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기조절 방사선 치료에서 전달된 방사선량 검증

        권오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방사선 치료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병변에 대하여 조사된 흡수선량을 검증하는 것이다. IMRT 치료의 목적은 조사 방사선의 선량분포를 조절하여 가능한 병변부위에 고선량을 조사하고 주변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사선 치료의 발전은 치료계획을 세우고 검증하기는 더 복잡해졌다.(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Collaborative Working Group. 2001). IMRT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선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고 환자에게 조사된 선량분포를 검증할 수 있는 정밀한 선량 측정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광자선의 선량검증을 위해 만들어진 BInS(Beam Intensity Scanner)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BInS에 있어 scintillator는 광자선이나 전자선에 조사되면 형광을 발생하는 Gd2O2S:Tb를 주성분으로 한다. Scintillator에서 발생된 형광은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수집되어 디지털 신호로 바뀌고 자체 제작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분석되며 상대적인 선량분포가 3차원 그림으로 표시된다. BInS가 IMRT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료에 관련된 몇 가지 측정을 하였다. 2.0×2.0cm2 작은 조사야를 갖는 15MV 광자선에 대하여 선량에 따른 선형성(linearity)을 조사한 결과 선량에 따라 ±1.3% 이내로 매우 좋은 선형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Lucite 위에 알루미늄을 올려놓은 팬톰(Al-up phantom)과 다른 하나는 lucite 아래에 알루미늄을 놓은 팬톰(Al-down phantom)을 만들었다. 이들의 팬톰에 의해 감쇄되어진 선량분포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알루미늄 팬톰이 위에 놓여있는 때가 아래에 놓여있을 때보다 조금 더 많은 광자가 감쇠되었다. 이것은 몬테칼로 모의실험에서도 BInS 시스템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IMRT의 주요 작동방식 중의 하나인 SMLC(static multileaf collimator) 방식에서는 엽(leaf)들의 동작을 통제하여 만들어지는 여러 개의 정적 조사면적(static portal)을 통하여 IMB(intensity modulated beam)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여러 개의 정적 조사면적이 연달아 맞닿아 있는 경우, 연속된 두 조사면적의 경계면에서 반음영(penumbra)과 산란된 광자들이 겹쳐지고 따라서 hot spot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SMLC방식에서 나타나는 inter-step hot spot들의 존재를 BInS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가시화하였고 또한 그것들을 제거하는 실험적 방법도 제시하였다. IMRT에서 사용되는 다른 주요한 작동방식인 DMLC(dynamic multileaf collimator)는 광자선이나 전자선을 제어하는 leaf의 작동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SMLC 방식과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BInS를 이용하여 SMLC와 DMLC 방식에 의해 실제로 target에 투사된 선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비록 같은 선량을 target 부위에 투사하기로 계획했을지라도, 실제로는 산란된 광자와 전자들에 의해 DMLC 방식에 의한 선량이 SMLC 방식에 의한 선량보다 14.8%나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BInS 시스템은 IMRT에서 정밀한 방사선 측정기로 사용이 가능하며 작은 조사면적(0.5×0.5cm2)에서 큰 조사면적(30.0×30.0cm2) 까지 선량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Patient dose verif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he treatment delivery of radiation therapy. The aim of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s to conform the high dose region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target volume thus minimizing the absorbed dose to the surrounding tissues by modulating the fluence distribution of incident beams. However, this improvement implies an increased treatment complexity from planning to verification(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Collaborative Working Group. 2001). For the task, it is required to use an accurate dosimeter that can verify patient dose profile and deter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eams used in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n this work, the Beam Intensity Scanner (BInS) System is presented for the dosimetric verification of photon beam. The BInS has a scintillator, made of phosphor Terbium-doped Gadolinium Oxysulphide (Gd2O2S:Tb), to produce fluorescence from the irradiation of photon and electron beams. These fluoroscopic signals are collected and digitized by digital video camera (DVC) and processed by custom made software to express relative dose profile in 3 dimensional (3D) plot. As an application of the BInS, measurements related to IMRT are made and presented in this work. We obtained data to check linearity of the BInS using 15MV small beam of size 2.0×2.0cm2. And the linearity line was determined by function fitting. The measured points fit well with the calculated line within ±1.3%. We studied phantoms with an Aluminum block placed above(Al-up Phantom) and below(Al-down phanom) the L-shaped Lucite block. The attenuated beam profiles by these phantom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normalized dose of the beam attenuated by the Al-down phantom is bigger than that by the Al-up Phantom. The Al-up phantom may attenuate photons more than the Al-down phantom. Monte Carlo simulations on these phantoms confirm these measurements by the BInS. In static multileaf collimator (SMLC) technique, intensity modulated beam (IMB) is delivered via a sequence of static portals made by controlled leaves. Thus when static subfields are generated by a sequence of abutting portals, the penumbras and scattered photons of delivered beams overlap in abutting field regions and result in the creation of hot spots. Using the BInS, inter-step hot spots inherent in SMLC are measured and an empirical method to remove them is proposed. Another major MLC technique in IMRT,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DMLC) techniqu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SMLC due to different leaf operation mechanism during irradiation of photon and electron beams. By using the BInS, the actual delivered doses by SMLC and DMLC technique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Even if the planned dose to a target volume is equal in our experimental setting, the actual delivered dose by DMLC technique is measured to be larger by 14.8% than that by SMLC due to scattered photons and contaminant electrons at dmax region. BInS could be used as an accurate dosimeter in IMRT and scan across from small(0.5×0.5cm2) to large(30.0×30.0cm2) beam profile.

      •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혼합 비율이 무기이온 집적과 절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권오현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의 정착을 위하여 기존의 비순환식 수경재배농가가 저비용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술과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장미 품종별 양ㆍ수분 흡수 특성을 조사하고, 배액과 원수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한 후 보정하여 배양액을 공급하면서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절화장미 ‘매직레드’(스탠다드형) 와 절화장미 ‘매직스칼렛’(스프레이형) 품종에 대한 배양액 흡수와 무기이온 흡수특성을 살펴본 바, 정식 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배양액의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생육 초기와 비교해 개화기에 이르렀을 때 품종별로 최대 1.9-2.0배 증가하였다. 배양액의 흡수량은 신초생육 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무기이온의 흡수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거나, 증가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품종별 무기이온 흡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품종별 배양액의 흡수량은 차이를 보였으나, 무기이온의 흡수 행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액과 원수의 비율을 달리하여 재배한 결과 배액을 30% 혼합 처리 구는 생육 중반부터 총 배액의 양이 줄어들었으며, 10% 혼합 처리 구는 생육 중반 이후 총 배액의 증가율은 감소하였으나 총 배액의 양은 계속 증가하였다. 배액의 EC는 10% 혼합 처리 구는 일정수준을 유지하였으며, 30% 혼합 처리 구는 약간 상승하였다. 배액의 pH는 두 처리 구 모두 5.0-5.5사이를 유지하였다. 배액의 페놀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미량의 유기산만 검출되었다. 배액을 계속해서 재사용 시 배액 내의 NO3-N, Ca, Mg, S, K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P은 감소하였다. 배액내 다량원소 비율은 NO3-N, Ca, Mg은 증가하였으며, S, K, P은 감소하였다. 엽내 무기이온의 함량은 배액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Ca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배액 혼합 처리구의 광합성량과 엽록소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절화 수량 및 품질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혼합을 30%까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ble cultivation technology and system from open system to a closed system switchable at low cost. First, nutrient and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se was investigated. And then by mixing different ratios of drainage and water was supplied to compare the results of roses. Magic Red' (standard type) and 'Magic Scarlet' (spray type) was increased absorbtion of nutrient solution by growing the shoots . It was increasing compared with growth of up to 1.9 to 2.0 times the initial when it reaches the flowering. Nutrient uptake was increasing or steady after increased. Nutrient uptake characters was same with variety. When grown of rose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he water to drainage, a mount of drainage on drainage mix 30% treatment was the same initiate as bloom. But a mount of drainage on drainage mix 10% treatment was increased. EC of drainage mix 10% was maintained initiate. However, EC of drainage mix 30% was a slight increase in growing shoot. The pH of the drainage is maintained between 5.0 to 5.5 in both treatments. Phenol compounds were not detected in the drainage. But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 trace amount in the drainage. When continuously recirculated drainage, concentration of NO3-N, Ca, Mg, S, K in the drainage is increased, but P is decreased. Ca of the leaves was lower the higher the drainage mix rate. There were not differences in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 of all treatment. And there were not differences quantity and quality of cut rose in all treatment. In conclusion, the drainage mix rose 30% in a closed system is expected to be available.

      • Leo? Jana?ek String Quartet No.1 < Kreutzer Sonata > 연구

        권오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야나체크의 현악 4중주 제1번 <크로이처 소나타> 분석 연 구를 통해 악장별 음악적 구조와 형식을 이해하고 톨스토이의 <크로이처 소나타> 소설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파악함으로써 연주에 도움 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작곡가의 음악 세계와 <크로이처 소나타>의 창작 배 경,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음악적 구조와 요소를 중심으로 분 석하여 음악적 표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나체크의 현악 4중주 <크로이처 소나타>의 악곡 분석을 토대로 음 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1악장에서는 베토벤의 <크로이처> 1악장과 같은 소나타 형식을 가지며 한 성부의 부재를 이용하여 주제 선율을 더욱 부각 시켰다. 2악장에서는 제2 바이올린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극적인 효과와 긴장감을 유발하기 위하여 sul ponticello와 tremolo, trill 그리고 general pause 등의 음악적 요소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3악장에서는 pizzicato 와 unison 기법을 사용하여 선율을 나타내었으며 제1 바이올린의 고음역 을 통하여 곡의 분위기를 고조되게 만들어 주었다. 4악장에서는 1악장부 터 3악장까지 사용되었던 특징들이 모두 사용되었으며 특히, 제2 바이올 린을 32분음표의 리듬 사용과 곡의 마무리로 활용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인 현악 4중주의 틀에서 벗어난 형태이다. 야나체크 현악 4중주 <크로이처 소나타>의 창작 배경에 맞추어서 악 곡 분석을 한 결과, 톨스토이의 소설 <크로이처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분위기를 현악 4중주 <크로이처 소나타>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아내를 죽이게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극심한 공허함을 긴 휴지부를 사용하여 나타내었고 죽음의 공포에 대한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하여 제1 바이올린에서는 고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제2 바이올린 에서는 긴 휴지부와 주제 선율이 많이 사용되었고 비올라는 긴 음가를 나 열하거나 연결구의 기능을 하였으며, 첼로는 지속음을 사용하거나 긴 휴 지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톨스토이의 소설 <크로이처 소나타>와 야나체크의 현 악 4중주 <크로이처 소나타> 작품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작곡된 당시 음 악과 문학의 융합에 대한 관점에서 사회적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작품에 대한 의미와 표현을 담아내는데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다. 이처럼 이 연구를 통해 연주자들이 야나체크의 현악 4중주 <크로이 처 소나타>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음악의 외적인 표현과 연주적인 기술 에만 치중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작품의 내적 요인을 표현하고 작곡가가 의도하는 창작 배경을 잘 접목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oin is to provide assistance in performance by understanding the musical structure and form of the first movement of Janáček's String Quartet No. 1, "Kreutzer Sonata," through an analysis and examining how Tolstoy's novel "Kreutzer Sonata" is reflected in the work. The research content includes exploring the composer's musical worl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Kreutzer Sonata," an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musical expression by analyzing the musical structure and elem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analysis of Janáček's String Quartet No. 1, "Kreutzer Sonata," the examination of its musical characteristics reveals that the first movement follows the sonata form, similar to Beethoven's "Kreutzer Sonata," and highlights the thematic melody by utilizing the absence of one voice. In the second movement, the second violin is prominently used to create dramatic effects and tension by employing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sul ponticello, tremolo, trill, and general pause. The third movement expresses the melody using pizzicato and unison techniques, while the high range of the first violin intensifies the mood of the piece. In the fourth movement, all the characteristics used in the previous movements are combined, particularly utilizing the second violin with 32nd-note rhythms and as a conclusion of the piece, which deviates from the typical structure of a string quartet.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string quartet "Kreutzer Sonata" by Janáček, an analysis of the composition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 of expressing the atmosphere depicted in Tolstoy's novel "Kreutzer Sonata." To convey the profound emptiness that arises from the protagonist's process of killing his wife in the novel, long pauses were utilized, and in order to express the atmosphere of fear and dread surrounding death, the first violin actively employed high notes. The second violin extensively used long pauses and thematic melodies, functioning as a listing of elongated musical phrases or as a connecting passage, while the viola employed sustained notes and long pauses. The cello also utilized sustained notes and long pauses. Through this disser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lstoy's novel "Kreutzer Sonata" and Janáček's String Quartet No. 1, "Kreutzer Sonata" is examined, and understanding the soci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sion of music and literature at the time of composition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expression of the work.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performers can not only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Janáček's String Quartet No. 1, "Kreutzer Sonata," but also express the internal factors of the work and incorporate the composer's intended creative background into their performance, going beyond the external expression of music and technical skills.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ICT기반의 고등학교 가창지도 방법 연구

        권오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o teachers who have a difficult time teaching with professionalism the subject of singing among music lessons a specific lesson model of effective singing instruction method using ICT and to present a method that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learn singing anywher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mong ICT applied education media, music software Sibelius and Cool Edit Pro were used as tools for producing teaching material, and as an assisting tool, PPT, internet homepage and blog were used. Sibelius makes composition and performance that were only possible with musical talent and continuous instrumental training possible through simple software functions and also makes transpositions and playing of the score possible and thus applied in the singing instruction. Cool Edit Pro has a manual format for music editing and channel separation to make possible specific accompaniment for vocaliz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of singing. For each subject area under “singing”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 teaching-learning guide for 2 sessions were formulated. The first session was structured so that before “solo singing”, “Ensemble singing”, and “chorus singing”, basic posture and breathing techniques for vocalization, physical structures that are related to vocalization and mechanism of vocalization can be understood and practiced. As a continuation of the first session, the second session was structured so that the lessons learned in the previous session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each of “solo singing”, “Ensemble singing”, and “chorus singing” for singing using proper breathing and vocalization, and so that the students can sing according the score while expressing the dynamic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teaching-learning guide structured by each subject are as follows. In the subject of “solo singing”, through a score written using Sibelius, the lesson was structured with stepwise practice of breathing and vocalization and presented a systematic and gradual singing method. Ta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10th grade and above who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in order to make possible to utilize accompaniment that is appropriate for individual vocal range, accompaniment for varying tones were provided using Cool Edit Pro. In the subject of “ensemble singing”, a lesson plan of vocalization practice material that includes vocalization and harmonizing was produced based on the breathing and vocalization practice materials that were used in “solo singing” so that the students can practice harmonizing, which is needed in ensemble singing.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ithin the classroom and by utilizing the channel separation function of Sibelius, effectiveness of vocalization and sight reading skills were enhanced. In the subject of “chorus singing”, harmonizing vocalization used in “ensemble singing” were utilized for basic vocalization, and in the formation evaluation stage, the lesson was formulated so that the students can sing in a chorus under the lead of the student selected as the conductor. So that each student can learn creatively and voluntarily in each subject, levels of completion were observed using formation evaluation stages, and produced practice scores, accompaniments for solo, notes for part practice for ensemble, notes for part practice for chorus, and accompaniments for each subject were produced and uploaded onto a homepage or a blog so that the contents can be utilized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teachers will find more specific and effective software operation in singing lessons and be able to cre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inging that can satisfy their students. 이 연구는 음악수업의 가창영역에서 전문가적 지도가 어려운 교사들에게 ICT를 활용한 효과적인 가창지도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업모형과 학생들 스스로 가창학습이 가능하도록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ICT활용교육 매체중 수업자료 제작도구로 음악소프트웨어인 Sibelius와 Cool Edit pro를 활용하였고 보조적 도구로 PPT와 인터넷 홈페이지 및 블로그를 사용하였다. Sibelius는 음악적 재능과 지속적인 악기의 기술습득 과정이 있어야 가능했던 작곡과 연주 기능을 단순한 음악소프트웨어 기능을 습득함으로써 사보와 악보의 변형 및 작곡과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여 가창지도수업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Cool Edit pro는 가창의 기본인 발성에 대한 구체적인 반주구성이 가능하도록 음원 편집과 채널 분리 등에 대하여 매뉴얼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노래하기’의 각 영역별로 2차시에 걸친 수업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1/2차시는 ‘독창하기’, ‘중창하기’, ‘합창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발성의 자세와 호흡법 그리고 발성에 관여하는 신체구조를 파악하고 발성의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2차시에는 1/2차시와 연계하여 각각 ‘독창하기’, ‘중창하기’, ‘합창하기’에 실제로 전시학습의 내용들을 활용하여 올바른 호흡과 발성으로 노래하고, 악보를 보고 악곡의 특성을 살려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 영역별로 구성된 교수-학습 지도안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독창하기 영역에서는 Sibelius로 제작된 악보를 통하여 호흡과 발성의 단계적 연습을 수업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노래하기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인 10학년 이상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자신의 음역대에 맞는 반주를 활용할 수 있도록 Cool Edit pro를 활용하여 조성별 반주를 제공하였다. 중창하기 영역에서는 독창하기에서 활용하였던 호흡과 발성법 연습자료를 토대로 중창하기에서 필요한 화음내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발성과 화음을 접목시킨 발성연습 자료를 제작하여 수업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교실배치를 하였고 Sibelius의 채널분리 기능을 활용하여 발성과 악곡익히기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합창하기 영역에서는 중창하기에서 사용하였던 화음발성을 활용하여 기초발성을 진행하고 형성평가 단계에서는 대표자로 선발된 학생의 지휘를 통하여 합창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영역별로 학습자가 창의적이며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형성평가 단계를 활용하여 학업성취도를 살피고 연습용 악보와 독창연습용 반주음원, 중창의 파트연습용 음원, 합창의 파트연습용 음원과 각 영역별 반주음원을 제작하여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업로드하여서 언제 어디서나 컨텐츠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가창수업의 구체적인 지도방법과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의 운영에 대한 방법을 찾고 학습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창 교수-학습방안을 도출해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직영화가 직무요인, 안전풍토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메트로, 코레일 중심으로

        권오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영화가 직무요인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가 않으며 특히, 직영화와 안전행동, 안전풍토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5월 28일 서울메트로 2호선 구의역에서 승강장안전문을 단독으로 보수작업을 하던 중에 외주업체 직원이 전동열차와 충돌하여 사망한 사고와 관련하여 서울시는 위험작업에 대한 도급화를 중단하고 2016년 7월 19일 승강장안전문 유지보수 등 4개 분야(구내운전분야는 2017년 1월) 근로자들을 안전업무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 및 채용한 사실에 주목하였다. 코레일과 서울메트로에서 운영하는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 직원 대상(승강장안전문, 차량경정비)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서울메트로의 안전업무의 직영화가 직무스트레스, 고용불안, 직무만족을 3개 변수의 직무요인과 안전풍토, 안전행동 등 2개의 안전 관련 요인 등 총 5개의 변수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영화와 외주화, 국내 공기업과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외주화 현황, 5개의 각 변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주요 구성개념 설정 및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메트로 승강장안전문 유지보수와 차량경정비 직원, 코레일 수도권 3개 본부 승강장안전문 외주용역 5개사 직원 등을 대상으로 총288명을 유효한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서울메트로 외주-직영 모두 경험한 군을 대상으로 직영화 전, 후에 대해 주요 변수 간 근로자의 의식 차이를 분석하고 동종 업무인 승강장안전문 유지보수에 대해 직영화한 서울메트로와 외주로 운영 중인 코레일과의 주요 변수 간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직영화 전 후 비교에서 모든 변수에서 직영화 이후에 대해 근로자가 긍정적인 지각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레일 외주화군과 비교결과에서도 안전풍토의 하위요인 중 안전의사소통과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준수와 습관에서 차이가 없는 것 이외 모두 서울메트로의 직영화군이 각 변수에 대해 긍정적 지각을 하였다. 이는 직영화가 안전풍토와 안전행동에 대해 직영화 후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으며, 외주화에 비해 고용의 안정감에 대한 높은 지각이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고용형태의 변화가 직무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안전관리의 중요한 대책 또는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effect of direct management on job factor and safety. Especial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 management, safety behavior and safety climate. This study shows that while repairing the operations alone in Guui subway station office on May 28, 2016 have lead to a fatal accident while working on the platform safety doors. A questionnaire survey have been conducted by KORAIL and Seoul Metro. In this stud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uspended the contract for dangerous work in connection with the accident that the outsourcing firm’s employee collided with the electric train while repairing the platform safety door on May 28, 2016. Attention was drawn to the conversion of workers in the four safety work areas, including maintenance of the platform safety doors, into unlimited contract services on July 19, 2016.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direct management and the following 5 factors; study of job stress, job insecurity, safety climate, safety behavior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ation, outsourcing of subcontracting laboratories, outsourcing status of local public firms and the prior study of the five variables were reviewed and have established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ain building concept and came up with the hypothesi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leading research concept. The survey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Seoul Metro, the staff of Seoul Metro and five outsourced companies. The research conducted a comparison between Seoul Metro and its employees, who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jor variabl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jor variables and have conducted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ORAIL and Seoul Metro that were operated by the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firmed to be positively perceived by the workers in all variables after a post-compartment basis in comparisons. In comparison to the differences in safety and safety featur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identity of Seoul Metro has remained positive for each variable except for differences in safety and behavior among the factors of safety aspects. This has led to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safe functions within the workplace and has been a positive step toward reducing job stres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is c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transformation of employment forms into critical measures or policy measures.

      • 음이온 기능성 섬유가 미세 혈류 개선에 미치는 영향

        권오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Benefici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from exposure to negative ions have been reported in humans including sleep enhancement, increased growth, the potentiation of peripheral blood flow and body temperature, autonomic nervous system control, bio-activity, and inhibition of obesity. Although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effects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ion in local flap micro-circulation improvement. Methods: The experiments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in vivo on four groups of twenty Sprague-Dawley rats. Group A was control group. Group B was given indirect exposure of anion emitting cosmetic fiber and Group C was given direct exposure of anion by apply on the flap. Group D was given indirect and direct exposure of anion emitting cosmetic fiber. During 2 weeks, the serial gross finding photo, thermal imaging, Laser-induced fluorescein fluoroscopy were performed. Local flaps were excised after 2 weeks and were evaluated for vasucular state, angiogenesis, through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histologic findings. Results: Twenty Sprague-Dawley rats were subjected. 2x8cm random cutaneous flap was elevated. Flap was placed in original location and was sutured by primary closure. We observed survival of flap and blood circulation. Gross photography and Laser-induced fluorescein fluoroscop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flap survival rate of the control group (A group) was 52% and 62% in the B group, 85% in the C group, 87% in the D group. Mean temperature of distal flap of the control group was 29.4℃ and 29.6℃ in the B group, 31.6℃ in the C group, 33.1℃ in the D group. Flap survival rates and flap temperature of C, D group which are directly exposed to cosmetic fiber were highly measured and i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0.05). Histologically, more active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 and vasodilatation were observed in the C, D group. The result of RT-PCR shows increased expression of CD31 and iNOS mRNA, which are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and vasodila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anion emitting cosmetic textile may be us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microcirculation and survivor rate of local flap. It is thought that our investigation will be the fundamental of research to identify the positive effect of anion on human peripheral vascular circulation and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