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간 발릴-tRNA 합성효소와 신장인자의 상호작용

        권용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minoacyl-tRNA synthetase (aaRS) is the enzyme which connects a specific amino acid with tRNA. Valyl-tRNA synthetase (VRS) is the enzyme which connects valine with tRNA. Elongation factor is the protein which transfers aminoacyl-tRNA to rRNA, and consists of 4 subunits, eukaryotic elongation factor 1 A (eEF1A1), eukaryotic elongation factor 1 Bα (eEF1Bα), eukaryotic elongation factor 1 Bγ (eEF1Bγ), and eukaryotic elongation factor 1 Bδ (eEF1Bδ). They form a big complex, elongation factor heavy form. VRS binds the complex in eukaryote. Glutathione S transferase (GST) domain is usually requested protein assembly, folding regulation, and forming complex with other proteins. VRS has GST domain, which eEF1Bα, eEF1Bγ also have. We did affinity chromatography so that find the interaction of VRS and each subunits of elongation factor. VRS interacts with eEF1Bα and eEF1Bγ, but doesn’t with eEF1A1 and eEF1Bδ. The result reappears at the chromatography of VRS GST domain (VRSGST) with each subunits of elongation factor. The same result appeared at the experiment of VRSGST with each subunit GST domains of elongation factor (eEF1GST). VRS has 2 interfaces. The interface 1 interacts with eEF1Bγ, and the interface 2 interacts with eEF1Bα. The interaction form of VRS and elongation factor heavy form is that VRS is replaced with the one of eEF1Bγ dimer, eEF1Bα binds both sides of the VRS and eEF1Bγ complex, and eEF1Bδ binds eEF1Bγ. By the way, VRS doesn’t bind aminoacyl tRNA synthetase complex-interacting multifunctional protein (AIMP) 2, 3, and glutamyl-prolyl-tRNA synthetase (EPRS), but binds cysteinyl-tRNA synthetase (CRS), and methionyl-tRNA synthetase (MRS).

      • 저수지-하천 연계 물수지 모델 개발을 통한 가뭄평가

        권용현 인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가뭄의 발생 기간은 길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이고 협소한 국토면적으로 인해 수자원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유역 내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을 통한 물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물수급에 대한 상황을 반영한 물수지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방법을 통해 가뭄이 발생하기 전에 물부족에 대한 대책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우리나라 물관리 기법의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천유역의 물공급 현황을 고려한 일단위 공급가능량, 수요량, 공급량, 부족량 등의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한 저수지-하천 연계 물수지 모델(River Basin Water Balance Model; RivWBM)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가뭄전망 시스템(Drought Outlook System; DOS)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새로운 물수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물수지 분석 방법과 모델에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간적 범위 설정, 물공급 방안, 기상자료의 확보, 실시간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적용한 물수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물수지 모델은 기상자료 구축 및 유역평균값 산정, 강우-유출 분석, 수혜면적 및 수요량 추정, 저수지 물수지 분석, 하천유역 물수지 분석의 5개 모듈을 활용하여 일단위 저수지 및 하천유역의 물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모델의 타당성 및 적용성 평가는 최근 가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의 저수지 129개소와 하천유역 436개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저수지의 관측저수율과 하천의 유량 관측자료를 유출고로 변환하여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통계기법이 “충분” 범위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모델의 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미래 90일 무강수 조건에서의 일단위 공급가능량, 공급량, 부족량, 잉여공급량, 가뭄위험등급을 전망하는 가뭄전망 시스템(Drought Outlook System; DOS)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시스템에서 분석되는 가뭄위험등급과 유효가뭄지수, 수정지표공급지수를 수집하여 가뭄 발생 여부와 비교하여 경향성 판단을 진행하고 정량적 평가를 위해 ROC(Relative Operating Characteristic) 기법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가뭄위험등급이 유효가뭄지수와 수정지표공급지수보다 적용성이 높게 나타나 가뭄판단 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적용성이 높게 평가된 물수지 모델과 가뭄전망 시스템을 통해 저수지와 하천유역의 물공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가뭄에 취약한 지역에 대해서는 가뭄상황을 조기에 판단하여 가뭄 발생 전 물부족에 대해 대책수립 및 시설물 운영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관계판매행동 및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영업사원의 순이익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권용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의 영업사원은 영업사원의 역할은 단순히 제품 판매에 초점이 맞춰 져 있었다. 그러나 현재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동차 산업처럼 여러 산업이 맞물려 있는 서비스에서는 영업사원이 과거의 판매만을 하는 역할을 넘어 고객에게 상품, 기술, 금융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설명을 하는 상담사로 서의 역할도 중요해 졌다. 영업사원은 기업을 대표하여 고객과의 최접점 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고객과의 소통을 통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Cannon & Perrault, 1999). 관계판매행동은 고객과의 상품 판매과정 속에서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영업사원의 판매행동으로 신규고객 뿐 아니라 후에 고 객 관리 있어서 나타나는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영업사원의 관계판매행 동은 고객 만족의 신뢰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 기업의 매출과 장기적인 성 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Brown, Mowen, Donavan, and Licata,2002; Park and Holloway, 2003; Wachner, Plouffe, and Gréegoire, 2009). 현재의 자동차 판매시장은 다양한 글로벌 회사의 경쟁으로 인하여 평 균적으로 자동차 판매 시 고객에게 물품 및 금품을 제공하는 것이 시장에 이미 정착되어 있다. 이는 A사의 정가판매 정책에 반하는 부정적인 판매 현상의 순환의 연속이며 장기적으로 보면 기업의 가치 손해는 물론 영업 사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영업사원들은 급변하는 판매 시장 속에서 회사의 정가판매정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대수에 초점 을 맞추어 승진을 하여 본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철학을 재정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A사의 판매정책인 정가판매 정책의 현장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현재 회사의 정책 방향이 회사의 이익극대화와 시장 상황에 맞는지 분석하였으며 회사의 이익창출에 저해가 되는 도덕적 해이 를 발견하고 변화하는 판매시장에서 정가판매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였 다. 또한 관계판매행동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가 영업사원의 순이익 율 및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영업사원의 생산성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고 영업사원의 이익을 위한 순이익율에는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 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영업사원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결과가 나 타났다. 일반적으로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영업의 노하우가 쌓여 생산성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변화하는 판매방식 부적응 및 도덕적 해이 등 여러 가 지 요인에 의하여 분석결과 근속년수가 높아질수록 생산성이 감소한다고 나타났다. 이는 회사의 수익 창출에는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개선 하고 가야할 문제이다. 이에 합리적으로 회사와 직영영업사원이 노사 협 의를 통하여 근속년수나 연령이 기초가 되는 연공급 보다는 노력하고 능 력을 발휘하는 영업사원이 보답 받을 수 있는 성과중심으로 급여임금체계 개선에 기초연구가 되고자한다. 성과위주 임금체계 개선과 더불어 현재 판매시스템으로 보면 불가능하지만 노사 협의를 통하여 회사의 불필요한 비용을 감소하며 온라인 판매 도입과 같은 새로운 판매망과 함께 변화하 는 시장에 맞는 영업사원의 업무를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4차 산 업혁명의 변화의 바람 아래에서 회사의 이익 극대화를 유지하며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노사 모두 열린 합의를 통하여 합리적인 임금체계 개 선과 새로운 판매망 도입 등 변화하는 시장에 맞는 정책을 통하여 우리의 고용안정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다.

      • V2X와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차를 위한 차선 위치 인식 기술

        권용현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autonomous driving lately. Various applications for self-driving cars carry out object recognition through cameras or various sensors in advance. It is also important to recognize the roadway in which the host vehicle drives during this prior recognition. This is because many applications of connected cars or self-driving cars are based on recognition of driving Road lanes. Methods for determining the driving road lane are as follows. Locate the yellow lane line after detecting the lane marke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e marker. Locate the load lane of the host vehicl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yellow lane found. However, we have identifie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driving lane on roads above three lanes, and that intersections without lane markers are also difficult to identify. This paper presents new ways to utilize V2X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on roads above the three-lane. A Deep Learning model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driving lanes of a vehicle in question using the front image characteristics received from the vehicle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from the RSU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Through this, the predicted accuracy of 90% or more was verified in the three-lane road and intersection environment.

      •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권용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역주민의 삶의 질(QOL)이란 개인의 복지수준과 건강도, 그리고 생활환경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지역주민의 생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척도가 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삶의 비전, 장기발전계획, 미래구상 등을 제시하고 지역주민의 QOL수준을 향상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는 판단하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QOL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 여건에 적합한 QOL수준을 파악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하지만, 현재까지 평가방법, 공통지표, 측정도구 등의 논란 때문에 QOL수준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QOL수준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어온 주관적·객관적 지표들을 검토하고, 현실에 보다 적합한 통합지표를 구성하여 QOL평가에 적용하여 QOL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대구광역시 8개 자치구군과 대구 인근지역 8개 자치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QOL관련 객관적인 행정서비스 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 평가를 실시하고, 또 이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QOL만족도를 분석하여 두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설명하였다. 시간적으로는 2007년에서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고 주관적인 측면은 서베이(SURVEY)를 통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측면은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주관적 측면, 객관적 측면, 통합적 측면에서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QOL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평가에서는 대구 인근지역의 만족도가 광역지역보다 더 높다. 이는 대도시의 QOL수준은 낮아지고, 중·소규모도시의 QOL은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연구대상 16개 지역의 QOL에 대한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지역별 QOL결정요인에 대한 평균차이는 있는 것으로 보이며, 주관적·객관적 만족도를 포함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광역지역은 남구, 수성구, 달성군, 대구 인근지역은 고령군, 군위군, 칠곡군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QOL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경제여건, 가족주거여건, 건강관리여건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 광역지역과 대구 인근지역 모두 지역경제여건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다른 요인의 약 2배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구와 인근지역의 QOL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경제여건에 대한 최우선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대구는 공공안전, 환경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고, 대구 인근지역은 주거, 교통문제의 해결,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넷째, 지역별 QOL수준 향상분야로 교육, 문화, 관광(동구, 남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과 건강(수성구, 경산시, 청도군, 고령군, 칠곡군), 가족, 교통, 주거(서구, 중구, 성주군)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QOL수준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개선시킨다면 지역 간 균형발전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QOL평가지표를 중심으로 QOL에 대한 지역별 효율성 평가를 분석하고, 비효율적으로 판정된 지역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측정된 QOL효율성을 보면, 효율성 값(E)이 1인 경우가 전체 16개 지역 중 12개(75%)로 나타났고, 대구 광역지역의 효율성은 97.5%정도이고, 대구 인근지역은 94.4%로 대구 광역지역의 효율성이 약간 높다. 전체 순위에서는 수성구가 가장 높고, 중구와 고령군, 군위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율성 값(E=1)을 지닌 지역은 전체 16개 지역 중 건강관리여건은 4개로 25%, 공공안전여건, 가족주거여건, 지역환경여건 등은 각각 7개로 43.8%, 교육문화여건, 사회복지여건은 각각 6개로 37.5%, 지역경제여건, 지역참여여건은 5개 31.3%로 나타났다. 효율성 값으로 볼 때 건강관리여건, 지역경제여건, 지역참여여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지역별 효율성 값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데, 그 중에서 대구 광역지역에 비해 대구 인근지역은 비효율적인 값을 나타내는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평가결과와 객관적 평가결과를 종합한 통합적 평가결과를 보면, QOL지표를 이용한 통합적 평가결과는 지역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광역지역은 가족주거와 건강관리가 높게, 대구 인근지역은 가족주거와 공공안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효율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역환경여건 및 참여여건이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대구 광역지역은 공공안전, 사회복지,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이 높았다. 인근지역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지역환경여건, 교육문화, 지역참여 등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광역지역과 대구 인근지역의 QOL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QOL평가지표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의한 분석의 결과를 중심으로 지역별 균형발전을 위한 QOL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6개 전체지역의 QOL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가족주거여건과 건강관리여건 이외에는 모든 평가지표들에 대한 QOL만족도 수준이 낮다는 측면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이 대도시의 개별 자치구나 규모가 작은 인근지역의 기초자치단체라는 특성에서도 기인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니는 환경적인 열악함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이들의 QOL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도시 지역과 유사한 삶의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하는데 교육?문화?관광, 사회복지 그리고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지역경제여건의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반적인 QOL만족도는 대구 광역지역보다 대구 인근지역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역적으로 하나의 생활권에 속한 지역들이 균형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대구 광역지역이 우세한 여건을 가진 QOL의 수준(건강,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과 인근지역이 보다 나은 QOL의 수준(공공안전, 환경, 참여 등)을 적절히 연계하고, 두 지역 모두 낮게 평가된 지역경제, 사회복지여건 등을 중점적으로 개발한다면, 이들 광역생활권의 QOL이 동반 상승되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QOL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평가지표 중 지역경제부문이 가장 큰데, 이는 지역인구, 소득 및 소비생활, 직장생활, 지방세, 물가 등 지역주민의 최저생활여건과 관련한 것이다. 또한 주거, 교통, 건강여건 등도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들이라는 측면에서 앞의 연구결과와 다를 바 없다. 즉, 이러한 요인들은 인간의 웰빙(well-being)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안고 있는 심각한 여건상의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급 지역들이 안고 있는 경제적 상황의 개선을 통한 QOL제고가 보다 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평가지표의 적용으로 많은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평가적용의 어려움과 함께 다음의 몇 가지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QOL에 대한 주관적 측면의 만족도 평가에서 강조되는 것은 바로 측정지표이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측정 가능한 지표개발이 필요한데, QOL지표선정이 어렵고, 자의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둘째, QOL에 대한 객관적 측면의 효율성 평가는 평가지표, 평가시기, 평가내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이용된 측정방법인 DEA는 지역별로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인데, 평가지표의 수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SURVEY에 이용된 지표는 QOL의 하위요소에 해당되고, DEA방법에 이용된 지표는 지역주민의 QOL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공공서비스 관련 지표이다. 평가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QOL하위지표와 공공서비스 관련지표를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지표에 따른 자료 확보가 불가능하여 QOL의 여건지표와 유사한 공공서비스 지표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지표상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타당성 있는 지역별 QOL평가를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한 측정 가능한 QOL지표의 개발과 타당한 QOL평가방법의 적용 및 QOL평가 대상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평가 등과 관련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quality of life(QOL) means "livability" based on subjective feeling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residents of a particular community feel towards the place they live in. Research in this field of how we understand quality of life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objective approach method, the subjective approach method, and the combined approach method. The first position holds that quality of life is predicated on objective conditions. The second method holds that quality of life can be understood through a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sense of satisfaction. The third position holds that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oaches must be unified together. In this approach, by combining appropriatel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that constitute quality of life, an objective basis for quality of life can be determin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based on individual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subjective and objective indicators used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QOL), apply composing integrated indicators, present improving suggestions QOL level. The data related with local residents' survey measuring subjective QOL's satisfaction and local government's service results QOL's evaluating objective efficiency of year from 2007 to 2008. And research regions are composed of 16 area, including 8 Daegu metropolitan-area(Donggu, Seogu, Namgu, Bukgu, Junggu, Suseonggu, Dalseogu, Dalseonggun)and 8 neighborhood-area(Gyeongsan ,Yeongcheon, Gumi , Gunwi, Cheongdo, Goryeong, Chilgok, Seongju). The major statistical tools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dissertation are descriptive statistics(e.g., mean, SE, frequency, etc.), t/F-test, multi regression, factor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for measuring objective, relative efficiency.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there are eight major factors related with determinants of local residents' QOL such as health, public safety, transport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regional economy, social welfare, citizen participation. Principal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are show three aspects, namely subjective, objective and integrated method. First of all, the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of QOL is higher Daegu metropolitan-area than neighborhood-area. Second, the average of QOL's components by area is show difference significantly.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of QOL's satisfaction counted regional economy, housing affordability, and health. Fourth, among the main factors improving quality of life, education & culture, health, family & transportation high on their list. For development overall QOL level, there is presented improving poor QOL factors, namely regional economy, social welfare. The next, the results of objective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on the whole, the measured QOL's efficiency(if, E=1 then, very high) is Daegu areas(E=0.975) than neighborhood areas(E=0.944). Second, the region with efficiency value(E=1) is sixteen regions, among the regions, health is four(25%), public safety, housing affordabilily, regional economy are each seven(43.8%), education and culture, social welfare are each six(37.5%), and regional participation is five(31.3%). Third, the efficiency value of region is not high overall, which is show the neighborhood-area more inefficiency than Daegu metropolitan-area. Therefore, seeing that the efficiency value, it should demand policy considerations of local government improving health, regional economy, regional participation parts. The last, the integrated evaluation that using QOL indicators are differ of region.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in the fields of health and housing affordability, their satisfaction is high to Daegu metropolitan-area, and the satisfaction of public safety is high to neighborhood-area. Judging from objective evaluation, overall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are high. Among them, many factors such as public safety, social welfare, housing affordability, education and culture are high to Daegu metropolitan-area, but the factors such as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regional participation are high to neighborhood-area. The following ar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QOL level of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o the improve QOL level of the 16 whole regions, the conditions of life for education and culture, social welfare, regional economy need to improved. Second, a plan of actions to advance overall QOL are needed. if low evaluated indicators will develop selectively, the QOL of whole regions will become higher and synergy effect will come to light gradually. Third,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 is regional economy. it relate to income, job, tax, employment etc. Accordingly, it is needed raising QOL level through the improvement of economic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lack of subjective indicato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s, omit time serial objective data and difficult indicator selection. For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appropriate QOL evaluation of region, after due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 of QOL indicators accepting residents' demand, application of reasonable QOL evaluative method, and the QOL evaluation reflecting character of region, the following study will need.

      • 운동학습이 대뇌피질의 흥분성과 신경 전달 속도 및 근육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권용현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운동학습은 반복적인 연습과 경험을 통해 새로운 동작과 그에 대한 운동 기술을 습득하여 숙련된 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비교적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이러한 과정은 뇌의 여러 영역에서 관여하게 된다. 최근 운동학습으로 인해 피질 내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변화, 대뇌피질 내의 운동 신경 세포의 흥분성, 피질척수로의 신경 전달 속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들은 이미 출판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피질 수준, 신경 전도로 수준, 근육 수준과 같이 운동학습으로 인해 각각의 수준에서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고, 어떠한 수준에서 더 효율적인 정보 처리와 시간적 전달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논문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뇌피질에서의 정보처리과정 및 시간적 유발 시점, 피질척수로와 말초신경의 신경 전달 과정, 근육의 적응성을 뇌파 검사, 근전도, 전자관절측각기를 이용하여, 시열반응과제 훈련을 통한 운동학습으로 신경 및 근육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각 수준별 시간적 처리 과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상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운동학습의 패러다임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열 반응 과제를 이용하여 훈련 전후 운동 반응 시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에 따른 사건-유발 전위, 근활성도, 관절 움직임의 시간적 유발 시점의 변화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뇌파 검사, 근전도, 전자관절측각기를 이용하여 운동학습으로 인한 대뇌피질에서의 정보처리과정 및 피질척수로와 말초신경의 신경 전달 과정, 근육 적응성의 변화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열반응과제의 반복적인 운동학습으로 인해, 운동 반응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고, 이에 따른 P300 파형의 출현 시기, 손목 신전근의 활성 시점, 전자관절측각기의 유발 시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으며 뇌파와 근전도의 일치성이 높아졌다. 또한 각 구간별 반응 시간의 비율적 단축은 P300 파형의 출현 시점과 근전도 유발 시점, 근전도 유발 시점과 관절 움직임의 시작 시점에서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EEG 지도화 분석결과에서는 훈련 전에는 양측 뇌의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전반적인 활성화를 보였으나, 훈련 후에는 대측 뇌반구의 전두엽과 측주엽에서 국소적인 활성화를 보였다. 시열반응과제의 반복적 훈련은 자극이 제시되고 난 후의 운동 반응 처리 과정을 향상시켰다. 이는 일련의 시각적 자극에 상응하는 운동 반응의 기억 처리 과정과 정확한 운동 반응의 선택적 효율성이 높아졌고, 운동 반응의 인지적 처리 과정의 효율성이 증가하여 자극과 운동 반응의 보다 높은 신경학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며, 신경근육계에서의 선택적 망설임에 대한 확실성이 증가하여 실제 관절이 움직이기 전 단계의 근육 수축 반응에서의 효율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변화가 뇌의 활성도를 대측성 운동감각영역으로 국소화하는 뇌신경의 재조직화를 유발하였다. Motor learning has been traditionally defined as the acquisition of skilled movements through repetitive physical practice or experience and leads to a relatively permanent change to achieve a goal. Numberous investigations demonstrated that adaptative changes were induced by motor skill aquisition in the central nervous and neuromuscular system. However, to our knowledge, there was no evidence about changes in all of components related to motor skill learning, such as cortical, neural conductive, neuromuscular, and movement-related properties. Thus,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neuroelectric potential, onset of muscle activation, onset of movement initiation, and motor response time following visuo-motor skill learning with serial reaction time task in young healthy subjects, using electroencephalography, electromyography, elctrogoniometer, and reaction time measurement. Twelve right-handed normal volunteers without history of neurological dysfunction were recruited, who gave written informed consent. They were seated in front of a table with elbow flexed approximately 90°.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flex/extend their wrist joint or flex the thumb for pressing the matched butto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hen one of five colored lights was displayed on computer screen(red, yellow, green, blue, white). P300 latency, onset of muscle activation and movement inintiation, and reaction time were measured, while five types simulations ware presented randomly with equal probabilities of 20% in total 200 times at the pre and post test. And they were scheduled for 30 minutes practice session during two consecutive days in the laboratory. P300 latency, onset of muscle activation and movement initiation, and final motor output time were reduced in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test. And One sampled t-tes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all dependent values. In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processing time in each of regions, such as intra-cortical region, cortical-spinal-muscle region, muscle-movement region, and movement-final motor response region, the proportion of processing time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motor skill learning in only intra-cortical and musle-movement region. And, in EEG map analysis, the broaden bilateral activation tended to be changed to the focused contralateral activation in the frontoparietal area.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acquisition of motor skill led to product more fast motor execution, as the processing of stimulus-response associations and neural conductive pathway were effectively improved in cortical and neuromuscular systems. Especially, the reduce of processing time in intra-cortical region and muscle-movement region implied that the cortical and neuromuscular adaptation was generated, owing to the reduce of processing time in memory retrieval of stimulus-response and motor response selection, as well as the confidence of selection for corrective response in neuromuscular system. And we suggested that cortical activation pattern was induced by motor learning.

      •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용현 부산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hypothesis which is som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on job burnout, and to identify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some effects person-organization fit on job burnout. Essentially, person-organization fit theory posits that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 congruent with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at individuals' attitudes and behaviors will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congruence of "fit"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is study operationalize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as person-organization fit. And value was classified in 5 category. In order to data collection, 360 survey distributed to profit and , non-profit organization members in Seoul, Busan, Daegu, Changwon. 262 survey was available. First, this study concluded that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influences on job-burnout. but, som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on Job Burnout depends on a kind of value, and depends on degree of value congruence. value congruence of autonomy, efficiency, and consequence didn't influence exhaustion. on the other hand, value of congruence community negatively influences exhaustion, And value of competency development positively influences exhaustion. Second, value of community and efficiency didn't influence cynicism but, value of autonomy, competency development, and consequence influence cynicism. value of autonomy, and competency development positively influence cynicism but, value of consequence negatively influence cynicism. Third, self-efficacy wasn't moderator, in som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on exhaustion but, was a moderator in som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on cyn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