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의 정신건강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95

        대다수의 북한이탈주민은 탈북과 동시에 가족이산에서 비롯되는 상실의 맥락을 살아간다(김경아, 장혜인, 2020; 김대웅, 이순형, 2017). 이는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 개인 및 가족의 적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배경으로 상실에 해당하면서도 외상으로 고려된다(조영아, 전우택, 2005; 조하나, 최연실, 2013).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산은 분단체제 하에서의 맥락적 특이성을 반영하는데, 즉, 북한에 가족이 생존해있어도 직접 대면할 수 없고 즉각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어려우며 가족과 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지를 가늠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닌다(김경아 외, 2019; 정정애 외, 2013; 조영아, 2012). 이러한 상실의 맥락은 사별 상실과 다르게, 대상의 물리적 부재로 인한 고통감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불명확함이 특징적이다.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이산과 같은 맥락을 ‘모호한 상실(ambiguous loss; Boss, 1999)’의 틀로 설명한다. 모호한 상실은 상실에 관한 명확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어 대상의 존재함과 부재함이 불명확한 맥락을 의미한다(Boss, 1999; 2004). 이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산 맥락은 ‘물리적인 모호한 상실(physical ambiguous loss; physical absence with psychological presence)에 해당한다(김경아, 장혜인, 2020; 김경아 외, 2019). 그러나, 재북가족에 대한 모호한 상실감이 북한이탈주민 개인 및 가족의 적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드물다. 또한, 모호한 상실감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들이 관여하는지 그 기제를 밝힌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보편적으로 모호한 상실은 우울을 비롯하여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예측하는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지만(Boss & Couden, 2002; Kreutzer et al., 2016), 적응의 과정을 통해 이전의 삶보다 더 깊이있는 가치와 목표를 지향해가는 개인의 성장 또한 가능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Dekel, 2007; Testoni et al., 2020; Wilson & Cook, 2018). 이에 더하여, 모호한 상실은 개인 내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인차원을 넘어서서 양육환경을 통해 가족 내 자녀의 적응에 관여할 가능성도 제안되어 왔다(Dekel & Goldblatt, 2008; Sangalang et al., 2017; Sangalang & Vang, 2017; Qin, 2009).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 및 가족 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되는 주요 기제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모호한 상실 조건(가족 구성원이 북한에 남아있고 이들의 생사를 명확히 알지 못하거나 생존해있어도 만날 수 없는 상황)에 부합하는 북한이탈여성 가운데 현재 남한에서 미성년 자녀를 양육 중인 어머니 10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감을 정의하고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된 경계모호성척도(Boundary Ambiguity Scale; BAS)의 첫 번째 버전(MIA)을 활용하여 사전조사 및 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경계모호성 척도(Boundary Ambiguity Scale for North Korean defectors; 이하 BAS-NK)의 요인구조 및 신뢰도와 타당도를 파악하였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감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도구가 부재하고 해외 원척도의 요인구조가 불명확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BAS-NK는 최종적으로 15문항의 2요인 구조로 탐색되었으며 2개의 하위요인은 ‘상실에 대한 지각된 모호함(ambiguity-laden items; 이하 요인1)’과 ‘상실대상에 대한 정서적/관계적 몰두(distress-laden items; 이하 요인2)’ 로 개념화하였다. 연구 1의 결과를 토대로, 모호한 상실 맥락에서 지각된 경계모호성의 총합을 ‘모호한 상실감’으로 정의하였다. 연구 2는 BAS-NK로 측정한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의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제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모호한 상실감이 회피와 침습적 반추를 통해 우울을 예측하는 부적응적 회피기제를 가정하였고 이 관계가 모호함 감내력에 의해 차별적인 결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모호한 상실감의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적응적 기제가 구현된다면 긍정적인 적응의 결과도 예측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이에 연구 2의 부적응적 회피기제와 함께, 모호한 상실감이 지속유대 및 의도적 반추를 통해 우울을 완화하고 상실후성장에 이르는 적응적 접근기제를 가정하였다. 연구 2의 결과,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회피 및 침습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부적응적 회피기제가 가설과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이때 모호함 감내력이 낮을수록 모호한 상실감이 우울로 향하는 순차매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모호함 감내력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적응적 접근기제에서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지속유대를 매개할 때 우울을 감소시키지는 않았지만 상실후성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지속유대가 모호한 상실 맥락에서 적응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한 본 연구의 기본 가정과 일관되는 결과이다. 나아가, 모호한 상실감은 지속유대 및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함으로써 우울을 감소시키고 상실후성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적응적 접근기제의 순차매개가설이 지지되었다. 다음으로, 연구 3의 목적은 북한이탈어머니 개인의 모호한 상실감이 가족차원으로 확산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BAS-NK로 측정한 모호한 상실감이 어머니 우울과 부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기제를 상정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어머니의 모호한 상실감이 어머니 우울 및 부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자녀의 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매개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지지되었다. 이때 어머니의 모호한 상실감이 우울을 매개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개별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으나, 모호한 상실감이 부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개별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연구 3에서는 북한이탈어머니의 모호한 상실감이 우울 뿐 아니라 상실후성장으로 나아갈 때 이러한 어머니의 성장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완화하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모호한 상실감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어머니 상실후성장의 개별매개효과와 상실후성장 및 부정적 양육행동의 순차매개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산을 모호한 상실의 틀로 조망할 것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모호한 상실감이 북한이탈여성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가족 내 자녀에게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개인 내 차원으로 모호한 상실감의 부적응적 기제와 적응적 기제를 함께 제시하여, 모호한 상실의 맥락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는 것 뿐 아니라 개인의 성장을 일구어가는 적응의 방향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양육자의 모호한 상실감이 양육환경을 통해 자녀의 적응 문제로 확산될 수 있음을 탐색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산이 자녀 세대로까지 후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맥락임을 강조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각 기제의 핵심적인 요소는 개입의 표적으로서 향후 북한이탈주민 개인 및 가족을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의 방향을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st North Korean defectors live in the context of loss from family separation and defecting from their home country. North Korean defectors cannot meet their families in North Korea whenever they want, and they cannot estimate when they will be able to meet with their families again. Moreover, they do not even clearly know if their families are alive. According to ambiguous loss theory, the context of family sepa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qualifies for “physical ambiguous loss” (i.e., physical absence with psychological presence). Although the ambiguous loss of North Korean defectors continues to affect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ies focusing on this phenomenon are still relatively rare. In addition, no studies have addressed psychological factors that may be involved in the ambiguous los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us,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mbiguous loss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ir children. To this end, this research conducted the following studies on 100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currently raising children in South Korea who have experienced ambiguous loss (e.g., family members remain in North Korea, cannot meet, or even know whether they are alive). In Study 1, BAS-NK (Boundary Ambiguity Scale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proposed and validated to measure the ambiguous loss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original Boundary Ambiguity Scale(Boss et al., 1990). Study 2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ambiguous los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asured by BAS-NK on their mental heal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biguous loss may affect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via two mechanisms. Specifically, in the maladaptiveavoidance mechanism, the ambiguous loss increased depression via sequential mediation of avoidance and intrusive rumination. Furthermor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olerance of ambiguity was significant in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from the ambiguous loss to depression. In addition, in the adaptive approach mechanism, the ambiguous loss decreased depression and increased post-loss growth via sequential mediation of continuing bonds and deliberate rumination. Study 3 aimed to explore whether the ambiguous loss of North Korean defectors may adversely affect their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in the family contex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biguous los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via sequential mediation of mothers’ depression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However, the effect of ambiguous los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rough their mothers' post-loss growth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poses viewing the familial sepa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n ambiguous loss framework. The current findings provide potential targets for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Keyword : North Korean defectors, family separation, ambiguous loss, mental health, parenting

      • 정서조절을 매개로 한 탁구선수의 열정과 탈진에 관한 연구

        김경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passion and exhaustion of table tennis players mediated by emotional regulation Kim, Kyung-Ah Department of Taekwondo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athletic career of table tennis players. At the same time, it aims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exhaustion of sports. The subjects of the study selected 130 table tennis players who are active players. In this study, 1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only 122 items were selected except 7 problem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passion, emotion control, and burnout. Three item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able tennis players, 14 items related to enthusiasm, 10 item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and 15 items related to burn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enthusiasm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sex, age, athletic care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sion according to gender of table tennis athletes.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assion according to 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ulsive pass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mony passion(p<.05). After Scheffe's post test, the age of 31 years or older was higher than 20-24year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assion according to the athletic care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bsessive passion and harmony passion.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sex, age, athletic care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gender, age, and athletic career of table tennis players.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burnou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sex, age, athletic career), there was a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gender of table tennis players. Women(m=2.74)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suspicion than men(m= 2.37)(p<.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related burnout. 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exhaustion according to the athletic career. The emotional exhaus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After Scheffe's post-test, it was found that 11-15 years(m=3.69) was higher than 16~19 years(m=3.64). 7. The sub-factors(harmony passion) of the enthusiasm of table tennis players were found to affect cognitive reevaluation and expression suppression. The sub-factors(compulsion passion) of the enthusiasm of table tennis athletes were found to affect the suspic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is way, not only the table tennis game but also the cond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athlete are not always consistent in all sports. Therefore, even if the physical strength and technology are good, if the psychological factors involved in the competition process, such as psychological pressure, anxiety, and low self-confidence, can not be overcome,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successful performance. It is very important for athletes to be a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s in all given sports situation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psychological state in the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rofessional coaching style change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interest, pleasure, and accomplishment in the training. 정서조절을 매개로 한 탁구선수의 열정과 탈진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태권도학과 김경아 지도교수 최상진 본 연구는 탁수선수의 운동경력에 따라 정서조절의 매개 효과를 탐색함과 동시에 스포츠에 대한 열정과 탈진 간의 인과적 관계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현역으로 선수생활을 하고 있는 탁구선수 총 13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에 대한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집방식인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지는 130부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한 응답과 무기입 된 자료 7부를 제외한 122명의 자료만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열정, 정서조절, 탈진과 관련된 설문지로 탁구 선수들의 개인적 특성 변인 문항(성별, 연령, 운동경력) 3문항, 독립변인으로 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 14문항, 매개변인으로 정서조절(인지재평가, 표현 억제) 10문항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탈진(정서적 고갈, 수행저하, 의욕상실, 의구심)에 관한 문항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운동경력)에 따른 열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탁구 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열정의 차이는 모두 남, 여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령별에 따른 열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박열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화열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Scheffe의 사후검정 결과 31세 이상이 20-24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운동경력에 따른 열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박열정과 조화열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운동경력)에 따른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탁구 선수들의 성별, 연령, 운동경력에 따른 정서조절의 차이는 모두 남, 여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운동경력)에 따른 탈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탁구 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탈진의 차이가 있었다. 여성(m=2.74)이 남성(m=2.37)보다 의구심(p<.05)에서 통계적으로 높았으나, 연령에 따른 탈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운동경력에 따른 탈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고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 11~15년 이하(m=3.69)가 16~19년이하(m=3.64)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탁구 선수들의 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은 인지 재평가와 표현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탁구 선수들의 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의구심과 수행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탁구 경기 뿐 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에서 선수의 컨디션이나 경기력이 항상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강인한 체력과 훌륭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경쟁과정에서 수반되는 심리적 요인들, 즉 심리적 불안이나 압박감, 자신감 결여 등을 이겨내지 못하면 성공적인 경기력을 발휘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운동선수들에게는 주어진 모든 스포츠 상황에서 자신의 정서 및 심리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경기상황에서의 심리적 상태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훈련과정에서 흥미와 즐거움, 성취감 향상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코칭 스타일 변화와 함께 체계적인 심리 훈련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서적 능력 및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관계

        김경아 대전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요약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른 아동의 정서적 능력 및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관계 심리치료전공 김경아 지도교수 박성옥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아동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아동의 역할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두 개 초등학교,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두 개 초등학교, 대전시 동구에 위치한 한 개 초등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5학년 5학급, 6학년 8학급의 남녀 아동 총 3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을 측정하기 위해 Salmivalli 등(1996)에 고안된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를 바탕으로 서미정(2008)이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정서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문용린의 정서지능 척도를 부모 공감 측정하기 위하여 조용주(2010)가 개발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아동이 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과 아동의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따라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한 부모공감에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결과에 대하여는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정서적 능력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선택법중 단계별 선택(stepwise)을 이용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서 가해 집단 12.7%, 피해 집단 14.7%, 방관 집단 20.6%, 피해아 방어 집단 26.8%, 가해동조 집단 10.6%, 역할 없음이 14.5%로 전체의 85.3%가 또래 괴롭힘에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과 아동의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가해, 피해, 가해 동조, 방관 유형 간에 정적 상관이, 가해, 피해, 가해 동조, 방관 유형과 정서적 능력, 부모 공감과는 부적 상관이, 피해아 방어 유형과 정서적 능력, 부모 공감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과 아동의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의 차이를 검증 해 본 결과 남아의 경우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과 감정 이입, 정서 조절, 정서 활용, 부모의 공감적 정서 반응 냉담한 정서 반응에 차이가 있었고, 여아의 경우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과 감정이입, 정서 활용, 부모의 냉담한 정서 반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유형에 아동의 정서적 능력,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정서적 능력 중 감정이입과 정서 활용은 또래 괴롭힘 상황을 줄일 수 있는 피해아 방어에 영향을 미쳤 고, 이 중 남아의 경우 아버지의 공감적 정서 반응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낮은 정서적 능력과 부모의 냉담하거나 과민한 정서 반응은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가해, 피해, 가해 동조, 방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도서관의 자료 선택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is aimed at inquiring into its implications and alternative by looking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election tools currently used in school librar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aided survey on the school where a member of "the association of librarian teachers" works for, and school libraries at an elementary, junior & senior high school located at the three districts including Jeonju, Iksan and Gunsan.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managers of school libraries selected books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s & value contained in a book as a top priority, users' demands, characteristics of school education and the existing collected books when selecting books. It was found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used selection tools in time of selecting books and the selection tools which were used the most were the one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agency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biggest hardships school library managers suffered were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books and sense of estrangement from good book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eir difficulty selecting books due to excessive quantity of publications. Besides, they were found to suffer from hardship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in finding out whether the books have correlativity with curriculum and business of material selection. School library managers were found to consider the abundance in information about materials of selection target and authoritative quality of publication organ of selection tools the most. In addition, they pointed out some problems with selection tools, such as their failure to be subdivided to be well suited to the situation and standard of the students, whether their material selection process is fair or not, their failure to fully reflect the interest and demands of students, and lack of systematization of composition and format in selection tools, et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propose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urgent to secure the librarian teachers or librarians who have completed a proper course of professional education other than the teachers in charge of general subjects. Second, it is also urgent to develop selection tools for school libraries. Third, there needs to be a standard for continuous evaluation of selection tools.

      • 입체조형 전시진행과정에 대한 연구

        김경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입체조형 전시진행과정 연구로, 전시를 준비하는 작가들이 진행에 따라 해야 할 이론적인 부분과 실질적인 부분을 정리하여 전시준비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의 방향을 입체조형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수집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체계적인 단계별로 정리 및 도표화시켜 분석하였다. 전시란 사전적으로는 물품 따위를 늘어놓아 보이게 한다는 의미로 ‘보여줌’을 대신하는 형식적인 행사이다. 그러나 전시는 예술작품을 만드는 예술가들에게 있어서 작가가 만들어낸 작품의 내용과 가치를 대중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중요한 작업적인 과정이다. 작품의 내용과 의미를 관객에게 전달하고, 그 가치를 이해시키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상식적으로는 이러한 것들이 갤러리와 존속 큐레이터 및 보조 스텝에 의해 진행되어져야 하고 작가들은 작업에만 몰두해야하는 것이 당연하나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여건이 점점 발전해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많은 것들이 작가의 몫이다. 이렇게 중요한 기능을 가진 전시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열리게 된다. 전시란 그 목적 및 성격,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서 모든 전시의 과정을 단정 지어 설명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전시란 일반적으로 기획 → 전개 → 전시 → 관리 → 철거 → 평가라는 일련의 과정을 기본으로 제작이 된다. 현재 서울시내에 자리 잡고 있는 갤러리는 2006년 4월 총 236개로 추정되며, 초대 및 기획공모전시를 중심으로, 또는 대관을 중심으로 하는 상업 갤러리, 비영리를 추구하는 대안 공간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공간에서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세계를 보여주려 한다. 그러기 위해 매번 거쳐야하는 기본적인 과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작가의 전시 진행 능력을 향상시켜 완성된 전시를 개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체계적인 전시를 통해 작품과 대중의 만남이 더욱 친밀해질 것이다. -주 요 어 (Key Word)- 전시기획(Exhibition Planning), 전시진행(Exhibition Processing), 갤러리(Gallery), 광고(Advertisement), 시뮬레이션(Simulation), 포트폴리오(Portfolio)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김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들은 사회발전에 따라 풍요롭고 다양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새로운 예술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관심은 인간 복지에 본질적으로 필요한, 의상에도 반영되어 물리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는 목적만 중요시하는 의상이 아닌 다양한 의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의 의상은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감정적,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문화와 예술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본적 차원이 아닌 생활조형물로서의 현대의 의상은 문화의 한면을 표현하는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서, 인간의 내적세계를 표출하는 예술의 한부분으로까지 여겨지고 있으며 예술운동의 전체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창작물이 되었다. 그러므로 의상은 예술의 심미적 표현기능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예술은 의상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의상에 영향을 준 그 시대의 미적가치는 다른 예술에도 같은 조형의지로 작용하므로 의상과 예술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서로 교류하게 되는 것이다. 많은 예술 분야 중 회화작품도 의상과 동시대의 미의식을 공유해 왔으며, 특히 색과 형을 중심으로 한 조형이라는 점에서 의상과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그동안 의상디자인에 활용한 예도 많았던 예술분야이다.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는 1958년 추상표현주의가 확립된 시기에 회화의 본질적 문제를 다루는 줄무늬 회화로 회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보여주며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발전해나간 작가이다. 그의 회화는 미니멀적인 표현에서 맥시멀적인 표현양식으로 끊임없이 변신하였으며 따라서 시각적으로 평면, 부조, 환조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텔라 작품의 표현기법을 의상에 접목시켜 의상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그것을 토대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세계의 배경이 되었고 현대미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20세기 미국미술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스텔라 회화의 전개과정과 예술정신을 알아보고 색채와 형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회화와 의상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텔라 작품 중 1960년대의 줄무늬 작품에서 3점, 1970년대의 부조회화에서 3점, 1986년 작품 1점을 각각 모티브로, 스텔라 회화의 색채와 기하학적이고 부조적 형태를 의상에 도입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소재는 실크를 주로 사용하였고 합성피혁와 광택이 나는 폴리에스텔소재도 사용하였다. 다양한 색상표현을 위해 부분적으로 침염과 현드페인팅을 이용하였으며 스폰지를 사용하여 입체적 형태를 유지시키기도 하였다. 주된 제작기법으로는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사용하였고 누빔기법으로 부조적 질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이 시각적으로 색면추상이나 미니멀적인 단순함과 추상표현주의적인 자유로운 표현이 공존하며, 평면에서 입체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로 변화하므로 의상에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텔라 회화에서 나타나는 부조적이고 입체적인 형태를 인체 특유의 조형성과 결합시킴으로써 독특한 조형미가 표출될 수 있었다. 셋째, 스텔라 작품의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함에 있어서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이용함으로써 의상에 자유롭게 시각적 조형성을 나타낼 수 있었고, 이러한 기법들이 회화를 의상에 도입할때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텔라 회화에서 보여지는 표현적 붓터치를 핸드페인팅으로 의상에 그대로 재현하여 회화를 응용한 작품으로서의 독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넷째, 미적 감각의 표현으로서 순수예술과 의상과의 상호관련성 및 의상의 예술로서의 표현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Modern man has become pursuing an enriched and varied life as the society develops. In accordance, people has much more interest in the creative new area of art. This interest of modern man reflected on the fashion too, which is essential to human welfare, thus various forms of design not merely focusing on the purpose of production that can be defined in the physical terminology have appeared. In modern fashion, various soci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sires of people should be satisfied and cultural, artistic aspects emphasized. Therefore, fashion not in a mere basic dimension but as a necessary formation of living and also most proper tool to represent one aspect of culture is being regarded as one part of art expressing the inner world of man and a creation reflecting the general spirit of artistic movement. In this regard, fashion can be said it has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aesthetical function of art, which in turn contributes a lot to fashion. Since aesthetic values of one era influencing fashion act on the other fields of art as the same formative will, fashion and art have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interchange. Among many fields of art, painting has shared the aesthetic sense of the same age with fashion, especially much similarity in formation mainly with colour and form, and has been applied to fashion design in many cases. Frank Stella (1936~ ) is an artist who showed a possibility of interpreting painting totally new with his striped works of dealing with the essential problems of it in 1958 when abstract expressionism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since then has developed his works as electrifying the world of fine art. His works have continuously changed from minimal expression to maximal one in various ways of visualizing like plane, relief and carving. In this study, such expressional techniques of Stella have been grafted on fashion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expression in fashion. At first, this study has paralled theoretical study through referential investigation and actual production of work based on th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world of Frank Stella's work,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s American art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in the contemporary art were examined, while developmental process and artistic spirit of Stella's work investigated mainly around color and form. And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fashion was looked at.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tella's works, i.e., three striped works of the 1960s, 3 relief works of the 1970s, and one piece of 1986 were sampled as a motive to made total 8 works of fashion by employing his peculiar colours and geometrical relief forms. The material was mainly silk but leatheret and glossy polyester also used. For diverse color expression, gradual dyeing and hand-painting were partly used, and sometimes solid forms were maintained with sponge. Making was mainly done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sometimes relief quality of texture was attained through quilting. An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Frank Stella's work, color-plane abstraction, minimal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al freedom coexist together, and the world is always changing from one-dimension to that of three, so the range of applying them to fashion is very wide. Second, by combining the relief or cubic forms in Stella's painting with the peculiar formativity of human body, unique formative beauty can be produced. Third, in applying Stella's various colours and forms, free visual formativit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and those techniques are proper to employ in fashion. Also when reviving those expressional brush touches of Stella's work through hand -painting, originality of work as applying painting can be maximized. Fourth, when employing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pure art as an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and fashion, or artistic sense of painting in fashion it is revealed that the latter can be another formative art with abundant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