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 후기 倭館의 정보수집에 관한 연구 : 分類紀事大綱 25 風說之事를 중심으로

        김강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조선 후기의 草梁倭館은 표면적으로는 朝日 간의 외교ㆍ무역업무를 담당하고 있었으나, 이면에서는 조선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對馬藩으로 보고하고 있었다. 수집한 정보는 政變이나 民亂, 朝廷 권력의 추이, 가뭄으로 인한 작황 부진, 기상이변 등 종류를 가리지 않았으며, 조선의 실정을 파악할 수 있는 사항이면 무엇이든 수집하였다. 對馬藩으로 보고된 정보는 朝鮮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千秋使나 冬至使를 통하여 들어오는 중국대륙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倭館으로부터 보고받은 對馬藩은 사안의 중요도에 따라 일부 정보는 幕府까지 보고하였다. 壬辰倭亂 이후 明과의 冊封體制에서 벗어난 江戶幕府는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로부터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이른바 「四つの口」를 통한 해외정보 수집에 열성적이었다. 특히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는 明ㆍ淸 교체기에 해당하는데, 중국대륙의 정세 변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幕府는 중국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幕府는 長崎로 입항하는 모든 외국 선박에게 외국 사정을 기록한 風說書를 제출하도록 했다. 福建이나 廣東에서 琉球를 경유하여 薩摩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薩摩口), 長崎로 들어오는 唐船(중국선)을 통한 중국관련 정보(長崎口)는 幕府가 얻을 수 있는 중요한 情報源이었다. 그러나 薩摩口와 長崎口를 통해서 얻는 중국관련 정보는 주로 남부 중국에서 들어오는 정보였으며, 정보 수집자도 민간 상선이라는 점에서 幕府의 관심에 전적으로 부응하지는 못했다. 倭館을 거쳐서 對馬藩이 보고하는 중국관련 정보(對馬口)는 조선의 고위관료들이 직접 北京으로 가서 황제와 대면하고, 北京에 체류하면서 얻은 북방 정보라는 점에서 薩摩口와 長崎口를 통하여 얻는 중국 정보와는 차이가 있었다. 對馬藩은 幕府가 관심을 갖는 북방 정보를 신속히 제공함으로써 家役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막부쪽에 자신의 존재를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었다. 對馬藩을 통해서 들어오는 조선 정보 및 중국관련 정보, 長崎의 出島를 통해서 들어오는 서양관련 정보 및 唐人町을 통해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 琉球를 통해서 들어오는 중국관련 정보는 근세 일본의 幕藩體制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倭館에서 對馬藩으로 보고한 문서를 분석하여 수집한 정보의 종류, 情報源, 보고방식 등을 정리했으며, 아울러서 조선왕조실록의 관련기록과 비교하면서 조선 정부의 대응책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對馬藩이 조선 및 중국관련 정보수집에 열중했던 이유를 밝혔다. 즉 對馬藩의 가장 큰 관심사는 조선에서 수입하는 公作米가 제대로 들어오는지 여부였으며, 對馬藩에서 조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궁극적인 목적은 안정적인 쌀 수입을 위해서였다. 對馬藩이 조선 조정의 동향에 관한 정보를 치밀하게 수집했던 이유는 조선과 외교ㆍ무역상의 현안문제를 협상할 때 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교섭하려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집권 세력의 정치적 성향이나 對日觀에 따라 對馬藩의 이익이 좌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파악하고 있어야 교섭에서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기 때문이다. 朝鮮後期の草梁倭館は表面的には朝日間の外交ㆍ貿易の仕業を.いでいたが、裏側では朝鮮に.する全ての情報を集めて.馬藩に報告していた。集められた情報は政.や民.、朝廷の.力の推移、干魃の影響による作況の不振、.象異.など種類を問わず朝鮮の.情を.めることなら何でも集められた。.馬藩に報告された情報は朝鮮に.する情報だけてなく千秋使とか冬至使(皇曆使)を通じて入手される中.大陸に.連した情報も含められていた。倭館からこのような情報を申越された.馬藩は事案の重要度によって、一部の情報は幕府に報告した。 壬辰倭.の以後、明との冊封.制から外れた江戶幕府は東アジアの.際秩序から孤立されるのを防ぐために、いわば.四つの口.を通じた海外情報の收集に熱誠的だった。特に17世紀の末から18世紀の初めは明ㆍ淸の交替期に.たるが、中.大陸の政勢.化に深い.心を持っていた江.幕府は中.に.する情報を集めるために心血を傾けた。そして江.幕府は長崎に入港するあらゆる外.船舶に.して外.の事情を書き入れた風說書を差し出すように命令した。福建とか廣東から琉球を.て薩摩に入る中..した情報(薩摩口)、長崎に入る唐船(中.船)を通じた中..連情報(長崎口)は幕府が得られる重要な情報源であった。しかし薩摩口と長崎口を通じて得られる中..連情報は主として南部中.から入る情報であって、情報收集者も民間の商船という点で江.幕府の.心に全く.じなかった。 倭館を.て.馬藩が報告する中..連情報(對馬口)は朝鮮の高位官僚たちが直接北京へ.て皇帝と.面して、北京で.留しながら得た北方情報と言う点で、薩摩口と長崎口とを.て得る中.情報とは違があった。 對馬は江.幕府が.心を持っている北方情報を迅速に提供することによって家役に忠.に勤ているということを見せて、幕府側に自身の存在を.く認識させることができた。.馬藩を通じて入ってくる朝鮮情報及び中..連情報、長崎の出島を通じて入って.る西洋.連情報及び唐人町を通じて入って.る中..連情報、琉球を通じて入る中..連情報は近世日本の幕藩體制を支えるのに大いに寄.した。

      • 한국 중·서부 지역의 침입외래식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김강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In this study, a survey of the flora and vegeta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was conducted from March 2018 to May 2020 in 5 cities and provinces in the mid-west area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the associations and analyze life-forms the associations and life form of alien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and western regions of Korea through phytosociological diagnosis, and then to find their adaptation patterns by the classified vegetation units. The vegetation units were classified in reference to Z-M method into 3 classes, 3 orders, 4 alliances, and 8 associations. In details, 3 classes included Artemisietea principis (Miyawaki et Okuda 1972), Miscanthetea sinensis (Miyaeaki et Okuda 1972) and Plantaginetea maioris (Tx,. et Prsg. 1950); 3 orders were Artemisietalia principis (Miyaeaki et Okuda 1972), Caricetalia nervatae (Suganuma 1966) and Plantaginetalia asiacicae (Miyawaki 1964); 4 alliances were Erigero-Artemision principis. nov., Zoysion japonicae (suz. -Tok. et Abe 1959 ex. Suganuma 1970), Agropyro kamoji-Rumicion japonicae (Miyawaki et Okuda 1972) and Polygonion avicularis (Miyawaki 1964); and 8 associations included Erigeretum annuus ass. nov., Erigeretum canadensis ass. nov., Veronico-Zoysietum japonica ass. nov., Erigero-Zoysietum japonicae (Suganuma 1966), Erigero-Zoysietum japonica ass. nov., Rumo -Sonchetum oleraceus ass. nov., Taraxaco-Sonchetum oleraceus ass. nov., and Taraxacum officinale- Plantago asiatica ass. (Tx. 1977). As for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by association, it was significant that the association of Erigeretum annuus ass. nov. was represented by Erigeron annuus as character species a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disturbed areas such as cultivated, vacant place and road side. A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s the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 all plots with Erigeretum annuus ass. nov., it h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Erigeron annuu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The association of Erigeretum canadensis ass. nov. was indicated by Erigeron canadensis and distributed along the areas at roadside, arable land and open space. where were heavily trampled areas. Sinc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ppeared frequently throughout the areas of Erigeretum canadensis ass. nov, it was assumed that there might be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Erigeron canadensi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The association of Veronico-Zoysietum japonica ass. nov. was well indicated by Veronica arvensis and Zoysia japonica and grew on the relatively dry soil under the good sunlight such as banks of rice field or dry field and grass land. This association seemed to be formed depending on the seasonal life cycle of Veronica arvensis. The association of Erigero-Zoysietum japonica ass. nov. was indicated by Erigeron annuus and Zoysia japonica and grew in the disturbed or developed areas and abandoned properties. It was thought to appear as a seasonally selective association which relied on the temporal life cycle of Erigeron annuus. The association of Rumo-Sonchetum oleraceus ass. nov. was represented by such indicators as Rumex crispus and Sonchus oleraceus, growing mainly in wet areas such as low wetlands, waterside, paddy fields, and roads with poor drainage. It was believed that selective associations are formed by seasonal life cycles of Sonchus oleraceus which had similar conditions of location. The association of Taraxaco-Sonchetum oleraceus ass. nov. was represented by indicators Taraxacum officinale and Sonchus oleraceus, growing on the fertile soil like lawns, roadsides, and vacant lands with moisture where it is easy to spread out. It seemed that formation and extiction of the association were repeated following the seasonal life cycle of Sonchus oleraceus which shared similar conditions of location. As characteristics of the main alien plant communities, a total of 39 main communities including Festuca arundinacea community, Trifolium repens community, and Oenothera odorata community reflected the features of growth location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Moreover, highly frequent emergence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mpeting relationship among the communities of various alien and naturalized plants. It further led to presumption that there would be more diverse types of communities in lin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which are changes of competition species and species compositions caused by competition, succession, and disturbance among or between dominant species and component species in alien plants communities. A total of 102 other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surveyed areas including Erigeron annuus-Capsella bursa-pastoris community, Oenothera odorata-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Lolium multiflorum-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ommunity, etc., featuring various types of communities some of which were composed dominantly of alien plants and some others of which were mixed with alien and naturalized plants. When the life form analysis was applied out of the phytosociological analysis methods, it was known that the dormancy form had a high proportion of hemicryptophytes and therophytes. This seemed to have resulted from multiple causes that the perennials of alien species owned the competitive advantages as they have already adapted to the existing vegetation environment, thanks for example to easy adaptation to soil and relatively short life cycle compared to natural colonies. The alien plants had also strengths with high growth rate and strong propagation ability despite harsh environments of the disturbed areas in the early stages. Vegetation units are normally classified in connection with the spatial location selection which considers temporal location selection and intensity of disturbance, In case of alien and naturalized plants, particularly, plants continued to appear ranging from those with same life cycles to those with different life cycles. As a consequence, different communities appeared according to different vegetation types and composition of species. This kind of temporal selection has a close relation to nomenclature for vegetation units of naturalized plants.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nomenclature for vegetation units of alien plant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for the named vegetation units depends mostly on the efficient use and diagnosis of phytosociological methods.

      • 애기장대에서 chitinase-like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AtCTL2 유전자가 암조건에서 생장시 일어나는 리그닌의 축적

        김강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새로운 그룹의 chitinase-like protein (CTL)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들이 애기장대, 벼, 목화, 완두에서 발견되었다. 애기장대의 발달과 비생물적인 스트레스 등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AtCTL1 유전자와 아미노산 서열이 68% 일치하는 AtCTL2가 존재함을 BLAST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AtCTL1 전사체는 잎, 줄기 그리고 꽃에서 발현되나, AtCTL2 전사체는 줄기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β -D-glucuronidase(GUS) 유전자를 도입한 애기장대의 조직화학적 연구에서도 유사한 발현 양상이 나타났다. 특히, AtCTL2 프로모터는 xylem과 interfascicular fiber에서 GUS를 매우 특이하게 발현되도록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현 양상의 차이점은 그들의 돌연변이 표현형에서도 확인되었다. AtCTL1 유전자 돌연변이체인 hot2와는 다르게 AtCTL2 knock-out 돌연변이체는 야생종과 비슷한 정상적인 발달과정과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을 보였다. 반면에 hot2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하나 etiolated seedling의 하배축에서는 AtCTL2 knock-out 돌연변이체도 ectopic lignin deposition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새로운 plant chitinase group에 속하는 AtCTL1와 AtCTL2 유전자가 정상적인 식물 세포벽 형성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A novel group of genes, encoding chitinase-like protein (CTL), have been recently identified from various plants, including Arabidopsis, rice, cotton and pea. The previous reports have provided genetic evidence that AtCTL1 gene has an essential role in developments, cell wall biosynthesis and responses to abiotic stresses. The Arabidopsis genome contains AtCTL2 exhibiting 68% identity to AtCTL1 on amino acid level. Given the pivotal role of AtCTL1,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tCTL2 appears to be justified. AtCTL1 transcript is expressed in all organs, whereas AtCTL2 transcript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stems.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rofiles of AtCTL1 in more detail, we performed histochemical analysis of these genes using β -glucuronidase (GUS) assays in Arabidopsis. The expression of AtCTL1 promoter-driven GUS was highly detected in all tissues of inflorescence, whereas the expression of AtCTL2 promoter-driven was restricted in xylem and interfasicular regions. We also detected higher GUS activity in the lower part of the stem of AtCTL1::GUS and AtCTL2::GUS transformants. T-DNA insertion in AtCTL2 resulted in higher accumulation of lignin in etiolated seedling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AtCTL2 is possibly involved in the growth of the secondary walls of differentiating inflorescence.

      • 투명 LED GLASS 전광판의 구동을 위한 제어기 설계

        김강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기존의 획일적인 LED 전광판에서 탈피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산업제품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중에 투명 LED GLASS의 종류에는 투명 유리에 FTO등 투명전극을 적층하고 LED를 이식하여 투명한 전도체에 연결하는방법과 더불어 GLASS 대신 투명 필름을 이용하여 얇은 투명한 필름에 ITO등 투명전극을사이에 LED 모듈을 심어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로,전광판, 랩핑 광고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신개념 투명한 LED디스플레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효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설계에 해결해야될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며 이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첫 번째로 일반 LED DRIVER에 비하여 PCB폭이 좁은 GLASS DRIVER 특성상 공급전류의 한계를 극복하여야 한다. 이는 PCB ART-WORK상의 VIA의 위치를 수평으로 설계하여 전류 흐름의 차단을 방지하였다. 두 번째로 CABLE 설치가 열악한 관로의 특성상 케이블 부피및 사용하는 시그널 DATA 비트 최소화를 최소화 하여야 하고 DC전원 및 DATA 전송로가 원거리로 인한 전원 노이즈와 잡음 및 데이터와 클럭 딜레이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시그널 3LINE을 RS-422방식으로 처리 하였고 전원 DC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40V를 사용하여 구동부의 인입과 로직 전원에 스위칭 DC-DC CONVERTER를 사용하여 전원 노이즈를 해결하였다. 세 번째로 투명 LED GLASS의 투과율을 높이기위해 패턴성분으로 사용하는 FTO,ITO의 큰저항성분 발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인별,길이별 패턴의 면적을 차등 분배하여 일정한 저항을 유지하였다. 네 번째로 LED GLASS 특성상 대형 표출면으로 인한 영상의 REFRESH 속도개선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PWM 12BIT LED DRIVER를 사용하여 속도를 높였으며 별도의 어드레스 맵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LED 배열 순서에 쉽게 적용할수 있게 하였다. 다섯 번째로 투명 LED GLASS 특성상 R-C공진이 발생하여 ON/OFF시 인계된 출력 포트의 소손문제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출력단에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장착하여 높은 리플전압에 의한 출력 포트를 안정화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결과 45mm 폭의 PCB 상에 40V 20A를 구동하였으며 포트당 4096 DOT의 LED LAMP를 R,G,B 각각12BIT의 영상을 안전적이고 자연스럽게 표출 할수있게 되었다 .

      • 조선후기 倭館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김강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倭館이란 좁은 의미로는 15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한반도에 설치되어 있던 일본 사절을 위한 접대시설(客館)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객관을 포함하여 왜관 주변에 퍼져 있는 일본인을 위한 거주구역을 가리킨다. 즉 왜관은 통교와 무역을 원하며 내항하는 일본인을 접대ㆍ통제하기 위하여 조선정부가 설치한 특수시설이며, ‘朝貢者를 위한 공적 宿舍’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 점은 외교를 수반하지 않으며, 상인을 위한 시설이었던 나가사키의 도진마치(唐人町)와 데지마(出島) 등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왜관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는 양국의 입장 차이가 크게 작용하였다. 조선의 입장에서 볼 때 왜관은 어디까지나 일본 사절을 위한 객관이었으며, 통제와 규제의 대상일 뿐이었다. 그러나 대마번에서는 왜관을 「朝鮮屋敷」 내지는 「日本館」으로 표현하는 것처럼 대마번 屋敷의 연장으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다. 근세 왜관은 규제의 대상이라는 측면이 있는 반면에, 임진왜란 이후 200여년 동안의 평화시대에 조일 간의 외교와 무역이 이루어지던 곳으로서, 조선후기 양국의 선린관계를 상징하는 곳이라는 양면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왜관에 대한 조선정부의 시각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보는 측면과 부정적으로 보는 측면이 동시에 존재했는데, 격리시키고 통제해야 할 대상으로 보는 부정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초량왜관은 1876년(고종 13)에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어 왜관이 폐쇄될 때까지 198년 동안 존속하였다. 그 동안 초량왜관은 국가적으로 부단한 외교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 항상 주목을 받았으며, 동래지역의 입장에서는 막대한 부와 民力의 소모를 강요하는 곳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조선시대의 관제에는 중앙직과 지방직 모두 일정한 임기가 있었다. 동래부사는 당상관으로서 임기가 900일(2년 6개월)이지만, 초량왜관 시기의 동래부사는 평균 임기가 12.65개월에 불과하다. 이 시기의 동래부사 148명 중 임기를 모두 마치고 이임한 부사(瓜遞)는 불과 12명뿐이며, 2년 6개월의 임기 중 1년도 채우지 못하고 이임한 부사가 56명이므로 대부분의 부사는 임기 도중에 교체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체의 원인으로는 倭情과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는 대일외교와 무역이 이루어지는 동래부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동래지역으로 건너오는 일본 사신들이 왜관에 체류할 수 있는 기간은 己酉約條에 명시되어 있으며, 체류기간 동안 조선정부로부터 몇 차례의 宴享과, 지위에 따라 날마다 일정량의 식료품ㆍ과일ㆍ술까지 지급받을 수 있어서 관내의 생활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 그밖에도 날마다 정해진 수량의 땔감과 숯을 지급받았으며, 임무를 마치고 돌아갈 때는 배에서 먹을 양식인 過海糧까지 지급받았다. 동래부에서 지출한 왜관 유지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조선측 사료를 검토해 보면 경상도 세금의 상당 부분이 왜인 접대비로 쓰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왜관 유지비용은 경상도 세입의 약 22.3%였고, 접대와 외교비용은 그 절반인 10.6% 정도로 보고 있다. 이처럼 왜인들에 대한 접대에는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었다. 이러한 경비는 결국 동래지역 주민들에게서 걷어들인 것이었으며, 민중들의 과중한 부담은 결국 동래지역 주민들의 경제생활을 파탄으로 몰아넣는 결과를 가져왔다. 조선왕조가 중요시했던 대일외교에서의 선린・우호도 따지고 보면 동래지역민의 희생 위에서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조선후기의 대일외교에서 일반적으로는 왜관의 館守를 동래부사의 외교 상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사료를 검토해 보면 동래부사의 외교 상대는 대마도주였으며, 관수는 대마번의 使者 신분으로 조선과 대마번의 현안 문제를 도주를 대리하여 처리하는 지위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보는 것이 조선국왕과 막부 장군, 예조참판과 막부 家老, 예조참의 및 동래부사와 대마도주로 대응되는 통교체제를 일목요연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란 후 대일 강화교섭 과정에서 조선이 취한 대일정책은 기본적으로 조선전기의 중화적 교린체제를 부활하는 것이었다. 즉 명의 冊封을 전제로 한 조선국왕과 일본국왕간의 대등관계(敵禮關係)를 회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과 대마번의 상하관계(羈縻關係)를 재편성하는 이원적인 교린체제를 원했던 것이다. 豊臣秀吉의 조선 침략으로 중단된 조일관계는 조선국왕과 막부장군을 대등한 관계로 설정하는 형태로 복구되었다. 이 시기는 양국 모두 강한 자국중심주의 의식이 있었으며, 내심으로는 상대를 조금이라도 낮게 보려는 우월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일개 번으로써 막부에 충성을 맹세하고, 조선에게도 조공자로서의 입장을 취했던 대마번은 양국의 자국중심주의 의식을 만족시키면서 쌍방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존재였다. 에도시대의 대마번이 조일간의 모든 외교실무를 담당하게 되었던 것은 이러한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에 대한 대마번의 조공행위는 進上이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일본인의 국내 통행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한양까지 올라갈 수 없었던 대마번의 사자는 下船宴이 끝난 후 초량객사로 가서 국왕의 상징물(殿牌)에 대하여 신하로서의 예를 올리고(肅拜), 蘇木, 胡椒 등의 동남아시아산 물자와 일본산 공예품을 공물로 바쳤다(進上). 그러면 조선측에서 인삼・虎皮・織物 등의 답례품이 내려졌다(回賜). 조선국왕의 殿牌에 四拜禮를 올리는 외교의례를 통해서 조선은 대마번이 ‘羈縻圈’ 안에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조선은 대마번을 회유와 보호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조선의 대외질서(朝貢體制) 속에 포섭하려고 노력했으며, 대마번을 ‘藩臣’으로 간주했던 것이다. 대마도주의 進上과 조선국왕의 回賜가 핵심이 되고, 公貿易과 私貿易이 외연에 위치하는 통교형태는 동아시아 세계에서 널리 볼 수 있는 ‘朝貢과 回賜’ 시스템과 동일한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 사이에는 進上ㆍ回賜, 公貿易과 私貿易, 求請 등 초량왜관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품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왜관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온 일본산 물품은 구리와 유황이 대부분이었고, 丹木(蘇木)・물소뿔 등의 동남아시아산 물품도 수입되었다. 조선에서 대마번으로 건너간 물품은 조선산 무명 및 쌀(公作米)이 중심이 되었고, 대마번의 중개무역을 통해서 오사카 및 교토(京都) 등지로 들어갔던 물품은 인삼을 비롯하여 각종 한약재, 서적, 중국산 生絲와 비단 등이었다. 대마번은 조선산 물품의 수입대금으로 일본산 은(人蔘代往古銀)을 지불했고, 조선은 일본산 물품의 수입대금으로 쌀을 지불하는 것이 관례였다. 대마번이 수입하는 조선산 쌀은 번의 경제에 반드시 필요한 생필품이었다. 조선이 수입하는 일본산 물품도 국가 경영에 반드시 필요한 물품이었지만, ‘交隣의 道理’ 때문에 수입에 대한 대가로 쌀을 지급한다는 것이 호조와 선혜청의 공통된 인식이었다. 즉 조선정부의 입장에서 볼 때 공작미는 무역 결제수단이 아니라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고려한 경제적 지원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조선후기 조일간의 무역에서 기록에 남아 있는 구청 사례는 대마번이 조선측에 요청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대마번(내지 막부)쪽의 구청만 있었던 것은 아니며, 조선도 일본 측에 대하여 한약재, 유교서적 등의 물품을 구청한 사례가 있다. 근세 동아시아 세계는 조선ㆍ중국(明, 淸)ㆍ일본 3국 모두 민간인의 해외 도항을 국가가 통제하는 쇄국정책을 폈다. 이것은 국가가 ‘사람’과 ‘물건’의 해외 출입 및 이에 따른 ‘해외정보’의 유입을 관리ㆍ통제한다는 의미이다. 인접국에 대한 정보수집은 대마번이나 막부만이 행했던 것은 아니며 조선도 마찬가지였다. 북쪽 국경이 여진족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정세를 파악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했으며, 통신사가 가져오는 부정기적인 정보와 왜관을 통하여 얻는 일상적인 정보를 기초로 대일정책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왜관은 조선 및 중국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창구인 동시에 일본 정보가 들어오는 창구역할을 하였다. 조선이 왜관 운영에 막대한 비용을 들이면서도 메이지 정부에 의하여 강제로 접수당할 때까지 왜관을 폐쇄하지 않았던 이유는 이처럼 조선 나름대로의 현실적인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초량왜관에는 공무 또는 상업 등을 이유로 대마도에서 건너온 役人과 상인들이 장기간 체류하면서 무역과 외교교섭에 임하고 있었다. 이들 대마도인과 조선의 역관・상인 등이 일상적으로 접촉하면서 각종 사건이 자주 발생하던 곳이 왜관이다. 왜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건으로는 절도・강도, 폭행, 潛商(밀무역), 일본인이 왜관 밖으로 무단히 나가거나(闌出), 조선인이 금령을 어기고 왜관으로 잠입하여 매춘을 하는 것(交奸), 倭債(路浮稅, 밀무역 자금)와 관련한 마찰 등이 문제가 되었다. 양국인의 잦은 접촉은 이따금 양국인 사이에 행패와 다툼(喧譁, 打擲)이 일어나고 살인사건을 동반하기도 하였다. 潛商ㆍ交奸ㆍ闌出ㆍ폭행 등은 근세의 왜관 업무가 시작된 이래 조선정부에서 지속적으로 통제를 가하고 금령을 마련했던 사안이지만 각 사건이 갖는 의미는 다르다. 교간은 개인 간의 범죄행위에 속하는 일이며, 조선 측에서는 엄금했지만 일본 측에서는 사건 해결에 미온적인 편이었다. 잠상은 양국 모두 재정수입(商業稅)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엄격하게 금지하였다. 난출은 금령의 위배라는 점에서 양국(특히 조선)의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주는 사건이었으며, 대개는 양국의 외교문제로 비화하여 조선이 금령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에도시대의 일본은 대외적으로는 海禁政策을 표방했지만, 이른바 ‘네 개의 창구(四つの口)’를 열어 두고 외국과 교류하였다. 특히 나가사키(長崎)를 통해서 포르투갈에 이어 네덜란드와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유럽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였고, 이렇게 해서 축적된 국력을 바탕으로 메이지 유신에 성공할 수 있었다. 對馬口는 막부 말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에 관한 정보가 들어오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대마번과 왜관을 거쳐 조선으로 이어지는 정보수집 루트는 간접적으로나마 막부가 중국 대륙과 연결할 수 있는 고리이기도 했다. 막부는 이와 같은 입장에서 왜관을 중요시하였다. 대외적으로 쇄국을 표방했던 조선에서도 어떠한 대일정책을 펴느냐에 따라 왜관은 밖으로 열려 있는 창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었지만, 규제 일변도의 왜관 정책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게 되었다. 그러나 총제적으로 평가할 때, 왜관을 접점으로 하는 근세 조일관계는 충분히 평화적인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왜관은 갈등과 타협을 적절히 조화시키면서 탄력적으로 운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Japan House is a reception facility installed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early 15th century to later 19th century. In a broad term, it meant a residential area for the Japanese stretched throughout Japan House including guesthouse(客館). Japan House was a special facility installed by the Joseon Government to receive and control the Japanese who came for friendly relation and trading with a ‘public lodgings for tribute payers’. This is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Dojinmachi and Dejima of Nagasaki which were only commercial facilities without carrying out foreign diplomatic affairs.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owards Japan House. From the point of view of Joseon, it was no more than a guest house for Japanese envoys subject to control and regulation. However, Tsushimahan tended to figure out Japan House as 「Representative of Joseon by Tsushimahan」 or 「Japan House」 as an extension of Tsushimahan representative office. While Japan House has an aspect of regulation, it was a place of diplomacy and trading between Joseon and Japan for 200 years after the Imjin War. Thus, it was a symbolic character of friendly 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later Joseon. The Joseon government had two different views on Japan House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but the negative aspect for segregation and control was dominant. Choryang Japan House survived for 198 years from Ganghwa Treaty of 1876. In the mean time Choryang Japan House received much attention for its diplomatic role, and also was a target of criticism requiring huge wealth and consumption of people’s force from the stance of Dongrae region. There was set term in office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Joseon both for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Dongraebusa (Head official of Dongraebu) is Dangsangguan with 900 days tenure (two and half years), but the average term during Choryang Japan House era was 12.65 months only. There were only 12 officials who completed the tenure out of 148. And 56 resigned within a year of the tenure. It means most were replaced during their tenure. As for causes of replacement, the state of affairs with Japan was the most important cause, which reflected the specialty of Dongraegu holding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and trading. The staying duration of Japanese envoys in Japan House in Dongrae area was defined in Eulyu Treaty, and as they received some feasts, food, fruit and drinks on a daily basis according to their status from the Joseon Government. Thus, they felt no restriction in the stay. Besides, they were granted fuel and charcoal daily and received Gwahaerayng(journey food on the ship) when they returned. The maintenance cost of Dongraebu is a matter of conjecture, but when resources from Joseon’s side are reviewed, majority of tax of Gyeongsangdo was spent for the reception of the Japanese.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the maintenance cost of Japan House was taking up about 22.3% of the tax income of Gyeongsangdo, and the reception and foreign diplomat cost was the half with 10.6%. As such, huge cost was spent to the Japanese. Such cost was collected by the residents of Dongrae area, and such excessive burden led to the destruction of local economy. The good-neighbor policy of Joseon toward diplomacy with Japan was made possible on the sacrifice of residents in Dongrae area. The captain of Japan House was seen as the counterpart of Dongraebusa in the foreign diplomacy in later Joseon. But, when resources are reviewed, it is more valid to regard the chief of Tsushima was the counterpart of Dongraebusa, and the captain of Japan House was nothing more than an ambassador by Tsushimahan to handle current affairs between Joseon and Tsushimahan. Such perspective gives more clear arrangement of the friendly relation system corresponding the King of Joseon with the bakufu,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with Gano of bakubu, Vice-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Dongraebusa with the chief of Tsushimahan. Since the Imjin War, the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was to restore the Sinocentric diplomatic system in early Joseon. It means, based on the appointment of the Ming, the kings of the two countries were to restore the equal relation, and reshuffle superior-inferior relation between Joseon and Tsushimahan, which were the dual friendly relationship. The halt of Joseon-Japan relation due to the invasion of Toyotomi Hideyoshi was restored by seeking equal footing between the King of Joseon and bakufu. In that period, both countries showed strong self-centeredness regarding the counterpart as an inferior being. Under this circumstance, Tsushimahan that swore the loyalty to bakubu and that had a tribute payer to the Joseon Government was a means to reduce ten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satisfying the consciousness of self-centeredness of the countries. With such background, Tsushimahan in the Edo period took in charge of diplomatic practicalities between Josen and Japan. The tribute behavior of Tsushimahan was a donation(Jinsang, 進上). After the Imjin War, the Japanese was prohibited to pass through Joseon. Accordingly, the envoy of Tsushimahan who could not go to Hanyang paid a tribute as a subordinate on the symbolic figure of the King at the Choryang Guest House after the unloading feast, and presented materials from Southeast Asia such as Somok(蘇木) and Hocho(胡椒), and crafts of Japan. The, the King gave presents back to them with ginseng, tiger skin or fabrics. (Reward: Hoesa, 回賜). By the diplomatic ceremony of Sabyerye to the Jeonpae of the king of Joseon, Joseon reconfirmed that Tsushimahan is in the scope of Joseon’s jurisdiction(‘Gimingwon, 羈縻圈’). Joseon figured out Tsushimahan as conciliation and protection endeavoring to include into the diplomatic order of Joseon (Tribute payment system, 朝貢體制) and regarded Tsushimahan as ‘Beonsin (藩臣)’. The type of friendly relations having its core with Jinsang of Tsushimahan and Hoiyang of the king of Joseon and having official trading and private trading on the surround were the widespread system of ‘tribute and reward’ in south east Asian countries. Various types of goods exchange by means of Jinsang and Hoiyang, official trading and private trading and Cheonggu were carried out after the Imjin War. Copper and sulfur were the main goods from Japan through Japan House, and Danmok(丹木, Somok; 蘇木)・and horn of water buffalo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were imported too. Cotton and Gongjakmi rice were sent from Joseon to Tsushimahan. Products that were dispersed to Osaka and Kyoto via Tsushimahan were ginseng, other medicinal materials, books, and raw silk of China and silk. Tsushimahan paid silver as an import payment (Insamdaewanggoeun, 人蔘代往古銀), and Joseon used to pay rice as the import payment on the goods from Japan. Rice was essential for the life of Tsushimahan’s economy. While products from Japan were also important for national management the payment by rice according to ‘the duty of friendly relations’ was common recognition of Hojo and Seonhyeche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seon Government, Gongmakmi rice is not only a trading payment method, but also an economic support for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The cases of Gucheong in the record of trading between Joseon and Japan in later Joseon were mainly requested by Tsushimahan to Joseon. But, Gucheong was not only made by Tsushimahan(or bakufu) but also there are cases that Joseon requested Japan medicinal materials or Confucius books. The modern East Asian world including Joseon, China (Ming and Ching) and Japan adopted a policy of seclusion to control civilians’ overseas voyage by the state. It means to control the introduction of ‘overseas information’ and overseas entrance/exit of ‘people’ and ‘goods’. The information collection was not only made by Tsushimahan or bakufu but also made by Joseon. As the northern boundary was exposed to threat of the Jurchen, it wa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Japanese’ circumstances, and the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was determined by irregular information by the envoys and ordinary information by Japan House. In that sense, Japan House is not only a port to release information on Joseon and China, but also a por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Japan. Because of such necessity, Joseon did not close Japan House spending huge cost until it was forcefully received by the Meiji Government. Officials from Tsushima for official work or commercial work and merchants stayed at Choryang Japan House for a long time engaged in trading and foreign diplomacy. Japan House was the place where various incidents occurred by the ordinary contact between them and officials and merchants of Joseon. The ordinary cases were theft, robbery, violence, smuggling(潛商), absent without leave by the Japanese (闌出), prostitution of Joseon in Japan House (交奸), smuggling fund (Oichae;倭債, Nobuse;路浮稅). The frequent contact between the countries caused severe violence and conflicts (喧譁, 打擲) and sometimes accompanied murders. Smuggling, prostitution, absent without leave and violence were continually controlled by the Joseon Government, but they had different meanings. Prostitution was personal crime which Joseon was strict, but Japan had a lukewarm attitude. Smuggling was strictly prohibited as it was related to financial income to both countries. Absent without leave was a case that influence o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Joseon’s) policy decision as it is the violation of the regulation. It used to become foreign diplomatic problems of the two countries that led to reinforce the rules of Korea. While Japan expressed marine prohibition policy during the Edo period, they communicated with foreign countries with ‘4 opened harbors’. In particular, the received advanced Europe culture and civilization from Portugal and then the Netherlands through Nagasaki. With accumulated national power, they could succeed in the Meiji Restoration. The Tsushima Window was the only route to get Joseon’s information until the later period of bakufu. The information collection route from Tsushimahan and Japan House to Joseon played a role in linking with China. Bakufu weighted high on Japan House in that sense. While Joseon that adopted a policy of seclusion would use Japan House as an open window according to the policy toward Japan, the regulation focused Japan House policy brought several side effects. However, when it is assessed comprehensively, the Joseon-Japan rel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belonged to a peaceful category sufficiently, and operated elastically in harmony betwee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 침입범죄 예방 인증시설에 의한 타겟하드닝 CPTED가 범죄와 두려움 등에 미치는 영향

        김강일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trespassing crimes that interrupts relaxation on one’s resident, magnifying on the effect Certified Facility ‘Tarket Hardening CPTED’ has on trespassing crimes, fears on trespassing crimes, and creating certified facilities that prevent crimes. Going over past researches on resident trespassing crimes, most trespassing criminals give up when they face obstacles in trespassing. Therefore, if the windows and doors of each residence has the basic safety systems from the government, both accidental and intentional crimes can be decreased by a great amount. There are risks of fire damages regularly, but the dwellers aren’t scared due to the various fire sensor equipment and other certifie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ound the area. In order to guarantee safety for the citizens with crime prevention systems to work properly, lots of time and budget is being spent. With the budget, local government should try installing facilities that can prevent crime, district councils should change regulations,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should make systems for crime-proof facilities to be installed mandatorily, just like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Gongju-si have tried the ‘Target Hardening CPTED’ business beforehand at Maesan-dong road in 2018. Their method was to check the effect before and after the business was enforced. Through survey analysis, they extracted the major elements on experienced crime victimization, fear of harm from crime, effect of crime-proof facility and created a structural equation to confirm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the hypothesis. This study reorganized the model of the structural equation, procedure, and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by proof analysis from 168 civilians on their crime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within the certified crime-proof facilities, the study looked for the optimized model. In order to select the optimized model, the study put standards on how well the observed data fit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whether the parameter value and statistical data was reasonable. Before verifying the hypothesis, the Cronabch’s α coefficienc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both over .9, therefore decision was made that since there was no issue on validity, it was utilized in the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index for the study was good. Analysis between the exogenous latent variable(crime victimization and fear of crime) and the endogenous latent variable(crime-proof certified facility effects) showed that as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s decreased the crime-proof certified facility effects increased. As fear of crime decreased, the crime-proof certified facility effects increased and as crime victimization experienced decreased, the fear of crime decreased as well. This study analyzed the area where the first ‘Target Hardening CPTED’ business was first performed. Through survey analysis and interviews, the study researched on how effective the ‘Target Hardening CPTED’ business is. However, the survey analysis was performed within the 168 civilians of the area and the 5 month short length of research were the study’s limitations. If more studies and research can be made on the Gongju-si ‘Target Hardening CPTED’ business in the future, credibility can be greatly enhanced. I am looking forward for the Target Hardening business to take its place both in the academia and the world.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범죄 문제 중에서도 주거지에서의 온전한 휴식과 안정감을 방해하는 침입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인증시설 타겟하드닝 CPTED가 침입범죄와 침입범죄 두려움,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들의 조사를 살펴보면 주거에 대한 침입범죄의 경우에는 침입에 곤란을 겪게 되는 경우 침입범죄자들이 상당수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가정의 침입범죄의 주요 출입구로 사용되는 창문과 현관문에 대한 기본적인 안전만이라도 국가가 나서서 책임져 준다면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주거 침입으로 인한 범죄뿐만 아니라 계획적으로 발생하는 침입범죄에 대해서도 그 수는 상당히 감소할 것이다. 각 가정에 설치 되어있는 화재 감지설비와 소방시설 등으로 화재에 대한 위협은 언제나 상존하지만 항상 화재 피해를 당할까봐 염려하면서 주거지에서 불안에 떨지는 않는다. 이처럼 화재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검증된 인증받은 소방시설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데에서 오는 안정감이다. 이처럼 국민의 주거 안전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범 성능 제도화의 궤도에 오르기 위해 많은 시간과 많은 노력이 들어가고 있다. 예산을 들여 취약가구에 대한 방범 성능이 보장되어있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의 노력과 각 지방자치의회에서 변화하는 조례들, 국토교통부의 범죄예방건축기준 고시 개정은 방범시설들도 소방시설처럼 법의 테두리 안에서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여 최소한의 주거 안전권을 지킬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충남 공주시에서 2018년에 실시하였던 매산동길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을 추진하여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산동길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의 사전/사후 효과를 분석하고 주요 요소로 추출하여 작성한 설문조사지를 통해 범죄피해경험, 범죄피해 두려움, 방범성능인증시설 조성사업 효과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경로분석하여 가설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의 구성 및 분석절차,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기준들에 대해 정리하고, 실증분석으로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지에서 범죄 피해 경험과 범죄 피해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을 16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고 최적의 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관측된 자료들이 설정된 구조방정식 모형에 얼마나 잘 적합 되는지, 추정된 개별 모수 값들이 합리적인 값인지를 통계적 검정 또는 적합도 지수를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였다. 또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신뢰성(reliability)과 타당성(validity)을 검증한 결과, 신뢰도는 모든 요인의 Cronbach's α계수가 모두 .9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당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그대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전반적으로 적합도지수가 양호하였으며 범죄피해경험과 범죄피해두려움을 외생잠재변수로,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 효과를 내생잠재변수로 사용하여 모형을 설정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 범죄피해경험이 줄어들수록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효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죄피해 두려움이 줄어들수록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효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검증에서는 범죄피해경험이 줄어들수록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 효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죄피해 두려움이 줄어들수록 방범성능 인증시설 조성사업 효과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범죄피해경험이 줄어들수록 범죄피해두려움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에 이루어지지 못했던 예산을 투입한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이 처음 진행됨으로써 실제 대상지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이러한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이 얼마나 효과성이 있는지에 대한 실증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업지 내의 대상 주민들만을 설문조사 하였기 때문에 168명이라는 적은 표본을 가지고 실험설계를 할 수 밖에 없었다는 점과 실험 전후를 비교하는 데 기간이 5개월 밖에 없었다는 점이 한계로 들 수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추가적인 충남 공주시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에 대한 효과성 여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타겟하드닝에 대한 인식과 효과에 대한 실험자료 축적으로 신뢰성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타겟하드닝 사업은 학계는 물론 실생활에도 자리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