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화 지도 서비스를 위한 HTML5 벡터 지도 설계 및 구현

        권진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웹 기반에서 활용되고 있는 래스터 방식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실제 지형의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웹 표준 기술인 HTML5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벡터 지도를 구축하였다. 그래서 기존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던 정형화된 이미지 지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벡터지도를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개인화 지도 서비스가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그에 따른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래스터 기반에서 항상 북쪽을 향하는 북 고정 지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시점을 고려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지도 데이터의 벡터 정보를 접근하여 연산함으로써 지도 배경은 회전 및 기울임을 적용하고 명칭 데이터를 사용자 시점에 맞는 각도와 회전을 조정하여 시인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산악지도, 관광 지도, 외국인 관광객 대상의 지도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의 배경 및 명칭 정보에 직접 접근하여 객체를 선별적으로 표출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정보만 표출하고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서비스 목적형 개인화 지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된 기본적인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한정적 서비스가 아니라 지도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특수 목적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 외부데이터를 중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공간정보의 서비스 확장을 극대화 하였으며, 다수의 서비스 중첩에도 표출 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는 HTML5 그래픽 엔진을 통해 성능 이슈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건물과 같은 특정 객체만 벡터로 제작되어 활용하는 지도 서비스가 아니라 보다 더 확장하여 기존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즉, 데이터의 용량축소와 고품질의 JSON포맷 구조기반으로 상용 이미지 지도 서비스에서 표현하는 각 개별레이어별 전체 벡터 지도를 구현하여 모든 속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고 기존 서비스의 정형적인 구조와 제약적인 기능에 대해 보다 동적이고 확장성을 가진 공간정보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서비스 구현에 대한 검증을 위해 HTML5 벡터 지도의 동적인 정보 활용성과 기능 및 서비스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미 구축된 기존 서비스와의 성능 비교를 통해 향후 공간정보 서비스를 활용하는 사용자 측면에 중점을 두고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 지도 요구사항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HTML5 벡터 지도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structed a vector map using HTML5 technology, a web standard technology, that can deal with various devices to produce a digital vector map that includes spatial data of real area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raster method which is being used in existing web infra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personalized map service that can correspond to various purposes is possible by implementing to overcome limitations of standardized map that could not satisfy various demands of existing us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solution of problem that could not consider viewpoint of users by only providing a fixed map towards north in existing raster basis, it became possible to provide the user-oriented service through secured legibility as the map background applies rotation and inclination by approaching and calculating the vector information of map data and controlling the angle and rotation of nam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viewpoint. Second, it became possible to provide service oriented personalized map by directly approaching the background and name information of map data, implementing a function that selectively displays objects, and only displaying information that users wish to see and removing unnecessary information to provide services according to various demands of users as mountain map, tourist map, and map for foreign tourists. Third, this study maximized service extension of spatial data by providing a function that can pile up external data to us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specific purposes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map data, not a limited service that only provide basic spatial information included in map data, and settled a performance issue through HTML5 graphic engine that can optimize the display performance regardless of many overlapping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ed more extended service that can compensate problems of the existing map service that only produced specific objects as building. Meaning, it was produced to check every attribute by implementing the entire vector map by each layer that displays the common image map service by reduced data capacity and based on high quality JSON format structure. Also,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more dynamic spatial information service with scalability than the typical structure and restricted function of existing services. Also, it was possible to check active information usage and function and service expandability of HTML5 vector map to verify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mplementa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standard of HTML5 vector map service that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for user-oriented personalized map requirement by focusing on users perspective who will be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the future by comparing functions of the already constructed existing services.

      • 학습자의 향상초점이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롤모델 긍정판단의 매개효과와 롤모델 해석수준의 조절효과

        권진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자의 향상초점이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수용자의 롤모델 긍정판단이 갖는 매개 효과와 롤모델 긍정판단과 목표지향성 관계에서 롤모델 해석수준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에서는 동기를 유발하는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학습자는 향상(Promotion focus) 혹은 예방(Prevention focus)에 초점을 둘 수 있는데 선행 연구는 학습자의 향상, 열망, 증진에 민감한 향상초점은 긍정적 롤모델을 통해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고해 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제시된 긍정적 롤모델의 효과는 연구자에 의해 판단된 것으로 롤모델 수용자의 관점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즉, 제시되는 롤모델의 속성이 긍정적이더라도 수용자에 따라 롤모델의 긍정성에 부여하는 가치가 다르며 이러한 수용자의 인식에 따른 학습자의 목표지향성에 대한 영향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롤모델 수용자의 관점에서 향상초점의 롤모델 수용자가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과정에서 롤모델 긍정판단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롤모델 수용자의 관점에서 롤모델에 대한 판단 외에 어떻게 롤모델이 제시되는지에 따른 영향을 보는 것 역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해석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을 활용하여 수용자 입장에서 롤모델을 어떻게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전문대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기반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조절초점과 롤모델 제시 방식에 따라 4개의 시나리오에 무선 할당되었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14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본의 평균연령은 23.78세(표준편차 2.54)이고 성별은 남학생이 79명, 여학생이 135명이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향상초점이 접근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며 그 과정에서 롤모델 긍정판단의 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또한, 롤모델 긍정판단이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롤모델의 상위수준 해석의 조절 효과는 확인되었으나 롤모델의 긍정판단이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롤모델의 하위 수준 해석의 조절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향상초점이 접근 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담이나 학습의 상황에서 상담가와 교육자가 내담자 및 학습자의 안전, 책임, 의무 등을 다하거나 원하지 않는 불편한 결과를 막으려고 하기보다 그들의 희망, 포부, 이상을 반영하여 향상초점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롤모델 수용자의 롤모델에 대한 긍정적 판단이 목표지향성에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적인 속성을 지닌 롤모델은 롤모델의 제시자가 아닌 롤모델의 수용자가 판단하는 긍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담가와 교육자가 내담자 및 학습자의 상담 및 학습의 장면에서 롤모델을 긍정적으로 판단하여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제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롤모델 수용자가 롤모델을 긍정적으로 판단할 때 롤모델을 상위 수준으로 해석하도록 제시하는 것이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즉, 롤모델 대상을 핵심적(Core)이며 간단하며(Simple) 일관적(Coherent), 포괄적인(Superordinate) 형태로 제시할 때 롤모델 수용자들이 롤모델의 본질적인 속성에 집중하게 되어 학업 성취에 대한 목표지향성에 보다 더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담가나 교육자는 상위 수준의 해석이 가능한 롤모델 제시 방법을 통해 롤모델 수용자가 자신의 발전과 성장에 초점을 기준을 두는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을 더욱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 朝鮮時代 後期 靈山會上圖의 硏究

        권진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 후기 영산회상도는 영취산에서 설법하고 있는 석가모니불을 도상화한 것으로 대웅전, 팔상전, 웅진전 등의 전각에 봉안되거나 의식을 위한 괘불로 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7-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약 120여 점의 영산회상도를 주된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영산회상도는 『법화경』의 사상과 신앙을 근본으로 삼고 제작된 불화로서 우리나라에 『법화경』 이 전래된 삼국시대 이래 이 경전이 담고 있는 사상과 신앙은 꾸준히 전승되어 왔다. 조선시대의 법화신앙은 고려 말에 성행하였던 백련결사와 깊은 관련을 갖는다. 백련결사는 1236년 了世에 의하여 전북 강진 백련사에서 공식화된 이후 일반 서민과 천민들을 교화의 대상을 삼고 강경과 예참을 행한 결사운동이었다. 이 결사에서 채택하였던 교재는 宋代의 선종 승려인 戒環이 鳩摩羅什의 『妙法蓮華經』(406년)을 알기 쉽게 풀이해 놓은 『妙法蓮華經要解』였다. 이 책은 14세기의 묘련결사 시기에는 消災와 祈福을 위한 신앙의 대상으로 그 성격이 변화되었으며, 이는 『법화경』 이 가진 공덕신앙이 더욱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전개된 법화신앙의 경향은 이후 조선시대까지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조선시대의 법화신앙은 이와 같은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조선시대 법화신앙이 유행하였음은 다음의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에 판각된 경전 중 『법화경』 은 가장 많은 간행빈도를 보여주는 경전 중 하나이다. 경전을 조성하였던 목적은 영혼을 追悼하거나 혹은 功德을 쌓는 것과 깊은 관련된다. 이런 점은 현재 전해지는 史料를 통하여 『법화경』 이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우선 순위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시의 법화사상은 단독의 연구대상이 아니었다. 법화사상과 신앙은 조선시대 선종 승려들의 교학적인 근본이 되었음은 당시 저술된 서책의 내용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선종과 법화사상의 관련성은 불화의 도상으로도 표출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7세기 이후 야외에서 행해진 불교의식이 성행하였는데 영취산에서 있었던 설법을 재현한 靈山齋는 영산회상 괘불의 제작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영산회상도는 모두 석가여래가 영취산에서 『법화경』 을 설법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으로 크게 4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 첫째, 설법회상도형은 이중 가장 전형이 되는 형식으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팔부중, 용녀, 범천·제석천, 아사세왕 등 영취산 설법에 참여하였던 권속들이 위계질서에 맞춰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형식은 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정사 영산회상벽화의 석가여래 설법회상 형식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둘째, 설법회상 하단에 승려의 형상이나 흑은 보살형으로 표현된 인물이 등을 돌리고 맞아 있는 형식이 있다. 이 형식은 현재 많은 예가 전하고 있지는 않지만 조선 전기에 조성된 영산회상도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믿음이 강한 사람은 누구나 석가모니불에게 법을 청하여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법화경의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의의를 갖는다. 셋째, 설법회상 하단에 백의를 입은 관음보살이 등장하는 형식이 있다. 이 형식은 19세기 중 ·후반기에만 ,등장하는 것으로서 당시의 신앙적인 경향을 반영한 유형으로 생각된다. 하단에 석가모니불과 수직을 이루어 표현된 관음보살은 현실 세상의 고통을 구제해 주고, 소원을 들어주는 성격을 가진 보살로서 법화신앙에 관음신앙이 편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넷째, 염화불 형식은 설법도 형식과 도상적 근원은 다르지만 역시 영취산에서 일어났던 설법을 표현한 또 다른 유형의 영산회상도이다. 大梵天王이 영취산에서 석가여래에게 꽃을 드리고 설법을 청한 뒤 석가모니불이 설법을 하자 오직 가섭만이 미소를 지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한 도상적 근거는 南宋의 승려인 智昭가 1188년에 저술한 『人天眼目」 제5 宗門雜錄의 '拈花' 에서 알 수 있다. 이 도상은 禪祖의 1代祖인 가섭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한 삼처전심 중 하나인 염화시중을 표현한 것으로 석가여래가 꽃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영산회상도는 근본 경전이 되는 『법화경』에 대한 신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형식으로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 조성된 영산회상도는 법화사상·신앙을 비롯한 불교의식과의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The Yongsanhuesangdo(靈山會上圖) in the late Chosun Dinasty period, which represents the Buddha preaching at the Mt. Grdhadhute(靈鷲山) was produced to be enshrined in places like Daeungjon(大雄殿), Palsangjon(八相殿), or Ungjinjon(應眞殿), or to be a Gaebul painting(掛佛) for ceremonies. This thesis took approximately 120 Yongsanhuesangdos (the Dharma Assembly on Mt. Grdhadhute) that were drawn from 17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for the subject of the research. The Yongsanhuesangdos is a Buddhist art that is produced with Lotus Sutra' s philosophy and religious reasons at its base. The philosophy and the religious reasons of Lotus Sutra wer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the Three States Era when it was introduced. The religion regarding the Lotus in Choson Dynasty perio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BaekRyun Association(白蓮結社), which was very popular at the end of Korea Era. The BaekRyun Association was an oranization that objected the common and the humble as the ones needed to be enlightened after it became official in 1236 by RyoSeh(了世) at the BaekRyunTemple(白蓮社) in KangJin, JunBook. The Lotus Sutra, which was the text this association chose was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written in 406) Kumarajiva(鳩摩羅什), which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Zen Buddhism monk KyeHwan(8B) so that it would be easier to understand. During the MyoRyun Association(妙蓮結社) days in 14th century, the character of the book was changed as an object of the religion for vanishing into ashes and for blessings, and this became a beginning for the Lotus Sutra religion with purpose of getting blessing to stand out. The trend of the religion regarding Lotus Sutra was developed in that way and was continuously influential till the Choson Dynasty period. The religion referring to Lotus Sutra during Choson Dynasty period was evolved with these traditions at its base. These evidences can identify the fact that Lotus Sutra religion in the Choson Dynasty period was popular at that time. First, of many texts that were made during the Choson Dynasty period, Lotus Sutra is the one that was printed the most. The purpose of creating the text is closely related to cherishing the memory of a spirit or forming one's insight. History tells that Lotus Sutra was recognized as the essential point for practicing austerities, the purpose. Second, the philosophy concerning the Lotus Sutra at that time was not studied independently. The fact that the philosophy about the Lotus Sutra and the religion was the learning-teaching basis for Zen Buddhism monks in Choson Dynasty period can be found in the books of that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en Buddhism and the philosophy concerning the Lotus Sutra was also shown as an icon in Buddhism artwork. Lastly, Buddhism's religious ceremony was held outside after 17th century. The Yongsanjae ritual(靈山齋), which represents the sermon at Mt. Grdhadhute(靈鷲山), is intimately correlated with production of Yongsanhuesang Gaebul painting. The Yongsanhuesangdo, which all represents Buddha preaching the Lutus Sutra at Mt.Grahadhute, is classified to four kinds of formations. The drawing representing the sermon is the most typical model among them. With Buddha in the middle, the whole family that participated in the Mt. Grahadhute sermon were the Bodhi-sattva, the ten disciples, the four Divas, the Eight Assemblage, the daughter of the Dragon King, the Brahma, the Indram, the King Asaaseh etc. They are placed in order according to hierarchy. This kind of formation takes the scene showing Buddha preaching in the Bong-JongTemple's Yongsanhuesang mural form as its fundamental. The Bong-Jong Temple's Yongsanhuesang mural was made in the 15th century. Second formation is shape of a monk or someone expressed as Bodhi-sattva facing his or her back at the bottom of the scene, which the Buddha is preaching. Although there are not very much examples for this kind of formation today, it is considered valuable for inheriting the formation formed in early Chos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for it specifically expresses the philosophy of Lutus Sutra Anyone who were strong in belief was allowed to ask for Buddhas sermon. Through the sermon, they became enlightened. Third kind of formation is the appeara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ith white gowns at the bottom of the preaching scene. It only emerges from mid to late 19th century.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expressed perpendicular to Buddha is the one who saves the present world from its suffering and makes people's wished come true. From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ligion concerning Avalokitesvara was inserted into religion regarding the Lotus Sutra. Fourth one is YoumHwa Buddha(拈花佛) form, another kind of Yongsanhuesangdo which represents the sermon that took place on Mt. Grdhadhute, but different in the formation of sermon drawings and the origin of icon. The narrative is that when the Brahma gave Buddha flowers and asked for sermon, it was only Mahaksasyapa who was enlightened by Buddha's sermon. There is an icon evidence inInchun- anmok ( 「人天眼目」), the 'YoumHwa'(拈花) in the fifth book of Jongmoonjobrok(宗門雜錄) which was written by the monk of Jiso(智胎), South Song, in 1188. This icon was one of many stories that were transmitted as means for the legitimacy of Mahaksasyapa, the first generation of ancestor.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Yongsanhuesangdo was expressed in various ways with religious reasons and philosophy of the Lotus Sutra at its foundation. Thus, the Yongsanhuesangdo of late Choson Dynasty period is valuable for i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ceremony and the religion and philosophy concerning the Lotus Sutra coordinately.

      • 시공간도표에 기초한 특수상대론 시각화 자료 개발 및 적용 효과

        권진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현대 물리학의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특수상대론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해졌다. 개정 교과서의 특수상대론은 일반물리학의 진행방식과 비슷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고등학생의 인지수준에 맞는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면 특수상대론을 좀 더 효과적으로 조직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고등학생 특수상대론 수업의 시각화 자료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시공간도표(space-time diagram)에 기초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수 있는 시각화 자료 개발하였으며 전국연합평가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사용된 문항 중 특수상대론에 관한 문항을 선별하여 기초개념 학업성취도 검사지를 만들었다. 교과서의 전통적 방법으로 수업이 진행된 직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들에게 빛 원 시각화 자료를 이용한 수업과 교과서에 소개된 전통적 수업을 각각 적용하고 동일한 문항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각화 자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공간도표의 빛 원뿔(Light cone)을 바탕으로 관찰자에 따라 시간을 표현할 수 있는 빛 원(light circle)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특수상대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인 동시의 상대성과 시간 지연, 길이 수축을 학생들이 직접 빛 원을 그리며 확인할 수 있는 시각화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특수상대론의 동시의 상대성의 경우 빛 원 시각화 자료를 이용한 수업과 전통적 수업 모두 수업 전후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향상이 나타났으며, 시간 지연과 길이 수축의 경우 빛 원 시각화 자료를 이용한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수업 전후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향상이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시간 지연과 길이 수축을 이해하는데 있어 빛 원은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시각화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는 시공간도표의 경우 그래프에 관찰자에 따라 시간 축을 두고 특수상대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해석하도록 하는데 비해 빛 원의 경우 관찰자에 따라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특수상대론의 가정으로부터 특수상대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자의 중심에 원을 그려 반지름의 크기를 시간으로 시각화 하여 구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모든 관성기준계에 물리법칙이 동일하다는 특수상대론의 가정을 서로 다른 관찰자의 입장에서 빛 원을 그려 직접 표현해 보며 특수상대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 완전히 대칭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특수상대론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학습하는데 있어 관찰자에 따라 시간을 빛 원으로 표현하는 활동이 시간 지연과 길이 수축의 개념이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김재권(2012)의 연구에서 ‘특수상대론 현상들을 언어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보다 좌표계의 틀 위에 직접 그려보게 하는 활동이 효율적인 수업 방법이다’라고 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visualization materials which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special relativity, one of the modern physics newly included in high school text books for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m in classes. The visualiz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to enable students to draw and identify the simultaneity, time dilation, and length contraction of special relativity by designing light circle based on the light cone of space-time diagram. After the traditional classes and the following pre-test for basic concepts on special rel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the concept of special relativity by using light circle visualization materials,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using traditional teaching which is faithful to the content of textbooks. Then, the post-test was given to both of them, and finally the effect of light circle visualization materials was analyzed. Consequently, both the visualization materials using light circle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showed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in simultaneity, while the visualization materials using light circle showed significant achievement in time dilation and length contraction than using traditional teaching which is faithful to the content of textbooks.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students are able to visualize time symmetr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ers when the light circle is used for special relativity. In conclusion, since the light circle visualization materials are effective in teaching time dilation and length contraction, the materials can be presented to help th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special relativity who might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rough traditional teaching which is faithful to the content of textbooks.

      • 대안교육의 생태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

        권진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류가 직면한 심각한 생태계의 위기에 대해서 우리는 어느 정도 인식은 하고 있으나 그 해결을 위한 실천에는 모두 소극적이고 피상적이다. 이는 과거 서구 물질중심 문명과 과학지상주의에 매몰되어 생태위기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교육이념과 실천을 전개하고 있는 이른바 '대안학교'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대안학교의 교육이념과 그 교육과정이 생태주의적 세계관에 적합한 점을 찾아내고, 그러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얼마나 변화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문명사적 위기에 직면한 전환기에 대안교육이 생태주의적 세계관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검증해내고, 다양한 갈래로 전개되고 있는 대안교육운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대안교육은 학생들의 생태주의적 세계관 함양에 효과적'이며 따라서 대안교육의 교육이념과 교육과정은 생태적으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최근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생태주의 이론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지표와 설문지를 만들어 대안학교 학생들과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대안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인간중심적인 사고와 과학기술을 신뢰하는 환경관리주의에 대해 더 비판적이었고, 농업 중심 사회로의 회귀에 우호적이었으며 반면에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안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 학생들보다 물신주의로부터 자유로웠고, 생태계 보호를 위해 소비주의적인 삶의 양식을 버리고 자발적 가난을 선택하고자 하는 생태적 삶에 대한 실천 의향도 강했으며, 최근 추세화되고 있는 세계화와 정보화에 대해서도 대안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자본이 주도하는 일방적인 세계화와 정보화사회에 대해 무조건 추종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안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보다 대학진학에 대한 필요성을 심각하게 느끼지 않고 있었으며, 현재 다니고 있는 학교에서의 환경교육에 대해서도 만족하고 있었고 학교교육을 통해 자연관이나 가치관에 변화를 느낀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대안교육이 생태주의적 세계관 함양에 효과적이고 따라서 대안교육은 생태적으로 적합하다고 하겠다. Though we are aware of the serious ecological crisis mankind faces these days, we are too passive and superficial to implement and practice what we ought to de to solve the problem. That's probably because we are not able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problem of the ecological cris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ast western supremacy of materialism civilization and scientism. Now, we are going to pay attention to the 'Alternative School', practicing the new educational philosophy from this standpoint. Particularly, we are going to fi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educational program to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verify the changes among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this kind of new educational program in their viewpoints, if 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in cultivating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t this transitional period, facing crisis from the eye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various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s. The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accordingly, are that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ecological viewpoints of the students' and thus the education philosophy and the program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appropriate ecologically. To verify these hypotheses, I started with reviewing the various ecological theories discussed these day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prepared an indexes an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of the alternative schools and of the ordinary high schools in terms of ecological viewpoints, lead to the following results. It turned out that the students of the alternative school are more humanistic, while critical to the environment development control and more amicable to the return to the agricultural society, while critical to the market economy of the capitalism, than th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re comparatively free from the fetishism and more inclined to the practice of the ecological life style, choosing the plain life voluntarily rather than the consumptive life style.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re more critical to the recent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not blindly following the capital-initiated characteristics, too. In the meantime, the alterative school students are comparatively not serious to the necessity of the college education. They a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on environment provided by their schools and perceived changes on their views on the nature and the value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foregoing analysis,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effective for cultivating the ecological views of the students and thus it is appropriate ecologically.

      • 식물 Image로 표현된 목걸이 연구 : 마디(Unit)의 연결방식을 중심으로

        權眞暎 동덕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는 선사시대부터 지역의 특성과 조건에 따라 개성적인 조형으로서의 장신구가 발전하였다. 어떤 시대이건 장신구에는 그 시대의 사람들 마음과 생활환경이 숨김없이 드러나 있기 마련이다. 때문에 장신구는 시대가 바뀌고 의생활의 양상이 달라짐에 따라 변천하고 발달하였다. 장신구 중에서 목걸이는 목에 거는 걸이를 통칭(通稱)하는 것으로서 고대에서는 주술과 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들이 많으며, 몸을 장식하여 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보석을 지닌 고귀한 신분표시를 나타내는 데도 의미를 갖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시민계급이 민주화와 함께 종래의 신분적 차별이나 주술적 의미보다는 한 단체의 상징으로서의 휘장이나 개인의 미적 표현으로서의 장식으로 변모되어 왔다. 우러나라는 훌륭한 장신구의 역사를 갖고 있는 문화민족이며 세련된 예술의 경지를 이룩한 민족임을 한국 목걸이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알 수 있다. 삼국시대의 화려했던 조상들의 기술과 창의력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마디(단위체, unit)의 다양한 연결방식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목걸이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형태적으로 네크리스(Necklace), 네크리트(Necklet), 네크피스(Neckpiece), 초커(Chocker), 팬던트(Penfant), 팩터럴(Pectoral), 로키트(Locket) 중 네크피스와 구성상으로 연주형(Bead type), 체인형(Chain type), 연결형(Link type), 완전형(Perfect type), 단순형(Simple substance type) 중 연결형에 해당하는 목걸이를 변혀된 고리(chain) 형식과 리벳(rivet)형식에 의한 마디의 연결방식을 시도하여 상하, 좌우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하였다. 이러한 목걸이를 식물이라는 형태적 대상과 접목시켜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였고, 식물이미지를 통하여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부드러움, 강인함, 우아함 등의 감정을 표현하였다. 특히 식물과 인간의 순수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주재료로는 정은(92.5)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The mankind has developed the ornament as an individual molding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In any period, the ornament is subject to reveal the mind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people without concealment. Thus it has alter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ge and the variation of clothing life. In the ancient times, each nation's characteristic expression has many incantatory and religious meanings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showing off beauty by decorating the body and the noble status by gem. Along with the democratization of the civil class, it has changed into a badge as a symbol of an organization or an accessory to express the beauty of each perso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al position or incantatory sense. Through a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Korean necklace, it can be known that Korea is a cultural nation who has an excellent history of ornament to establish the most polished state of art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Asia. Now is the time to strongly require our ancestor's brilliant technique and creativity of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us, this thesis aimed to study a creative necklace to present a new formativeness. Among necklace, necklet, neckpiece, chocker, pendant, pectoral, and locket in appearance, necklace was selected, and among bead type, chain type, link type perfect type, and simple substance type, link type was chosen to search for a practical beauty by connecting the plant, vegetable object. Through the vegetable image, theme of shape, the emotion immanent in the mankind such as softness, toughness, and elegance was intended to be expressed, while the emphasis of this study was put on the harmony with beauty of form which appears from a woman's body.

      • 셰익스피어 사극에 나타난 권력과 연극성

        권진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During the reign of Queen Elizabeth I, the Golden period of English drama, political power was considered highly theatrical, and that theatricality of power was practiced by the court. In his historical plays, Shakespeare not only reflects this tendency but also supports it. Certainly, the theatrical propensity of power in his time was subtly appropriated to safeguard the sovereignty of the Tudor monarchy and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power of theatricality in the plays was utilized by rebellious figures in their attempts to attain political power, thereby overthrowing the ruling monarchs.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politics and theatricality are interwoven in Shakespeare’s historical plays and how those characters aspiring to the throne used theatrical trickery or devices to fulfill their political ambitions. The major figures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include Prince Hal in Henry IV Part 1 and Henry IV Part 2, the Duke of York and Jack Cade in Henry VI Part 2, and Richard III in Richard III. Chapter 2 is centered upon a discussion of Prince Hal’s disguise as a reveler in terms of the theatrical device he employs. With Falstaff as his companion, what Hal does for the most part in this play before ascending to the throne is to perform a role play by putting on the mask of irresponsibility. However, he is self-conscious of the theatricality of his actions when he chooses to appropriate Henry IV’s practical politics, distances himself from Falstaff and drops his mask when it is necessary. Chapter 3 is concerned with the Duke of York, Richard Plantagenet, in Henry VI Part 2. Slandering the weaknesses and incompetence of Henry VI as the ruler of the nation, the Duke attempts to usurp sovereignty through the theatrical strategies of hypocrisy and deception. He manipulates Jack Cade into rousing rebellious forces and throwing the nation into chaos. Like a character on the stage, Jack Cade imitates and parodies men in power in an exaggerated way. Yet the mob frenzy and the absurd situations created by his revolt against the ruling power eventually serve to legitimatize Henry VI’s act of containing them. Chapter 4 discusses Richard in Richard III. This villain-hero with a physical deformity represents Machiavellian politics. Through his theatrical ingenuity, he warps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and eliminates his political adversaries without showing any pang of conscience. In this play, he shows how powerful and effective the deceptive power of theatricality is. He justifies his vicious acts by using such theatrical devices as repetitive and self-revealing soliloquies and asides. These function to invite his audience to become a part of his theatrical tricks. Chapter 5 concludes this study by noting that Elizabethan theaters absorbed, reconstructed, and created the energies of sovereign power and that Shakespeare’s historical plays dramatized the theatricality of political power from a conservative political perspective. 셰익스피어가 극작 활동을 한 것은 연극성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시기이다. 당대의 군주는 극이 담고 있는 연극적 효용성을 감지하고 이를 권력 행사에 적용했으며 연극적 권력 행사는 왕권 유지와 강화에 일조했다. 셰익스피어 당대의 왕권과 정치적 권력의 행사가 연극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은 셰익스피어 사극의 정치성을 연극성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작업의 근거로 작용한다. 셰익스피어의 사극은 왕권과 연관을 맺고 있는 역사를 다루면서 권력과 그 권력의 연극성을 재현했다.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시대의 권력이 연극적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헨리 4세 1부』, 『헨리 4세 2부』, 『헨리 6세 2부』와 『리처드 3세』에서 주요 인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연극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연극성이 권력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논의한다. 제 2 사부작의 『헨리 4세 1부』와 『헨리 4세 2부』에서 할 왕자는 폴스타프 등의 방탕한 무리들과 어울리면서 방황하지만, 이는 그의 역할 연기의 일부이다. 그는 방황한 자가 아니라 방황한 자로 자신을 가장한다. 그는 헨리 4세의 실용적 정치 철학을 전유하면서, 때를 기다리는 정치적 연극성을 발휘한다. 할 왕자는 무질서를 표방하는 폴스타프를 최종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전복의 가능성을 봉쇄하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면서 이상적인 군주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과시한다. 『헨리 6세 2부』의 요크 공작은 헨리 6세의 유약함과 정치적 무능을 비난하면서 기만과 위선을 책략으로 왕권을 주장하는 위선적 인물이다. 그는 잭 케이드에게 반란을 사주하여 영국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케이드는 권력자의 모습을 과장되게 모방하며 현실 정치를 패러디한다. 그러나 폭력과 무질서로 변질된 케이드의 반란은 전복을 봉쇄하는 권력의 존재 의미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처드 3세』의 리처드는 기형적인 외모를 가진 악인으로서, 기존의 가치를 조작가능한 도구로 활용하면서 마키아벨리적 면모를 드러내는 인물이다. 그는 계략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감추고, 연극을 통해 주위 인물들의 시선을 조작하면서 자신의 미화된 모습을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리처드는 독백과 방백을 자신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리처드는 계략과 연극을 통해 왕권을 획득하지만, 그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위선적 실체와 도덕성의 부재를 드러내면서 부패한 권력의 실체를 폭로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셰익스피어 당대의 정치가 연극성을 이용하고 전유하고 있기에 정치성과 연극성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다. 당대 권력을 무시할 수 없었던 셰익스피어는 튜더 왕조로 이어지는 과거 통치자의 모습과 그들이 드러내는 연극성은 미화하고, 이에 대항하는 세력들이 구사하는 연극성은 폄하하여 재현하고 있다.

      •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 대상 독학용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권진영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공간적, 경제적인 이유로 한국어를 독학하는 스페인어권 입문 학습자들이 한글부터 기초적인 한국어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독학용 교재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기존에 출판된 독학용 한국어교재와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출판된 한국어교재 5종을 분석하였고, 현지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요구조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독학용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스페인어권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어 독학 학습자가 혼자서도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명확한 학습 목표와 ‘하루 2시간 30일’ 학습 플랜을 제시하였고, 고정 캐릭터 및 학습과 연관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글의 자모음뿐만 아니라 음운 규칙 및 억양을 학습할 수 있는 ‘발음’ 부분을 단원에 추가로 포함하였고, ‘확장 어휘 및 표현’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어휘를 확장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려운 문법 용어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 문법을 설명하였고, 부족한 문법 사항은 대화 학습에서 추가로 보충 설명을 제공하였다. 본 교재에 어휘, 문법, 언어의 4기능과 관련한 연습문제를 제공하는데 워크북을 통해 학습자에게 더 많은 연습 활동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각 단원에 자가 평가 장치를 두어 교사의 도움 없이도 효율적인 학습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문화의 경우 학습자의 문화 선호도를 바탕으로 주제와 연관된 문화를 제시하되 한국어 표현도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재 연구와는 달리 현지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향후 이루어질 교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self-study textbook for Spanish-speaking Korean learners who need to study the language on their own due to time, geographic or economic constraints. The textbook is aimed at enabling them to acquire basic Korean skills and attaining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research on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self-learners as well as five Korean textbooks written for Spanish speakers. Also, I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analyze the attributes and needs of Spanish-speaking Korean learners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self-study textbook model. To enable Korean learners who came from Spanish-speaking countries to learn Korean on their own in a systemic program, the textbook sets forth clear study goals, a “two-hours-a-day for 30 days” study plan, fixed roster of animated characters and visual aid to keep the learner engaged. Going further, I added a chapter dedicated to pronunciation wherein the learner can learn not only about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but also phonological rules and intonation as well. Another key element is Broader Vocabulary and Expressions, a section that builds upon key vocabulary presented in the chapter. Also, I refrained from using grammar jargon and walked the learner through Korean grammar by way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Spanish, electing to flesh out grammar in the dialogue section. The textbook presents questions based on vocabulary, grammar and the four functions of languages; the textbook includes a workbook to help learners practice the content and closed each chapter with a self-analysis section so that learners could learn Korean effectively without the help of an instructor. For the cultural education part, I selected cultural theme to accompany each chapter’s goal and included Korean expressions to accompany the them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unlike existing Korean textbooks, it has been designed based on a survey to understand learners’ actual needs.

      • 환경지원사업의 위험도분석을 통한 환경심사기준 설정 연구

        권진영 高麗大學校ㆍ韓國科學技術硏究院 Green School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세계금융시장은 금융과 환경 영역에서 비용과 이익의 균형 및 민간과 사회의 균형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강력한 환경과 사회 기본 규제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에, 대표적인 국제금융기관의 환경정책을 조사하고, 상호 비교를 통해 선진 환경정책으로 벤치마킹되고 있는 국제금융공사(IFC: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기준(Performance Standard)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은행그룹의 경우 독립 기관인 독립평가그룹(IEG: Independent Evaluation Group)은 대표적인 국제금융기관인 세계은행과 국제금융공사의 금융지원 사업에 대해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이행 적정성이 목표 그룹에 정확히 배분되는가에 대해 중점을 두고 평가를 수행한다. 이에, 동 기관은 수년간 실시한 환경심사사례를 분석하여 환경과 사회 리스크를 정량적, 정성적 측정이 가능하도록 4가지 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리스크 및 편익 모델을 개발하였다. IEG(2010)는 리스크 분석결과, 환경리스크에 의한 영향보다 사회리스크에 의한 영향이 사업의 전체 리스크 고려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IFC 기준을 적용한 국내 해외투자사업의 환경심사사례에 대해 환경리스크와 사회리스크를 산출하고 편익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초기 환경심사 단계에서 분류한 환경위험등급과 리스크 및 편익 모델을 적용한 결과가 IEG 평가결과와 비교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EG와 유사한 추세인 사회리스크가 환경리스크보다 영향범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사업심사사례 건수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IEG와 다른 차이점도 보였다. 그러나 리스크와 편익 모델을 통해 국제 환경심사기준의 지속가능성 기여도를 확인하고, 도출된 편익의 영향범위군인 최종 목표그룹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에 환경정책을 적용하고 준수하는 것은 지속가능성 달성이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빈곤감소와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상당히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