업단지, 도장사업장, 도금사업장, 주물·주조사업장, 고무제조사업장, 폐유정제사업장, 악취기여도

      • 사회불안 아동에 대한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김난희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회불안 아동에게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키는가, 둘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가이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명, 2명씩 배치하였다.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집단 내에서의 격려, 지지를 통해서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낙관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공동체감을 높임으로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사회불안이라는 이들의 열등감을 찾아내어 잘못된 목표를 수정하고 자신의 장점과 노력에 초점을 맞춰서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1회기 60분, 총 10회 기로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는 도입, 활동, 마무리로 실시되었다. 아동의 사회불안 변화는 사전, 사후에 아동이 보고한 사회불안 척도와 교사가 보고한 사회불안 척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측정된 점수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의 변화는 프로그램 초반인 1회기와 마무리 단계인 10회기에 관찰자 척도검사에서 측정된 점수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켰다. 둘째,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사회불안 아동의 행동적 특성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수사례 실험연구로 일반화의 제한점이 있으나, 격려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불안을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in an effort to ease their social anxiet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Does an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change the social anxiety of children? Second, Does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chang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ocially anxious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selected children who used a loc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three and two children respectively.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used in this study aimed to help children to be encouraged and supported from their group to take an optimistic attitude toward not only the lives of their own but of others to become more community-minded to relieve social anxiety. The program was designed to remedy their inferiority complex, namely social anxiety, in order for them to correct their improper goals, to focus on their own strengths and efforts, to believe in themselves and ultimately to solve their problem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and each session consisted of orientation, activity and wrapping-up stages. As for changes in the children's social anxiety, two different scales were utilized. One was to have the children make a report of their own social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other was to have their teacher report on their social anxiety.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after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llected. Regarding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anxious children, an observer scale was used in the 1st session and the 10th session, which were respectively the beginning and wrapping-up stage of the program, to measur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to compare their sco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served to change the social anxiety of the children. Second,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served to chang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anxious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as only a small number of cases were selected to make an experimental research. but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encouragement-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contributed to the changes of the children's social anxiety.

      • 북한 통치이데올로기의 형성·변화와 사상교육에 대한 연구

        김난희 강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Juche Idea, for which it examines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Juche Idea research, and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Juche Idea. It investigates how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has effected on North Korea political system and what functions and status Juche Idea has maintained. Moreover it focuses on how idea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in North Korea. Juche Idea is a ruling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 cause, the protection of North Koreans and socialist regime. As a matter of fact, it is impossible to have a thorough grasp of North Korea without understanding Juche Idea. Juche Idea is a ruling ideology which has been continuously reformed by the demands of times and realities. Juche Idea reflects a power-oriented will of Kim Il-Sung, and plays a role of political guidance in North Korea. However, Juche Idea is neither permanent nor unchangeable. Juche Idea has to change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In spite of the rapid transition of political and social system in the Soviet Union and the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government has succeeded in protecting its system by emphasizing the excellence and originality of socialism of their own styl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is has been possible wholly due to Juche Idea. It will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Juche Idea, and also to understand the substance and essence of North Korea system by accounting transition process of Juche Idea. Every communist regime has a ruling ideology based on Marxism-Leninism. The ruling ideology, which all the members are forced to support and obey, controls the whole aspects of social system. In the case of a communist system, a ruling ideolog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ursuing existence and development. North Korea Communist Party also has been founded on Marxism-Leninism, but since Kim Il-Sung advocated 'Juche in the Party Project' in 1955, Kim's new idea became theoretically elaborated, systemized and then evolved into Juche Idea. And then 'Red Flag Idea' appeared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and 'Kangsong Taeguk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and 'Songun Chongchi (Military-First Politics)' did after the establishment of Kim Jung-Il regime. They are practical ideologies that were derived from Juche Idea, which means that they were modified versions of Juche Idea in terms of contents and framework. They are also dominant logics that regulate North Koreans' lives. Therefore we can see Juche Idea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and the nature and character of Juche Idea as a ruling ideology in North Korea has been transformed by KIm Il-Sung and Kim Jung-Il's political objectives. However the weakest point of Juche Idea is the argument that supreme leader, the party, and people need to be united as one entity and to be guided by supreme leader's instructions in order to complete the revolution and construction projects. This leads to cult of personality and personal dictatorship, which neglect North Koreans' subjectivity and force them to show only loyalties and blind obedience. It might be mainly due to the supreme leader's instructions that Juche Ideas is shunn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political idea education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political system peculiar to North Korea and insuring its legitimacy. In spite of the fall of socialist countries and internal conflicts, long sustenance of socialist regime is owing to political idea education based on Juche Idea and its role as an effective control mechanism. Therefore Juche Idea will be used as ideological base for idea education and thought control in order to protect its own socialist system and continue to add theoretical re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surroundings. North Korea government needs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social unrest by financial difficulties, decreasing social productivity by the downside of bureaucracy, and anxiety about the sustenance of own political system after the fall of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government seems to concentrate its energies on political surveillance and idea education based on Juche Idea, which has been translated into Suryng Ideology (Supreme Leader Theory), Organic Socio-Political Body Theory, Urisik Socialism (Socialism of Our Own Style), and Songun Chongchi (Military-First Politics) and suchlike. 본 논문은 주체사상에 대한 분석을 위해 먼저 주체사상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를 검토하고, 주체사상의 본질과 성격이 어떠한 것인지, 주체사상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어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변화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주체사상이라는 통치이데올로기가 북한체제에 미친 영향과 북한 체제 유지를 위하여 어떤 기능과 위상을 지녔는지 그리고 주체사상이라는 통치이데올로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한 사상교양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문제들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고자 한다. 주체사상은 북한 주민들의 삶 자체의 수호라는 대의명분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체제의 수호를 추구하는 통치이데올로기이다. 그러므로 주체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북한 사회에 대한 파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하겠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시대적 상황과 현실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통치이데올로기이다. 김일성의 권력적 동기와 현실정치의 지도적 지침으로 제기되었던 주체사상은 사회주의발전의 성공과 좌절을 동시에 경험하게 하는 이데올로기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주체사상은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로서 김일성과 김정일이 말한 것처럼 영원·불변의 것이 아니다. 대내외적 여건이 변하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주체사상은 변해갈 수밖에 없다. 북한이 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급격한 체제전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식’ 사회주의의 우월성과 독자성을 강조하며 체제수호에 성공한 것은 주체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주체사상의 이러한 변천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을 통해 북한체제에서 주체사상의 위상변화와 그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며, 북한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본질적 이해의 측면이 될 것이다. 모든 공산주의 체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초를 둔 통치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체제 성원 모두가 지지하도록 강요된 통치이데올로기는 사회 체제의 모든 영역을 통제한다. 공산주의 체제의 경우, 생존과 발전을 지향함에 있어서 통치이데올로기가 차지하는 역할은 매우 크다. 북한의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시작하였으나 1955년 12월 김일성이 ‘당 사상 사업에서의 주체’를 내세운 이래, 차츰 구체적 내용을 담게 되고, 이론적으로 다듬어지고 체계화되면서 ‘주체 사상’으로 전개되었다. 김일성 사망 이후에는 ‘붉은기사상’, 그리고 김정일 체제가 공식화됨에 따라 ‘강성대국’ ‘선군사상’이라는 실천이데올로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실천이데올로기들은 주체사상의 이론체계로부터 파생된 것이지만 그 내용과 구성으로 볼 때 주체사상의 변용을 시도하였고 이는 오늘날 북한사회의 유일한 통치이데올로기로서 북한 주민들의 삶 자체를 규율하는 지배논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의 주체사상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주체사상은 과거 북한 사회와 국제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 왔지만 그것의 본질과 성격은 북한 통치자들, 특히 김일성의 정치목적에 따라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면서 변화해 왔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주체사상의 가장 큰 맹점이며 약점이 되는 것은, 수령·당·인민이 일체로 통일되고 수령의 ‘지도’를 받아야만 혁명과 건설사업을 제대로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결국 개인 숭배와 일인 통치로 귀결되며, 인민대중의 주체성이 무시된 채 충성과 복종만을 요구하는 지배자의 통치 사상 논리가 되기 때문이다. 아마도 국제사회에서 주체사상이 배척받거나 호응을 얻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그러한 수령의 ‘지도’원리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독특한 체제 유지와 정통성 확보에 정치사상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주변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내부적 모순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사회주의 체제를 지속하고 있는 것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철저한 정치사상교양과 주체사상교양이 사회통제기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주체사상은 대내외적 환경과 조건 변화에 따라 이론적 재해석을 새롭게 더하면서 우리식 사회주의를 지키기 위한 사상교양과 사상통제의 이념적·사상적 기초로 활용될 것이다. 북한은 경제난으로 인한 주민들의 사회불만, 관료제의 병폐로 결과된 사회적 생산성의 저하, 동구와 소련의 붕괴로 인한 체제유지의 불안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대외개방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수령론,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우리식 사회주의, 선군정치 등으로 재해석된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정치사업과 교양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학생봉사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김난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이 독특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 중학교의 사례를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모델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1995년부터 우리나라에서 학생봉사활동이 제도화 되면서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 방법과 내용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제시된 이론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 학교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던 중 지역사회 기관들과의 계약을 통해 봉사활동을 정하고, 학생들을 소규모로 활동에 배치하고 있는 S중학교를 발견하였다. 도대체 S중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은 어떤 것이며, 그 특징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이 학생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러한 연구 문제를 풀기 위해 연구자는 먼저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을 준비, 실행, 평가 및 반성, 그리고 인정 및 축하라는 4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 운영과정의 내용과 방법을 정리하여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틀에 맞춰 S중학교의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질적 사례연구는 S중학교의 봉사활동 운영사례를 총체적으로 서술하고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질적 사례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S중학교의 학생봉사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특별활동부장교사와 봉사활동담당교사, 봉사활동에 참가한 학생들, 학부모봉사자, 그리고 봉사활동기관의 사회복지사들과 면접하였다. 그리고 봉사활동 당일 학교에서의 사전교육에서부터 활동기관에서 봉사활동이 마무리되어 학생들이 귀가할 때까지의 모든 것은 관찰하였다. 또한 S중학교의 협조를 받아 2005년도부터 2007년11월까지 S중학교의 봉사활동과 관련하여 학교내부에서, 그리고 학부모봉사자들에게 사용한 문서들과 활동기관들과 주고받은 공문들을 수집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S중학교의 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봉사활동은 지난 2005년도부터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다. S중학교의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은 전교생이 아닌 한 개 학급씩 봉사일을 정해 하루 동안 봉사활동을 운영하는 제도이다. 매주 금요일을 봉사의 날로 정해 30개 학급을 3학년 1반부터 한 학급씩 돌아가며 30주 동안 봉사활동에 참여시킨다. 이때 한 개 학급은 다시 4~8명씩 여섯 대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연초에 섭외된 여섯 개의 활동기관으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각 학급별로 여섯 명의 학부모를 뽑아 학급의 봉사활동 당일 학교에서부터 활동기관까지 학생들을 인솔하고, 활동기관에서의 봉사활동을 지원하는 학부모봉사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학부모봉사자의 역할을 인정하고 상해보험에 가입하는 측면에서 학부모봉사자들에게 일일명예교사위촉장을 수여한다. 봉사활동에 앞서 학생들과 학부모봉사자는 학교와 활동기관에서 각 한 번씩 총 두 번의 사전교육을 받는다. 학생들과 학부모봉사자들은 사전교육 내용에 대해서 활동에 도움을 받는다고 느끼고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현장에서 필요한 구체적인 업무와 관련한 내용이 다루어지길 바라고 있었다.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이 끝나면 학생들과 학부모봉사자는 개인별 소감문을 작성해 학교에 제출한다. 이 가운데 잘 쓴 것들을 골라 연말에 ‘작은봉사 큰보람’이라는 봉사활동 문집을 발행하고 있는데 이 같은 봉사활동 문집은 학생들의 봉사활동을 인정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S중학교의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은 학생들에게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부여했다. 그러나 봉사활동에 대한 기대와 긍정적인 인식이 개인적인 봉사활동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중학생 입장에서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봉사활동의 일감이 많지 않았고, 또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데서 기인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S중학교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에서 보이는 세 가지 주요한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 특징은 특별활동부장교사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다. 특별활동부장교사는 봉사활동을 준비과정에서는 일일이 활동기관을 섭외하고, 활동기관 사회복지사들과 학생들이 가능한 일감을 논의하는 과정 통해 학생들의 활동일감을 확정하는 등 S중학교의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을 총괄하고 실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학급별 전일제 봉사활동 제도의 도입은 학교장의 결정에 의한 것이었지만, 그 제도를 S중학교에 정착시키고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에는 학생봉사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특별활동부장교사의 역할이 중요했다. 둘째는 봉사활동에 있어서 소규모 배치와 지역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봉사활동 내용의 다양화를 모색했다는 점이다. 4~8명의 학생들을 구성된 소규모의 활동조로 보육원의 아이들 돌보기, 장애인작업활동시설 작업 지원, 복지관 도시락배달, 정신지체장애인들과의 놀이프로그램, 시설청소 등 지역내 다양한 시설에서 실질적인 노력봉사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where the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are uniquely carrying out under the Korea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good operating model of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Although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have been officially required by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ince 1995, most of schools are not properly activating the program upon its requirements. "S" Middle School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as a case to implement effective volunteer activity programs by making arrangements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dispatching students to small group activities. In order to evaluate and analyse "S" Middle School's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program, a theoretical frame was presented with four categories ; preparation, action, evaluation/reflection and recognition/celebr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for interviews with head teacher for students' extra activities, teacher for volunteer activities, students, parents and social workers. Various kinds of school documents, official letters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other paper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S" Middle School has fixed one day as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since 2005. Every Friday was set for students' volunteer activity day and each class participated this activity for 30 weeks in due orders. One class was divided by six small groups and dispatched to six pre-arranged community organizations. For this activity, six representatives of parents were accompanied and guided the students. As a complimentary recognition, parents were awarded "One Day Honorary Teacher" by school and covered by accident insurance. School and Organization prepared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parents before activity. Individual impressions were provided to the school after activity. At the end of the year, special event was taking place. School published a book of "Small Volunteer with Large Reward", and recognized the students whose essay was selected. This could be also counted for students' volunteering hours.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program gave the students a positive view and expectation toward volunteer services, however more practical activities and useful information on volunteering should be provided. Three important findings for this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ggressive attitude of head teacher for students' extra activities was very important. Although the final decision about volunteer activity was made by the school principal, actual operation and successful procedure were mainly accomplished by the head teacher. 2) Various contacts with the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mall group dispatching approaches were noticeable. Each group composed of 4~8 students was participated to various activities for caring babies in child care center, helping the disabled in working facility, delivering lunch boxes to low income families, playing with mentally retarded people and cleaning the welfare facility, etc. 3) Parents' assistance was also desirable. Parents' help and guide during volunteer activities had great impacts on students as well as staff members in the organizations. "S" Middle School's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program contains two important meanings. 1)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the volunteer activities have a good opportunity to learn and prepare for entering future society. 2)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the volunteer activitie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positive interests about volunteering. It means that "S" Middle School's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program can be a good operating model for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operat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Day program more effectively,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1) Since proper education is essential for meaningful volunteer activity, it should be made at least one week in advance. 2) Students' feed back after activity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3) Class teacher's participation is recommended for successful activities. 4) For further development of students' volunteer experiences, more volunteer activ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Key words : Students' Volunteer Activity, Service Learning, Volunteer Activity unde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Class Volunteer Activity Day, Small Group Volunteer Activity

      • 레저제약과 레저스킬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 아웃도어 캠핑을 중심으로

        김난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가 시간의 확대와 소득의 증대, 다양한 레저용품 출시와 레저 장비의 발전, 지역사회에 여가시설의 증대 등으로 최근 레저활동의 다양화와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아웃도어 레저활동과 관련한 시설ㆍ공간ㆍ장비 등 하드웨어의 발달과 함께 소규모 동호회 증가 및 강습 프로그램 개설 등 소프트웨어의 증대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레저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은 레저 활동 참여동기와 가치, 만족도, 참여제약요인 등 주로 심리적 상태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레저활동에서의 기술ㆍ환경이해ㆍ장비ㆍ경험과 같은 레저스킬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희박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로 레저제약요인이 레저스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로 레저스킬 수준에 따라 레저제약요인별로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레저스킬과 레저활동의 빈도ㆍ만족도ㆍ지속성ㆍ지출비용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하여 레저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관련 분야의 문헌조사, 전문가 면담, 현지 설문조사 및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실증연구의 조사대상은 2011년 화천 쪽배축제 캠핑마당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49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사전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판별분석,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적용한 레저스킬의 기술성, 이해성, 경험성에 관련된 변수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레저제약은 레저스킬에 대해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김기철(2008)의 레저제약과 레저스킬의 관계성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레저스킬 수준에 따라 레저제약요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검증되어, 판별분석결과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제약의 영향력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레저스킬에 있어서는 구조적 제약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인간상호적 제약은 그 영향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그동안 심리적ㆍ개인적 측면이 강조되었던 레저제약에 신체적ㆍ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레저스킬 개념을 도입하여 레저제약이론과 모형이 한층 보강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넷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빈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에 참여하는 빈도가 증가한다. 다섯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활동의 만족도가 높은 케이스는 레저스킬수준이 대부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지속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을 지속하는 기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일곱째, 레저스킬은 레저활동 관련 지출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저스킬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과 관련된 지출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즉, 레저스킬은 레저활동의 다양한 특성 즉, 빈도ㆍ만족도ㆍ지속성ㆍ지출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레저스킬수준에 따라서 레저활동의 질이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앞으로 전 국민의 레저활동의 활발한 참여 유도방안과 레크리에이션 활성화 전략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 국민의 레저활동의 활발한 참여 유도를 위해서는 레저제약요인을 최소화해야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레저스킬 수준을 높이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다. 레저스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 및 시설 확충을 통한 기술성 보강, 다양한 레저 프로그램을 통한 이해성 강화, 레저 참여 기회확대를 통한 경험성 증대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급속적인 성장은 일반인들이 레저 관련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 조성에 걸맞은 다양하고 재미있는 프로그램과 콘텐츠의 조성이 레저스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라 판단된다. 둘째, 레저스킬 수준이 높을수록 레저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들이 정(+)의 관계성을 보임에 따라 레저스킬 수준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가족단위 중심의 자연친화적인 레저생활이 일반적인 레저활동의 특징으로 부각되어 왔으나 점차적으로 조금 더 모험이나 체험ㆍ교육 등의 에듀테인먼트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다양한 레저생활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레저활동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전체적인 레저스킬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분화ㆍ타겟팅ㆍ포지셔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각각 추구하는 레저스타일이 다른 집단별로 그 요구에 부합하는 알맞은 교육 및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직접 레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 시설과 공간 마련 및 접근성, 시간적ㆍ경제적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제약요인에 대한 완화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레저활동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전망을 예측하고 그에 알맞은 전략이 시행된다면, 전 국민의 활발한 레저활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안과 전략의 시행을 통해서 국민생활의 만족도 제고 및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의 활성화, 국가이미지 향상 등 국가적인 파급효과도 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s, leisure skills an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in outdoor camping.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both an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concerned about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kills and the empirical study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survey, a model of leisure sports constraints was induced and according to this model, a hypothesis to be examined with empirical analysi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valuate the suggested hypothesis, this investigation uses SPSS 12.0 as a tool of analysis. This tool enabled us to analyse and examine the credibility of exploratory factors, confirmatory factors,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e. This study focused only on leisure including Korean camper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49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249 usabl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a 5-point Liker Scale. This study use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ing the hypothe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aints, leisure skills an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At first, the variables relates of technique, understanding of leisure condition and experience ha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kills have the relationship, but the relationship of two factors need to verify what kind of direction at future study. Also, leisure skills level affects the influence of leisure constrain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leisure skills the weaker the infuence of leisure constraints. Lastly, the leisure skills have the normal direction flow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likes frequency, satisfaction, durability, expense in outdoor camping. Therefore, the level of leisure skills affects the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This not only can meet the camper cultural needs but can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local autonomous entity can als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of opening the leisure.

      • 독서치료활용 공감증진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난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effects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bystander's Attitude in bully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is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improve the empathy ability of children ? Second, does this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decrease bystander's attitude in bullying of children ? To verify the above question, two class among 5 were chosen a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fter pre-test.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was carried out 11times. For quantitative analysis i-STATtistics(Kim & EVA, 2009) was used and comments for each term , program evaluat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program were analyzed to make up the weak point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empathy enhancing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turned out mak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athy ability and it's sub-factors(cognition, empathy, emotional empathy) except fantasy which is subordinate of cognition empathy,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empathy enhancing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turned out make significant decrease in attitude of bystanders on bullying and it's sub-factors(self-defence, indifference) except a fault of both sides which is subordinate of attitude of bystanders in bullying. Qualitative data based on comments for each term, program evaluat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program to make up the weak point of quant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helped for improving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thers, perspective tak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 also increased perspective taking of victims in bullying and the attitude of helping victims in bullying as a natural attitude of life. By perspective taking,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this study helped enhancing empathy as nonviolent communication skills. These result are support and intensify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se result,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has a positive effects on empathy ability and decreasing attitude of bystanders on bullying. But this study h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ntasy which is subordinate of cognition empathy. It'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 on empathy. Thus study about fantasy and the way to increase it should be done in next research. Also this program h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a fault of both sides which is subordinate of attitude of bystanders in bullying. The reason of this result is assumed that improving perspective taking made bystanders in bullying have empathy on not victim but bullies. But if a fault of both sides can't decrease, it may aggravate attitude of bystanders on bullying. Therefore, more complicated and structured program is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mproving empathy ability and decreasing attitude of bystanders on bullying by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ibliotherapy. Besides it can be helpful for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bullying and helping students adopt at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치료 활용공감증진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급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공감증진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급에 적용할 수 있는 또래 괴롭힘 예방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공감 증진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이 통제집단의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정의적 공감)보다 증가할 것인가이다. 둘째, 공감 증진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통제 집단의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자기방어, 무관심, 쌍방과오)보다 감소할 것인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K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한 반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한 반을 통제집단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27명, 통제집단 27명으로 주 1-2회 총 11회기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한 독서치료 활용 공감 증진 프로그램은 공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추출한 지도할 공감의 하위요소를 확정한 후 권정안(2000)의 공감훈련 프로그램, 초등학생 용서능력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김광수, 김경집, 최미현, 2000), 이수정(2006)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 본 연구에 필요한 요소 및 활동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전, 사후 검사도구는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척도(IRI-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검사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수정, 보완한 공감능력 설문지와, 김현주(2003)가 집단 따돌림 유형화 연구에서 방관자를 변별하기 위해 개발한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 측정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양적 분석은 i-STATtistics(ver.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분석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동들이 매 회기 작성한 참여일지와 마지막 회기인 11회기에 작성한 프로그램 평가지와 설문지를 내용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활용 공감증진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공감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001).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정의적 공감도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으나 인지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상상하기는 통제집단에 비하여 평균점수는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독서치료활용 공감증진 프로그램은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의 감소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01).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방관적 태도를 보이는 원인으로 꼽히는 하위요인인 자기 방어, 무관심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에 과오가 있다는 쌍방과오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의 쌍방과오 평균점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양적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서치료 활용 공감증진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 타인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조망능력 등을 증진시켜 아동들의 공감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통해 괴롭힘을 당하는 친구들의 처지와 생각, 느낌을 잘 알게 해 주었으며, 주변에 괴롭힘 당하는 친구들을 보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공감해주고 도울 수 있는 삶의 태도로서의 공감을 증진시켰다. 이러한 조망취하기와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의 증진을 통해 본 프로그램은 다른 사람들과 갈등 없이 지낼 수 있는 삶의 태도로서 공감을 가지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공감증진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는 양적 연구결과를 지지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독서치료 활용 공감증진 프로그램이 아동들에게 공감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게 하고, 인지적 공감과 정의적 공감을 증진시켜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지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상상하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들과 상이한 결과이므로 상상하기에 대한 보다 세밀한 연구 및 구체적인 증진방안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또래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쌍방과오 부분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공감의 증진으로 인해 조망이 발달한 결과 피해아와 가해아 양쪽을 공감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쌍방과오요인이 줄어들지 않으면 또래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를 조장하게 되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프로그램을 정교하게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논의와 제한점에서 밝힌 부분들을 수정, 보완하여 또래괴롭힘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향상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또래 괴롭힘 가해 행동을 예방하고, 아동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청년기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질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난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기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의 질병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전통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접근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년기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은 질병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들을 경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질병 과정에서 겪는 질병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S대학교병원 류마티스 외래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생물학적 제제로 치료받고 있는 만19세 이상 40세 미만의 성인을 대상으로 의도적 편의 표집 방법에 의해 8명을 선정하였고, 일대일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해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28개의 하위주제와 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8개의 도출된 주제는 4개의 범주로 구성되어졌다. 8개의 도출된 주제들은 ‘갑작스런 난치병의 시작’, ‘홀로 감내하는 투병생활’, ‘기약없는 질병의 굴레’, ‘힘이 되는 지지체계의 도움’, ‘돌봄을 통한 자기효능감 강화’, ‘적극적 건강관리를 통한 회복력 증진’, ‘자기성찰을 통한 긍정적 수용’, ‘건강한 삶에 대한 낙관적 소망’이며, 8개의 주제들은 다시 ‘질병으로 인한 아픈 몸의 변화 인식’, ‘질병극복을 위한 건강한 몸의 지지 요인’, ‘질병극복을 위한 건강행위 수행‘, ’질병극복을 위한 건강행위 결과‘의 네 가지 범주로 재배열 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년기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이 경험하는 질병경험을 외상 후 성장과 긍정심리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여 간호실무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가지 제언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청년기 강직성 척추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간호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pproached with a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diseas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n early adulthoo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what problems ankylosing spondylitis patients in early adulthood experience during the disease process and what the meaning of the disease experience over time is. An attempt was mad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ankylosing spondylitis patients. Eight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intentional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argeting adul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40 who regularly visited the rheumat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S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treated with biological agents, an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28 sub-topics and 8 themes were derived, and the 8 derived themes were composed of 4 categories. The 8 major themes were 'sudden onset of incurable disease', 'life of enduring illness alone', ' bondage of an incurable disease', 'help of a support system that gives strength', 'strengthening of self-efficacy through caring', ‘improvement of resilience through active health management’', 'positive acceptance through self-reflection', and 'optimistic hope for a healthy life'. The eight themes are reorganized into four categories: 'Recognition of changes in the sick body due to disease', 'Support factors for a healthy body to overcome disease',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to overcome disease', and 'Outcomes of health behavior to overcome diseas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understood and analyzed the disease experiences experienced by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n early adulthood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sidered them in terms of nursing practice and policy. Based on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along with several suggestion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n early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