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무열분해법으로 성장한 CdZnS박막의 구조와 광학적 특성

        김고은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CdZnS films were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s by the spray pyrolysis method. CdZnS films were deposited at a substrate temperature of 425℃ using an spray solution consisted of cadmium acetates, zinc acetate, and thiourea. Transparent and conducting CdZnS films deposited at a substrate temperature of 425℃ were identified as hexagonal structure with preferred (002) plane and with lattice constant a = 4.136Å, c = 6.713Å. The optical transmission of the samples were found to be about 40 ∼ 70 % in the wavelength rage from 500 nm to 1200 nm. The optical energy band gap of the CdZnS film was increased from 2.36 eV to 3.20 eV with increasing composition x.

      • <레 미제라블>의 영화음악 비교분석 : -1982년 작, 1998년 작, 2012년 작을 중심으로-

        김고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a composite art, film combines the image and music and within it, these two different arts become interdependent in a harmonious way. Music is an essential element in a film, which is an art of image production. In films, the combination of image and music is based on its scenario and there are some films which shares the same screenplay. The scenarios for these films are often based on literature, which means OSMU (One Source Multi Use)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in the contemporary culture industry. This paper aims to analyze OSMU case, especially the one where the novel becomes a film scenario. Les Miserables, firstly written as a novel by Victor Hugo in1862, has been recreated into a variety of genres like films, musicals, musical films as well as plays since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By focusing on three Les Miserables films recently released in 2012, 1998 and 1982,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these works musically interpret the same scenario in conjunction with the composer and its genre, and ultimately compar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 each film. Les Miserables in 1982, which was shot in Franc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minimized the use of music in oder to emphasize the effect of plot by repeating the same soundtrack or not using it in key scenes. Also it shows its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 that uses Choir to represent the religious color in the scenario and the change of Tonality to show the color of the season. The film in 1982,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s complicated mind through a simple melody, harmony and musical instrument composition, is closely related to its composer, Michel Magne’s style. The version of 1998, which plays the similar amount of music like any other commercial films, uses the most common length of music among three. It creates the tension through not only the use of pedal point, chromatic motion, dissonant interval but also the contrast in the tone and tune of instruments, and offers a various musical use and expression by repeating the same figure as well as rhythm. In addition, it features in its image production where the main character’s characteristic differs from the original one. It seems that Les Miserables in 1998, whereleitmotiv does not appear clearly while the contrast of melody, chord progression and instrument tuning offer an strong connection with the scenes, is deeply related to its composer, Basil Poledouris. Pursuing the epic style, he writes the complicated compos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theme. Lastly, Les Miserables in 2012, as a musical film, utilizes the direction of music more frequently than the previous works. First of all, in film, the use of motif and its expansion keep appearing, which reflects the feature of musical, a performing art. The film not only expressed its melodious characteristic through an unison, ostinato, a line cliche and a chromatic scale, but also renders the chord feature through the variety of key and parallel motion. In addition, it represents the religious color sense by using amen cadence. Since the version of 2012 shows a distinct genre characteristic asa musical film, its musical features are most diverse and distinct than the work of 1998and 1992. It seems that the version of 2012, showing a various musical use, is affected by Claude-Michel Schonberg and Cameron Mackintosh in terms of their style of arrangement. Even thought these three works do have different musical style, there are common elements and reason with how film use music. Music is used in film firstly, to represent the particular scene secondly, to create the tension thirdly, to play an important role which implies something fourthly, to express the characters’ mind, fifthly,to give an correlation between scenes as well as the characters, and lastly, to make and maximize the effect of iron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image and music in films are played in different way even though they share the same scenario as each film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its genre, the composer, and the interpretation. One of the reasons why this kind of features appear is that those films are all based on the same screenplay, the original novel. The novel especially the masterpiece like Les Miserables, shows a high literary value based on its plot, which leads it to be used as OSMU with popularity. As a case of OSMU, Les Miserables obtains not only the artistic value but also the popularity at the same time, and it is surely obvious that to get two things is difficult. To gain the popularity of films which are based on th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usical element that entertains the audience. Hop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lm production, to be concrete the film scenario based on the literature, I expect a lot of films can get both cinematic, artistic value as well as popularity 영화는 영상과 음악이라는 서로 다른 예술이 결합한 종합 예술의 일종으로, 음악과 영상은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즉, 영화는 영상 연출로 행해지는 예술이며, 영화 연출에 있어 음악은 하나의 필수불가결적인 요소이다. 영화에서 영상과 음악의 결합은 시나리오에 기반을 두고 나타나며, 동일한 시나리오의 영화라는 특징적인 영화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화들의 시나리오는 소설에 그 바탕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하나의 작품, 즉 하나의 원형 자원이 다른 장르로의 변용으로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원형 자원의 다양한 활용은 오늘날의 문화 산업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원형 자원이 다른 장르로의 변용이 일어난 사례들 중, 소설이 영화의 시나리오가 된 작품에 주목한다. <레 미제라블>은 1862년 빅토르 위고의 소설로 시작하여, 영화, 뮤지컬, 뮤지컬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장르로의 변용이 일어난 작품이다. 19세기 초반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많은 작품들로 제작된 영화 <레 미제라블>을 최근 순으로 2012년, 1998년, 1982년 작을 선정하여 동일한 시나리오를 작곡가에 따라, 장르에 따라 같은 장면을 어떻게 해석하여 음악적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보고, 작품별로 비교분석하여 각 영화들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1982년 작은 같은 음악을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주요 장면에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 등 원작의 본고장에서 제작된 영화인만큼 극의 서사를 강조하기 위해 음악의 사용을 극히 최소하고 있다. 또한 시나리오에 나타나는 종교적인 색채를 표현하기 위해 콰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계절의 색채감을 나타내는 등 1982년 작만의 음악적 특징을 보인다. 단순한 선율 구성과 화성 구성, 그리고 악기 구성을 통해 등장인물의 복잡한 심리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1982년 작은 실험성을 가지고 있는 작곡가 미셸 마그네의 음악적 특징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1998년 작은 여타 다른 영화와 비슷한 정도로 음악이 사용된 작품으로, 세 작품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길이로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페달 포인트의 사용, 반음 진행과 불협화 음정의 진행, 그리고 악기 음색의 대조와 선율의 대조 등을 통해 긴장감을 형성하고 있으며, 같은 음형 진행과 동일한 리듬 진행의 반복 등 다채로운 음악의 사용과 표현도 나타난다. 또한 등장인물의 성격이 원작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1998년 작만의 영상적 특징도 찾을 수 있다. 주제선율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주로 선율의 대비와 화성적 구조, 악기의 음색 등으로 장면과의 연관성이 부여되고 있는 1998년 작은 주제와 관련하여 복잡하게 작곡하면서도 서사시 스타일을 추구하는 바실 폴레두리스만의 오케스트라 작곡 스타일과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2012년 작은 뮤지컬을 바탕으로 제작된 뮤지컬 영화로, 세 작품 중에 음악 연출이 가장 많이 나타난 작품이다. 먼저 모티브의 활용은 공연 예술인 뮤지컬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뮤지컬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모티브의 반복적 사용과 확장이 나타난다. 또한 유니즌과 오스티나토, 라인 클리셰와 반음계적 진행 등을 사용하여 선율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양한 조성의 변화와 페럴렐 모션 등을 사용한 화성적 특징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아멘 종지를 활용하여 종교적인 색채감을 부여하기도 한다. 2012년 작은 뮤지컬 영화라는 장르적 특징이 뚜렷한 만큼 세 작품의 영화음악 중에서도 음악적 특징이 가장 다양하고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다채로운 음악의 사용이 나타난 2012년 작은 클로드 미셸 쇤베르그와 카메론 매킨토시의 작, 편곡 스타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각기 다른 음악적 특징을 가진 작품들이지만 장면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작품들을 살펴본 결과 세 작품 모두 공통적인 특징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음악이 사용되거나 표현된 이유와 일맥상통하여 나타나며, 이러한 이유는 여섯 가지로 도출된다. 첫째, 해당 장면을 그려내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고 있고 둘째, 극적 긴장감을 형성하기 위해 음악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셋째, 암시의 역할을 위해 음악을 등장시키고 있다. 또한 넷째, 등장인물의 심리를 나타내기 위해 음악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다섯째, 장면이나 등장인물의 연관성을 부여하기 위해 음악이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섯째, 극의 아이러니를 창출하기 위해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시나리오라 하더라도 작품의 해석에 따라, 작곡가에 따라, 그리고 장르에 따라, 즉 초점이 어디에 맞춰져 있는지에 따라 영상과 음악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동일한 시나리오라는 전제 조건, 즉 소설이 기반이 되어 같은 장면의 서사로 연출이 되었기 때문이다. 소설은, 특히 『레 미제라블』과 같이 대작인 소설은 탄탄한 스토리가 기반이 되어 있어 높은 작품성을 보인다. 또한 다양한 장르로 변용이 된 원형 자원은 대중성을 인정받기에 충분하다. 소설이 하나의 원형 자원이 되어 다양한 작품으로 변용이 일어난 <레 미제라블>은 작품성과 예술성, 그리고 대중성까지 동시에 획득한 작품으로, 이처럼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소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영화들의 대중성 확보를 위해 관객들의 청각을 자극하는 요소인 음악에 대해 연구한다면, 해당 작품의 가치와 예술성뿐만 아니라 대중성까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논문의 연구가 이러한 작품들의 심층 분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많은 영화들이 작품성과 예술성, 그리고 더 나아가 대중성까지 모두 인정받기를 기대한다.

      •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매개 효과

        김고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edtime Procrastination (BP) is defined as the behavior of voluntarily delaying going to bed, without having external reasons for doing so.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people with reduced use of ac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use bedtime procrastination as a means of emotion regulation in order to cope with negative emotions before bedtim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bedtime procrastination and insomn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edtime procrastination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insomnia severity. Participants consisted of 597 adults [female=81.9%, age=23.18 (±2.80)]. All participants complete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Insomnia Severity Index and Bedtime Procrastination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bedtime procrastination (r=-.152, p<.01), bedtime procrastination and insomnia severity (r=.259, p<.01), and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insomnia severity (r=-.128, p<.01). Bedtime procrastin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insomnia severity [B=-0.024, 95% CI(-0.04, -0.01]]. This suggests that bedtime procrastination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insomnia severity.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bedtime procrastination on may helpful to prevent insomnia. 본 연구는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불면증 심각도 간의 관계에 있어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를 통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 불면증 심각도와 취침시간 지연행동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고,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불면증 심각도 간의 관계에서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침시간 지연행동 감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한 이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원자료 중 총 615명 중 일반적 특성,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불면증 심각도 척도(ISI), 취침시간 지연행동 척도(BPS)에 대한 질문을 성실히 작성한 59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측정 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취침시간 지연행동, 불면증 심각도 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은 취침시간 지연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r=-.152, p<.01), 취침시간 지연행동은 불면증 심각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r=.259, p<.01).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불면증 심각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r=-.128, p<.01). 둘째,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이 불면증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과 불면증 심각도의 관계에서 취침시간 지연행동이 부분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사용이 낮은 경우 취침시간 지연행동과 동반되었을 때, 불면증의 심각도에 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사용이 낮은 경우 그 자체로 불면 증상에 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이 불면증과 같은 수면 문제의 유발 및 심화에 기여 하는 기제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사용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불면증과 같은 수면장애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서조절과 취침시간 지연행동에 대한 적절한 개입을 하는 데 있어 치료적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J.S.Bach의 Clavierübung Ⅲ의 코랄에 관한 연구

        김고은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ho is the greatest composer, having been critically acclaimed for centuries by music lovers, scholars, and critics, left behind many works of a variety of genres. Bach, a devout christian, was deeply interested in organ music and composed a lot of pieces for the instrument. Of his organ music, this paper examined Clavierübung Ⅲ, which was composed in the Leipzig Period, the last period of his life that presented the most mature composition technique. Clavierübung Ⅲ is comprised of the total 27 pieces, having a prelude in the beginning and a fugue at the end. It contains 21 Chorales and 4 duets. The 21 Chorales are divided into two kinds : one related to Ordinary of the Mass ; the other related to Lutheran doctrines. Clavierübung Ⅲ has a huge structure, holding the symbols of the Trinity in the structure itself. The organ Chorales contained in Clavierübung Ⅲ are intimately related to Chorale lyrics and use a lot of symbolic expressions. Furthermore, the overall flow of Clavierübung Ⅲ follows the rituals of Lutheran churches. Therefore, the most mature contrapuntal composition technique of J.S. Bach can be found in Clavierübung Ⅲ, reflecting Bach's piety closely approaching church doctrines.

      • 음악심리치료연구의 국내‧외 동향 분석

        김고은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lected 85 papers on music psychotherapy from 2000 to 2021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music psychotherapy research. A total of 27 papers were selected for domestic papers, including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and doctoral theses. For foreign papers, 58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Canadian Journal of Music Therap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British Journal of Music Therapy, Australia Journal of Music Therapy, New Zealand Journal of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 and a total of 85 article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presented after comparative analysis by dividing them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nterven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content.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on non-disabled, general problems, and general medical patient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Overseas, there were many types of mixtures of people with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such as disabled and non-disabled, as a group. In addition,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more studied by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than infants and childre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adolescents were the most common in domestic studies, and adults were the most common in overseas studies. The gender of the study subjects was random in the form of a group of clients with the same symptoms regardless of gender,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lso there were more studies on women at home and abroad than studies on men, women-only studies were conducted more frequently for reasons such as the primary caregiver's stress, an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and cognitive music processing (Eri. H, 2004; Dasomang Kim and Gyeongseon Kang, 2015; Na-kyung Lee, 2011).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terventions, in the mediation technique, the mixed technique was the most used in domestic studies, and the music appreciation was the most in foreign countries, followed by the song making techniqu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contents, there were many studies in which the number of sessions was less than 20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ith 11 to 15 domestic studies and 1 to 5 foreign studies. In the case of Korea, the treatment goal was set in the emotional area, so it was conducted in mid- to long-term sessions, and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many studies on emotional relaxation through music appreciation were conducted in short-term sessions. Looking at the session time, 41 to 60 minutes were the most common in Korea, and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re were many studies in which a specific time was not presented because the session time was different for each client and group. On the other hand, in Korea, session hours of the same time were provided to each client in the study. As for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 group was the most common both at home and abroad. In Korea, psychological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he most, and there were no studies using body (physiology), society, and music measurement tools. In foreign countries, as in Korea, the target area was the most emotional area, but it was measured by observation and record, and body (physiology) measurement was the most, and there were no studies using language and music measurement tools. Overseas characteristics include an interview with a client with experience in music psychotherapy,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client's behavior and language, and measurement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such as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alysis, and cortisol measurement. This study looked at the research progress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music psychotherapy studi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nterven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content. Through this, the overall trend of music psychotherapy at home and abroad was analyzed. In comparis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that can effectively use music psychotherapy in subsequent studies. 본 연구는 국내·외 음악심리치료연구 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구로 국내 학술지는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음악치료교육연구,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학회지,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와 박사학위논문을 선정하여 총 27편을 선정하였다. 국외 학술지는 Jounal of Music Therapy, Canadian Journal of Music Therapy,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British Journal of Music Therapy, Australian Journal of Music Therapy, New Zealand Journal of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에서 58편을 선별하여 국내외 연구 총 8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논문은 각 연구의 대상의 특성, 연구 중재의 특성, 연구 내용의 특성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특성 중 진단 기준은 국내·외 모두 비장애, 일반 문제, 일반 의료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국외의 경우 장애와 비 장애처럼 여러 진단 기준을 가진 내담자들을 그룹으로 진행한 혼합의 형태가 많았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나이는, 국내·외 모두 유아·아동보다는 청소년, 성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국내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가장 많았으며, 국외 연구에서는 성인이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의 성별은 국내·외 모두 성별에 관계없이 같은 증상을 갖는 내담자의 그룹 형태의 무작위가 가장 많았고, 국내외 모두 남성보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 중재의 특성 중 중재 기법에서 국내 연구는 혼합 기법, 국외는 음악 감상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국내·외 모두 노래 만들기 기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치료 목표는 국내·외 모두 정서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국내의 경우 신체 영역과 음악 영역을 목표로 한 연구는 없었고, 국외에서는 신체 영역과 음악 영역을 목표로 한 연구들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의 특성에서 회기 수는 국내·외 모두 20회기 미만으로 진행된 연구가 많았고, 국내연구는 11~15회기가, 국외연구는 1~5회기로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국내의 경우 정서 영역에 치료목표를 두고 있어 중장기 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국외의 경우 음악 감상을 통한 정서 이완연구가 많기 때문에 단기회기로 진행되었다. 1회기 세션시간을 살펴보면 국내의 경우, 41~60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 각 내담자마다, 그룹마다 세션시간을 달리하여 특정시간이 제시되지 않은 연구들이 많았다. 반면 국내에서는 연구 내 각 내담자들에게 동일한 시간의 세션시간들을 제공하였다. 참여 형태는 국내·외 모두 그룹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측정도구는 국내에서는 심리측정 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신체(생리), 사회, 음악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 국외에서는 목표영역이 정서영역이 가장 많았으나 관찰 및 기록으로 측정하였고, 신체(생리)측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언어, 음악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 국외에서의 특징은 음악심리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인터뷰, 내담자의 행동 및 언어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형태의 측정을 많았으며, 산소포화도, 심장 박동 분석, 콜티솔 측정 등 자율 신경계등 신체(생리) 측정이 많이 진행되었다.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추후 국내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바우처 등 음악치료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환경적 구성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에 맞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간병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여 목표 영역을 측정하는 방식을 다양화 하여 과학적인 측정으로 연구의 범위를 넓히며,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적으로 제공하는 등 국내 의 환경적 네트워크 구성의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음악심리치료연구들을 연구 대상의 특성, 연구 중재의 특성, 연구 내용의 특성으로 나누어 연구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국내와 국외의 음악심리치료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 비교하여 후속연구에서 음악심리치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 태국 남부 전통춤극 노라(Nora)의 ‘태국문화-되기’ : 태국 국내외 문화유산 등재과정과 기억정치

        김고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breaks away from the binary framework of nation vs. local community and takes perspectives of multiple actors in examining the listing process of Nora (นอร่า), the traditional Dance-Drama of the Southern Thai region,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takes a detailed taxonomy to examine the relevant actors in the UNESCO listing process, in order to reveal multiple levels of political interests entangl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uthern Thai ethnic culture while also demonstrating the variable nature of the attitudes and narratives of the involved actors. In doing so, we consider the inscription of Nora into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list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minority culture becoming integrated into the culture of Thailand. Since the establishment of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in 2003, the present efforts to institutionalize the Nora culture began with the inclusion of Nora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9 and registration for evaluation for the UNESCO list in 2019. Prior to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inority culture, I analyze the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investigate UNESCO’s vision for the protection of minority culture around the world as a transnational actor. I then consider how UNESCO’s vis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represented in the policies and publications of the Thai government. In order to do so, I analyze the genre ex-planation provided by the Thai government in 2009 at the time of inscription on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list and the explanation of Nora in『วัฒนธรรมวิถีชีวิตและภูมิปัญญา』[Wattanathum WitheeCheevit Laea Phumpunya] published by the Thai Ministry of Culture in 2015. Next, I focus on the reception of the government policies by the local cultural institutions of the Southern Thai region, and how the local Nora performance teams were actually managed. Finally, I examine how diverse memories of the involved actors interact by considering the different stances taken by the local artists toward the inscription of the Nora culture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lists. Putting these together, I argue that the collective memory about Nora is still in construction through random interaction, and that it indirectly show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of the Southern Thai region as well as those of the Thai society as a whole. I adopt the framework of Memory Politics which has drawn much attention since the 1990s for its challenges to the official history, and base our claim on the analysis of the memories of the Thai government and the local artis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hai government presents “ethnic Thai-Buddhist-mid-southern for-mat” as the acceptable collective memory about Nora in its various publications, while the local Nora artists’ collective memory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is still in construction. Ultimately, this study takes the different memories of the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ultural heritage inscription to demonstrate the coexistence of memories that compete, integrate, negotiate, and assimil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seemingly uniform and continuous culture of Thailand. 본 논문은 태국 남부 전통춤극(Dance-Drama) 노라(นอร่า)[Nora]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과정을 국가와 지역사회라는 이분법 구도가 아닌 복수 행위주체들의 관점으로 조망한 시도이다. 무형문화유산 등재과정에 관여하는 행위주체들을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태국 남부 소수민족 문화를 제도화하는 일련의 과정에는 실제로 다층적인 정치적 이해관계가 착종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행위주체들의 입장과 내러티브는 가변적임을 드러낸다. 이를 위해 태국 남부 소수민족 문화를 태국 문화의 일환으로 편입하는 과정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태국 남부의 전통춤극 노라가 국내외 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오늘날 남부 노라 문화를 제도화하려는 노력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ICH 협약)의 채택 이래로 2009년 태국 국내 무형문화유산 목록으로 선정, 2019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심사 신청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 같은 일련의 제도화 과정에서 먼저, 초국가적 행위체인 유네스코가 전세계 소수민족 문화의 보호에 대해 어떠한 지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유네스코의 지향이 실제 태국 정부의 정책 및 출판물에서는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태국 정부가 노라를 2009년 국내 문화유산으로 등록했을 당시의 장르 설명과 2015년 문화부 출판물 『วัฒนธรรมวิถีชีวิตและภูมิปัญญา』[Wattanathum WitheeCheevit Laea Phumpunya]에서 노라에 대한 설명을 분석한다. 이어서 남부 지방문화처들은 노라에 대한 정부 정책을 어떻게 받아들였고, 지역의 노라 극단들을 실제 어떻게 관리했는지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노라의 국내외 문화유산 등재에 대해 남부 지역의 극단들이 취한 입장을 종교, 종족, 세대 등의 기준으로 나누어 주체들의 다양한 기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종합하여 태국 남부 전통춤극 노라에 대한 집단기억은 무작위적 상호작용을 통해 여전히 구성 중이며, 궁극적으로 태국 남부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문제와 태국 사회의 일면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 같은 주장은 공식적 역사에 대한 문제제기로 1990년대 이후 주목받았던 기억 정치(Memory Politics)의 문제의식을 차용하여, 태국 정부 및 남부 노라 극단들의 기억을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분석 결과 태국 정부는 다양한 정부 출판 도서를 통해 노라에 대한 기억 가운데 받아들여야 할 집단기억을 ‘타이(ethnic Thai)-불교도-중남부 양식’으로 제시하지만, 노라에 대한 남부 노라 극단들의 집단기억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오늘날에도 여전히 계속 변형되며 구성 중임을 확인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노라의 국내외 문화유산 등재과정에 관여하는 집단별로 상이한 기억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문제삼음을 통해서 태국 문화라는 일견 고정적이고 단일적이며 연속적으로 보이는 대상에서도 서로 경쟁, 융합, 협상, 동화하는 기억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거울 이미지의 상징성을 통해 본 디즈니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 연구

        김고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된 거울 이미지가 여성의 캐릭터를 설명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연구한 글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디즈니 공주 프랜차이즈의 애니메이션 중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인어공주》, 《미녀와 야수》, 《뮬란》, 《라푼젤》로 총 5편이며, 각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거울 이미지를 다룬다. 연구할 5편의 애니메이션은 주인공이 여성, 특히 각 왕국의 공주이며 여성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소재인 거울과 접점을 갖는다. 먼저 일상에서 거울이 갖는 상징적 차원에서의 기원과 거울이 등장한 회화를 통하여 그것이 이미지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신화나 동화에서 차용한 거울 이미지와 거울의 종교적인 상징을 살펴 본 후 각 애니메이션 스토리 진행에 있어 등장한 거울 앞에 서있는 인물의 행위나 위치하는 모습, 그리고 거울이 사용되는 상징적인 모습으로 거울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후 다섯 편의 애니메이션에서 거울 이미지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고, 칼 융의 개념적 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거울이 현실을 직시하는 도구로써 사용되고 있어 겉으로 보이는 절대적인 시각적 요소를 거울로 반영하고 있거나 거울상에 드러난 이미지가 현실을 직시할 기준을 만들어주며 인물들의 페르소나를 드러내는 수단으로 거울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거울상에 드러난 나 자신이 아닌 타자를 통해 갖는 욕망이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와 타자와의 관계에서 나르시시즘이 발생하고 여성이 가진 아름다움이나 젊음에 관한 집착과 함께 인간의 동기나 욕망, 하고자 하는 의지의 재현 방식이 거울 이미지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외적 상태가 기록되는 거울이 가진 매체의 특성이 아니라 매개로 사용하여 자신 스스로에게 대화를 거는 방법을 통해 내면이 이미지화 되어 바깥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여성 캐릭터가 자아의 의식을 형성하고 구체화하며 이를 통해 자아실현에 다다르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가 거울 이미지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애니메이션 내의 캐릭터가 거울 이미지를 통해 현실에서 출발하여 타자와 관계를 맺고 이것이 자아실현의 단계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어 왔던 거울이라는 소재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까지 범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거울에 대한 상징성에 문화적인 해석이 더해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향후 다양한 갈래의 문화콘텐츠로 활용가능하리라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mirror images in Disney animations as important symbols to explain female characters. The study analyzed five animations from Disney's princess franchise including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The Little Mermaid》, 《Beauty and the Beast》, 《Mulan》, and 《Tangled》 dealing with mirror images in each of them. In all of those five animations, women, who are princesses of their respective kingdoms, are main characters and have a contact point with the mirror, which is inevitably connected to ladies.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ways the mirror was reproduced in images by tracing the origin of its symbolism in daily life and describing the paintings in which it appeared. After delving into the images of the mirror borrowed from myths and fairy tales and the religious symbols of the mirror, the investigator analyzed its images according to the acts and positions of characters before a mirror and the symbolic uses of a mirror in the storytelling of each animation. The mirror images in the five animation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nd analyzed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arl Jung. First, the mirror was used as a tool for characters to look straight at the reality. It reflected the absolute visual elements on the outside, served as a criterion to look straight at the reality through its images, or offered a means of revealing the personas of characters. Second, the desire revealed through others in the mirror instead of oneself was reproduced. Narcissism appeared in one's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mirror images showed the reproduction methods of human motivation, desire, and willingness along with women's obsession with beauty and youth. Third, the female characters used the mirror as a mediation instead of its features as a medium to record external states, turning their insides into images and displaying them outside by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mselves. They formed and specified their ego consciousness and thus reached the state of self-realization, which was revealed in mirror image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aracters of animations made a start with the reality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mirror images, thus reaching the stage of self-realizatio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research scope from the mirror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to Disney animations. As cultural interpretations are added to the symbolism of the mirror in its image analysis, the results will help to promote its utilization as cultural content in more various genres.

      • 노인의 경제적준비가 노후생활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 경기도 부천시 노인을 대상으로

        김고은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2017년 고령사회진입을 예상, 2026년 초고령사회의 진입을 예상하고 있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속도만큼 노후생활의 중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현시점의 노인의 경제적 준비가 노후생활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을 모색하기 위하여 부천에 위치한 종합사회복지관 및 요양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5일부터~ 5월 15일에 걸쳐 조사ㆍ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생활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생활만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았다. 대학교이상 학력에서 가장 높은 만족점수를 보였다. 결혼관계는 기혼인 상태가 가장 높은 평균값을 갖고 있었으며, 자녀에게 도움을 받고 있는 경우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수입금액이 201만원 이상인 집단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수입원은 개인이 준비한다는 집단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수급형태는 일반인 일 때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경제생활이 높을수록 생활만족, 건강만족, 가족관계 만족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제적 여건이 좋을 때 만족도가 높아지며, 경제적 상태가 열악할 때는 생활 만족도가 낮아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